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5694A - 주사 바늘 용단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 바늘 용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5694A
KR20070005694A KR1020067022180A KR20067022180A KR20070005694A KR 20070005694 A KR20070005694 A KR 20070005694A KR 1020067022180 A KR1020067022180 A KR 1020067022180A KR 20067022180 A KR20067022180 A KR 20067022180A KR 20070005694 A KR20070005694 A KR 2007000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needle
guide
contact
axial direction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케노리 이토
마사아키 오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세이와 프로
소프틱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세이와 프로, 소프틱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세이와 프로
Priority to KR102006702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5694A/ko
Publication of KR2007000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롤러의 장수명화를 도모하고, 처리 비용을 낮게할 수 있는 주사 바늘 용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사 바늘 용단 장치(1)는 주사기(S)의 주사 바늘(N)과 접촉 가능하게 된 2개의 전극 롤러(11, 12), 각 전극 롤러(11, 12)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13), 각 전극 롤러(11, 12) 사이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력 인가 기구(19)를 구비하는 용단 기구부(10)와, 주사기(S)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32), 지지 부재(32)와 걸어맞춤되고 이를 각 전극 롤러(11, 12)측으로 안내하고, 주사기(S)의 주사 바늘(N)을 전극 롤러(11, 12)와 접촉시키는 안내 부재(31)를 구비하는 안내 기구부(30)와, 전극 롤러(11, 12)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용단 기구부(10)와 안내 기구부(30)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조정하고, 주사기(S)의 주사 바늘(N)이 전극 롤러(11, 12)와 접촉하는 위치를 밀리게 하는 위치 조정 기구부(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주사 바늘 용단 장치{DEVICE FOR FUSING INJECTION NEEDLE}
본 발명은, 사용이 끝난 주사기의 주사 바늘을 용단(溶斷), 폐기하는 주사 바늘 용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이 끝난 주사기는, 이를 취급하는 사람이 잘못해 주사 바늘에 접촉되면, 2차 감염을 야기할 우려가 있으므로, 최근, 주사 바늘을 용단, 폐기하는 주사 바늘 용단 장치가 제안되어 있고, 이러한 주사 바늘 용단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28553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주사 바늘 용단 장치는, 주사기의 주사 바늘을 용단하는 용단 기구부와, 이 용단 기구부의 윗쪽에 배치되고, 상기 용단 기구부를 향해 주사 바늘을 안내하는 안내 기구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단 기구부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수평 배치되고, 안내 기구부에 의하여 안내된 주사기의 주사 바늘과 접촉하는 2개 1쌍의 전극 롤러와, 전극 롤러를 축 중심으로 각각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전극 롤러 사이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내 기구부는, 상부가 개구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축선이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플로트 가이드(float guide)와, 플로트 가이드 내에 끼워 지고, 해당 플로트 가이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된 플로트와, 플로트 가이드와 플로트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이 플로트 가이드의 저면에 접하고, 타단이 플로트의 하면에 접한 스프링체를 구비한다.
상기 플로트 가이드는, 그 저면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이 관통공이 상기 전극 롤러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는, 상하로 관통하는 동시에 플로트 가이드의 관통공과 동 축에 형성되고, 주사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을 중앙부에 구비하고 있고, 해당 지지공에 의해, 주사 바늘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또한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주사기를 지지한다. 또한, 플로트는, 상기 스프링체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 주사 바늘 용단 장치에 의하면, 각 전극 롤러 사이에 전력을 인가한 상태, 또한 각 전극 롤러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사용이 끝난 주사기를 플로트의 지지공에 삽입하여 지지시키고, 해당 주사기를 스프링체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플로트마다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면, 주사기의 주사 바늘이 플로트 가이드의 관통 구멍을 통과해, 각 전극 롤러에 접촉하고, 해당 각 전극 롤러간이 단락된다.
