KR20070011097A -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기 추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부호화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기 추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부호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097A
KR20070011097A KR1020060052548A KR20060052548A KR20070011097A KR 20070011097 A KR20070011097 A KR 20070011097A KR 1020060052548 A KR1020060052548 A KR 1020060052548A KR 20060052548 A KR20060052548 A KR 20060052548A KR 20070011097 A KR20070011097 A KR 20070011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er
data
free distance
distance conditio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608B1 (ko
Inventor
김성훈
이재영
김승원
이수인
안치득
이호경
김창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1/996,085 priority Critical patent/US8050346B2/en
Priority to CA002616067A priority patent/CA2616067A1/en
Priority to PCT/KR2006/002831 priority patent/WO2007011161A1/en
Publication of KR2007001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 H03M13/256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with trellis coding, e.g. with convolutional codes and TC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2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convolutional codes, e.g. unit memory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33Theoretical methods to calculate these checking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22Intended application, e.g.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tandard
    • H03M13/6538ATSC VB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자 부호화 변조 방식(Trellis Coded Modulation: TCM, 이하 TCM이라고 약칭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스트림(dual stream) 전송에 적합한 TCM 부호기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부호기에 필요한 기억소자의 개수, 강인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 및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일반적인 트렐리스 부호기와 하위 호환을 유지하는 1/2 rate 부호기 조합을 구하는 단계; 상기 1/2 rate 부호기 조합 중, 상기 강인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 및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을 만족하는 부호기 조합 H를 구하는 단계; 상기 부호기 조합 H를 만족하는 기억소자 및 입출력 신호의 연결관계를 구하는 단계; 및 기억 소자 및 입출력 신호의 연결관계에 따라 부호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VSB, 이중 스트림, TCM 부호기

Description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기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호화 장치 {Optimal encoder and encoding method for dual stream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CM 부호기 추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2는 일반적인 트렐리스 인코더의 구조,
도 3은 강화된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부호화 장치의 블럭도,
도 4a 및 도 4b는 표 1에 기재된 부호기 조합 H로부터 부호기 구조를 추정하는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도 4b에 도시된 부호화기를 이중 스트림 방식의 부호화 장치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4 rate 부호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일반적인 무귀환 길쌈 부호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표 4에 기재된 부호기 조합 중 강인 스트림(robust stream)의 자유 거리가 가장 큰 부호기(자유거리 692)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격자 부호화 변조 방식(Trellis Coded Modulation: TCM, 이하 TCM이라고 약칭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스트림(dual stream) 전송에 적합한 TCM 부호기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CM은 부호화 기법과 변조 기법을 결합하여 설계하는 방식으로써 주파수 폭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이며, Dual stream 전송 방식은 기존의 부호화 방식과 하위 호환을 유지하면서 전력 효율을 높이는 전송 방식으로써 기존의 부호 방식에 비해 부호 이득이 뛰어난 부호에 의해 부호화된 스트림을 섞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현재 단일 스트림(stream)을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한 TCM 부호기는 이미 설계되어 있으나, 이중 스트림(dual stream)을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한 TCM 부호기는 아직 설계 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표준 8-VSB에 대한 성능 개선 방안으로 제안된 이중 스트림(dual stream) 방식에 적합한 최적의 1/2 rate 및 1/4 rate 부호기의 추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부호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부호기에 필요한 기억소자의 개수, 강인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 및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일반적인 트렐리스 부호기와 하위 호환을 유지하는 1/2 rate 부호기 조합을 구하는 단계; 상기 1/2 rate 부호기 조합 중, 상기 강인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 및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을 만족하는 부호기 조합 H를 구하는 단계; 상기 부호기 조합 H를 만족하는 기억소자 및 입출력 신호의 연결관계를 구하는 단계; 및 기억 소자 및 입출력 신호의 연결관계에 따라 부호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화 장치로서,하나의 입력 단자 및 3개의 출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하기 수학식
Figure 112006040990349-PAT00001
(여기서, st4, st3, st2, st1 는 기억 소자들의 상태, ot2, ot1, ot0은 부호기의 출력, in은 부호기의 입력, hj 는 8진수)
을 만족하도록 연결되는 4개의 기억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반적인 트렐리스 부호기와 하위 호환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CM 부호기 추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부호기 추정이란,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TCM 부호기를 설계하기 위해서 소정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는 기억소자 및 입출력 신호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고, 구해진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부호화 장치를 구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부호기 추정 방법은 먼저 110단계에서, 부호기에 필요한 기억소자의 개수, 강인 데이터(robust stream, 또는 robust data)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과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Normal stream, 또는 Normal data)가 섞인 혼합 스트림(mixed stream case)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을 설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호기에 4개의 메모리를 구비하도록 하여, 복호시 격자도의 상태 개수가 16이 되도록 구성한다.
