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031A - 프레임을 구비한 유리질 물질 시트, 제조 방법 및 이를사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임을 구비한 유리질 물질 시트, 제조 방법 및 이를사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031A
KR20070011031A KR1020050085113A KR20050085113A KR20070011031A KR 20070011031 A KR20070011031 A KR 20070011031A KR 1020050085113 A KR1020050085113 A KR 1020050085113A KR 20050085113 A KR20050085113 A KR 20050085113A KR 20070011031 A KR20070011031 A KR 20070011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eet
plastic
frame portion
glassy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제라드 레꽁트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브리에르 드엥캅쉬라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브리에르 드엥캅쉬라씨용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브리에르 드엥캅쉬라씨용
Publication of KR2007001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45/14434Coating brittle material,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8Windows

Abstract

시트(1)에 고정된 플라스틱 프레임(2) 또는 플라스틱 프레임 부에 의해 그 주변의 적어도 일부가 보호되는 유리질 물질의 시트가 기술되고, 상기 플라스틱은 성형 후 냉각되면 수축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프레임 부는 시트(1)의 에지와 접하도록 위치한 테두리 요소(3)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2) 또는 상기 프레임 부의 모양과 치수는, 시트(1)가,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가 성형된 후 여전히 고온 상태로 있는 동안 프레임(2) 또는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 위치에 들어갈 수 있고, 주형을 빠져나가는 플라스틱을 냉각하면 수축 후 그 프레임(2) 또는 그 프레임 부를 구비할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

Description

프레임을 구비한 유리질 물질 시트,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SHEETS OF GLASSY MATERIAL, PROVIDED WITH FRAMES, MANUFACTURING METHOD AND THEIR APPLICATIONS}
도 1은, 조립되기 전 유리판과 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해당하는 분해된 부분의 부분도.
도 3은, 그 프레임을 구비한 유리판의 분해된 부분의 부분도.
도 4와 5는, 두 개의 개구 케이스먼트를 구비한 창문 단면부의 부분도로, 그 프레임은 목재와 금속으로 각각 만들어지고, 이 창문은, 종래의 창유리 패널대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조립체로 이루어진 프레임 창유리 패널을 포함하는, 창문 단면부의 부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로 또한 이루어지는 냉장고 선반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를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6과 7에 도시된 도면의 변형예에 따른 선반을 밑에서 본 부분도.
도 9는, 도 8의 IX-IX를 따른 단면부의 부분도.
도 10은, 도 6과 7, 도 8과 9의 도면의 변형예에 따른 선반을 도시하는, 도 8과 유사한 도면으로, 프레임에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이 액세서리는 부분 도시됨), 슬라이딩과 스냅 고정을 통해 선반의 바닥에 이것이 설치되 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세부(XI)를 확대 스케일로 나타낸 도면.
도 12와 13은, 각각, 도 11의 XII-XII와 XIII-XIII를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1에 해당하는 도면으로, 액세서리는 그 스냅 고정 위치에 있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트 2: 플라스틱 프레임
3: 테두리 요소 4,5: 림(rim)(또는 구부러진 부분)
본 발명은, 유리질 물질, 즉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광물 유리 또는 유기 유리의 시트 (또는 플레이트 또는 패널) (단일층이나 적층, 투명이거나, 반투명이거나 불투명한 것에 관계없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시트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완전하거나 부분적인 테두리(surround)를 구비하고, 이는 시트의 날카로운 에지에서 임의의 부상 위험을 제거하고/하거나 상기 시트를 강화한다.
플라스틱 테두리 에지는 일직선이고 균일하거나 보다 복잡한 모양, 특히 기능적이거나 미적인 이유로 주변부 또는 확장부를 가질 수 있는 보다 복잡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그래서, 프레임 시트가 선반을 구성하도록 의도된 경우, 전방 에지 는 선반을 다루기 위한 그립을 형성할 수 있고 측부 또는 후방 에지는 일반적으로 캐비닛의 샤시와 협동하도록 설계되고, 이 샤시는 일반적으로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랙을 구비한다.