이에 따라, 주사 바늘에 대전류가 흐르고, 해당 주사 바늘이 발열하여 이 발열에 의해 용융, 용단되어, 아래쪽으로 낙하한다.
이 후, 오퍼레이터가, 주사기를 밀어올리면, 해당 처리가 종료하고, 또한, 플로트는, 주사기와 동시에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오퍼레 이터는, 이러한 처리를 다른 사용이 끝난 주사기에 대하여 반복하여 행한다.
그런데, 전극 롤러는 그 사용에 의해, 주사 바늘과의 접촉부가, 주사 바늘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방전에 의해 용단되지 않아 주사 바늘과의 접촉 불량을 일으키거나, 해당 접촉부에 용융한 주사 바늘이 용착하여 접촉부의 전기 저항이 커지는 등, 그 성능이 저하한다. 그리고, 성능이 저하한 전극 롤러에서는, 전류가 안정되게 주사 바늘측으로 흐르기 어렵게 되어, 해당 처리를 확실하게 행하기 어렵게 되거나, 처리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 전극 롤러의 성능이 저하했을 때(예를 들면, 주사 바늘의 처리 개수가 일정수에 달했을 때)는, 전극 롤러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전극 롤러는, 주사 바늘에 안정되게 전류를 흐르게 하고 또한 상기 용단 불량이나 용착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전기 저항이 작고, 융점이 높으며, 열 전도율이 큰 티탄, 텅스텐, 이들과 구리 또는 은을 포함하는 재료(황동이나 인청동 등)와의 합금이라는 비싼 금속 재료로 구성되고, 또한, 전극 롤러에 도통하기 위한 전기 접점과 접촉시키거나, 방열성을 높이기 위하여, 축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래의 주사 바늘 용단 장치와 같이, 주사 바늘이 전극 롤러의 동일한 위치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그 일부분밖에 사용할 수 없어 처리 비용이 높아지고, 또한, 전극 롤러의 사용 효율이 낮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전극 롤러의 교환 빈도가 높은 경우에는, 교환하는 시간이 걸려, 주사 바늘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도 생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극 롤러의 장수명화 를 도모하고, 처리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는 주사 바늘 용단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사기의 주사 바늘을 용단하는 용단 기구부와, 해당 용단 기구부를 향해 상기 주사 바늘을 안내하는 안내 기구부를 적어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단 기구부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안내 기구부에 의해 안내된 주사 바늘과 접촉하는 2개 1쌍의 전극 롤러와, 상기 전극 롤러를 축 중심으로 각각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과, 상기 전극 롤러간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력 인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기구부는, 상기 주사기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걸어맞춤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전극 롤러를 향해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안내 부재에 안내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주사기가 상기 전극 롤러측에 안내되어 상기 주사 바늘이 해당 전극 롤러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주사 바늘 용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 롤러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용단 기구부와 안내 기구부와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조정하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하여 지지된 주사기의 주사 바늘이 상기 전극 롤러와 접촉하는 위치를 밀리게 해 위치 조정 기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용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하여, 사용이 끝난 주사기의 주사 바늘이 용단, 폐기된다. 즉, 우선, 전력 인가 수단에 의해, 각 전극 롤러간에 전력이 인가되는 동시에, 회전 구동 수단에 의하여, 각 전극 롤러가 그 축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오퍼레이터가, 사용이 끝난 주사기를 지지 부재에 지지시켜, 해당 주사기를 지지 부재를 통해 안내 부재에 따라 이동시키면, 주사기가 각 전극 롤러측으로 안내되어 주사 바늘이 각 전극 롤러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해당 전극 롤러사이가 단락하여 주사 바늘에 대전류가 흐르고, 해당 주사 바늘이 발열하여, 이 발열에 의해 용융, 용단된다.
