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753A -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753A
KR20070008753A KR1020050062493A KR20050062493A KR20070008753A KR 20070008753 A KR20070008753 A KR 20070008753A KR 1020050062493 A KR1020050062493 A KR 1020050062493A KR 20050062493 A KR20050062493 A KR 20050062493A KR 20070008753 A KR20070008753 A KR 20070008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exterior
coating layer
wireless terminal
meta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2883B1 (ko
Inventor
김선일
신호식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젬
Priority to KR1020050062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8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0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 H01J37/317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for changing properties of the objects or for applying thin layers thereon, e.g. for ion implantation
    • H01J37/3171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for changing properties of the objects or for applying thin layers thereon, e.g. for ion implantation for ion impla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5Sputtering by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e.g. magnetron sput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00a)의 형상을 제조하는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S10),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외장부품(100a)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20), 외장부품(100a)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결합층(110)을 형성하는 이온주입단계(S30) 및 이온주입단계(S30)에서 표면에 결합층(110)이 형성된 외장부품(100a)을 챔버 내의 기판(260)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210)에 금속(220)을 안착시키고, 캐소드(210)에 전압(Vbias1)을 인가하여 캐소드에 안착된 금속(220)에 의한 금속이온(240)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250)와 결합하여 결합층(110) 표면에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을 형성하는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및 그 제조방법은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들 중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외장부품의 경우 외장부품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결합층을 형성하고, 결합층이 형성된 합성수지재 외장부품 또는 금속재의 외장부품에 대해서 그 표면에 고경도의 금속화합물 코팅층을 형성하여 장기간 손 또는 외부환경과의 접촉이 있더라도 금속화합물 코팅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랫동안 신뢰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를 제조할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 증착시 반응가스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진 금속화합물 코팅층을 형성하여 외장부품의 세련미를 달성할 수 있으며, 코팅층 형성시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는다.
금속화합물 증착, 전도성 이온주입, 외장부품, 무선단말기

Description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및 그 제조방법{external accessories having high hardness coating layer for mobile phone and the method}
도 1a 내지 도 1d는 일반적인 무선단말기인 폴더형의 휴대폰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a 및 도 2b는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인 경우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의 공정단면도,
도 3은 금속재의 외장부품에 대한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의 공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의 공정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리기상증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의 기계적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100b...외장부품 110...결합층
120...금속화합물 코팅층
본 발명은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들 중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들은 전도성 이온주입 후 금속화합물 증착을 하여 고경도 코팅층을 형성하고, 금속재의 외장부품들은 금속화합물 증착을 하여 고경도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외장부품들의 내마모, 내화학성을 향상시켜 코팅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장부품들에 다양한 색상을 구현시킬 수 있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일반적인 무선단말기인 폴더형의 휴대폰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외장부품들은 정면케이스(1), 중앙케이스(3) 및 배면케이스(5)들로 이루어진 휴대폰 외장 케이스, 휴대폰의 특정기능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볼륨키(7), 측면키(9), 네비게이션키(11), 키버튼(13)들과 힌지부(15)와 홀로그램이나 회사로고 등의 외장 장식을 위해 사용되는 서스(Sus)(17), 니켈전주(Nickel Electroforming)(19), 카메라부(21) 및 안테나(23)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장부품들 중 힌지부(15), 서스(17), 니켈전주(19) 및 카메라부(21)들은 통상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그 이외의 외장부품들은 통상 합성수지재로 이루어 져 있다.
상기와 같은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들은 물성이 낮아 내식성이 좋지 못하고, 경도가 낮아 표면마찰에 의한 부품의 마모와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외장부품들 표면에 도료나 도금법에 의해 코팅층을 형성한다.