캡슐화 성형에 의해 또는 패널에 테두리를 첨가해서 (예를 들어, 접착 결합 또는 클립 고정 또는 테두리의 측부를 맞물리게 해서), 패널에 플라스틱 테두리를 조립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전적으로 만족스럽지는 않다. 캡슐화 성형은 복잡한 설치물을 필요로 하고 모든 프레임 모양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성형 설치물에 삽입되거나 그 압력을 받는 유리질 물질의 시트는 깨질 위험이 있고, 이는 캡슐화 성형 방법을 비용을 증가시킨다. 인용된 다른 방법들은, 대부분의 용도에 바람직한, 모든 프레임 모양과 성형부의 밀봉이 얻어지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유리 시트, 보다 일반적으로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유리 시트를 위한 테두리를, 프레임의 고온 제조와 이것이 제조된 후 즉시 그리고 상기 프레임이 냉각되어 수축되기 전에 이 시트를 프레임에 삽입해서 얻어진 플라스틱 프레임으로 제조할 것으로 제안하고, 프레임은 이후 줄어들어 (또는 수축 또는 신축) 시트를 고정 (또는 조임 또는 단단히 유지) 시킨다.
시트는 단단히 유지되기 때문에, 시트와 플라스틱 사이에 밀봉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밀봉은, 시트와 프레임이 조립되기 전 프레임의 에지 및/또는 시트의 에지에 증착된 매스틱(mastic) 또는 접착제 비드(bead)에 의해 더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유리 냉장고 선반의 프레임을 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의도한 용도는, 앞에서 명시한 냉장고 유리 선반, 거울 테두리의 제조와 별도로, 프레임은 에지를 충돌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에지를 수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며, 고정과 이에 따라 밀봉을 일으키는 수축은, 거울 층의 열화(劣化)를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에지가 이렇게 덮이기 때문에, 에지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의 에지를 성형하는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이러한 테두리는 창문과 결합되도록 의도된 건물용 창유리 유닛(glazing unit)에 또한 유용하다. 플라스틱 프레임은, 창문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핑거(finger) 타입, 그루브(groove) 타입 등의 상보적인 수단과 협동할 수 있는 립(rib) 타입, 프로젝션(projection) 타입 등의 수단이 장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이렇게 둘러싸인 창유리가 창문의 리베이트(rebate) 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 플라스틱 프레임을 장착된 창유리 유닛은, 예를 들어, 리베이트에 스냅 고정되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냉각시 그 수축 때문에, 유리질 물질의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플라스틱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인 유리질 물질의 이러한 패널은, 유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변형되거나 벌어지는 탄성 핑거의 변형에 의해 유리가 프레임 안으로 삽입되는 방법과 구별되고, 상기 핑거는 유리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이들의 초기 모양 또는 위치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플라스틱 프레임이나 플라스틱 프레임 부에 의해 그 주변의 적어도 일부가 보호되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 (또는 플레이트 또는 패널)로서,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는 상기 시트에 고정되고, 상기 플라스틱은 성형 후 냉각시 수축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프레임 부는 시트 에지와 접해서 위치한 테두리 요소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프레임 부의 모양과 치수는, 시트가,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가 성형된 후 여전히 고온 상태로 있는 동안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 위치에 들어갈 수 있고, 주형을 빠져나가는 플라스틱을 냉각하면 수축 후 그 프레임 또는 그 프레임 부를 구비할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는, 전체 주변 또는 시트 둘레의 실질부에 각각 뻗어있는, 특히 시트가 직사각형인 경우 시트의 적어도 세 면에 뻗어있는 테두리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테두리 요소는, 시트의 해당 면에 가해지는 (또는 고정되거나 압착되는) 하나 이상의 림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그 두 개의 세로 경계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부러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테두리 요소는, 시트의 적어도 한 면에 뻗어있는, 평면 또는 일반적으로 평면부 또는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속적으로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테두리 요소는, 시트의 적어도 한 면에 뻗어있는, 불연속적으로 구부러진 부분, 특히 평면부 또는 플랜지 또는 러그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평면부, 플랜지 또는 러그는 유지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시트 둘레를 따라 가능한 한 규칙적으로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시트는 또한, 이 시트와 그 프레임 (또는 그 프레임 부) 사이에, 접착제, 특히 가요성 접착제의 적어도 하나의 필름 및/또는 비드 및/또는 스폿(spot)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밀봉부 및/또는 고정 보강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온도 변화 효과로 인한 팽창 차이 때문에 시트와 프레임 사이의 임의의 상대적인 이동에 맞게 조절되고, 시트 및/또는 프레임의 표면은, 줄무늬(striation) 또는 거칠기(asperity)와 같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고, 또는 접착제의 결합 또는 고정(keying)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리하게 처리되었다.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는 또한 이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구조에 이를 맞추거나, 부착하거나, 고정하거나 조립하도록 하는 돌출부, 리세스 부 또는 러그와 같은 기능 수단을 포함하거나, 립(rib)과 같은 보강 수단, 또는 장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보다 나은 광 굴절과 같은 기능적인 목적이나, 미적인 목적을 위해 표면 처리를 거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핸들 모양 및/또는 매력적인 모양과 같이, 기능에 적합한 모양을 갖는다.
