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5491A - 용접마스크 - Google Patents

용접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5491A
KR20070005491A KR1020060061702A KR20060061702A KR20070005491A KR 20070005491 A KR20070005491 A KR 20070005491A KR 1020060061702 A KR1020060061702 A KR 1020060061702A KR 20060061702 A KR20060061702 A KR 20060061702A KR 20070005491 A KR20070005491 A KR 20070005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hole
welding
transparen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9083B1 (ko
Inventor
한명진
Original Assignee
한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진 filed Critical 한명진
Publication of KR2007000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4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two windows, one for viewing and one for use during the weld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5Visors with full face protection, e.g. for industrial safety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1Protecting means
    • B23K9/322Head prot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 A41D2600/202W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2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elasticity, flexibility, spring rate or mechanical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용접작업 실시중에 용접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용접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개선된 용접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보안경(211)이 설치된 보안투시부(210)와, 상기 보안투시부(210) 하측에 근접되게 구비하고 투명창(221)이 설치된 투명투시부(220)를 가진 마스크수단(200)과; 상기 헤드착용수단(100) 양측의 샤프트지지부(130)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스크류샤프트(310)와, 상기 스크류샤프트(310)가 관통하고 마스크수단(200)과 연결되게 하기 위해 측단부(201)에 형성되는 샤프트홀(320)과, 상기 샤프트홀(320)을 관통하는 스크류샤프트(310)에 체결되는 조임너트구(330)를 구비하여 스크류샤프트(310)를 중심으로 마스크수단(200)이 회동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각도변위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지게 한 것이며, 상기 보안투시부를 통해 용접작업을 하다가 필요에 의해서 용접상태를 확인하려고 할 때에는 고개를 약간 들고 투명투시부를 통해서 작업상태를 쉽게 확인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마스크수단 하단부를 약간 위로 밀거나 또는 앞쪽으로 밀게 되면 투명투시부를 통해서 작업상태를 투시할 수 있게 되므로 용접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용접작업 상태를 용이하게 투시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용접마스크, 용접 보안경, 용접 투시창

Description

용접마스크{Welding mask}
도 1 및 도 2는 선행기술을 설명하는 용접마스크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실시된 용접마스크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용접마스크의 일부 단면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보안경 및 투시창의 장착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및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마스크각도변위수단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마스크각도변위수단의 확대 평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마스크각도변위수단의 작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마스크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수단의 작용을 보인 일부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마스크수단 중심훅크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결합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용접마스크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보인 제3실시예의 결합된 평단면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헤드착용수단 130 : 샤프트지지부
200 : 마스크수단 210,210' : 보안투시부
211,211' : 보안경 220,220' : 투명투시부
221,221' : 투명창 300 : 마스크각도변위수단
310 : 스크류샤프트 330 : 조임너트구
340 : 스톱퍼 351,352 : 제1,2스톱퍼홀
230 : 헤드마스크부재 232 : 중심훅크공
233 : 스톱돌기 240 : 안면마스크부재
242 : 중심훅크관통공 243 : 가이드홈공
244,245 : 상,하측걸림공 246 : 훅크관통공
250 : 마스크결합부재 252 : 중심훅크
253 : 가이드훅크 260 : 투시수단
270 : 투시공 271 : 내측창결합홈부
272 : 투명창결합홈부 273 : 보안경끼움홈부
본 발명은 용접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용접된 상태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된 용접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마스크는 도 1과 같이 마스크부재(1)에 투시부(2)를 마련하고, 이 투시부(2)에 투명보호창(3)과 보안경(4)을 설치하여 사용되도록 한 것이 있다.
