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267A - 연성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연성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267A
KR20070008267A KR1020050063359A KR20050063359A KR20070008267A KR 20070008267 A KR20070008267 A KR 20070008267A KR 1020050063359 A KR1020050063359 A KR 1020050063359A KR 20050063359 A KR20050063359 A KR 20050063359A KR 20070008267 A KR20070008267 A KR 2007000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signal line
signal
liquid crystal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선
장용근
김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8267A/ko
Publication of KR2007000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05K1/0219Printed shielding conductors for shielding around or between signal conductors, e.g. coplanar or coaxial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연성인쇄회로기판의 고주파 신호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한 데이터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여, 카메라 노이즈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베이스 필름,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을 절연하기 위하여,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절연층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되, 제1 신호 라인과 제2 신호 라인은 소정의 이격 거리(S)를 두고 형성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연성인쇄회로기판, 데이터 신호, 고주파 신호, 액정표시장치, 카메라 노이즈

Description

연성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기 {FLEXIBLE PRINTED CIRCUIT BORA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기술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반적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층별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B-B의 절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의 절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층별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C-C의 절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층별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D-D의 절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의 절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61, 71: 베이스 필름 42, 52, 62, 72, 82: 데이터 신호 라인
43, 63, 73: 절연층 44, 54, 64, 74, 84: 고주파 신호 라인
76: 접지 라인 45, 65, 75: 커버 필름
본 발명은 연성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에서 카메라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패턴,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화소 전극 및 각 화소를 스위칭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등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 필터 및 공통 전극 등이 형성된 공통 전극 기판 및 두 기판 사이에 밀봉된 액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액정 표시 장치는 두 개의 기판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을 구동시키고 광의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에는 소정의 구동 신호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전달하는 게이트 인쇄회로기판과 데이터 인쇄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하드 타입의 기판 상에 반도체 부품을 실장하거나, 소프트 타입의 기판 상에 반도체 부품을 실장하여 사용하는데, 소프트 타입의 기판을 연성인쇄회로기판이라 하며, 주로 휴대폰이나 개인휴대통신단말기(PDA)와 같은 소형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연성인쇄회로기판(13)은 일측이 액정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3) 상에 실장된 커넥터(14)를 통하여, 제어 인쇄회로기판(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13)의 일측은 액정 표시 패널의 전극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때 전극 패드와 연성인쇄회로기판(13)은 이방성 도전필름 또는 솔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성인쇄회로기판(13)의 타측에는 커넥터(14)가 실장되어 있으며, 커넥터(14)는 연성인쇄회로기판(13)에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 인쇄회로기판(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성인쇄회로기판(13)에는 복수개의 도전 라인이 구비되어 있으며, 커넥터(14)는 연성인쇄회 로기판(13)의 도전 라인과 솔더에 의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기술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도로서,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층별 회로 패턴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도 2a의 A-A의 절단면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베이스 필름(21),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데이터 신호 라인(22),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22)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21) 상에 배치된 절연층(23), 상기 절연층(23) 상에 배치된 고주파 신호 라인(24) 및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24)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필름(25)으로 구성된다.
한편, 현재 개발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예를 들면, 휴대폰, PDA 등)는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들은 보다 선명한 화질의 카메라 화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 세팅 최적화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의 세팅 최적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 사용시 감마(Gamma) 세팅을 별도로 하여, 일반 화면과 카메라 화면의 화질 모두를 만족시키고 있으나, 화질과는 별도로 카메라 노이즈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카메라 노이즈는 고주파 신호에 의한 간섭으로 인하여, 데이터 신호에 왜곡이 생김으로써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에 의하면, 데이터 신호 라인과 인접층의 고주파 신호 라인이 서로 겹치는 부분이 생기므로,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의 고주파 신호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의 데이터 신호에 간섭을 일으켜서, 왜곡이 생기므로, 상기 카메라 노이즈가 발생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데이터 신호의 왜곡은 동영상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경우에 더욱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 신호 라인과 고주파 신호 라인을 서로 이격시켜 설계함으로써,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의 고주파 신호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의 데이터 신호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 노이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을 절연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소정의 이격 거리(S)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신호 라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신호 라인 상에 형성된 커버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제2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이격 거리(S)는 상기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 및 상기 구동 회로와 액정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을 절연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소정의 이격 거리(S)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측면에 따르면,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 및 상기 구동 회로와 액정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실장된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베 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을 절연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소정의 이격 거리(S)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 및 부품 내장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회로도체를 중첩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이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도 3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공정을 살펴본다.