표면에 도료나 도금법에 의해 코팅층을 형성하는 종래의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들은 손이나 외부환경의 직,간접적인 접촉에 의해 장시간 사용할 경우 코팅층이 박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도료나 도금법에 의한 코팅층 형성을 위해 에폭시, 황산 또는 질산 등과 같은 유해한 부산물이 석출되어 이러한 유해물질을 처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들 중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외장부품들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결합층을 형성하고, 이온주입된 외장부품에 대해서 금속화합물 증착을 하여 결합층 표면에 고경도의 금속화합물 코팅층을 형성하여 장기간 손 또는 외부환경과의 접촉이 있더라도 코팅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금속화합물 증착시 반응가스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코팅층 형성시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들을 제조하는 무선단말기용 외장부 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품의 형상을 제조하는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 상기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외장부품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외장부품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결합층을 형성하는 이온주입단계; 및 상기 이온주입단계에서 표면에 결합층이 형성된 외장부품을 챔버 내의 기판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에 금속을 안착시키고, 상기 캐소드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캐소드에 안착된 금속에 의한 금속이온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와 결합하여 상기 결합층 표면에 금속화합물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금속화합물 증착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은 무선단말기의 케이스, 무선단말기용 안테나, 장식을 위한 부품 및 무선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로 구성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된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들을 제조하는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품의 형상을 제조하는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 상기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외장부품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외장부품들 중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결합층을 형성하는 이온주입단계; 및 표면에 결합층이 형성된 상기 외장부품 또는 상기 외장부품들 중 금속재의 외장부품을 챔버 내의 기판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에 금속을 안착시키고, 상기 캐소드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캐소드에 안착된 금속에 의한 금속이온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와 결합하여 상기 결합층 표면 또는 상기 금속재의 외장부품 표면에 금속화합물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금속화합물 증착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품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상기 외장부품 표면에 형성된 결합층; 및 표면에 결합층이 형성된 상기 외장부품을 챔버 내의 기판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에 금속을 안착시키고, 상기 캐소드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캐소드에 안착된 금속에 의한 금속이온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와 결합하여 상기 결합층 표면에 금속화합물 증착에 의해 형성된 금속화합물의 코팅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은 무선단말기의 케이스, 장식을 위한 부품 및 무선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로 구성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된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들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품들 중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상기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 표면에 형성된 결합층; 및 상기 표면에 결합층이 형성된 외장부품 또는 상기 금속재의 외장부품을 챔버 내의 기판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에 금속을 안착시키고, 상기 캐소드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캐소드에 안착된 금속에 의한 금속이온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와 결합하여 상기 결합층 표면 또는 금속재의 외장부품 표면에 금속화합물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화합물의 코팅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 및 도 2b는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인 경우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의 공정단면도이고, 도 3은 금속재의 외장부품인 경우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의 공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의 공정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00a)의 형상을 제조하는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S10),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외장부품(100a)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20), 외장부품(100a)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결합층(110)을 형성하는 이온주입단계(S30) 및 이온주입단계(S30)에서 표면에 결합층(110)이 형성된 외장부품(100a)을 챔버 내의 기판(260)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210)에 금속(220)을 안착시키고, 캐소드(210)에 전압(Vbias1)을 인가하여 캐소드에 안착된 금속(220)에 의한 금속이온(240)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250)와 결합하여 결합층(110) 표면에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을 형성하는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40)로 구성된다.