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780A -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서버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서버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780A
KR20070010780A KR1020050065656A KR20050065656A KR20070010780A KR 20070010780 A KR20070010780 A KR 20070010780A KR 1020050065656 A KR1020050065656 A KR 1020050065656A KR 20050065656 A KR20050065656 A KR 20050065656A KR 20070010780 A KR20070010780 A KR 20070010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connection
portab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automatic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5449B1 (ko
Inventor
김회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449B1/ko
Priority to EP06012538A priority patent/EP1746775B1/en
Priority to US11/489,014 priority patent/US20070021104A1/en
Publication of KR20070010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서버연결 방법에 있어서,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서버와 연결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서버연결 시작수단 및, 서버연결 시작수단을 실행하면,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으로 AP를 통하여 서버를 검색하고 AP를 통하여 통신부에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

Description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서버연결 방법{Portable terminal with improved server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server connection thereof}
도 1은 휴대용 단말기가 AP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서버연결 방법에 있어서,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서버와 연결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서버연결 시작수단 및, 서버연결 시작수단을 실행하면,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으로 AP를 통하여 서버를 검색하고 AP를 통하여 통신부에 연 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폰은 필수품이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뿐 아니라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하거나, 위성 방송의 시청, 게임 및, 무선 인터넷을 통한 웹서핑 등 그 활용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을 하기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는 AP(Access Ponit)를 통신하고 AP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AP를 통해 인터넷을 거쳐 서버와 통신하게 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통신방법을 아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휴대용 단말기가 AP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도 1을 보면 휴대용 단말기(100)가 AP(Access Point)(102)를 통해 서버(104)와 연결하는 흐름은 AP(102)의 검색단계(110), AP(102)와 연결단계(120), 서버(104)와 연결단계(130) 및, 서버(104)의 인증단계(140)로 크게 4단계로 이루어진다.
AP(102)의 검색단계(110)는 휴대용 단말기가 AP(102)를 검색하는 단계로 휴 대용 단말기(100)는 Probe Request(112)를 송신하여 이를 수신한 AP(102)에서 Probe Response(114)를 송신하도록 유도하여 수신한 Probe Response(114)을 통해 AP(102)를 검색하거나, 또는 AP(102)에서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Beacon(114)를 수신하여 AP(102)를 검색한다.
AP(102)와 연결단계(120)는 AP(102)를 검색한 후에 AP(102)와 연결을 하는 단계로, 휴대용 단말기(100)는 AP(102)의 검색단계(110)에서 검색한 AP(102)와 연결하기 위해 AP(102)로 Association Request(122)를 송신한다. Association Request(122)를 수신한 AP(102)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로 Association Accept(124)를 송신하고, 연결이 실패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100)로 연결 실패 사유와 함께 Association Reject(126)를 송신한다.
서버(104)와 연결단계(130)는 AP(102)와 연결단계(12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와 AP(102)가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AP(102)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서버(104)를 연결하는 단계로, 휴대용 단말기(100)는 Discovery Request(132)를 서버(104)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서버(104)는 연결 가능하면 Discovery Accept(134)를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고, 연결이 불가능하면 연결이 불가능한 이유와 함께 Discovery Reject(136)를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한다.