이러한 용접마스크는 용접 작업 도중 용접된 부위를 확인하려면 마스크부재(1)를 일일이 벗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1-0000295호와 같이 투시창 안쪽에 설치된 보안경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한 것이 개시되었으나, 이는 투시부를 정밀하게 제작해야 하고 보안경을 승하강시켜야 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용접마스크의 가격 상승이 야기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또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부재(21)에 마련된 투시부(22) 안쪽에 투시창(23)을 설치하고 그 외측으로 힌지축(24)을 중심으로 위,아래쪽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25)에 보안경(26)이 설치되도록 고안된 한국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5-001324호가 선행기술로 개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부재(25)를 마이크로스위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8-0063773호가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용접마스크를 벗지 않아도 되지만 보안경을 가진 회전부재를 제끼기 위해 손을 얼굴 눈부위까지 높게 치켜 들어야 하기 때문에 이 역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회전부재를 제끼도록 개폐시키는 경우에는 용접마스크 의 제조원가가 상승되기 때문에 대외 경쟁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용접작업을 하는 과정에 용접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용접부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용접마스크를 제공하려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간단한 행위에 의해서 용접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용접부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도 용접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용접부위를 투시할 수 있는 용접마스크를 제공함으로써 매우 저렴하게 보급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를 신축조절 가능한 상부 착용부와 헤드둘레착용부를 가진 헤드착용수단을 갖는 것으로서; 전면에 보안경이 설치된 보안투시부와, 상기 보안투시부 하측에 근접되게 구비하고 투명창이 설치된 투명투시부를 가진 마스크수단과; 상기 헤드착용수단 양측의 샤프트지지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스크류샤프트와, 상기 스크류샤프트가 관통하고 마스크수단과 연결되게 하기 위해 측단부에 형성되는 샤프트홀과, 상기 샤프트홀을 관통하는 스크류샤프트에 체결되는 조임너트구를 구비하여 스크류샤프트를 중심으로 마스크수단이 회동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각도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수단의 측단부 내면의 샤프트홀 일측에 스톱퍼가 돌출되고 상기 스톱퍼가 삽입되고 이탈되는 제1스톱퍼홀 및 제2스톱퍼홀이 스크류샤프트를 중심으 로 스톱퍼가 회전되는 위치의 샤프트지지부에 더 구비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수단은, 하단결합주면부에 중심훅크공과 양측 고정훅크공을 가진 헤드마스크부재와, 상측부에 중심훅크관통공을 가진 안면마스크부재로 형성되어 텐션홈부가 있는 다수의 중심훅크와 양측 고정훅크를 가진 길다란 형태의 마스크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게 구성하되, 상기 안면마스크부재의 상단부 양측에 있는 가이드홈공의 상측걸림공 및 하측걸림공에 헤드마스크부재의 스톱돌기가 걸림 및 이탈되게 하여 헤드마스크부재로부터 안면마스크부재를 수직방향 및 경사방향이 되게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
상기 안면마스크부재의 중심훅크관통공과 양측 가이드홈공 사이에 훅크관통장공을 형성하고 이를 관통하는 마스크결합부재의 가이드훅크가 고정훅크공에 결합되게 구성함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헤드착용수단이 있는 마스크수단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마스크수단의 안면마스크부재에 넓은 투시공이 형성된 내측창결합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창결합홈부 양측에 길다란 투명창끼움홈부와 상부쪽 외측에 보안경끼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투명창끼움홈부에 양단부가 끼워지는 넓은 크기의 투명창을 결합한 후 그 투명창 보다 절반 폭 크기의 보안경 양단부가 보안경끼움홈부에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투시공 상부쪽에 투명창과 보안경이 겹쳐 있는 보안투시부를 갖도록 하고 하부쪽에는 투명창만 있는 투명투시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용접마스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본 발명이 실시된 제1실시예의 용접마스크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그 일측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제1실시예의 본 발명을 크게 구분하면 머리에 착용하게 되는 헤드착용수단(100)과, 얼굴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수단(200)으로 구분된다.
헤드착용수단(100)은, 길이를 신축 조절 가능한 상부 착용부(110)와 헤드둘레착용부(120)를 구비한다. 부호 140은 헤드둘레착용부(1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임구를 나타낸다.
상기 헤드착용수단(100)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것이지만 여기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며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한다.