다음에, 120단계에서, st4, st3, st2, st1을 부호기의 기억 소자들의 상태라 하고, ot2, ot1, ot0은 부호기의 출력, in은 부호기의 입력이라 할 때,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고, 기존의 부호기와 하위 호환을 유지하는 1/2 rate 부호기 조합 h를 구한다.
Figure 112006040990349-PAT00002
여기서, 기존의 부호기란, 도 2에 도시된 일반적인 트렐리스 부호기를 의미하며, 상기 도 2에 도시된 부호기와 하위 호환을 유지한다는 의미는 상기 도 2의 프리코딩 블럭 및 트렐리스 인코딩 블럭이 고정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코딩 블럭 20 및 트렐리스 인코딩 블럭 30의 앞 단에 강화된 부호화부 10을 구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1/2 rate 부호기' 또는 '부호기 조합' 등에 있어서 부호기란, 경우에 따라, 강화된 부호화부 10(enhanced coder)만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모든 연산은 modulo 2 연산이며, 편의상
Figure 112006040990349-PAT00003
이라고 하고, hj를 8진 표기법으로 나타낼 때, 기존의 부호기와 하위 호환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h4=1, h3=6, h0=1로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h4, h3, h1을 생략하고, h=[h6, h5, h2, h1]을 이용하여 기존의 부호기와 하위 호환이 유지되는 1/2 rate 부호기를 추정한다. 여기서 1/2 rate 부호기란 1심볼이 1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함을 의미한다.
상기 120단계에서 부호기 조합 h를 구한후, 130단계에서 상기 부호기 조합 h 중에서, 강인 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과 강인데이터와 일반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mixed stream case)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을 만족하는 부호기 조합(이하, 상기 h와 구분하여 H라 칭하기로 한다)을 구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robust stream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 R은 164 및 168로, Robust 스트림과 Normal 스트림이 섞인 혼합 스트림(mixed stream case)의 자유거리 조건 R+N은 44 내지 56으로 정한다.
하기 <표 1>은 상기 방법에 의해 표현된 최적의 1/2 rate 부호기들(H)이다 [총 2688 개]. 상술한 바와 같이, R은 Robust 스트림(robust stream only case)의 자유거리를 의미하고, R+N은 Robust 스트림과 Normal 스트림이 섞인 혼합 스트림( mixed stream case)의 자유거리를 의미한다.