서버(104)의 인증단계(140)는 서버(104)와 연결단계(13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가 서버(104)와 정상적으로 연결하면, 서버(104)의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서버의 인증을 받는 단계로, 휴대용 단말기(100)는 Register Request(142)를 서버 (104)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서버(104)는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여 정당한 사용자이면 Register Accept(144)를 송신하고 서버(104)의 서비스를 허용하고,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Register Reject(146)를 송신하고 서버(104)의 서비스를 허용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100)가 AP(Access Point)(102)를 통해 서버(104)와 연결하는 흐름을 설명하였으나 시스템에 따라 더 많은 단계를 더 가진 경우도 있다.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AP(102)의 검색단계(110), AP(102)와 연결단계(120), 서버(104)와 연결단계(130) 및, 서버(104)의 인증단계(140)는 각 단계가 자동으로 연결되어 이루어 지지 않고 사용자가 개입하여 조작해야하는 문제와 휴대용 단말기(100)가 AP(102)와 연결된 상태에서 서버(102)와 연결을 하지 못하거나 서버(104)의 서비스를 종료한 경우에도 계속해서 AP(102)와 연결을 유지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기 문제는 특히 기업에서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그 문제가 더욱 부각된다. 기업에서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예로 택배회사의 우편물 관리를 위해 현장에서 움직이는 기사가 휴대용 단말기로 우편물의 처리 현황을 처리할 때, 또는 판매직원이 본사의 제고 등을 파악할 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업무용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연결하고자 하는 서버는 미리 정한 몇 몇 서버로 한정 됨에도 불구하고 서버와 연결하기 AP와 찾고 연결하는 작업 후에 서버를 찾고 연결하고 인증받는 일련의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여 하므로 사용자에게 여러 단계를 제어하는 불편과 시간낭비를 초래한다. 또한 업무용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서버와의 연결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업무를 하기 위한 것으로 한정된 서버의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서버와 연결을 하지 못할 때 AP와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종래의 연결방법은 서버와의 연결이 종료되거나 연결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AP와 연결을 유지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 연결에 있어서 연결 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가 미리 정한 서비스를 받기위해 미리 정한 서버만을 이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가 서버와의 연결을 종료하거나 서버와 연결하지 못하였을 때 AP(Access Point)와 연결도 같이 종료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서버와 연결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서버연결 시작수단 및, 상기 서버연결 시작수단을 실행하면, 상기 통신부 를 통하여 자동으로 상기 AP를 통하여 상기 서버를 검색하고 상기 AP를 통하여 상기 통신부에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방법에 있어서, 서버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서버연결 시작단계, 상기 서버연결 시작단계에서 상기 서버 연결을 시작하면 자동으로 AP(Access Point)를 검색하여 검색한 AP와 연결하는 AP 연결단계 및, 상기 AP 연결 단계의 상기 AP와 연결하였으면, 자동으로 미리 정한 서버를 검색하고 연결하는 서버 연결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의 실시 예들의 변경, 구성요소의 추가 등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개선한 서버연결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서버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개선한 서버연결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200), 표시부(202), 키패드(204), 메모리(206), 통신부(208), 안테나(210), 코덱(212), 마이크(214) 및 스피커(216)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서버연결 시작수단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상기 AP를 통하여 서버를 검색하고 AP를 통하여 상기 통신부에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서버와 연결을 종료하거나 서버와 연결 실패시 자동으로 AP와 연결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의 설명에 있어서 서버연결 시작수단은 키패드(204)의 미리 정한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이 가능한 표시부(202) 등을 이용한 서버연결을 시작하도록 지시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다.
표시부(202)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또는 인디케이터),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표시부(202)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키패드(key pad)(204)는 0∼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 ▶)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메모리(206)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 메시지, 화상 데이터 등)를 저장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서버로부터 인증 받기 위한 인증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208)는 수신할 때는 안테나(2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송신할 때는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고 주파수 상승시켜 안테나(210)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수신하는 파일롯 채널을 통해 기지국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AP(Access Point)를 찾아서 연결하고, AP를 통해 서버를 검색하여 연결하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서버와 연결을 종료하거나 서버와 연결 실패시 AP와 연결도 종료한다.
상기 제어부(200)에 연결된 오디오 코덱(CODEC : Coder-Decoder)(212)과, 코덱(212)에 접속된 마이크(214) 및 스피커(216)는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코덱(212)은 제어부(2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2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선한 서버연결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축다이얼 방법을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300단계에서 AP(Access Point)를 검색하여 검색한 AP와 연결한다.