헤드착용수단(100)은 마스크수단(200)을 착용하기 위한 수단이며, 이들 양측에서 설치되는 마스크각도변위수단(30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게 것으로서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마스크수단(200)은 플라스틱이나 화이버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며, 그 전면에는 보안경(211)이 설치된 보안투시부(210) 및 투명창(221)이 설치된 투명투시부(220)가 상기한 보안투시부(210) 하측에 최대한 근접되게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안투시부(210)의 보안경(211) 및 투명투시부(220)의 투명창(221)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미 쪽에서 가압부재(202)가 내측으로 끼워져서 보안경(211) 또는 투명창(221)을 가압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202)는 보안경(211)이나 투명창(221)이 끼워지는 삽입부(212,222)의 가로폭 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삽입부(212,222)에 가압부재(202)가 끼워질 때 가상선 도시와 같이 휘어지게 끼워져서 삽입부(212,222) 양측에 있는 걸림돌기부(203)에 양단부가 걸리게 되면서 가압력이 발생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가압부재(202)에 의해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마스크각도변위수단(300)은, 헤드착용수단(100)과 마스크수단(200)을 연결되게 하면서도 헤드착용수단(100)을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수단(2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마스크각도변위수단(300)은 헤드착용수단(100) 양측의 샤프트지지부(130)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크류샤프트(310)를 구비한다.
또한, 스크류샤프트(310)가 관통하고 마스크수단(200)과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측단부(201)에는 샤프트홀(320)이 뚫려 있고, 상기 샤프트홀(3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스크류샤프트(310)에는 조임너트구(330)가 체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측단부(201) 내면의 샤프트홀(320) 일측에는 스톱퍼(340)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340)가 삽입되고 이탈되는 제1스톱퍼홀(351) 및 제2스톱퍼홀(352)이 스크류샤프트(310)를 중심으로 스톱퍼(340)가 회전되는 위치의 샤프트지지부(130)에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조임너트구(330)는 샤프트지지부(130)에 측단부(201)가 밀착되게 조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측단부(201)가 마스크수단(200)의 자중에 의해서 저절로 회전되지 않을 정도의 조임력으로 조여지도록 체결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스톱퍼(340)가 제1스톱퍼홀(351)에 끼워져 있을 때는 수평선상(x)의 헤드착용수단(100)에 대해서 마스크수단(200)의 보안투시부(210) 및 투명투시부(220)는 수직선상(y)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나 마스크수단(200)을 위쪽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스크류샤프트(310)를 중심으로 측단부(201)가 회전됨으로써 스톱퍼(340)가 제1스톱퍼홀(351)을 이탈하고 회전되어 제2스톱퍼홀(352)에 끼워지게 된다.
그러므로 헤드착용수단(100)에 대해서 마스크수단(200)의 보안투시부(210) 및 투명투시부(220)는 경사선상(z)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마스크수단(200)을 아래쪽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스크류샤프트(310)를 중심으로 측단부(201)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스톱퍼(340)가 제2스톱퍼홀(352)을 이탈하고 회전되어 제1스톱퍼홀(351)에 끼워지게 되기 때문에 보안투시부(210) 및 투명투시부(220)는 다시 수직선상(y) 위치로 이동되게 각도가 변위된다.
본 발명의 마스크각도변위수단(300)은 경우에 따라서 스톱퍼(340)와 제1,2스톱퍼홀(351,352)과 같이 변위된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수단 없이도 가능하다.
즉, 조임너트구(330)의 조임력에 의해서 마스크수단(200)의 측단부(201)가 샤프트지지부(130)에 빡빡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헤드착용수단(100)으로 부터 스크류샤프트(310)를 중심으로 회전된 마스크수단(200)이 회전된 후 그 위치에 머물러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스크수단(200)은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머리 부분을 커버하는 헤드마스크부재(230)와 얼굴 부분을 커버하는 안면마스크부재(240)로 구성되어 마스크결합부재(250)에 의해서 결합된다.
헤드마스크부재(230)는 하단결합주면부(231)에 중심훅크공(232)과 양측 고정훅크공(232')을 구비하고, 안면마스크부재(240)의 양측 상측부(241)가 위치되는 지점에는 스톱돌기(233)가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중심훅크공(232)과 스톱돌기(233) 사이에 고정훅크공(234)을 구비한다.
안면마스크부재(240)의 상측부(241)에는 중심훅크관통공(242)을 구비하며, 양측 상측부(241)에는 헤드마스크부재(230)의 스톱돌기(233)가 끼워지는 가이드홈공(243)을 구비하고 그 가이드홈공(243)에는 스톱돌기(233)가 걸림되게 삽입되고 이탈되는 상측걸림공(244) 및 하측걸림공(2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심훅크관통공(242)과 가이드홈공(243) 사이에는 훅크관통장공(246)이 뚫려 있다.