Figure 112006040990349-PAT00004
Figure 112006040990349-PAT00005
Figure 112006040990349-PAT00006
Figure 112006040990349-PAT00007
Figure 112006040990349-PAT00008
Figure 112006040990349-PAT00009
Figure 112006040990349-PAT00010
Figure 112006040990349-PAT00011
Figure 112006040990349-PAT00012
Figure 112006040990349-PAT00013
Figure 112006040990349-PAT00014
Figure 112006040990349-PAT00015
Figure 112006040990349-PAT00016
Figure 112006040990349-PAT00017
Figure 112006040990349-PAT00018
Figure 112006040990349-PAT00019
Figure 112006040990349-PAT00020
Figure 112006040990349-PAT00021
Figure 112006040990349-PAT00022
Figure 112006040990349-PAT00023
Figure 112006040990349-PAT00024
Figure 112006040990349-PAT00025
Figure 112006040990349-PAT00026
Figure 112006040990349-PAT00027
Figure 112006040990349-PAT00028
Figure 112006040990349-PAT00029
Figure 112006040990349-PAT00030
Figure 112006040990349-PAT00031
Figure 112006040990349-PAT00032
Figure 112006040990349-PAT00033
Figure 112006040990349-PAT00034
Figure 112006040990349-PAT00035
Figure 112006040990349-PAT00036
Figure 112006040990349-PAT00037
Figure 112006040990349-PAT00038
Figure 112006040990349-PAT00039
Figure 112006040990349-PAT00040
Figure 112006040990349-PAT00041
Figure 112006040990349-PAT00042
Figure 112006040990349-PAT00043
Figure 112006040990349-PAT00044
Figure 112006040990349-PAT00045
Figure 112006040990349-PAT00046
Figure 112006040990349-PAT00048
Figure 112006040990349-PAT00049
Figure 112006040990349-PAT00050
Figure 112006040990349-PAT00051
Figure 112006040990349-PAT00052
Figure 112006040990349-PAT00053
Figure 112006040990349-PAT00054
Figure 112006040990349-PAT00055
Figure 112006040990349-PAT00056
Figure 112006040990349-PAT00057
Figure 112006040990349-PAT00058
상기 <표 1>을 구하는 과정은 모든 h=[h6, h5, h2, h1] 값들로부터 상술한 R 및 R+N 값을 만족하는 조합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부호기와 하위 호환이 유지되는 최적의 1/2 rate 부호기들 H를 구한 후, 140단계에서, 각각의 H 값을 만족하는 기억소자 및 입출력 신호의 관계식을 구한다. 최종적으로 150 단계에서, 상기 140단계에서 구한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부호기를 구성하게 된다. 이하, 상기 <표 1>에 개시된 H 값으로부터 기억소자 및 입출력 신호의 관계식을 구하는 방법과 부호기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표 1에 기재된 부호기 조합 H로부터 부호기 구조를 추정하는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는 <표 1>에 기재된 부호기 조합 중 h = [ 4 34 20 4]인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hj 는 8진수이므로 8진수 4인 h6은 이진수 00100가 되고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메모리 st4 및 st3, 입력 in, 출력 ot2 및 ot1 에 대한 관계식은 다음과 같게 된다.
<h = [ 4 34 20 4]인 경우 기억소자 및 입출력 관계식>
Figure 112006040990349-PAT00059
상기 관계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기억소자 및 입출력 라인의 연결구조에 따라 도 4b에 도시한 부호기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기 도 4b에 도시된 부호화기를 이중 스트림 방식의 부호화 장치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5에서, 입력 데이터 in은 X1'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인데이터와 일반데이터를 구분하여 코딩하는 이중 스트림 부호기의 상세 동작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04년 8월 16일자로 출원한 "16 상태 트렐리스 코딩을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전 송수신장치 및 방법"(출원번호 : 2004-64306)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상기 도 5에서, 입력에 따른 출력신호(Z0, Z1, Z2)와 다음 상태는 각각 다음의 표 2와 표 3과 같다. (출력신호 따른 심볼 맵핑은 상기 도 2와 동일하다)
Figure 112006040990349-PAT00060
Figure 112006040990349-PAT00061
위에서, 하나의 심볼이 1비트의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1/2 rate 부호기를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2개의 심볼이 1비트의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 1/4 rate 부호기로 확장 가능하며, 이하 1/4 rate 부호기의 추정 방법 및 1/4 rate 부호화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4 rate 부호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부호율이 1/4인 부호기는 기억 소자의 개수가 2개인 무귀환 길쌈 부호기이다. 여기서 부호율이 1/4인 부호기란 부호율이 2/3인 트렐리스 인코더에 부호율이 1/4인 부호기를 연접시킴으로써 부호율이 1/6인(즉 2개의 심볼이 1비트의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1/4 rate 부호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호기를 의미한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부호율이 1/4인 부호기는 하기의 도 7에서 후술하는 일반적인 무귀환 길쌈 부호기의 구조로부터 얻을 수 있다.
