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752B1 - 용접헬멧 체결구 - Google Patents

용접헬멧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752B1
KR101000752B1 KR1020080002552A KR20080002552A KR101000752B1 KR 101000752 B1 KR101000752 B1 KR 101000752B1 KR 1020080002552 A KR1020080002552 A KR 1020080002552A KR 20080002552 A KR20080002552 A KR 20080002552A KR 101000752 B1 KR101000752 B1 KR 101000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welding helmet
welding
moving part
hard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541A (ko
Inventor
서운수
Original Assignee
서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운수 filed Critical 서운수
Priority to KR102008000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7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185Securing goggles or spectacles on helmet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헬멧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모의 양측부에 취부되고, 일측에 용접헬멧이 결합되어 상기 용접헬멧이 작업자의 안면을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작업자의 안면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하는 용접헬멧 체결구에 있어서, 상부에 부채꼴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전모의 양측부에 취부되는 한쌍의 지지판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타단부 일측에 이동부 결합공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일단부에 상기 요철부와 대응하는 요홈이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부 결합공을 통해 삽입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며, 상기 용접헬멧은 상기 회전판과 상기 마감캡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헬멧과 안전모의 무게중심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안전모가 작업자의 머리로부터 탈거되거나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등 작업자에게 위험을 가하는 안전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헬멧과 안전모의 무게중심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중이 수직으로 작용하므로 작업자의 목부위체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들게되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현저하게 저감되고, 착용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원 발명은 안전모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가압바가 포켓에 삽입되고, 안전모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가압바가 안전모를 가압하여 설치되므로 포켓의 유무에 관계없이 안전모에 탈부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용접헬멧, 요철, 무게중심