마스크결합부재(250)는 길다란 띠형태로 형성되고 내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텐션홈부(252a)가 있는 중심훅크(252) 및 양측 고정훅크(252')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간부에는 가이드훅크(253)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훅크(252') 및 가이드훅크(253)는 텐션홈부(252a)를 가진 중심훅크(252)와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과정에 마스크결합부재(250)의 중심훅크(252)가 중심훅크관통공(242)을 관통하여 중심훅크공(232)에 끼워지게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훅크(253)는 훅크관통장공(246)을 통해 고정훅크공(234)에 끼워지게 결합되고, 양측의 고정훅크(252')는 고정훅크공(232')에 끼워지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면 안면마스크부재(240)의 가이드홈공(243)에는 스톱돌기(233)가 끼워지게 조립되는데, 이때 스톱돌기(233)는 하측걸림공(245)에 걸림되는 상태로 조립된다.
도 10a는 마스크수단(20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이 상태는 수평선상(x)에 있게 되는 헤드마스크부재(230)에 대해서 안면마스크부재(240)가 수직선상(y)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안면마스크부재(240)를 바깥쪽 방향으로 약간 외력을 가하여 밀게 되면 안면마스크부재(240)가 도 10b에 보인 바와 같이 헤드마스크부재(230)에 대해서 경사선상(z)에 위치되도록 각도가 변위되게 이동된다.
이때는, 중심훅크(252) 지점을 중심으로 안면마스크부재(240)의 하단부가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안면마스크부재(240)의 상단부(241) 양측 부분은 도 10b와 같이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스톱돌기(233)가 하측걸림공(245)으로부터 이탈하여 상측걸림공(244)에 걸림되게 된다.
따라서, 안면마스크부재(240)는 경사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외력을 가하여 안쪽방향으로 안면마스크부재(240)를 밀게 되면 도 10a와 같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안면마스크부재(240)는 수직선상(y)에 위치되게 된다.
즉, 안면마스크부재(240)에 있는 보안투시부(210)와 투명투시부(220)는 수직선상(y) 또는 경사선상(z)으로 위치가 변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안면마스크부재(240)의 각도가 변위 될 때 중심부분이 되는 마스크결합부재(250)와 중심훅크(252) 상태가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나 있다.
도 11a는 안면마스크부재(240)가 수직선상(y)에 있을 때이며, 이때는 중심훅크(252)의 텐션홈부(252a)가 정상적으로 벌어져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안면마스크부재(240)를 경사선상(z)으로 변위되게 하면 도 11b와 같이 중심훅크(252)가 눌리면서 텐션홈부(252b)가 오무려 들게 됨에 따라 중심훅크(252)는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안면마스크부재(240)의 상측부(241)는 하단결합주면부(231)와 벌어지게 되는데 그 벌어지는 정도는 약 1-2㎜ 정도에 불과하며, 이 정도로 상측부(241)가 경사지게 벌어지면 안면마스크부재(240)의 하단부는 상당한 거리가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안면마스크부재(240)의 상측부(241)가 벌어지게 될 때 마스크결합부재(250)는 약간 틀어지게 되는 정도이며, 이 정도의 틀어짐은 마스크결합부재(250)가 수지제로 구성시키게 되면 그 재질 특성상 본래의 상태로 복귀되려는 성질이 뛰어나므로 별다른 이상 현상이나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틀어진 상태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용접마스크는 도 12a 내지 도 12c에 나타낸 제1사용상태 내지 제3 사용상태 중에서 한 가지를 용접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용접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고개를 숙이더라도 안면마스크부재(240)가 수직선상(y)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용접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은 제1사용상태 내지 제3사용상태 모두가 동일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안투시부(210)를 통해 용접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용접작업 실시 중에 그 작업을 잠시 멈추고 용접부위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을 때에는 용접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1사용상태 내지 제3사용상태 중에 어느 한가지를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용접부위를 투시하게 된다.