프레임의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활석(talc)으로 충전된 폴리프로필렌, 및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티렌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시트는 거울, 또는 이와 달리, 개구 창문 프레임와 같이, 창유리 구조의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창유리 요소, 또는 이와 달리 선반 캐비닛(shelved cabinet), 예를 들어 냉장 캐비닛 또는 냉장고, 또는 가전기기 또는 전기기구 요소의 선반을 구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앞에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포함하는 선반 캐비닛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앞에서 정의된 시트 (또는 플레이트 또는 패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는 고온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다음, 프레임될 시트는, 고온 상태에서 성형되어 냉각시 계속해서 수축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의 위치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냉각 완료시, 상기 시트의 에지의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를 둘러싸는 부분의 조립(fitting), 유리하게는 접합 조립(close fitting), 또는 심지어 측면 압축(lateral compression)에 의해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가 시트 둘레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는 이 위치에서 냉각되고, 이에 따라 수축이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시, 프레임의 한 면 길이에 대해 적어도 0.25% 그리고 최대 2% 수축될 수 있는, 성형될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조성물이 유리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라,
- 프레임될 시트는, 프레임이 전체 수축의 40%만큼 수축되기 전에,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의 위치로 들어가고,
- 프레임될 시트는, 주형 개방 후 10분 이하의 시간 내에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의 위치 안으로 들어가며 (상기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온도는 약 70℃가 될 수 있다),
- 그 주변부가 적어도 하나의 구부러진 부분(bent-over portion)을 한 면에 포함하는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가 제조되고, 상기 구부러진 부분 또는 부분들은, 시트가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의 위치 안으로 들어가면 시트를 위한 지지부로 작용하고,
- 그 주변부가 적어도 하나의 구부러진 부분(bent-over portion)을 각 면에 포함하는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가 제조되고, 한 면에서 상기 구부러진 부분 또는 부분들은, 시트가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의 위치 안으로 들어가면 시트를 위한 지지부로 작용하고, 다른 면에서 상기 구부러진 부분 또는 부분들은, 프레임이 여전히 고온이고 늘어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동안 프레임의 변형 때문에 시트를 일정 위치에 넣을 수 있도록 하는 폭을 갖고, 시트와 그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는 보다 밀착되게 조립되어, 필요시, 시트의 에지를 둘러싸는 부분의 충분히 밀착된 조립을 일으킬 수 없었던 임의의 수축을 보상하거나, 그 프레임 및/또는 보다 나은 시트/프레임 고정에 의해 시트를 더 고정하기 위한 이후 수축 효과를 강화하는 것을 보장하며,
-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밀봉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필름 및/또는 비드 및/또는 스폿이, 시트와 접하도록 의도된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 중 적어도 한 부분 위에 증착되고,
- 주형을 빠져나가는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 지나치게 많이 또는 지나치게 빨리 수축되는 것을 막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온도 유지 터널에서 일정 온도로 유지되며,
- 유리질 물질의 시트 크기는, 결국, 다소 중요한 프레임에 의한 시트의 압축력 및/또는 프레임에 의한 시트의 고정을 얻기 위해 선택된다.