우선, 도 3(a)는 절연층(32a)에 회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동박층(33a)이 열압착되어 있는 상부 베이스층과 역시 절연층(32b)에 회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동박층(33b)이 열압착되어 있는 하부 베이스층이 본딩 시트(31)에 의해 접착되어 있으며, 도 3(b)는 상기 상부 베이스층과 하부 베이스층의 동박층(33a, 33b)에 각각 회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드라이 필름을 라미네이팅한다. 그리고, 도 3(c)와 같이, 노광 및 식각을 통하여, 회로 패턴을 완성하며, 커버 필름(미도시)을 부착하여 2층 연성회로기판을 제조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층별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B-B의 절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및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중 데이터 신호 라인과 고주파 신호 라인만을 도시하였으며, 나머지 신호 라인과 상기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연결부분 등은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좌측 영역에는 다수의(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데이터 신호 라인(42)이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42)과 소정 간격(S)을 유지한 채, 고주파 신호 라인(44)이 상기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우측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베이스 필름(41),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데이터 신호 라인(42),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42)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41) 상에 배치된 절연층(43), 상기 절연층(43) 상에 배치된 고주파 신호 라인(44) 및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44)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필름(45)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베이스 필름(41)은 절연성을 가지면서도 유연한 폴리 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필름(41) 상에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데이터 신호 라인(42)을 형성하며,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42)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절연층(43)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절연층(43) 상에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고주파 신호 라인(44)을 형성한 후,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44)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필름(4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44)은 제1 층에 형성된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42)과 소정의 이격 거리(S)를 유지한 채, 제2 층에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정의 이격 거리(S)는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44)에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42)과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44)의 이격 거리는 상기 고주파 신호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할 정도의 범위에서 결정되며, 만약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44)에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크기가 큰 경우에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크기가 작은 경우에 비하여, 이격 거리 더 커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주파 신호는 적어도 500kHz 이상의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가정하였으나, 그 범위는 변동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 라인(42)과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44)이 소정의 이격 거리(S)를 확보한 채, 형성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면,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44)을 통하여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가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42)을 통하여 액정 표시 장치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예를 들면, 카메라 영상 신호에 주는 간섭을 최 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때에도, 카메라 노이즈로 인하여 생기는 문제점은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말기 내부에서는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등 여러 단계의 주파수 변환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주파수 변화에 필요한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발진기(VCO)가 내장된다. 이러한 발진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중 송수신시 디지털 데이터에 의해 채널을 선정하는 주파수 합성기의 일부분으로 사용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제어전압을 가변하여 원하는 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발진기로부터 생성된 고주파 신호가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44)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내의 다양한 부품으로 전송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의 절단면도이다. 상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층 연성인쇄회로기판과 하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이 본딩 시트로 접착되어 있다는 점이 상이하며, 상기 상층 또는 하층 연성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데이터 신호 라인과 고주파 신호 라인의 배치는 동일하다.
상기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본딩 시트(51a)의 하부에는 제1 베이스 필름(51b)이 형성되며, 상기 본딩 시트(51a)의 상부에는 제2 베이스 필름(51c)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베이스 필름(51b) 상에는 다수의 데이터 신호 라인(52)이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52)을 보호하기 위한 제1 커버 필름(53)이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52) 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 필름(51c) 상에는 다수의 고 주파 신호 라인(54)이 형성되며,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54)을 보호하기 위한 제2 커버 필름(55)이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54) 상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52)과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54)은 소정의 이격 거리(S)를 유지한 채,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52)이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54)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 5b는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이 상층에 배치되며, 상기 고주파 신호라인이 하층에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상기 도 5a의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과 동일하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층별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C-C의 절단면도이다.
상기 제3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성은 유사하나,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는 달리, 고주파 신호 라인이 제1층 및 제2층 모두에 배치된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이다.