302단계에서 상기 300단계의 AP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AP와 연결 하지 못하였으면 종료하고, AP와 연결하였으면 304단계에서 미리 정한 서버를 검색하고 연결한다.
상기 304단계에서 미리 정한 서버와 연결하였으면, 306단계에서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는다.
308단계에서 서버와 연결되고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서버와 연결하여 인증을 받았으면, 310단계에서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서비스를 종료하고, 상기 310단계에서 서비스를 종료하면, 312단계에서 서버 및 AP와 연결을 해제한다.
308단계에서 서버와 연결되고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서버와 연결하지 못하였거나 또는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지 못하였으면, 314단계에서 AP와 연결을 해제한다.
도 3에 있어서 미리 정한 서버로 연결시 300단계에서 304단계까지 혹은 300단계에서 306단계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306단계인 서버인증은 보안의 중요도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자동으로 인증받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인증받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하여 통신하는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시 연결하는 미리 정한 서버로 미리 정한 서버를 통해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며, 서버와의 연결 해제시 자동으로 AP와 연결도 해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서버와 연결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서버연결 시작수단 및, 서버연결 시작수단을 실행하면,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으로 AP를 통하여 서버를 검색하고 AP를 통하여 통신부에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서버연결까지의 단계를 자동화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서버 연결해제 또는 서버 연결실패시 AP연결도 해제함으로 AP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휴대 용 단말기의 전력 감소 효과를 가진다.

Claims (13)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서버와 연결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서버연결 시작수단; 및
    상기 서버연결 시작수단을 실행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자동으로 상기 AP를 통하여 상기 서버를 검색하고 상기 AP를 통하여 상기 통신부에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와 연결 후에 자동으로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받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인증정보 입력시 필요한 다수의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와 연결 후에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는 인증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받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미리 정한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AP의 연결, 상기 AP를 통한 상기 서버 검색 및 연결을 자동으로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6.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한 상기 서버와 연결을 해제하면 상기 AP와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7.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AP와 연결하고, 상기 서버와 연결을 실패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한 상기 AP와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8.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방법에 있어서,
    서버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서버연결 시작단계;
    상기 서버연결 시작단계에서 상기 서버 연결을 시작하면 자동으로 AP(Access Point)를 검색하여 검색한 AP와 연결하는 AP 연결단계; 및
    상기 AP 연결 단계의 상기 AP와 연결하였으면, 자동으로 미리 정한 서버를 검색하고 연결하는 서버 연결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연결단계 다음에 자동으로 인증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여 인증받는 서버 인증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연결단계 다음에 인증정보를 입력하여, 입력한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여 인증받는 서버 인증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미리 정한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방법.
  12.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방법에 있어서,
    연결한 서버와 연결을 해제하는 서버연결 해제단계; 및
    상기 서버연결 해제단계에서 상기 서버연결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AP(Access Point)와 연결도 해제하는 AP연결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방법.
  13.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방법에 있어서,
    AP(Access Point)와 연결한 상태에서 서버연결을 시도하는 서버 연결단계; 및
    상기 서버 연결단계에서 상기 서버 연결을 실패하면, 자동으로 상기 AP와 연결도 해제하는 AP연결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연결 방법.