본 발명의 주제를 더 잘 예시하기 위해, 여러 특별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아래에서 상술될 것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이 도면은, 이들이 조립되기 전, 광물이나 유기 유리의 직사각형 시트(1)와,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그 최종 상태에서 비교적 단단하고 그 주변 모두에 시트(1)를 고정하도록 의도된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으로 얻어진 프레임(2)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레임(2)은, 구부러진 부분(4와 5)을 각각 형성하기 위해 그 각각의 경계선을 따라 안쪽으로 구부러진 실제 테두리 부(3)를 포함하고, 구부러진 부분(5)은 구부러진 부분(4)보다 폭이 더 작다.
도 3에 도시된 프레임 시트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 프레임(2)은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다. 용융된 물질은 160℃부터 주형에서 굳기 시작하고, 다음으로 성형부가 이후 처리 작업을 거칠 수 있고 제거될 수 있을 때까지 주형에서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이 순간, 성형부의 온도는 약 70℃이고 플라스틱이 수축되기 시작하고,
- 다음으로 유리 시트(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진 부분(4)에 의해 형성된 지지 표면에 놓이고, 이러한 배치 작업은 주형을 빠져나간 후 10분 이내, 특히 4분 이내, 특히 1 내지 2분 내에 일어나며, 전체 수축 중 최대 40%, 바람직하게는 30%에 달한 플라스틱의 수축은, 도 3에 도시된 최종 위치가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고, 프레임(2)의 테두리(3)는 약 8 내지 10 MPa, 예를 들어 약 9 MPa의 압축력으로 유리 시트(1)를 유지하고, 림(rim)(4와 5)은 유리(1)의 각 면에 부착된다.
플라스틱의 수축은 전체적으로 수 시간 동안 일어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축의 약 75%는 처음 15분 안에 일어난다. 폭이 약 420mm인 프레임에 대해,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최종 수축은 최대 4mm까지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조는 선택된 유리(1)에 따라 거울 또는 창유리 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이 창유리 요소를 구성하면, 이는 목재로 만들어지거나 (도 4)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도 5) 창문 프레임의 위치에 도시되었고, 그 개구 케이스먼트는 도면 번호 6으로 표시되었다.
이러한 창유리 요소는, 개구 케이스먼트(6)의 외부 림(7)에 의해 형성된 내부 주변 지지 표면에 창유리 요소의 림(4)을 압착한 다음, 창유리 요소의 림(5)에 내부 프레임(8)을 고정시켜 설치될 수 있다. 도 4와 5의 표시는 개략적이지만, 조립체의 밀봉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의의 추가 수단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설치 작업은 단순하고, 종래의 매스틱(mastic) 도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그 프레임을 구비한 전체 창유리 요소를 교체해서, 창유리가 쉽게 교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과 7은, 유리 시트(1A)와 프레임(2A)으로 형성되고, 냉장고 선반을 구성하도록 의도된 구조를 도시한다. 프레임(2A)은, 그 모양이 프레임(2)과 다른데, 이는 냉장고에 선반을 설치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래서, 테두리(3A)와 구부러진 부분 또는 프레임(2A)의 림(4A)은, 이들의 모양과 이들의 절단부에 의해, 선반의 상부와 경계부를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프레임(2A)의 전방 경계부(9) (사용자 위치에서 고려해서)는 핸들링 그립을 형성하기 위해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후방 에지는 냉장고 샤시에 의해 운반된 수용 부재를 위한 원형의 아치형 중앙 인덴트(indent)(10)를 갖고, 프레임(2A)의 오른쪽과 왼쪽 에지는, 선반이 조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샤시로 삽입하고 샤시에서 분리하는) 구부러진 에지의 가늘고 긴 인덴트(11)를 구비한다. 특히, 안전의 이유로 선반 전체가 직접 분리될 수 없고, 경제적인 이유로 중공부가 프레임(2A)의 밑면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다른 상세부와 절단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도면에서, 림(5A)은 림(5)과 같이, 선반의 전체 둘레에서 연속적이고, 사용 위치에서 선반의 하부 면에 위치한다.
도 6과 7의 선반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유리(1A)는 처음 구부러진 부분(4A)의 내부 면에 위치하고, 플라스틱의 수축은 프레임(2A)이 유리(1A)에 완전하게 고정된 것을 보장한다.
도 8과 9에 도시된 선반 (1B-2B)의 실시예는, 림(5A)은 연속적이지 않지만, 우수한 고정 또는 유지를 보장하기 위해 분산되어 있는 탭(5B)에 의해 형성된다는 사실에 의해 도 6과 7에 도시된 것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는 플라스틱을 절약한다. 제조는 이전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일어난다.