도 12a에 나타낸 제1사용상태는, 안면마스크부재(240)의 하단부를 위쪽 방향으로 약간 밀어 올리게 되면 마스크각도변환수단(300)의 스크류샤프트(310)를 중심으로 마스크수단(200) 전체가 약간 회전됨으로써 경사선상(z)으로 되어 작업자가 투명투시부(220)를 통해 용접부위를 투시할 수 있게 되며, 확인 후에는 다시 마스크수단(200)을 원위치로 복귀시켜서 다시 보안투시부(210)를 통해 용접부위를 보면서 용접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제2사용상태는, 도 12b에 보인 바와 같이 안면마스크부재(240)의 하단부를 앞쪽방향으로 약간 가압하게 되면 안면마스크부재(240)만 약간 앞쪽방향으로 들려지는 상태로 움직이게 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작업자가 경사선상(z)으로 된 투명투시부(220)를 통해 용접부위를 투시할 수 있게 되며, 확인 후에는 다시 마스크수단(200)을 원위치로 복귀시켜서 다시 보안투시부(210)를 통해 용접부위를 보면서 용접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도 12c에 보인 제3사용상태는, 용접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안투시부(210)를 통해서 용접작업을 한 다음 투명투시부(220)를 통해서 용접부위를 확인하려고 할 때에는 고개를 약간 들고 눈동자를 약간 밑으로 내리 깔고 보는 상태로 하면 투명투시부(220)를 통해 용접부위를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용접마스크는 착용하는 작업자에 따라서 착용되는 위치가 조금씩 다를 수 밖에 없으며, 그로 인해 육안(눈)과 보안투시부(210) 및 투명투시부(220)가 위치하는상태가 각기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용접마스크 착용자는 제1사용상태 내지 제3사용상태 중에 본인에게 적합한 사용방법을 선택하여 이용하게 된다.
이때, 투명투시부(220)를 통해 작업부위를 볼 때 육안(눈)을 약간 내리 깔고 잠시 보게 되는 것이므로 작업에 전혀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한다.
도 13 및 도 14는 제2실시예의 본 발명을 보인 것이다.
제2실시예의 본 발명은 보안투시부(210)와 투명투시부(220)를 별개의 투시수단(260)으로 구성하여 마스크수단(200)의 안면마스크부재(240)에 리벳(261)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서 부착되게 한 것으로서, 사용상태는 앞서 설명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3실시예의 본 발명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수단(200)의 안면마스크부재(240)에 넓은 크기의 투시공(270)과 내측창결합홈부(271)를 형성시키고 상기 내측창결합홈부(271) 양측에는 길다란 투명창끼움홈부(272) 및 외측 상부쪽에만 형성되는 보안경끼움홈부(273)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창끼움홈부(272)에 넓은 크기의 투시공(270)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넓은 크기의 투명창(221')의 양단부가 삽입되게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또한, 외측 상부 쪽에만 형성된 보안경끼움홈부(273)에는 상기 투명창(221') 보다 절반 크기를 갖는 보안경(211')의 양단부가 끼워지도록 결합 됨으로써 투시공(270) 상부 쪽에는 투명창(221')과 보안경(211')이 겹쳐지는 보안투시부(210')가 형성되는 것이고, 아래쪽 부분에는 투명창(221')만 존재하게 되는 투명투시부(22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투명창(221')과 보안경(211')은 플라스틱 재질로 된 것이 사용됨으로써 용접불똥이 튀거나 하여 거의 사용이 불가할 정도가 되면 저렴하게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내측창결합홈부(271) 양측의 투명창끼움홈부(272) 및 보안경끼움홈부(273)에 투명창(221') 및 보안경(211')을 끼울 때 도 16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휘어지게 하여 양단부가 끼워지게 한 다음 휘어지게 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거하면 휘어져 있던 투명창(221') 또는 보안경(211')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력에 의해서 본래의 평평한 상태로 펴지게 되어 투명창(221') 및 보안경(211')의 양단부가 투명창끼움홈부(272) 및 보안경끼움홈부(273)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접을 할 때에는 도 18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개를 숙이고 용접을 하게 되므로 투명창(221')과 보안경(211')이 겹쳐져 있는 보안투시부(210')를 통해 용접물(F)을 처다보면서 용접하게 됨으로써 눈을 보호하게 되 는 것이다.