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은 외장부품(100a)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외장부품(100a) 표면에 형성된 결합층(110) 및 표면에 결합층(110)이 형성된 외장부품(100a)을 챔버 내의 기판(260)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210)에 금속(220)을 안착시키고, 캐소드 (210)에 전압(Vbias1)을 인가하여 캐소드(210)에 안착된 금속(220)에 의한 금속이온(240)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250)와 결합하여 결합층(110) 표면에 금속화합물 증착에 의해 형성된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으로 구성된다.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로 형성된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의 제조방법은 외장부품(100a,100b)의 형상을 제조하는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S10),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외장부품(100a,100b)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20), 외장부품들(110a,110b) 중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00a)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결합층(110)을 형성하는 이온주입단계(S30) 및 표면에 결합층(110)이 형성된 외장부품(100a) 또는 상기 외장부품들 중 금속재의 외장부품(100b)을 챔버 내의 기판(260)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210)에 금속(220)을 안착시키고, 캐소드(210)에 전압(Vbias1)을 인가하여 캐소드(210)에 안착된 금속(220)에 의한 금속이온(240)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250)와 결합하여 결합층(110) 표면 또는 금속재의 외장부품(100b) 표면에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을 형성하는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40)로 구성된다.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로 형성된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은 외장부품들 중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00a)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상기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00a) 표면에 형성된 결합층(110) 및 표면에 결합층(110)이 형성된 외장부품(100a) 또는 금속재의 외장부품(100b)을 챔버 내의 기판(260)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210)에 금속(220)을 안착시키고, 캐 소드(210)에 전압(Vbias1)을 인가하여 캐소드(210)에 안착된 금속(220)에 의한 금속이온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250)와 결합하여 결합층(110) 표면 또는 금속재의 외장부품(100b) 표면에 금속화합물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40)는 물리기상증착에 의해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40)에서 챔버 내에 주입되는 반응가스는 탄화수소가스(C2H2), 질소가스(N2), 탄화수소(C2H2)와 질소(N2)의 혼합가스 또는 산소가스(O2)와 질소가스(N2)의 혼합가스들 중 어느 하나의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40)에서 캐소드(210)에 안착되는 금속(220)은 티타늄(Ti), 지르코늄(Zr) 또는 크롬(Cr)들 중 어느 한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이온주입단계(S30)에서 결합층(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리(Cu), 티타늄(Ti), 니켈(Ni), 알루미늄(Al), 크롬(Cr), 지르코늄(Zr) 또는 탄소(C)들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온주입단계(S30)와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40)는 동일한 챔버 내에서 진행함으로써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단말기의 외장부품들 중 정면케이스(1), 중앙케이스(3) 및 배면케이스(5)들로 이루어진 휴대폰 외장 케이스, 휴대폰 의 특정기능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볼륨키(7), 측면키(9), 네비게이션키(11), 키버튼(13), 안테나(23)들은 통상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이를 제작하며, 힌지부(15)와 홀로그램이나 회사로고 등의 외장 장식을 위해 사용되는 서스(Sus)(17), 니켈전주(Nickel Electroforming)(19) 및 카메라부(21)들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이캐스팅 등에 의해 제작된다.
상기 외장부품들 중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들의 경우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S1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휴대폰 외장 케이스, 다수의 키버튼들을 사출성형에 의해 각 외장부품들(100a)의 형상을 제조한다. 세척단계(S20)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각 외장부품들(100a)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한다. 이온주입단계(S30)는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00a)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결합층(110)을 형성한다. 합성수지재는 금속과의 결합력이 좋지 못하므로 후공정인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40)에서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과의 결합력을 좋게 하기 위해서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00a)에 결합층(110)을 형성하며, 동시에 결합층(110)에 전압(Vbias2)을 인가하여 후공정인 금속화합물 증착시 금속이온(240)을 가속화시켜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 형성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이온주입단계(S30)에서 결합층(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리(Cu), 티타늄(Ti), 니켈(Ni), 알루미늄(Al), 크롬(Cr), 지르코늄(Zr) 또는 탄소(C)들 중 어느 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구리(Cu), 티타늄(Ti), 니켈(Ni), 알루미늄(Al), 크롬(Cr) 및 지르코늄(Zr)은 모두 금속이므로 이러한 금속들로 형성된 결합층(110)은 후공정에 의한 금속화합물 코팅층(120)과 결합력이 좋고, 탄소(C)로 형성된 결합층(110)의 경우 금속화합물 코팅층(120)은 탄소 또는 질소 등의 성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탄소(C)로 형성된 결합층(110)과 후공정시 형성되는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과는 잘 결합된다.