KR1020050065656A 2005-07-20 2005-07-20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서버연결 방법 KR100725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656A KR100725449B1 (ko) 2005-07-20 2005-07-20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서버연결 방법
EP06012538A EP1746775B1 (en) 2005-07-20 2006-06-19 Connection of a portable terminal to a server
US11/489,014 US20070021104A1 (en) 2005-07-20 2006-07-19 Portable terminal with improved server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portable terminal to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656A KR100725449B1 (ko) 2005-07-20 2005-07-20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서버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780A true KR20070010780A (ko) 2007-01-24
KR100725449B1 KR100725449B1 (ko) 2007-06-07

Family

ID=3703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656A KR100725449B1 (ko) 2005-07-20 2005-07-20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서버연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21104A1 (ko)
EP (1) EP1746775B1 (ko)
KR (1) KR100725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72B1 (ko) * 2007-08-27 201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접촉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5088B2 (ja) * 2012-05-24 2014-12-24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通信設定方法、無線接続装置、および、認証方法
US10048802B2 (en) * 2014-02-12 2018-08-14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CN106714271B (zh) * 2016-06-14 2019-02-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无线网络接入方法和装置
US11184767B2 (en) * 2016-10-21 2021-11-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a network
US11564092B2 (en) 2016-10-21 2023-01-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a network
US11184768B2 (en) 2016-10-21 2021-11-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4239B1 (en) * 1998-10-07 2003-06-03 Eric Morgan Dowling Virtual connection of a remote unit to a server
JP2001117844A (ja) * 1999-10-20 2001-04-27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無線クライアントの表示言語切替方法
FI20000760A0 (fi) * 2000-03-31 2000-03-31 Nokia Corp Autentikointi pakettidataverkossa
KR100588165B1 (ko) * 2000-09-15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접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A2412148C (en) * 2001-11-22 2008-04-22 Ntt Docomo, Inc. Authent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nd authentication method
JP3764125B2 (ja) * 2002-04-26 2006-04-05 富士通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7529933B2 (en) * 2002-05-30 2009-05-05 Microsoft Corporation TLS tunneling
JP3617981B2 (ja) 2002-06-17 2005-02-09 株式会社東芝 情報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情報発信装置
KR20040002034A (ko) *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공중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검색 방법
ITRM20020405A1 (it) 2002-07-31 2004-02-01 Ansaweb S P A Sistema di ricezione e visualizzazione di informazioni multimediali in tempo reale.
KR100494558B1 (ko) * 2002-11-13 2005-06-13 주식회사 케이티 공중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인증방법 및 시스템
US20050177515A1 (en) * 2004-02-06 2005-08-11 Tatara Systems, Inc. Wi-Fi service delivery platform for retail service providers
KR101007735B1 (ko) * 2004-04-29 2011-01-13 주식회사 케이티 외장형 무선랜 접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5117466A2 (en) * 2004-05-24 2005-12-08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Wireless manager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devices
US20060067272A1 (en) * 2004-09-30 2006-03-30 Wang Huayan A Method and system for fast roaming of a mobile unit in a wireless network
US20060183462A1 (en) * 2005-02-11 2006-08-17 Nokia Corporation Managing an access account using personal area networks and credentials on a mobil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72B1 (ko) * 2007-08-27 201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접촉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21104A1 (en) 2007-01-25
EP1746775A1 (en) 2007-01-24
EP1746775B1 (en) 2012-04-04
KR100725449B1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6562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KR100725449B1 (ko)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서버연결 방법
KR20080091166A (ko) 통신 장치, 서버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JP2000270376A (ja) 携帯電話保守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保守サービス方法
KR20080075297A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US7953398B2 (en) Method for receiving incom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uring user absence
KR20070005956A (ko)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블루투스연결 방법
KR100642683B1 (ko)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KR20050086980A (ko) 원격 기능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64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2625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22379A (ko)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 추적 방법
JP2001352341A (ja)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1285448A (ja) 移動無線電話機および電話機
KR10077696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방법
JP2000209640A (ja) 位置情報確認機能付き簡易型携帯電話機及び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
KR100644035B1 (ko) 부가서비스 지원 여부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759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메시지를 특정 메시지수신함에저장하는 방법
KR1006343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문자 메시지 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JPH0628279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KR20060028275A (ko) 외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잠금해제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74660B1 (ko) 사용자 등록 전화번호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호 제한 방법 및 상기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66032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통화 발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649134B1 (ko) 기기 사용중 외부 데이터의 수신 보류 기능을 갖는무선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43344A (ko) 그룹 착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