이 후, 오퍼레이터가, 주사기를 지지 부재와 함께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려, 이를 지지 부재로부터 떼어내면, 해당 처리가 종료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이러한 처리를 다른 사용이 끝난 주사기에 대해 반복하고, 전극 롤러의 주사 바늘과의 접촉부가 열화된, 즉, 주사 바늘의 처리 개수가 일정수에 달했다고 판단하면, 위치 조정 기구부를 적절히 조작하여, 전극 롤러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용단 기구부와 안내 기구부와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조정하여, 주사기의 주사 바늘과 전극 롤러와의 접촉 위치를 밀리게 해, 처리를 계속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관한 주사 바늘 용단 장치에 의하면, 주사 바늘과 전극 롤러와의 접촉 위치를 적절히 엇갈리게 함으로써, 주사 바늘을 전극 롤러의 미사용 부분과 접촉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밀린 각 접촉 위치 전체가 열화되기 까지 하나의 전극 롤러를 계속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사 바늘과 전극 롤러와의 접촉 위치를 바꾸는 것이 불가능했던 상기 종래의 주사 바늘 용단 장치에 비해, 전극 롤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그 장수명화를 도모하고, 처리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롤러의 수명이 길어지면, 이를 빈번히 교환할 필요도 없어져, 전극 롤러를 교환하는 수고를 생략하여 주사 바늘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정 기구부는,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전극 롤러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기대와,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축선 방향의 한쪽측에 힘을 가하는 바이어스 수단과,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바이어스 수단의 바이어스에 저항하여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이어스력에 의해 이동하는 안내 부재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 수단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렇게 해도, 위치 조정 수단에 의해, 안내 부재를 바이어스 수단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해당 바이어스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안내 부재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주사기의 주사 바늘과 전극 롤러와의 접촉 위치를 옮기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부재는, 양단이 개구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쪽의 개구부가 상기 전극 롤러와 대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안내 부재 내에 그 축선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끼워지고,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안내 부재 외주면의 한쪽측에 접하고, 그 반대측을 향해 해당 안내 부재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안내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이어스 수단과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안내 부재 외주면의 다른쪽측에 접하는 맞닿음 부재와, 상기 맞닿음 부재를 상기 축선 방향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맞닿음 부재와 걸어맞춤되고, 상기 맞닿음 부재와 함께 요동하는 레버와, 상기 전환 레버를 그 요동 방향의 복수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전환 레버를 요동시켜, 해당 전환 레버의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한 위치 결정 위치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해당 전환 레버를 바이어스 수단의 바이어스 방향측으로 요동시킨 경우에는, 안내 부재를 바이어스 수단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맞닿음 부재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한편, 해당 전환 레버를 바이어스 수단의 바이어스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으로 요동시킨 경우에, 안내 부재를 바이어스 수단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해당 바이어스 수단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안내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고, 주사기의 주사 바늘과 전극 롤러와의 접촉 위치를 밀리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주사 바늘 용단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C 방향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D-D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플로트 가이드 등이 평행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해 이를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주사 바늘 용단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A-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C 