도 10 내지 14에 도시된 선반 (1C-2C)의 실시예는, 후방면과 그 한 면에, 중앙 탭(5B)대신 두 개의 후크(hook)(12)가 제공되고, 이러한 후크는 병 홀더와 같은 액세서리의 부착을 허용하고, 선반과 결합하기 위한 액세서리의 부분은 도 10에서 도면 번호 10으로 표시된다는 사실에 의해 이전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후크(12)는 L자 모양을 갖고 각각은 테두리(3C)의 하부 경계부에 수직인 (사용자 위치에서 고려해서) 제 1 부(12a)와, 유리(1C) 위에 있는 제 2 부(12b)를 구비한다.
제 1 부(12a)는 이것의 약 1/2 위에 개구(12c)를 갖고 (도 13), 그 내부 벽은 보스(boss)(12d)를 갖는다.
결합부(joining part)(13)는 두 개의 개구(14)를 갖고, 오직 이 중 하나만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개구(14)는 부분(13a)의 하나의 경계부를 따라 뻗어있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일반적인 모양을 갖고, 개구(14)의 내부 경계부(14a)는, 이것이 제 1 영역(14b)과 제 1 영역보다 좁은 제 2 영역(14c)을 갖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것은 익스크레선스(excrescence)(14d)로 분리된다.
사용자가 냉장고에서 선반 (1C-2C) 아래의 위치에 액세서리(13)를 부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그 부분(13a)을 통해 선반의 밑면에 액세서리(13)를 부착하고, 후크(12)는 개구(14)의 영역(14b)과 일직선이 되고, 후크(12)의 외부 부분(12b)은 부분(13a) 위로 돌출한다. 다음으로 액세서리(13)는 보스(12d) 뒤에 익스크레선스(14d)의 스냅 고정에 의해 고정될 때까지 슬라이딩되고, 이러한 익스크레선스(14d)는 개구(12c)에 위치한다.
이러한 선반의 제조는, 유리 시트(1C)를 제 위치에 넣을 때, 후크(12)의 존재 때문에 측면 중 하나를 통해 삽입되어야만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전 두 개의 경우와 동일하다.
물론, 상술된 실시예는 비 제한적인 표시로 제공되었고, 그래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리질 물질, 즉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광물 유리 또는 유기 유리의 시트 (또는 플레이트 또는 패널) (단일층이나 적층, 투명이거나, 반투명이거나 불투명한 것에 관계없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시트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완전하거나 부분적인 테두리(surround)를 구비하고, 이는 시트의 날카로운 에지에서 임의의 부상 위험을 제거하고/하거나 상기 시트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로서,
    상기 시트(1,1A,1B,1C)에 고정된 플라스틱 프레임(2,2A,2B,2C) 또는 플라스틱 프레임 부에 의해 그 주변의 적어도 일부가 보호되고,
    상기 플라스틱은 성형 후 냉각되면 수축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프레임 부는 시트(1,1A,1B,1C)의 상기 에지와 접하도록 위치한 테두리 요소(surrounding element)(3,3A,3B,3C)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2,2A,2B,2C) 또는 상기 프레임 부의 모양과 치수는, 상기 시트(1,1A,1B,1C)가, 성형된 후 여전히 고온 상태로 있는 동안 상기 프레임(2,2A,2B,2C) 또는 상기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 위치에 들어갈 수 있고, 주형을 빠져나가는 플라스틱을 냉각하면 수축 후 그 프레임(2,2A,2B,2C) 또는 그 프레임 부를 구비할 수 있도록 선택되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2A,2B,2C) 또는 상기 프레임 부는, 전체 주변 또는 상기 시트(1,1A,1B,1C) 둘레의 실질부에 각각 뻗어있는, 특히 상기 시트가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시트의 적어도 세 면에 뻗어있는 테두리 요소(3,3A,3B,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요소(3,3A,3B,3C)는, 상기 시트 (1,1A,1B,1C)의 해당 면에 가해지는 하나 이상의 림 요소(rim element)(4,4A,4B - 5,5A,5B,5C)를 형성하기 위해 그 두 개의 세로 경계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요소(3,3A,3B,3C)는, 상기 시트(1,1A,1B,1C)의 적어도 한 면에 뻗어있는, 평면 또는 일반적으로 평면부 또는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속적으로 구부러진 부분(continuous bent-over portion)(4,4A,4B,4C,5,5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요소(3B,3C)는, 상기 시트의 적어도 한 면에 뻗어있는, 예를 들어, 평면부 또는 플랜지 또는 러그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불연속적으로 구부러진 부분(5B,5C)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 플랜지 또는 러그는 유지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시트 둘레를 따라 규칙적으로 유리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와 상기 시트의 프레임 (또는 상기 시트의 프레임 부) 사이에, 접착제, 특히 가요성 접착제의 적어도 하나의 필름 및/또는 비드 및/또는 스폿(spot)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밀봉부 및/또는 고정 보강물을 포함하고, 이는 온도 변화 효과로 인 한 팽창 차이 때문에 상기 시트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임의의 