그리고 용접물(F)의 용접상태를 확인하려고 할 때에는 도 19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숙였던 고개를 약간 위쪽으로 처든 다음 눈동자를 약간 아래쪽으로 내리 깔고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투명창(221')이 있는 투명투시부(220')를 통해 용접물(F)을 처다 보면서 용접상태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시 용접할 때에는 다시 고개를 아래쪽으로 약간 숙인 상태에서 눙동자를 똑바로 뜬 상태로 하여 정면을 처다 보게 되면 보안투시부(210')를 통해 용접물(F)를 투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용접도중에 수시로 용접상태를 확인할 때 용접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용접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실시예는 별개의 헤드착용수단(100)과 마스크수단(200) 및 안면마스크부재(240)가 결합된 용접마스크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이 일체로 구성된 용접마스크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용접작업을 하는 과정에 매우 간단한 행위에 의해서 용접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용접부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용접마스크를 제공하므로 용접작업시에 용접마스크를 일일이 벗고 다시 착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매우 편리하고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용접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용접부위를 투시할 수 있는 용접마스크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편리한 용접마스크를 매우 저렴하게 보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길이를 신축조절 가능한 상부 착용부(110)와 헤드둘레착용부(120)를 가진 헤드착용수단(100)을 갖는 것으로서;
    전면에 보안경(211)이 설치된 보안투시부(210)와, 상기 보안투시부(210) 하측에 근접되게 구비하고 투명창(221)이 설치된 투명투시부(220)를 가진 마스크수단(200)과;
    상기 헤드착용수단(100) 양측의 샤프트지지부(130)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스크류샤프트(310)와, 상기 스크류샤프트(310)가 관통하고 마스크수단(200)과 연결되게 하기 위해 측단부(201)에 형성되는 샤프트홀(320)과, 상기 샤프트홀(320)을 관통하는 스크류샤프트(310)에 체결되는 조임너트구(330)를 구비하여 스크류샤프트(310)를 중심으로 마스크수단(200)이 회동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각도변위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수단(200)의 측단부(201) 내면의 샤프트홀(320) 일측에 스톱퍼(340)가 돌출되고 상기 스톱퍼(340)가 삽입되고 이탈되는 제1스톱퍼홀(351) 및 제2스톱퍼홀(352)이 스크류샤프트(310)를 중심으로 스톱퍼(340)가 회전되는 위치의 샤프트지지부(130)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수단(200)은, 하단결합주면부(231)에 중심훅크공(232)과 양측 고정훅크공(232')을 가진 헤드마스크부재(230)와, 상측부(241)에 중심훅크관통공(242)을 가진 안면마스크부재(240)로 형성되어 텐션홈부(252a)가 있는 다수의 중심훅크(252)와 양측 고정훅크(252')를 가진 길다란 형태의 마스크결합부재(250)에 의해 결합되게 구성하되, 상기 안면마스크부재(240)의 상측부(241) 양측에 있는 가이드홈공(243)의 상측걸림공(244) 및 하측걸림공(245)에 헤드마스크부재(230)의 스톱돌기(233)가 걸림 및 이탈되게 하여 헤드마스크부재(230)로부터 안면마스크부재(240)를 수직방향 및 경사방향이 되는 각도로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마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마스크부재(240)의 중심훅크관통공(242)과 양측 가이드홈공(243) 사이에 훅크관통장공(246)을 형성하고 이를 관통하는 마스크결합부재(250)의 가이드훅크(253)가 고정훅크공(234)에 결합되어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마스크.
  5. 헤드착용수단(100)이 있는 마스크수단(200)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마스크수단(200)의 안면마스크부재(240)에 넓은 투시공(270)이 형성된 내측창결합홈부(271)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창결합홈부(271) 양측에 길다란 투명창끼움홈부(272)와 상부쪽 외측에 보안경끼움홈부(273)를 형성하고 상기 투명창끼움홈부(272)에 양단부가 끼워지는 넓은 크기의 투명창(221')을 결합한 후 그 투명 창(221') 보다 절반 폭 크기의 보안경(211') 양단부가 보안경끼움홈부(273)에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투시공(270) 상부쪽에 투명창(221')과 보안경(211')이 있는 보안투시부(210')를 갖도록 하고 하부쪽에는 투명창(221')만 있는 투명투시부(220')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마스크.