상기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좌측 영역에는 다수의 데이터 신호 라인(62)이 소정 간격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배치되며, 고주파 신호 라인(64)은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6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베이스 필름(61),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데이터 신호 라인(62) 및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62)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고주파 신호 라인(64a),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62) 및 상기 제1 고주파 신호 라인(64a)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41) 상에 배치된 절연층(63), 상기 절연층(63)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주파 신호 라인(64a)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제2 고주파 신호 라인(64b) 및 상기 제2 고주파 신호 라인(64b)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필름(6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고주파 신호 라인(64a)은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62)과 동일층 상에 소정의 이격 거리(S)를 유치한 채,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주파 신호 라인(64b)은 제1 층에 형성된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62)과 소정의 이격 거리(S)를 유지한 채, 상기 제1 고주파 신호 라인(64a)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소정의 이격 거리(S)는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64a, 64b)에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층별 회로 패턴의 평면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D-D의 절단면도이다.
상기 제4 실시예는 데이터 신호 라인과 고주파 신호 라인 간에 소정의 이격거리(S)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과 고주파 신호 라인 사이에 접지 라인을 배치한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도이다.
상기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좌측 영역에는 다수의 데이터 신호 라인(72)이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우측 영역에는 다수의 고주파 신호 라인(74)이 일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72)과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74)의 사이에는 접지 라인(76)이 배치된다.
상기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베이스 필름(71),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데이터 신호 라인(72) 및 제1 접지 라인(76a),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72) 및 상기 제1 접지 라인(76a)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71) 상에 배치된 절연층(73), 상기 절연층(73) 상에 배치된 고주파 신호 라인(74)과 제2 접지 라인(76b) 및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74)과 제2 접지 라인(76b)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필름(7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72)과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74) 사이의 영역에 상기 제1 접지 라인(76a)과 제2 접지 라인(76b)이 배치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72)이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74)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한다. 한편, 상기 제1 접지 라인(76a)과 제2 접지 라인(76b)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모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둘 중 하나의 접지 라인만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의 절단면도이다.
상기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제5 실시예는 상기 제4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층 연성인쇄회로기판과 하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이 본딩 시트로 접착되어 있다는 점이 상이하며, 상기 상층 또는 하층 연성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데이터 신호 라인, 접지 라인 및 고주파 신호 라인의 배치는 동일하다.
상기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본딩 시트(81a)의 하부에는 제1 베이스 필름(81b)이 형성되며, 상기 본딩 시트(81a) 상에는 제2 베이스 필름(81c)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베이스 필름(81b) 상에는 다수의 데이터 신호 라인(82) 및 제1 접지 라인(86a)이 형성되며, 그 위에 제1 커버 필름(8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 필름(81c) 상에는 다수의 고주파 신호 라인(84)과 제2 접지 라인(86b)이 형성되며, 그 위에 제2 커버 필름(8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접지 라인(86a)과 제2 접지 라인(86b)은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82)과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84)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어, 양자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지 라인(86a)과 상기 제2 접지 라인(86b)중 어느 하나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도 8b는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이 상층에 배치되며, 상기 고주파 신호라인이 하층에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상기 도 8b의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중데이 터 신호 라인과 고주파 신호 라인을 서로 이격시켜 설계하거나, 데이터 신호 라인과 고주파 신호 라인 사이에 접지 라인을 배치하여, 상기 고주파 신호 라인의 고주파 신호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라인의 데이터 신호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카메라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3)

  1.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을 절연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소정의 이격 거리(S)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라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신호 라인 상에 형성된 커버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제2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격 거리(S)는 상기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5.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 및 상기 구동 회로와 액정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을 절연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소정의 이격 거리(S)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 및 상기 구동 회 로와 액정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실장된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을 절연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소정의 이격 거리(S)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제2 베이스 필름;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 및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사이에 형성된 본딩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소정의 이격 거리(S)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연성인쇄회로기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을 각각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상에 각각 형성된 커버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격 거리(S)는 상기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10.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제2 베이스 필름;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 2 신호 라인 및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사이에 형성된 본딩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소정의 이격 거리(S)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연성인쇄회로기판.
  11.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 및 상기 구동 회로와 액정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제2 베이스 필름;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 및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사이에 형성된 본딩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소정의 이격 거리(S)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액정 표시 장치.