상대적인 이동에 맞게 조절되고, 상기 시트 및/또는 상기 프레임의 표면은, 줄무늬(striation) 또는 거칠기(asperity)와 같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고, 또는 상기 접착제의 결합 또는 고정(keying)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리하게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는 상기 시트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구조에 상기 시트를 맞추거나, 부착하거나, 고정하거나 조립하도록 하는 돌출부, 리세스 부 또는 러그와 같은 기능 수단을 포함하거나, 립(rib)과 같은 보강 수단, 또는 장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보다 나은 광 굴절과 같은 기능적인 목적이나, 미적인 목적을 위해 표면 처리를 거치고, 또는 이와 달리, 핸들 모양 및/또는 매력적인 모양과 같이, 기능에 적합한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활석(talc)으로 충전된 폴리프로필렌, 및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티렌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거울을 구성하도 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개구 창문 프레임와 같이, 창유리 구조를 위한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창유리 요소를 구성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선반 캐비닛(shelved cabinet), 예를 들어 냉장 캐비닛 또는 냉장고, 또는 가전기기 또는 전기기구 요소의 선반을 구성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질 물질로 만들어진 시트.
  12. 제 11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포함하는, 선반 캐비닛.
  13.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는, 고온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다음, 프레임될 상기 시트는, 고온 상태에서 성형되어 냉각시 계속해서 수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의 위치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냉각 완료시, 상기 시트 에지 위에 상기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테두리 부의 조립(fitting), 유리하게는 접합 조립(close fitting), 또는 심지어 측면 압축(lateral compression)에 의해 상기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가 상기 시트 둘레에 고 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가 이 위치에서 냉각되고, 이에 따라 수축이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냉각시, 상기 프레임의 한 면 길이에 대해 적어도 0.25% 그리고 최대 2% 수축될 수 있는, 성형될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조성물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프레임될 상기 시트는, 상기 프레임이 전체 수축의 40%만큼 수축되기 전에, 상기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의 위치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방법.
  16. 제 1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될 상기 시트는, 주형 개방 후 10분 이하의 시간 내에 상기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의 위치 안으로 들어가고, 상기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온도는 약 70℃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방법.
  17. 제 13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테두리 부가 적어도 하나의 구부러진 부분(bent-over portion)을 한 면에 포함하는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가 제조되고, 상기 구부러진 부분 또는 부분들은, 상기 시트가 상기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의 위치 안으로 들어가면 상기 시트를 위한 지지부로 작용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방법.
  18. 제 13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테두리 부가 적어도 하나의 구부러진 부분(bent-over portion)을 각 면에 포함하는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가 제조되고, 한 면에서 상기 구부러진 부분 또는 부분들은, 상기 시트가 상기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의 내부 공간의 위치 안으로 들어가면 상기 시트를 위한 지지부로 작용하고, 다른 면에서 상기 구부러진 부분 또는 부분들은, 프레임이 여전히 고온이고 늘어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프레임의 변형 때문에 상기 시트를 일정 위치에 넣을 수 있도록 하는 폭을 갖고, 상기 시트와 상기 시트의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는 보다 밀착되게 조립되어, 필요시, 상기 시트의 에지의 테두리 부의 충분히 밀착된 조립을 일으킬 수 없었던 임의의 수축을 보상하거나, 상기 프레임의 이후 수축 효과를 강화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방법.