방향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D-D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의 주사 바늘 용단 장치(1)는, 주사기(S)의 주사 바늘(N)을 용단하는 용단 기구부(10)와, 용단 기구부(10)를 향해 주사 바늘(N)을 안내하는 실내 기구부(30)와, 용단 기구부(10)와 안내 기구부(30)와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 기구부(40)와, 용단 기구부(10)에 의해 용단된 주사 바늘(N)을 회수하는 주사 바늘 회수 부재(5)와, 용단 기구부(10), 안내 기구부(30), 위치 조정 기구부(40) 및 주사 바늘 회수 부재(5)를 지지하는 프레임(도시하지 않음)과, 용단 기구부(10), 안내 기구부(30), 위치 조정 기구부(40), 주사 바늘 회수 부재(5) 및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덮는 커버체(6)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용단 기구부(10)는, 안내 기구부(30)에 의하여 안내된 주사기(S)의 주사 바늘(N)과 접촉하는 2개 1쌍의 전극 롤러(제1 전극 롤러(11) 및 제2 전극 롤러(12))와, 각 전극 롤러(11, 12)를 그 축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13)와, 각 전극 롤러(11, 12) 사이에 전력을 인가하는 동시에 회전 구동 기구(1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전극 롤러(11, 12)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수평 배치되는 회전축(11a, 12a)과, 이 회전축(11a, 12a)에 끼워져, 주사기(S)의 주사 바늘(N)과 접촉하는 롤러 본체(11b, 12b)로 이루어지고, 롤러 본체(11b, 12b)는, 예를 들면, 티탄이나 텅스텐, 이들과, 구리 또는 은을 포함하는 재료(황동이나 인청동 등)와의 합금 등으로 구성되고, 회전축(11a, 12a)은 예를 들면, 황동이나 인청동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각 전극 롤러(11, 12)는, 그 회전축(11a, 12a)이 베어링(22, 23)을 통해 지지 부재(24)에 의해 지지되고, 제1 전극 롤러(11)쪽이 제2 전극 롤러(12)보다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해당 각 회전축(11a, 12a)의 양 단부는, 지지 부재(24)보다 외측을 향해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24)는,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적절히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 구동 장치(13)는, 적절히 도시하지 않은 지지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동 모터(14)와, 구동 모터(14)의 출력축(14a)에 설치된 제1 기어(15)와, 제2 전극 롤러(12)의 회전축(12a)의 한쪽단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 기어(16) 및 제3 기어(17)와, 제1 전극 롤러(11)의 회전축(11a)의 한쪽단측에 설치된 제4 기어(18)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1 기어(15)와 제2 기어(16)가 맞물리고, 제3 기어(17)와 제4 기어(18)가 맞물린다.
이 회전 구동 기구(13)에 의하면, 구동 모터(14)가 회전하면, 그 회전 동력이, 제1 기어(15) 및 제2 기어(16)를 통해 제2 전극 롤러(12)에 전달되고, 해당 제2 전극 롤러(12)가 축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해당 제2 전극 롤러(12)의 회전력이 제3 기어(17) 및 제4 기어(18)를 통해 제1 전극 롤러(11)에 전달되고, 해당 제1 전극 롤러(11)가 축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각 전극 롤러(11, 12)는, 서로 다른 회전 방향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전원(19)은, 각 전극 롤러(11, 12) 사이에 전력을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 모터(14)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0)와, 배터리(20)와 제1 전극 롤러(11)의 회전축(11a)의 한쪽단과의 사이, 및 배터리(20)와 제2 전극 롤러(12)의 회전축(12a)의 다른쪽단과의 사이를 각각 접속하는 접속 회로(21)와, 배터리(20)와 구동 모터(14) 사이를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이 용단 기구부(10)에 의하면, 배터리(20)로부터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 모터(14)가 구동되고, 각 전극 롤러(11, 12)가 축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접속 회로(21)를 통해 배터리(20)에 의해 각 전극 롤러(11, 12) 사이에 전력이 인가된다.
그리고, 안내 기구부(30)에 의해 안내된 주사 바늘(N)이 각 전극 롤러(11, 12)에 접촉하고, 해당 각 전극 롤러(11, 12) 사이가 단락되면, 주사 바늘(N)에 대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해당 주사 바늘(N)이 발열하여 이 발열에 의해 용융, 용단 되어, 하방으로 낙하한다.
상기 안내 기구부(30)는, 상부가 개구된 중공의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축선이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플로트 가이드(31)와, 플로트 가이드(31) 내에 끼워지고, 해당 플로트 가이드(3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된 플로트(32)와, 플로트 가이드(31)와 플로트(32)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이 플로트 가이드(31)의 저면에 접하고, 타단이 플로트(32)의 하면에 접하는 스프링체(33)와, 플로트 가이드(31)의 상단 개구부에 끼워진 스토퍼(34)를 구비한다.