이온주입단계(S30)를 하기 전에 아르곤가스나 산소가스 또는 이들 두 가스의 혼합가스를 챔버 내에 주입하고, 캐소드(210)에 전압을 인가하여 주면 아르곤가스나 산소가스는 플라즈마 형태로 변환되고, 변환된 아르곤플라즈마는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00a)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세척해줌과 동시에 표면의 거칠기를 높여주어 전도성 이온주입시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00a)의 표면에 결합층(110)의 형성을 용이하게 만들어 주고, 산소플라즈마는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00a)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활성화시켜 주어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00a)의 표면에 결합층(110)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기상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공정에 의하여 진행한다.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40)는 이온주입단계(S30)에서 표면에 결합층(110)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00a)을 챔버 내의 기판(260)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210)에 티타늄(Ti), 지르코늄(Zr) 또는 크롬(Cr)들 중 어느 한 금속(220)을 안착시키고, 캐소드(210)에 전압(Vbias1)을 인가하여 아크 스팟(230)에서 금속이온(240)과 전자(e)가 발생되고, 챔버 내의 금속이온(240)과 반응가스(250)는 전체적으로 플라즈마 형태를 띄게되며, 전자(e)는 챔버 벽에 인가된 양전압(Vbias3)에 의해 챔버 벽으로 이동되고, 양의 금속이온(240)은 음전압(Vbias2)이 인가된 기판(260) 쪽으로 이동된다. 양의 금속이온(240)은 기판(260) 쪽으로 이동되면서 챔버 내에 주입되는 반응가스(250)와 결합하여 결합층(110) 표면에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110a)의 경우 합성수지 외장부품(110a) 표면에는 금속 코팅층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이온주입단계(S30)에서 합성수지 외장부품(110a) 표면에 결합층(110)을 먼저 형성하여 결합층(110) 표면에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이 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층(110)에 음전압(Vbias2)을 인가하여 줌으로써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40)에서 양의 금속이온(240)을 기판(260) 쪽으로 더욱 더 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삼차원의 형상을 갖는 외장부품의 경우 기판(260)을 회전시켜 균일한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화합물 증착에 사용되는 금속은 경도가 높은 금속인 티타늄(Ti), 지르코늄(Zr) 또는 크롬(Cr)들 중 어느 한 금속을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금속들 중 둘 이상의 금속을 동시에 사용하여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코팅층(120)에 다양한 색상을 주기 위해 챔버 내에 주입되는 반응가스는 탄화수소가스(C2H2), 질소가스(N2), 탄화수소(C2H2)와 질소(N2)의 혼합가스 또는 산소가스(O2)와 질소가스(N2)의 혼합가스들 중 어느 하나의 가스를 사용한다.
아래의 표 1은 금속화합물 증착에 사용되는 금속과 반응가스에 따라 구현되는 대표적인 색상을 표시하고 있다.
표 1을 살펴보면 금속들과 탄화수소(C2H2)와 질소(N2)의 혼합가스에 의한 금속탄소질화물(TiCN, ZrCN, CrCN)의 코팅층(120)인 경우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금속이온/반응가스 탄화수소(C2H2) 질소(N2) 탄화수소(C2H2)와 질소(N2)의 혼합가스 산소가스(O2)와 질소가스(N2)의 혼합가스
Ti 블랙 골드 황동, 청동, 청회색 은회색
Zr 블랙 노랑 회색, 황동, 청동 은회색
Cr 블랙 은회색 크롬색, 회색, 블랙 회색
도 6은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의 기계적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속화합물 코팅층(120)은 2000Hv 에서 2400Hv의 고경도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및 그 제조방법은 장기간 손 또는 외부환경의 접촉되더라도 금속화합물 코팅층(120)은 표면경도가 우수하고 내화학성을 가지게 되어 쉽게 박리되지 않으며, 금속화합물 증착시 반응가스에 따라 금속화합물 코팅층(120)은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코팅층 형성시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는다.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의 외장부품 및 그 제조방법의 동작은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금속재의 외장부품(100b)의 경우 외장부품 자체가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주입단계(S30)는 필요가 없으며, 그 이외의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S10), 세척단계(S20) 및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30)에 대한 동작은 동일하다. 즉 금속화합물 증착단계(S30)는 표면에 결합층(110)이 형성된 외장부품(100a) 또는 상기 외장부품들 중 금속재의 외장부품(100b)을 챔버 내의 기판(260)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210)에 금속(220)을 안착시키고, 캐소드(210)에 전압(Vbias1)을 인가하여 캐소드(210)에 안착된 금속(220)에 의한 금속이온(240)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250)와 결합하여 결합층(110) 표면 또는 금속재의 외장부품(100b) 표면에 금속화합물의 코팅층(12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및 그 제조방법은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들 중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외장부품의 경우 외장부품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결합층을 형성하고, 결합층이 형성된 합성수지재 외장부품 또는 금속재의 외장부품에 대해서 그 표면에 고경도의 금속화합물 코팅층을 형성하여 장기간 손 또는 외부환경과의 접촉이 있더라도 금속화합물 코팅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랫동안 신뢰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를 제조할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 증착시 반응가스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진 금속화합물 코팅층을 형성하여 외장부품의 세련미를 달성할 수 있으며, 코팅층 형성시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는다.