도 7은 부호율이 1/n이고, 기억 소자의 개수가 v개인 일반적인 무귀환 길쌈 부호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7에서 cl은 l번째 순간에 부호기에 입력되는 이진 정보이고,
Figure 112006040990349-PAT00062
를 l번째 순간에 발생되는 i번째 출력 비트이다. 또한 입력 비트들의 시퀀스를 c라 하고(즉,
Figure 112006040990349-PAT00063
), i번째 출력 비트들의 시퀀스를
Figure 112006040990349-PAT00064
라 하면, 아래와 같은 식이 성립된다.
Figure 112006040990349-PAT00065
여기서 *는 이진 컨볼루션 연산을 의미하며,
Figure 112006040990349-PAT00066
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도 7로 표현되는 무귀환 부호기는
Figure 112006040990349-PAT00067
로 표현된다. 여기서
Figure 112006040990349-PAT00068
이며, gi들은 모두 8진수로 표현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부호기에서, n=4이고, v=2인 경우가 상기 도 6에 도시된 부호율이 1/4인 부호기이다. 따라서, 상기 도 7에 도시된 부호기에서 n=4이고, v= 2인 부호기 중, 강인 데이터의 자유 거리 조건과 혼합 스트림의 자유 거리 조건을 만족하는 부호기 조합 G를 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인데이터의 자유거리 조건은 108 내지 692이고, 혼합 스트림의 경우 44이다.
하기 <표 4>에서, R은 robust stream only case의 자유거리를 의미하고, R+N은 Robust stream 과 Normal stream이 섞인, 즉 mixed stream case의 자유거리를 의미한다.
Figure 112006040990349-PAT00069
Figure 112006040990349-PAT00070
Figure 112006040990349-PAT00071
Figure 112006040990349-PAT00072
Figure 112006040990349-PAT00073
Figure 112006040990349-PAT00074
Figure 112006040990349-PAT00075
Figure 112006040990349-PAT00076
Figure 112006040990349-PAT00077
Figure 112006040990349-PAT00078
Figure 112006040990349-PAT00079
Figure 112006040990349-PAT00080
Figure 112006040990349-PAT00081
Figure 112006040990349-PAT00082
Figure 112006040990349-PAT00083
Figure 112006040990349-PAT00084
Figure 112006040990349-PAT00085
Figure 112006040990349-PAT00086
Figure 112006040990349-PAT00087
Figure 112006040990349-PAT00088
도 8은 표 4에 기재된 부호기 조합 중 강인 스트림(robust stream)의 자유 거리가 가장 큰 부호기(자유거리 692)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8에서 부호기 (a)는 도 6의 무귀환 부호기 표현 방법에 의해 g=[5 5 7 7]로 표현되는 부호기이며, 부호기 (b)는 일반적인 8-VSB 부호기이다. 상기 부호기(a)는 g=[5 5 7 7] 일 때, 상기 수학식 2 에 따라 입출력 연결관계가 결정된 예이다. 상기 부호기 (a)의 출력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에 나뉘어서 부호기 (b)에 입력된다. 또한 부호기 (b)는 부호기 (a)보다 두 배 빠르게 작동해야 한다. 즉 부호기 (b)의 기억소자는 부호기 (a)의 기억소자 보다 두 배 빠르게 작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강인 데이터는 물론 일반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능도 향상시켜 TOV를 만족시키는 SNR을 낮추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6)

  1.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기 추정 방법으로서,
    부호기에 필요한 기억소자의 개수, 강인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 및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일반적인 트렐리스 부호기와 하위 호환을 유지하는 1/2 rate 부호기 조합을 구하는 단계;
    상기 1/2 rate 부호기 조합 중, 상기 강인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 및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을 만족하는 부호기 조합 H를 구하는 단계;
    상기 부호기 조합 H를 만족하는 기억소자 및 입출력 신호의 연결관계를 구하는 단계; 및
    기억 소자 및 입출력 신호의 연결관계에 따라 부호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기 추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기억소자의 개수는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기 추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적인 트렐리스 부호기와 하위 호환을 유지하는 1/2 rate 부호기는 하기 수학식,
    Figure 112006040990349-PAT00089
    (여기서, st4, st3, st2, st1 는 기억 소자들의 상태, ot2, ot1, ot0은 부호기의 출력, in은 부호기의 입력, hj 는 8진수)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기 추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h4=1, h3=6, h0=1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기 추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인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은 164 이상이고,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은 44 내지 56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기 추정 방법.