  12.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 및 상기 구동 회로와 액정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실장된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제2 베이스 필름;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 및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사이에 형성된 본딩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소정의 이격 거리(S)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
  13.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을 절연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상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중간 영역에 형성된 접지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연성인쇄회로기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라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신호 라인 상에 형성된 커버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라인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거나,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16.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 및 상기 구동 회로와 액정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을 절연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상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중간 영역에 형성된 접지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 및 상기 구동 회로와 액정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실장된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을 절연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제1 신호 라인상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중간 영역에 형성된 접지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8.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제2 베이스 필름;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사이에 형성된 본딩 시트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중간 영역에 형성된 접지 라인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연성인쇄회로기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을 각각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상에 각각 형성된 커버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라인은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또는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21.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 및 상기 구동 회로와 액정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제2 베이스 필름;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사이에 형성된 본딩 시트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중간 영역에 형성된 접지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액정 표시 장치.
  22.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 및 상기 구동 회로와 액정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실장된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신호 라인;
    제2 베이스 필름;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일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신호 라인;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사이에 형성된 본딩 시트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중간 영역에 형성된 접지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 라인에는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에는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
  23. 제6항, 제12항, 제17항 또는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라인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2 신호 라인은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출력하기 위한 발진기로부터 생성된 고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50063359A 2005-07-13 2005-07-13 연성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08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359A KR20070008267A (ko) 2005-07-13 2005-07-13 연성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359A KR20070008267A (ko) 2005-07-13 2005-07-13 연성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267A true KR20070008267A (ko) 2007-01-17

Family

ID=3801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359A KR20070008267A (ko) 2005-07-13 2005-07-13 연성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826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732B1 (ko) * 2010-07-06 2012-04-09 (주)기가레인 연질의 신호 전송 기판
CN102595773A (zh) * 2012-02-21 2012-07-1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检测印刷电路板设计的方法和装置及印刷电路板
WO2018026079A1 (ko) * 2016-08-04 2018-02-08 자화전자 주식회사 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장치
CN109215516A (zh) * 2017-06-30 2019-01-15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9039885A1 (ko) * 2017-08-23 2019-0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 층의 기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
WO2019221336A1 (ko) * 2018-05-17 2019-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732B1 (ko) * 2010-07-06 2012-04-09 (주)기가레인 연질의 신호 전송 기판
CN102595773A (zh) * 2012-02-21 2012-07-1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检测印刷电路板设计的方法和装置及印刷电路板
CN102595773B (zh) * 2012-02-21 2014-06-0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检测印刷电路板设计的方法和装置及印刷电路板
WO2018026079A1 (ko) * 2016-08-04 2018-02-08 자화전자 주식회사 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장치
CN109215516A (zh) * 2017-06-30 2019-01-15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9039885A1 (ko) * 2017-08-23 2019-0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 층의 기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
WO2019221336A1 (ko) * 2018-05-17 2019-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8840B2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US8766859B2 (en) Antenna structures with electrical connections to device housing members
US7728780B2 (en) Antenna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8654542B2 (en) High-frequency switch module
KR101962819B1 (ko) 안테나가 결합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용 안테나
US20090044967A1 (en) Circuit board, electronic circuit device, and display device
US9930770B2 (en) Printed circuit board, display apparatus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KR20070008267A (ko) 연성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JP2007129304A (ja) 高周波無線モジュール
US20090289885A1 (en) Flat panel display
US7554643B2 (e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face board
JP7341352B2 (ja) アレイ基板、液晶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US8477280B2 (en) Liquid crystal panel
US20230098313A1 (en) Antenna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20075038A1 (en) Wiring substrate, filter device and portable equipment
US20230217584A1 (en) Circuit board, antenna package and display device
KR100949508B1 (ko) 무선 광역 네트워크 노이즈 감소를 위한 인쇄 회로 기판
US20090151991A1 (en) Mounting structure,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0288936B (zh) 显示装置
JP2008124167A (ja) 高周波モジュール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9089165A (ja) 高周波モジュール
JP2007225644A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0058985A (ja) 配線基板、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20004137A (ko)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
KR20060131127A (ko) 인쇄회로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