상기 플로트 가이드(31)는, 그 저면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31)을 구비하고, 이 관통공(31a)이 상기 전극 롤러(11, 12)의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플로트 가이드(31)의 바닥면에는, 상하로 관통하고, 길이 방향이 전극 롤러(11, 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2개의 장공(31b)과, 그 상면으로 돌출하고, 전극 롤러(11, 1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3개의 돌기(31c)가 형성되어 있고, 플로트 가이드(31)의 하면측으로부터 돌기(31c) 내부측에 걸쳐서는, 오목부(3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트 가이드(31)는, 상단면이 상기 커버체(6)의 내면에 접하고, 해당 커버체(6)에는, 표리에 관통하는 관통공(6a)이 플로트 가이드(31)의 중공부와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32)는, 상하로 관통하는 동시에 플로트 가이드(31)의 관통공(31a)과 동축에 형성되고, 주사기(S)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멍(32a)을 중앙부에 구비하고 있고, 해당 지지 구멍(32a)에 의해, 주사 바늘(N)이 상하 방향에 따르도 록 또한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주사기(S)를 지지한다. 또한, 플로트(32)는 상기 스프링체(33)에 의하여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스토퍼(34)에 의해 위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 안내 기구부(30)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사용이 끝난 주사기(S)를 커버체(6)의 관통공(6a)으로부터 플로트(32)의 지지공(32a) 내에 삽입하여 지지시키고, 해당 주사기(S)를 스프링체(33)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플로트(32)마다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면, 주사기(S)의 주사 바늘(N)이 플로트 가이드(31)의 관통공(31a)을 빠져나가, 각 전극 롤러(11, 12)에 도달해, 접촉한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주사기(S)를 밀어올리면, 플로트(32)는, 스프링체(33)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주사기(S)와 함께 상승하여, 스토퍼(34)에 접한다.
상기 위치 조정 기구부(40)는, 상기 지지 부재(24)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트 가이드(31)의 하면을 상기 전극 롤러(11, 12)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고정 브래킷(41)과, 플로트 가이드(31)를 상기 축선 방향의 한쪽측으로 힘을 가하는 바이어스 기구(50)와, 바이어스 기구(50)에 의한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플로트 가이드(31)를 고정 브래킷(41)에 대해 이동시키고, 해당 플로트 가이드(31)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 기구(43)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브래킷(41)은, 상기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 평판상의 부재이고, 그 상면으로 돌출하고, 상기 플로트 가이드(31)의 각 오목부(31d)에 각각 걸린 원주상의 3개의 걸림 돌기(41a)와, 상하로 관통하여, 플로트 가이드(31)의 각 장공(31b)과 각각 접속된 2개의 나사공(41b)을 가지고 있고, 해당 각 나사공(41b) 에는, 플로트 가이드(31)의 저면측으로부터 볼트(42)가 조여져 있다.
또한, 고정 브래킷(41)에는, 상하로 관통하고, 플로트 가이드(31)의 관통공(31a)보다도 큰 접속공(41c)이 형성되어 있고, 해당 접속공(41c)은, 위치 조정 기구(43)에 의해 조정되는 플로트 가이드(31)의 각 조정 위치에 있어서, 관통공(31a)과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이어스 기구(50)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플로트 가이드(31) 외주면의 한쪽측에 접하는 평판상의 맞닿음 부재(51)와, 맞닿음 부재(51)에 고정 설치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원주상의 가이드 부재(52)와, 고정 브래킷(41)에 세워 설치되고, 가이드 부재(5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53)와, 지지 부재(53)와 맞닿음 부재(51)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 단부가 이들 지지 부재(53) 및 맞닿음 부재(51)의 각 대향면에 각각 접한 스프링체(5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52)는, 지지 부재(53)에 형성된 지지공(53a) 내에 삽입되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고, 맞닿음 부재(51)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맞닿음 부재(51)는, 상기 스프링체(54)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플로트 가이드(31)를,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플로트 가이드(31) 외주면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으로, 즉, 후술하는 캠(44)측으로 힘을 가한다.