  6.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화 장치로서,
    하나의 입력 단자 및 3개의 출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하기 수학식
    Figure 112006040990349-PAT00090
    (여기서, st4, st3, st2, st1 는 기억 소자들의 상태, ot2, ot1, ot0은 부호기의 출력, in은 부호기의 입력, hj 는 8진수)
    을 만족하도록 연결되는 4개의 기억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반적인 트렐리스 부호기와 하위 호환을 유지하는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h4=1, h3=6, h0=1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장치의 강인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은 164 이상이고,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은 44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화 장치.
  9.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화 장치로서,
    2개의 기억소자를 구비하는 부호율이 1/4인 무귀환 길쌈 부호기; 및
    상기 무귀환 길쌈 부호기의 기억소자보다 2배 빠르게 작동하는 2개의 기억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무귀환 길쌈 부호기의 출력을 교대로 입력받는 부호율이 2/3인 트렐리스 부호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장치의 강인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은 16이고,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은 44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귀환 길쌈 부호기는,
    하기 수학식
    Figure 112006040990349-PAT00091
    (여기서 *는 이진 컨볼루션 연산,
    Figure 112006040990349-PAT00092
    ,
    Figure 112006040990349-PAT00093
    이며, gi들은 모두 8진수)를 만족하는 부호기 조합 G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화 장치.
  12. 이중 스트림 수신에 적합한 복호화 장치로서,
    수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수신수단;
    상기 전송 신호의 심볼 레벨을 판정하는 이퀄라이징 수단; 및
    상기 판정된 심볼에 대하여 판정된 심볼 레벨을 데이터 심볼로 디코딩하는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되,
    심볼레벨에 대한 데이터 심볼과 다음 상태는, 일반적인 트렐리스 부호기와 하위 호환을 유지하는 1/2 rate 부호기 조합 중 강인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은 164 이상이고,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은 44 내지 56인 부호기 조합 H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된 심볼을 데이터 심볼로 디코딩하기 위한 심볼레벨과 다음상태는, 각각 하기 표
    Figure 112006040990349-PAT00094
    Figure 112006040990349-PAT00095
    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4. 이중 스트림 수신에 적합한 복호화 장치로서,
    수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수신수단;
    상기 전송 신호의 심볼 레벨을 판정하는 이퀄라이징 수단; 및
    상기 판정된 심볼에 대하여 판정된 심볼 레벨을 데이터 심볼로 디코딩하는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되,
    심볼레벨에 대한 데이터 심볼과 다음 상태는, 2개의 기억소자를 구비하는 부호율이 1/4인 무귀환 길쌈 부호기와 상기 무귀환 길쌈 부호기의 기억소자보다 2배 빠르게 작동하는 2개의 기억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무귀환 길쌈 부호기의 출력을 교 대로 입력받는 부호율이 2/3인 트렐리스 부호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호화장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장치의 강인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은 16이고,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은 44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6. 이중 스트림 수신에 적합한 복호화 방법으로서,
    수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전송 신호의 심볼 레벨을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된 심볼에 대하여 판정된 심볼 레벨을 데이터 심볼로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심볼레벨에 대한 데이터 심볼과 다음 상태는, 일반적인 트렐리스 부호기와 하위 호환을 유지하는 1/2 rate 부호기 조합 중 강인데이터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은 164 이상이고, 강인데이터와 일반 데이터가 섞인 혼합 스트림에 대한 자유거리 조건은 44 내지 56인 부호기 조합 H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방법.
