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100A -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100A
KR20070006100A KR1020050061158A KR20050061158A KR20070006100A KR 20070006100 A KR20070006100 A KR 20070006100A KR 1020050061158 A KR1020050061158 A KR 1020050061158A KR 20050061158 A KR20050061158 A KR 20050061158A KR 20070006100 A KR20070006100 A KR 20070006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riving
electromotive voltage
counter electromotive
brak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6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6100A/ko
Publication of KR2007000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36Pump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failure-respons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 실린더의 유압을 제어하기 위해 유압회로의 모터의 고장을 체크하기 위하여 모터 기동 운전하기 위한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하는 모터 구동 패턴은 모터의 역기전압과 설정한 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모터를 단계적으로 구동하며, 이에 따라 모터의 작동 소음과 페달 진동으로 인한 불안감과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Motor Control Method For Braking System In A Vehicle}
도 1은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차량의 유압 회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동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모터를 단계적으로 구동하는 경우 모터의 역기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0 : 전자제어유닛
140 : 모터구동부
150 : 검출부
160 : 모터
본 발명은 모터의 고장 검사를 위한 모터 기동에 적용하는 모터의 구동 패턴을 개선한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제동시스템은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유압회로를 구비한다. 이러한 유압회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0)의 동작을 유압으로 변환하는 마스터실린더(11)와, 각 휠 실린더(12)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어 휠 실린더(12)로 유입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노멀 오픈 밸브(13)와, 휠 실린더(12)의 출구 측의 유로에 설치되어 휠 실린더(12)에서 유출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노멀 클로즈 밸브(14)와, 노멀 클로즈 밸브(14)의 출구 측의 유로에 설치된 저압 어큐뮬레이터(15)와, 저압 어큐뮬레이터(15)의 유로에 설치된 모터(16), 모터(16)에 의해 생성된 유압을 마스터 실린더 및 휠 실린더 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압펌프(17), 고압 어큐뮬레이터(1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차량 제동시스템을 갖춘 차량에서는 시스템 초기 운전 시 모터에 대한 고장 유무를 체크하기 위한 모터 체크 루틴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모터 체크 루틴에 따르면 모터 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하도록 모터를 연속 구동하고, 모터의 역기전압을 검출하여 모터의 고장 유무를 체크하였다.
그런데 모터를 연속 구동함에 따라 유압 회로의 제동압이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모터의 작동 소음과 페달 진동이 운전자에게 전해져 불쾌감과 불안감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고장 검사를 위한 모터 기동 시 개선된 모터 구동패턴을 이용함으로써 모터의 작동 소음과 페달 진동으로 인한 불쾌감과 불안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휠 실린더의 유압을 제어하기 위해 유압회로의 모터를 구동하는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고장을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를 기동 운전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역기전압을 검출하고, 검출한 모터의 역기전압과 설정한 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를 단계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의 단계적 구동은 상기 모터의 역기전압과 설정한 복수 임계값을 각각 비교하고, 상기 모터의 역기전압이 각 임계값 이하일 때마다 상기 모터의 역기전압의 검출주기보다 짧은 설정시간 동안 모터를 구동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모터의 단계적 구동에 의해 상기 모터의 역기전압이 설정한 상기 임계값 보다 큰 기준값이상이면 모터에 대한 고장을 체크한다.
상기 모터의 역기전압이 상기 기준값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마다 증가한 모터의 구동횟수가 설정 횟수이상이면 상기 모터에 대한 고장을 체크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동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130)을 포함한다. 전자제어유닛(130)은 유압 회로에 설치한 유압 센서(110)를 통해 휠 실린더에 가해지는 유압을 검출하며, 속도 센서(120)를 통해 차량 속도를 검출하고 차량 속도로부터 슬립 율을 연산하여 차량의 제동을 위한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차량 제동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닛(130)은 시스템 초기 운전을 수행하며, 이 때 모터 고장을 체크하기 위하여 모터 체크 루틴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체크 루틴에서는 모터 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시킬 경우 모터를 단계적으로 구동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즉 전자제어유닛(130)은 모터를 일정 시간 동안 구동하고 나서 다시 일정시간 구동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모터 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모터 구동 패턴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모터 구동 패턴을 적용하는 경우 전자제어유닛(130)은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명령을 모터 구동부(140)에 인가하며, 모터 구동부(14)는 모터 구동 명령에 따라 구동 전류를 모터(160)에 인가하여 모터를 구동시킨다. 모터 구동 시 검출부(150)는 모터에 인가하는 구동 전류를 입력받아 모터 역기전압을 매 주기마다 검출하고 검출한 모터 역기전압을 전자제어유닛(130)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모터를 단계적으로 구동하는 경우 모터의 역기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전자제어유닛(130)은 모터 휴즈(fuse)가 정상인지 판단하고(201), 정상인 경우 모터를 일정 시간 동안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 명령을 모터 구동부(140)에 인가하여 설정 시간 동안 모터를 1차 구동한다(203)(도 3의 t1 참조). 이때 설정 시간은 검출부(150)에서 역기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주기보다 짧으며, 이 설정 시간이 경과하여 모터 구동이 정지되면 그 때부터 모터 역기전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소한다.
모터를 1차 구동한 후 전자제어유닛(130)은 구동 횟수를 1회로 증가한다(205).
모터를 1차 구동 후, 전자제어유닛(130)은 경과 시간(t)이 설정 범위(t2~t3)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고(207)(209), 그 판단 결과 경과 시간(t)이 설정 범위(t2~t3) 내에 있으면 검출부(150)를 통해 1차 검출한 모터 역기전압이 설정한 제1임계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211)(213).