상기 위치 조정 기구(43)는, 플로트 가이드(31)를 사이에 두고 바이어스 기구(50)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플로트 가이드 (31) 외주면의 다른쪽측에 접하는 원판상의 캠(44)과, 고정 브래킷(41)에 설치되고, 캠(44)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45)와, 캠(44)과 걸어맞춤된 전환 레버(4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캠(44)은, 상기 축선 방향과 평행한 연직면 내에서 요동 자유롭게, 그 하부 외주측이 지지 부재(45)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전환 레버(46)는, 캠(44)의 상부 외주측에 걸어맞춤되어 해당 캠(44)과 함께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커버체(6)의 표리에 관통하여 형성된 걸림 홈(6b)에 걸어맞춤되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 홈(6b)에는, 3개의 걸림부(6c, 6d, 6e)가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전환 레버(46)는 그 요동 방향의 3개의 위치(R(걸림부(6c)), C(거림부(6d)), L(걸림부(6e))에서 걸림 홈(6b)에 걸어맞춤되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상기 커버체(6)는, 청구의 범위에 말하는 위치 결정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이렇게 하여, 이 위치 조정 기구부(40)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전환 레버(46)를 걸림 홈(6b)의 한가운데의 걸림부(6d)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우측(플로트 가이드(31) 외주면의 상기 다른쪽측 방향)의 걸림부(6c)에 위치결정되고, 요동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요동시키면, 해당 전환 레버(46)와 함께 캠(44)이 지지 부재(45)에 의한 지지부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다른쪽측 방향으로 요동하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 가이드(31)가 맞닿음 부재(51)를 통한 스프링체(54)의 바이어스력에 의하여 해당 다른쪽측 방향(캠(44)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전환 레버(46)를 한가운데의 걸림부(6d)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좌측(플로트 가이드(31) 외주면의 상기 한쪽측 방향)의 걸림부(6e)에 위치 결정하고, 요동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해 요동시키면, 해당 전환 레버(46)와 함께 캠(44)이 지지 부재(45)에 의한 지지부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한쪽측 방향으로 요동하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 가이드(31)가 맞닿음 부재(51)를 통한 스프링체(54)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해당 한쪽측 방향(맞닿음 부재(51)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 외에, 마찬가지로, 전환 레버(46)를 걸림 홈(6b)의 우측의 걸림부(6c)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한가운데의 걸림부(6d)나 좌측의 걸림부(6e)에 위치 결정하여 요동시키면, 플로트 가이드(31)는 맞닿음 부재(51)측으로 이동하고, 전환 레버(46)를 걸림 홈(6b)의 좌측의 걸림부(6e)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한가운데의 걸림부(6d)나 우측의 걸림부(6c)에 위치 결정하여 요동시키면, 플로트 가이드(31)는 캠(44)측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전환 레버(46)의 위치 결정 위치를 전환함으로써, 플로트 가이드(31)가 캠(44)측 또는 맞닿음 부재(51)측으로 이동하고, 플로트(32)에 의하여 지지되는 주사기(S)의 주사 바늘(N)이 전극 롤러(11, 12)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당 전극 롤러(11, 12)와 접촉하는 위치를 밀리게 (3단계로 조정한다)할 수 있다.
또한, 플로트 가이드(31)는, 그 이동이 상기 각 오목부(31d) 및 각 걸림 돌기(41a)에 의하여 안내되는 동시에, 그 부상이 상기 각 볼트(42)에 의하여 방지된다.
상기 주사 바늘 회수 부재(5)는, 상기 용단 기구부(10)의 지지 부재(24)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구된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중공부(5a) 내에, 전극 롤러(11, 12)에 의해 용단된 주사 바늘(N)이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예의 주사 바늘 용단 장치(1)에 의하면, 우선, 전원(19)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 모터(14)가 구동되고, 각 전극 롤러(11, 12)가 축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전원(19)에 의해 각 전극 롤러(11, 12) 사이에 전력이 인가된다.