KR1020060052548A 2005-07-19 2006-06-12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기 추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부호화 장치 KR100706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96,085 US8050346B2 (en) 2005-07-19 2006-07-19 Optimal encoder and encoding method for dual stream system
CA002616067A CA2616067A1 (en) 2005-07-19 2006-07-19 Optimal encoder and encoding method for dual stream system
PCT/KR2006/002831 WO2007011161A1 (en) 2005-07-19 2006-07-19 Optimal encoder and encoding method for dual stream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396 2005-07-19
KR20050065396 2005-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97A true KR20070011097A (ko) 2007-01-24
KR100706608B1 KR100706608B1 (ko) 2007-04-13

Family

ID=3801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548A KR100706608B1 (ko) 2005-07-19 2006-06-12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기 추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부호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50346B2 (ko)
KR (1) KR1007066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64426A (zh) * 2014-07-04 2017-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Tcm发送器设备和接收器设备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5706A (en) * 1986-06-19 1988-07-05 General Electric Company Piezoelectric relays in sealed enclosures
EP0677967A3 (en) * 1994-04-12 1997-07-23 Gold Star Co Viterbi decoder for high-definition television.
JP3252776B2 (ja) * 1997-11-26 2002-02-04 日本電気株式会社 軟出力復号装置
JP2002076925A (ja) * 2000-08-31 2002-03-15 Sony Corp 軟出力復号装置及び軟出力復号方法、並びに、復号装置及び復号方法
CA2404404A1 (en) 2001-09-24 2003-03-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 improved digital transmission system for an enhanced atsc 8-vsb system
CN1643798A (zh) * 2002-03-27 2005-07-20 西门子公司 解码借助于二进制卷积码加密的数据序列的方法
KR100466590B1 (ko) 2002-12-20 2005-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주파수망을 이용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41653B1 (ko) 2003-01-06 2006-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 레벨 잔류 측대파 강인 데이터를 이용한 이중스트림송수신용 디지털 텔레비전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DE10310812B4 (de) * 2003-03-12 2007-11-22 Infineon Technologies Ag Dekodiervorrichtung, Trellis-Prozessor und Verfahren
KR100519361B1 (ko) 2003-11-24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e8-vsb 수신 시스템 및 e8-vsb 데이터역다중화 방법
KR100576551B1 (ko) 2004-04-01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6 상태 트렐리스 코딩을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전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657819B1 (ko) * 2004-04-01 2006-1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혼합 이중 스트림 구조의 디지털 텔레비전 송수신장치 및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64426A (zh) * 2014-07-04 2017-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Tcm发送器设备和接收器设备及其方法
CN106464426B (zh) * 2014-07-04 2019-08-16 华为技术有限公司 Tcm发送器设备和接收器设备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50346B2 (en) 2011-11-01
US20090220020A1 (en) 2009-09-03
KR100706608B1 (ko) 200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840B1 (ko) 시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장치 및 방법
US8891661B2 (en) Techniques for data transmission using high-order modulation
KR101651683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 장치 및 방법
JPH06177846A (ja) ディジタルデータ語通信システム
US10523480B1 (en) K-bit enumerative sphere shaping of multidimensional constellations
KR20060056414A (ko) 부분적 코히어런트 시스템을 위한 부호화 적용 변조기법
US7457368B2 (en) Multilevel channel coding in ADSL
WO2006004837B1 (en) Method of video data transmitting
EP0725508A1 (en) A communication arrangement with improved echo and noise suppression in a channel containing quantization
CN1113499C (zh) 解码信道编码信号的接收机解码器电路及其方法
JP4220365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及びデータ受信方法
CN1770674B (zh) 一种度量值生成器、计算符号度量值的方法和通信设备
KR100706608B1 (ko) 이중 스트림 전송에 적합한 부호기 추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부호화 장치
CN100471189C (zh) 一种4fsk软解调方法
CN101534127A (zh) 一种利用导频信息提高译码效率的编译码方法及其装置
US7356088B2 (en) M-dimension M-PAM trellis code system and associated trellis encoder and decoder
Cai et al. Bandwidth expansion Shannon mapping for analog error-control coding
US11469935B2 (en) Reduction of peak to average power ratio
CN110380803B (zh) 一种基于ldpc码传输的自适应功率分配方法
US20200186405A1 (en) Reduction of peak to average power ratio
JPS612439A (ja) デイジタル信号伝送方式
Wu et al. On the coding scheme for joint channel estimation and error correction over block fading channels
US20120084620A1 (en) Transmission device and receiving device
Daut et al. Joint source/channel coding using trellis-coded CPFSK
RU2276837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адаптивного помехоустойчивого кодиров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