Claims (24)

  1.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들을 제조하는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품의 형상을 제조하는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
    상기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외장부품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외장부품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결합층을 형성하는 이온주입단계; 및
    상기 이온주입단계에서 표면에 결합층이 형성된 외장부품을 챔버 내의 기판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에 금속을 안착시키고, 상기 캐소드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캐소드에 안착된 금속에 의한 금속이온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와 결합하여 상기 결합층 표면에 금속화합물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금속화합물 증착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화합물 증착단계는 물리기상증착에 의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가스는 탄화수소가스, 질소가스, 탄화수소와 질소의 혼합가스 또는 산소가스와 질소가스의 혼합가스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화합물 증착단계에서 상기 캐소드에 안착되는 금속은 티타늄, 지르코늄 또는 크롬들 중 어느 한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주입단계에서 상기 결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이온은 구리, 티타늄, 니켈, 알루미늄, 크롬, 지르코늄 또는 탄소들 중 어느 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주입단계와 금속화합물 증착단계는 동일한 챔버 내에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7. 무선단말기의 케이스, 장식을 위한 부품 및 무선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로 구성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된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들을 제조하는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품의 형상을 제조하는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
    상기 외장부품형상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외장부품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외장부품들 중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결합층을 형성하는 이온주입단계; 및
    표면에 결합층이 형성된 상기 외장부품 또는 상기 외장부품들 중 상기 금속재로 형성된 외장부품을 챔버 내의 기판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에 금속을 안착시키고, 상기 캐소드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캐소드에 안착된 금속에 의한 금속이온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와 결합하여 상기 결합층 표면 또는 상기 금속재의 외장부품 표면에 금속화합물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금속화합물 증착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화합물 증착단계는 물리기상증착에 의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가스는 탄화수소가스, 질소가스, 탄화수소와 질소의 혼합가스 또는 산소가스와 질소가스의 혼합가스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화합물 증착단계에서 상기 캐소드에 안착되는 금속은 티타늄, 지르코늄 또는 크롬들 중 어느 한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주입단계에서 상기 결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이온은 구리, 티타늄, 니켈, 알루미늄, 크롬, 지르코늄 또는 탄소들 중 어느 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주입단계와 금속화합물 증착단계는 동일한 챔버 내에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 조방법.