모터 역기전압이 제1임계값 이하이면, 검출한 모터 역기전압이 설정한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215). 여기서 기준값은 제1임계값보다 크며, 기준값은 모터의 고장을 체크할 수 있을 정도로 모터의 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하였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감소하는 모터의 역기전압이 기준값이상인 경우 초기 운전을 거침에 따라 모터 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한다.
동작 215의 판단결과 모터 역기전압이 기준값이상이 아니면 모터 구동횟수가 설정횟수 이상인지를 판단하고(217), 그 판단 결과 모터 구동횟수가 설정횟수가 아니면 전자제어유닛은 다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동작 203으로 돌아간다.
모터를 재 구동하는 경우 전자 제어 유닛은 모터의 구동 회수를 2회로 증가하고(205), 경과 시간(t)이 설정 범위(t5~t6) 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210). 그 판단 결과 경과 시간(t)이 설정 범위(t5~t6) 내에 있는 경우 검출부(150)를 통해 모터 역기전압을 2차 검출하고(212), 검출한 모터 역기전압이 설정한 제2임계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214). 여기서 제2임계값은 제1임계값보다 크고 기준값 보다 작다.
검출한 모터 역기전압이 제2임계값 이하인 경우, 단계 215에서 모터 역기전압이 기준값이상이 아니고 모터 구동횟수가 설정횟수이상이 아니면 모터를 2차 구동하기 위해 동작 203으로 진행한다.
모터를 2차 구동 하는 경우 전자제어유닛(130)은 구동 횟수를 2회로 증가한다(205). 이어 전자제어유닛(130)은 경과 시간(t)이 설정 범위(t5~t6)를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고(207)(209)(210), 그 판단 결과 경과 시간(t)이 설정 범위(t5~t6)를 경과하면 검출부(150)를 통해 검출한 모터 역기전압이 기준값이상인지를 판단하고(215), 그 판단 결과 모터 역기전압이 기준값이상이면 모터의 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한 것으로, 즉 모터의 단계적 구동을 거쳐서 모터 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미리 작성된 모터 체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터의 고장을 체크한다(219).
한편 모터의 역기전압이 기준값이상이 아닌 경우 모터의 단계적으로 구동함에 따라 증가하는 모터 구동횟수가 설정횟수이상이면 모터의 고장을 체크하기 위해 동작 219로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를 고장을 체크하기 위해 모터를 구동하는 경우 기존과 같이 모터를 연속하여 구동하지 않고 모터를 단계적으로 구동함에 따라 유압회로에서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제동압의 변화가 완화되므로 모터의 작동 소음을 저감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는 진동을 점진적으로 전달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역기전압에 따라 모터를 단계적으로 구동하는 개선된 모터 구동패턴을 이용함으로써 모터의 작동 소음과 페달 진동으로 인한 불안감과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휠 실린더의 유압을 제어하기 위해 유압회로의 모터를 구동하는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고장을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를 기동 운전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역기전압을 검출하고, 검출한 모터의 역기전압과 설정한 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를 단계적으로 구동하는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단계적 구동은 상기 모터의 역기전압과 설정한 복수 임계값을 각각 비교하고, 상기 모터의 역기전압이 각 임계값 이하일 때마다 상기 모터의 역기전압의 검출주기보다 짧은 설정시간 동안 모터를 구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차량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단계적 구동에 의해 상기 모터의 역기전압이 설정한 상기 임계값 보다 큰 기준값이상이면 모터에 대한 고장을 체크하는 차량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역기전압이 상기 기준값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마다 증가한 모터의 구동횟수가 설정 횟수이상이면 상기 모터에 대한 고장을 체크하는 차량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50061158A 2005-07-07 2005-07-07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 KR20070006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158A KR20070006100A (ko) 2005-07-07 2005-07-07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158A KR20070006100A (ko) 2005-07-07 2005-07-07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100A true KR20070006100A (ko) 2007-01-11

Family

ID=3787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158A KR20070006100A (ko) 2005-07-07 2005-07-07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61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26388B2 (en) Brake switch failure diagnostic method and brake switch failure diagnostic device
JP4157169B2 (ja) 車両内のブレーキ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圧力の増加を調整する方法および車両内のブレーキ装置を制御する装置
US8244429B2 (en) Brake-switch failure diagnosis method and brake-switch failure diagnosis system
US20060238024A1 (en) Brake control apparatus and brake control method
KR101478066B1 (ko)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493988B2 (ja) モータ駆動装置
JPH09216556A (ja) 車両ブレーキ装置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H06298074A (ja) 流体圧倍力式ブレーキ装置
RU2356763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изменения тормозного момента тормоза-замедлителя
KR20070060510A (ko) 차량용 전자식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 장치
KR20070006100A (ko) 차량 제동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
JP2013067386A (ja) 車両液圧ブレーキ装置のモニタ方法および装置
US20230092049A1 (en) Electronic brak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0751243B1 (ko) 차륜속도의 이상 판단방법
JP5331181B2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101039249B1 (ko) 휠 속도센서의 고장검출방법
KR101920678B1 (ko) 스마트 부스터 제동시스템에서의 솔레노이드 밸브 고장 진단 방법
KR101562404B1 (ko) 펌프모터 구동부의 고장 감지장치 및 방법
US5924776A (en) Diagnosis apparatus for anti-lock braking system
KR100779483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 검사방법
KR101591699B1 (ko) Ebs 펌프 체크용 펌프 위치 센서의 사용 방법
KR100721368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52963B1 (ko) 차량용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JP5600949B2 (ja) 電動機の駆動制御回路
JP5348116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