  19. 제 13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의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밀봉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필름 및/또는 비드 및/또는 스폿이, 상기 시트와 접하도록 의도된 상기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 중 적어도 한 부분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방법.
  20. 제 13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형을 빠져나가는 상기 프 레임 또는 프레임 부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 지나치게 많이 또는 지나치게 빨리 수축되는 것을 막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온도 유지 터널에서 일정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방법.
  21. 제 13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질 물질의 상기 시트의 크기는, 결국, 다소 중요한 상기 프레임에 의한 상기 시트의 압축력 및/또는 상기 프레임에 의한 상기 시트의 고정을 얻기 위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조 방법.
KR1020050085113A 2005-07-18 2005-09-13 프레임을 구비한 유리질 물질 시트, 제조 방법 및 이를사용하는 방법 KR200700110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52231 2005-07-18
FR0552231 2005-07-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517U Division KR200409919Y1 (ko) 2005-07-18 2005-09-14 프레임을 구비한 유리질 물질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31A true KR20070011031A (ko) 2007-01-24

Family

ID=3765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113A KR20070011031A (ko) 2005-07-18 2005-09-13 프레임을 구비한 유리질 물질 시트, 제조 방법 및 이를사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11031A (ko)
CN (2) CN10050005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8827A1 (en) * 2007-08-03 2009-02-12 Vkr Holding A/S A method for making a pane module and a window comprising such a pane module
DE102009027886A1 (de) * 2009-07-21 2011-01-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Zwischenbod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Zwischenbodens
BR102012006945A2 (pt) * 2012-03-28 2013-11-19 Metalfrio Solutions S A Conjunto de fechamento aplicável em um equipamento de refrigeração e equipamento de refrigeração
CN102997584B (zh) * 2012-12-17 2015-07-15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4719A (ja) * 1988-03-26 1989-09-29 Sanwa Plast Kk 保持枠への鏡固定方法
KR19990016867U (ko) * 1997-10-30 1999-05-25 구자홍 냉장고용 선반
US6045101A (en) * 1998-01-30 2000-04-04 Waltec Plastics Inc. Article suppo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4719A (ja) * 1988-03-26 1989-09-29 Sanwa Plast Kk 保持枠への鏡固定方法
KR19990016867U (ko) * 1997-10-30 1999-05-25 구자홍 냉장고용 선반
US6045101A (en) * 1998-01-30 2000-04-04 Waltec Plastics Inc. Article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864315Y (zh) 2007-01-31
CN1899160A (zh) 2007-01-24
CN100500055C (zh)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5037B2 (ja) 成形周辺封止部を備える封入型ウインドウアセンブリ
US7300122B2 (en) Shelf for supporting articles, particularly in refrigerated installations
JP4546575B2 (ja) 窓ガラス取付け要素
JP2912630B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US8231191B2 (en) Shelf for supporting articles, particularly in refrigerated installations
CA2304291A1 (en) Profiled spacer for insulation glazing assembly
KR20070011031A (ko) 프레임을 구비한 유리질 물질 시트, 제조 방법 및 이를사용하는 방법
US20080209826A1 (en) Composite doors
KR102215793B1 (ko) 구조 가스켓 및 트림 요소를 갖는 유리 패널, 트림 요소, 및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DE60208552D1 (de) Plattenförmiges verglastes formteil
GB2306541A (en) Glazing of panelled doors
CA2144551A1 (en) Insulated glass spacer with diagonal support
KR200409919Y1 (ko) 프레임을 구비한 유리질 물질 시트
GB2236346A (en) Insulated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GB2267529A (en) Doors
FR2648178A1 (fr) Fenetre thermo isolante
US6399183B1 (en) Plate made of glass material
US3698761A (en) Screen for a window-pane of the rear window of a motorcar
JP2004069114A (ja) 保冷庫のガラス埋め込み扉
GB2279682A (en) Door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08135333A (ja) 格子体の取付構造
JPH10292741A (ja) ガラスの固定構造
KR200341302Y1 (ko) 안전도어 프레임
JPS6117845Y2 (ko)
WO2004011756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lazing clips for ancillary elements on glazing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