  13.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품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상기 외장부품 표면에 형성된 결합층; 및
    표면에 결합층이 형성된 상기 외장부품을 챔버 내의 기판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에 금속을 안착시키고, 상기 캐소드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캐소드에 안착된 금속에 의한 금속이온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와 결합하여 상기 결합층 표면에 금속화합물 증착에 의해 형성된 금속화합물의 코팅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화합물의 코팅층은 물리기상증착에 의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가스는 탄화수소가스, 질소가스, 탄화수소와 질소의 혼합가스 또는 산소가스와 질소가스의 혼합가스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에 안착되는 금속은 티타늄, 지르코늄 또는 크롬들 중 어느 한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이온은 구리, 티타늄, 니켈, 알루미늄, 크롬, 지르코늄 또는 탄소들 중 어느 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이온주입과 금속화합물 증착은 동일한 챔버 내에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19. 무선단말기의 케이스, 장식을 위한 부품 및 무선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로 구성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된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들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품들 중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 표면에 전도성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상기 합성수지재의 외장부품 표면에 형성된 결합층; 및
    상기 표면에 결합층이 형성된 외장부품 또는 상기 금속재의 외장부품을 챔버 내의 기판에 장착하고, 챔버 내의 캐소드에 금속을 안착시키고, 상기 캐소드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캐소드에 안착된 금속에 의한 금속이온과 챔버 내에 주입된 반응가스와 결합하여 상기 결합층 표면 또는 금속재의 외장부품 표면에 금속화합물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화합물의 코팅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화합물의 코팅층은 물리기상증착에 의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가스는 탄화수소가스, 질소가스, 탄화수소와 질소의 혼합가스 또는 산소가스와 질소가스의 혼합가스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에 안착되는 금속은 티타늄, 지르코늄 또는 크롬들 중 어느 한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이온은 구리, 티타늄, 니켈, 알루미늄, 크롬, 지르코늄 또는 탄소들 중 어느 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전도성 이온주입과 금속화합물 증착은 동일한 챔버 내에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KR1020050062493A 2005-07-12 2005-07-12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KR10073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493A KR100732883B1 (ko) 2005-07-12 2005-07-12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493A KR100732883B1 (ko) 2005-07-12 2005-07-12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177U Division KR200396998Y1 (ko) 2005-07-12 2005-07-12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753A true KR20070008753A (ko) 2007-01-18
KR100732883B1 KR100732883B1 (ko) 2007-06-29

Family

ID=3801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493A KR100732883B1 (ko) 2005-07-12 2005-07-12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3056A (zh) * 2017-09-01 2018-02-09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电子产品部件及其制作方法
CN113524964A (zh) * 2020-04-17 2021-10-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壳体及其装饰方法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679A (ko) * 1997-12-05 1999-07-05 박호군 이온 빔을 이용한 재료의 표면 처리 장치
KR100514953B1 (ko) * 2003-03-05 2005-09-14 주식회사 피앤아이 전자기기용 플라스틱 하우징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3056A (zh) * 2017-09-01 2018-02-09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电子产品部件及其制作方法
CN113524964A (zh) * 2020-04-17 2021-10-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壳体及其装饰方法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883B1 (ko)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2427B1 (ja) 装飾品および時計
JP4479812B2 (ja) 装飾品の製造方法、装飾品および時計
US9206522B2 (en) Electronic device case and surface treatment method thereof
US20130049557A1 (en) Device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device housing
EP1331282B1 (en) Method for making decorative articles
US20090258234A1 (en)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8950548B (zh) 铬-氮化铬复合涂层及其在纳米复合刀具的应用
CN101677496A (zh) 壳体及其制作方法
JP2005097651A (ja) 装飾品の表面処理方法および装飾品
CN105141725A (zh) 一种手机中框制作方法和手机中框结构
KR20140142123A (ko) 다층박막의 제조방법, 다층박막이 형성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KR100732883B1 (ko)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제조방법
KR20140142122A (ko) 다층박막의 제조방법, 다층박막이 형성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KR200396998Y1 (ko) 고경도 코팅층을 가진 무선단말기용 외장부품
GB2173218A (en) A metal-made article for personal ornament having coloured surface
EP1325970A1 (fr) Procédé de galvanisation locale d'une pièce
KR100668258B1 (ko) 플라스틱성형품의 표면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
US20210207280A1 (en) Method for creating multiple electrical current pathways on a work piece using laser ablation
KR100797627B1 (ko) 휴대폰 부품의 무정전 증착 방법
WO2004097875A1 (ja) モバイル機器用の多色樹脂成形部品
TWI535498B (zh) 殼體及其製作方法
WO2002050331A2 (en)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ornamental parts and ornamental parts produced by the method
JP2007101271A (ja) 装飾品、装飾品の製造方法および時計
JP2006212340A (ja) 装飾品および時計
KR20060026114A (ko) 전자파 차단을 위한 스퍼터링용 타겟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