KR1020060061702A 2005-07-05 2006-07-01 용접마스크 KR100789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480 2005-07-05
KR1020050060480A KR20050080050A (ko) 2005-07-05 2005-07-05 용접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491A true KR20070005491A (ko) 2007-01-10
KR100789083B1 KR100789083B1 (ko) 2007-12-26

Family

ID=372668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480A KR20050080050A (ko) 2005-07-05 2005-07-05 용접마스크
KR1020060061702A KR100789083B1 (ko) 2005-07-05 2006-07-01 용접마스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480A KR20050080050A (ko) 2005-07-05 2005-07-05 용접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08005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13B1 (ko) * 2012-07-11 2013-02-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야외 조사용 안면 보안경
KR101503900B1 (ko) * 2013-12-23 2015-03-23 이유행 용접 마스크
KR101635927B1 (ko) * 2016-01-08 2016-07-04 김종천 안면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US10610001B2 (en) 2017-06-13 2020-04-07 Jong-Chen KIM Mask device for facial skin care
KR102318601B1 (ko) * 2020-06-24 2021-10-28 한국전력공사 보호 마스크가 구비된 안전모
US11786406B2 (en) 2019-07-16 2023-10-17 Otos Wing.Co., Ltd. Protector for weld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613B1 (ko) 2008-05-07 2010-07-27 한명진 용접마스크겸용 안면보호구
KR200460196Y1 (ko) 2010-03-30 2012-05-09 김근섭 전기용접용 보안경
KR102244209B1 (ko) 2019-07-31 2021-04-26 신성우 용접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654Y1 (ko) * 1991-08-10 1995-07-15 주식회사 에스. 케이. 씨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상부케이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13B1 (ko) * 2012-07-11 2013-02-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야외 조사용 안면 보안경
KR101503900B1 (ko) * 2013-12-23 2015-03-23 이유행 용접 마스크
KR101635927B1 (ko) * 2016-01-08 2016-07-04 김종천 안면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US10610001B2 (en) 2017-06-13 2020-04-07 Jong-Chen KIM Mask device for facial skin care
US11786406B2 (en) 2019-07-16 2023-10-17 Otos Wing.Co., Ltd. Protector for welding
KR102318601B1 (ko) * 2020-06-24 2021-10-28 한국전력공사 보호 마스크가 구비된 안전모
KR102342455B1 (ko) * 2020-06-24 2021-12-27 한국전력공사 보호 마스크가 구비된 안전모
KR102342456B1 (ko) * 2020-06-24 2021-12-27 한국전력공사 보호 마스크가 구비된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083B1 (ko) 2007-12-26
KR20050080050A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083B1 (ko) 용접마스크
US7409723B2 (en) Multifunctional protection rack for safety helmet
US7344241B2 (en) Glasses having frame for combined use with a cap
KR101385672B1 (ko) 턱끈 가이드장치
EP3366153B1 (en) Protective helmet with flip-up visor/goggles
US8613515B2 (en) Lens receptor lock for glasses
WO1996007948A1 (de) Brille, insbesondere sport- und/oder freizeitbrille
KR102525192B1 (ko) 용접용 보호 장치
KR101000752B1 (ko) 용접헬멧 체결구
KR200395938Y1 (ko) 용접마스크
KR20200005174A (ko) 안경테와 힌지 결합구조
US6134719A (en) Helmet windshield with sunshade device
JP5143296B2 (ja) 眼鏡用のレンズ連結具及びレンズ交換可能の眼鏡並びにレンズ形成基材
US6969170B1 (en) Auxiliary lens assembly with spring-loaded attachment to primary lens assembly
KR101129717B1 (ko) 용접면 부착용 안전모
WO2008118384A1 (en) Eyewear with integrated bottle cap opener
KR200415174Y1 (ko) 용접용 헬멧의 차광유리 용접면 구조
US7407282B1 (en) Eyeglass temple assembly
KR100972613B1 (ko) 용접마스크겸용 안면보호구
KR20170083808A (ko) 템플 탈착형 안경
JP3883994B2 (ja) 顔面保護具
JP4605804B2 (ja) セミリムレス眼鏡における高張力糸とリムの連結構造
KR200179471Y1 (ko) 용접마스크
US20180101022A1 (en) Screwless eyeglass structure
KR100897074B1 (ko) 안경의 사이드실드 부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