이어서, 오퍼레이터가, 사용이 끝난 주사기(S)를 플로트(32)의 지지공(32a) 내에 삽입하여 지지시키고, 해당 주사기(S)를 스프링체(33)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면, 주사기(S)의 주사 바늘(N)이 플로트 가이드(31)의 관통공(31a) 및 고정 브래킷(41)의 접속공(41c)을 빠져 나가, 각 전극 롤러(11, 12)에 도달해 접촉한다.
이에 따라, 각 전극 롤러(11, 12) 사이가 단락하여, 주사 바늘(N)에 다전류가 흐르면, 해당 주사 바늘(N)이 발열하여 용융, 용단되고, 용단된 주사 바늘(N)은, 아래쪽(주사 바늘 회수 부재(5) 내)으로 낙하한다.
또한, 이 후도, 오퍼레이터가 주사기(S)를 더욱 밀어내림으로써, 주사 바늘(N)은, 그 하부측에서 상부측에 걸려 순차 용단되고, 그 대략 전체가 용단된다.
이 후, 오퍼레이터가, 주사기(S)를 밀어올리면, 플로트(32)와 함께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주사기(S)를 해당 플로트(32)로부터 빼내면, 해당 주사기(S)에 대하여 주사 바늘(N)의 용단, 폐기 처리가 종료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이러한 처리를 다른 사용이 끝난 주사기(S)에 대하여 반복하고, 전극 롤러(11, 12)의 주사 바늘(N)과의 접촉부가 열화된, 즉, 주사 바늘(N)의 처리 개수가 일정수에 달했다고 판단하면, 위치 조정 기구부(40)를 적절히 조작하여, 주사기(S)의 주사 바늘(N)과 전극 롤러(11, 12)와의 접촉 위치를, 해당 전극 롤러(11, 12)의 축선 방향으로 밀리게한 후, 해당 처리를 계속한다.
구체적으로는, 전환 레버(46)를 조작하여, 이것이 걸림 홈(6b)의 걸림부(6c, 6d, 6e)와 걸리는 위치를 전환하고, 해당 전환 레버(46)와 함께 캠(44)을 요동시킴으로써, 플로트 가이드(31)를 전극 롤러(11, 12)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플로트(32)에 의해 지지되는 주사기(S)의 주사 바늘(N)을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사 바늘(N)과 전극 롤러(11, 12)와의 접촉 위치를 밀리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주사 바늘 용단 장치(1)에 의하면, 주사 바늘(N)과 전극 롤러(11, 12)와의 접촉 위치를 적절히 밀리게 함으로써, 주사 바늘(N)을 전극 롤러(11, 12)의 미사용 부분과 접촉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밀린 각 접촉 위치 전체가 열화되기까지 하나의 전극 롤러(11, 12)를 계속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사 바늘과 전극 롤러와의 접촉 위치를 바꿀 수 없었던 상기 종래의 주사 바늘 용단 장치에 비해, 전극 롤러(11, 12)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그 장수명화를 도모하고, 처리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롤러(11, 12)의 수명이 길어지면, 이를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도 없어지고, 전극 롤러(11, 12)를 교환하는 수고를 덜어 주사 바늘(N)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이 채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양태는 어느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의 예에서는, 플로트 가이드(31)(주사기(S)의 주사 바늘(N))의 위치를 3단계로 조정하도록 구성했는데, 예를 들면, 5단계로 조정 가능하게 구성해도 되고, 조정 단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위의 예에서는, 위치 조정 기구부(40)에 의해 플로트 가이드(31)를 전극 롤러(11, 12)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구성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극 롤러(11, 12)를 플로트 가이드(31)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주사 바늘 용단 장치는, 사용이 끝난 주사기의 주사 바늘을 용단, 폐기할 때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주사기의 주사 바늘을 용단하는 용단 기구부와, 해당 용단 기구부를 향해 상기 주사 바늘을 안내하는 안내 기구부를 적어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단 기구부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안내 기구부에 의해 안내된 주사 바늘과 접촉하는 2개 1쌍의 전극 롤러와, 상기 전극 롤러를 축 중심으로 각각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과, 상기 전극 롤러간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력 인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기구부는, 상기 주사기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걸어맞춤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전극 롤러를 향해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안내 부재에 안내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주사기가 상기 전극 롤러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주사 바늘이 상기 전극 롤러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주사 바늘 용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 롤러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용단 기구부와 안내 기구부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조정하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하여 지지된 주사기의 주사 바늘이 상기 전극 롤러와 접촉하는 위치를 옮기는 위치 조정 기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용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기구부는,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전극 롤러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기대와,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축선 방향의 한쪽측에 힘을 가하는 바이어스 수단과,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바이어스 수단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이어스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안내 부재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 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용단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양단이 개구된 중공의 통상으로 형성되고, 한쪽 개구부가 상기 전극 롤러와 대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안내 부재 내에 그 축선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끼워지고,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안내 부재 외주면의 한쪽측에 접하고, 그 반대측을 향해 상기 안내 부재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안내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이어스 수단과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안내 부재 외주면의 다른쪽측에 접하는 맞닿음 부재와, 상기 맞닿음 부재를 상기 축선 방향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맞닿음 부재와 걸어맞춤하여, 해당 맞닿음 부재와 함께 요동하는 전환 레버와, 상기 전환 레버를 그 요동 방향의 복수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주사 바늘 용단 장치.
KR1020067022180A 2006-10-25 2004-04-26 주사 바늘 용단 장치 KR20070005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2180A KR20070005694A (ko) 2006-10-25 2004-04-26 주사 바늘 용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2180A KR20070005694A (ko) 2006-10-25 2004-04-26 주사 바늘 용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694A true KR20070005694A (ko) 2007-01-10

Family

ID=3787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180A KR20070005694A (ko) 2006-10-25 2004-04-26 주사 바늘 용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56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584A (ko) * 2008-09-30 2010-04-08 김영수 폐주사바늘 처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584A (ko) * 2008-09-30 2010-04-08 김영수 폐주사바늘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837B1 (ko) 스터드 용접기
KR20070005694A (ko) 주사 바늘 용단 장치
EP3508300B1 (en) Resistance-welding equipment
WO2005102244A1 (ja) 注射針溶断装置
JP2011253683A (ja) 組電池用接続部材の接続方法
JP2504475B2 (ja) プラズマア−ク加熱方法および装置
CN101207965B (zh) 等离子体发生器及延长等离子体发生器阴极寿命的方法
CN201063954Y (zh) 等离子体发生器
JP3793638B2 (ja) スポット溶接機
JP2007221138A (ja) タブリードの半田付け方法
JP2009181870A (ja) 電線接続クランプ装置
JP2008103175A (ja) 切断装置
JP3934788B2 (ja) スポット溶接装置およびスポット溶接方法
JP2017189786A (ja) 半田付け装置
KR102661015B1 (ko) 용량 가변 퓨즈
CN211457582U (zh) 一种新型pcb板加工用热压机
CN214161729U (zh) 一种用于配电柜加工的点焊机
CN213794821U (zh) 一种压缩机焊接装置的焊接平台
KR200229262Y1 (ko) 재봉틀의 실절단장치
CN216353822U (zh) 一种电路开关触头
CN211895393U (zh) 用于网眼袋机的网眼布熔断装置
CN208132221U (zh) 一种便于调整更换的激光切割设备
KR100694812B1 (ko) 전기로의 전극 절손 감지기능을 갖는 홀더장치
KR200148488Y1 (ko) 스위치 장치
CN115542195A (zh) 一种工业机器人电路的陶瓷熔断器通断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