Description

용접헬멧 체결구{Welding helmet coupler}
본 발명은 용접헬멧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모와 용접헬멧의 결합길이를 줄여 무게중심을 하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안전모가 작업자의 머리로부터 탈거되거나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등 작업자에게 위험을 가하는 안전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용접작업시 용접헬멧이 결합된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용접헬멧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은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재료에 국부적으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직접 결합이 되도록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용접작업시에는 강한 빛이 방출될 뿐만 아니라, 파편이 튀게 되므로 빛에 작업자의 눈이 노출될 경우 시력 손상을 일으키고, 파편에 의해 작업자의 안구를 손상시키는 등 상해를 입힐 수 있다.
이에, 용접시 발생하는 강한 빛과 파편을 차단하여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LCD, 글래스, 전자 회로, 제어 수단 및 전원 공급 장치로 이루어지는 차광 필터가 구비된 자동 차광 용접 헬멧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차광필터를 갖는 용접 헬멧은 체결구에 의해 안전모에 회전가 능하게 취부되어 작업시 회전하여 작업자의 안면을 차폐하고 작업완료시 작업자의 안면을 개방하는 바이저형 용접헬멧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용접헬멧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종래의 용접헬멧 체결구(100)는 안전모(200)에 형성된 포켓(230)에 삽입설치되는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전면에 지지바(110a)가 형성된 지지판(110)과, 상기 지지바(110a)에 끝단에 결합되는 마감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용접헬멧 체결구의 지지바(110)에 취부되는 용접헬멧(300)은 지지바(110a)를 회전축으로 작업자의 안면을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작업자의 안면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게 된다. 이때, 용접헬멧(300)은 고정된 지지바(110a)에 의해 회동하게 되므로 차폐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회동반경이 동일하다. 이에 따라, 용접헬멧(300)은 안전모의 상부가 높은 경우에 용접헬멧(300)이 안전모(200) 상부에 걸리게 되거나 안전모의 앞창(220)에 걸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용접헬멧(300)은 회동구간 중 회동반경이 가장 큰 구간(안전모의 앞창(220)을 지나는 구간을 고려하여 제작되어야 하므로 용접헬멧(300)은 개방위치에서 안전모의 앞창의 길이만큼 안전모(200)의 상방으로 이격되고, 이로 인해 안전모(200)와 용접헬멧(300)의 결합길이가 상방으로 이격거리만큼 증가하게 됨으로써 무게중심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안전모(200)와 용접헬멧(300)의 무게중심이 전후좌우로 변하게 되어 용접작업 중 작업자가 머리를 숙이거나 젖히게 되면 안전모(200)가 작업자의 머리에서 탈거되거나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등 고열을 다 루는 작업자에게 위험을 가하는 안전상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후좌우로 쏠리는 안전모(200)와 용접헬멧(300)의 하중이 작업자의 목부위에 가해지게 되어 작업도중 작업자의 피로도가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아울러, 앞창이 긴 안전모(200)에 설치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안전모의 앞창(220)이 후방을 향하도록 착용한 다음 용접헬멧(300)을 결합하여야 했으므로 안전모(200)가 제대로 착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착용감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포켓(230)이 형성되지 않은 안전모(200)에는 설치가 전혀 불가능하여 포켓(230)의 유무에 관계없이 안전모에 설치될 수 있는 용접헬멧 체결구가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모와 용접헬멧의 결합길이를 줄여 무게중심을 하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안전모가 작업자의 머리로부터 탈거되거나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등 작업자에게 위험을 가하는 안전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시 용접헬멧이 결합된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고, 안전모의 착용감이 개선되도록 용접헬멧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포켓의 유무에 관계없이 안전모에 탈부착이 용이한 용접헬멧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안전모의 양측부에 취부되고, 일측에 용접헬멧이 결합되어 상기 용접헬멧이 작업자의 안면을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작업자의 안면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하는 용접헬멧 체결구에 있어서, 상부에 부채꼴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전모의 양측부에 취부되는 한쌍의 지지판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타단부 일측에 이동부 결합공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일단부에 상기 요철부와 대응하는 요홈이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부 결합공을 통해 삽입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며, 상기 용접헬멧은 상기 회전판과 상기 마감캡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헬멧 체결구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은 타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용접헬멧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접헬멧 고정부는 일측에 각도조절 돌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용접헬멧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의 홈에 상기 각도조절 돌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용접헬멧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지지판은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형성되고, 하단 절곡부의 선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된 안전모 이탈방지턱과 상단부 내면 일측에 돌출된 가압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의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회전시 상기 가압바 이탈방지턱과 대응되는 가압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가압바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바는 일측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한쌍의 지지판은 일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삽입부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안전모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포켓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안전모의 하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헬멧이 요철부의 외형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에 결합되고, 용접헬멧이 개방위치에서 차폐위치로 회동하는 경우에 이동부의 이동거리에 의해 안전모의 안창길이가 보상받게되어 회동동작이 가능하고, 개방위치에서 용접헬멧과 안전모의 결합길이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용접헬멧과 안전모의 무게중심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안전모가 작업자의 머리로부터 탈거되거나 작업 자의 시야를 가리는 등 작업자에게 위험을 가하는 안전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헬멧과 안전모의 무게중심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중이 수직으로 작용하므로 작업자의 목부위체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들게되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현저하게 저감되고, 착용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원 발명은 안전모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가압바가 포켓에 삽입되고, 안전모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가압바가 안전모를 가압하여 설치되므로 포켓의 유무에 관계없이 안전모에 탈부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1)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1)는 지지판(10), 가압바(20), 회전판(30), 이동부(40) 및 마감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판(10)은 상부에 이동부(40)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채꼴 형상의 요철부(11)가 형성되고, 요철부(11)의 양단부에 이동부(40)의 이동구간을 제한하는 스토퍼턱(12)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후술하는 회전판(30)이 취부되는 결합돌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10)은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하단 절곡부(14)가 형성되고, 하단 절곡부(14)의 선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된 안전모 이탈방지턱(15)이 형 성된다. 이때, 하단 절곡부(14)는 안전모의 두께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지판(10)의 상단부 내면 일측에는 가압바 이탈방지턱(16)이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가압바 이탈방지턱(16)의 기능은 도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돌부(13)는 지지판(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지지기둥(13a)과 지지기둥(13a)의 끝단부에 걸림날개(13b)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전판(30)이 지지판 결합공(21)을 통해 취부된다.
안전모 이탈방지턱(15)은 하단 절곡부(14)의 길이에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판(10)의 하단 절곡부(14)가 안전모(200)의 하단부를 지지할 경우 지지판(10)이 안전모(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전모(200)의 내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바(2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판(10)의 내면에 연결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 지지판(10)을 안전모(20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가압바(20)의 구조는 도4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회전판(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지지판(10)에 형성된 회전판(30) 결합돌부(13)가 삽입되는 지지판 결합공(3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후술하는 이동부(40)가 결합되는 이동부 결합공(32)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판(30)은 상부에 용접헬멧 고정부(33)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지지판 결합공(31)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돌부(13)에 형성된 걸림날개(13b)가 통과될 정도의 직경을 갖는 제1 결합 공(31a)과, 지지기둥(13a)의 직경과 동일한 제2 결합공(31b)이 연통형성될 수 있다.
용접헬멧 고정부(33)는 일측에 용접헬멧(300)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각도조절홈(미도시)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용접헬멧(300)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돌부(33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동부(4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에 지지판(10)에 형성된 요철부(11)와 대응하는 요홈(41)이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나사부(42)가 형성되며, 지지판(10)에 취부된 회전판(30)에 요홈(41)과 지지판(10)에 형성된 요철부(11)가 대응되도록 이동부 결합공(32)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판(30) 회전시 요홈(41)이 요철부(11)와 대응하여 요철부(11)의 외형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나사부(42)의 일단부를 통해 용접헬멧(300)이 결합된다.
마감캡(50)은 나사부(42)와 나사결합되어 이동부(40)에 결합된 용접헬멧(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미설명 부호인 43은 각각 평와셔(43a)와 구면와셔(43b)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지지판(10)의 배면과 가압바(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가압바(20)는 각 부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회전하여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바(20)는 상단부에 결합공(21)이 형성되고, 연결부재(S)가 결합공(21)을 통해 삽입되어 지지판(10)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되며, 지지판(10)의 하단 절곡부(14)가 안전모(200)의 하단부를 지지할 경우 회전하여 안전 모(200)의 둘레에 형성된 결속륜(210)의 상면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가압부(20)는 하단부에 결속륜 가압돌기(22)가 형성되어 결속륜(210)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결속륜 가압돌기(22)가 결속륜(210)의 내측벽을 가압한다.
또한, 가압바(20)는 지지판(10)과 대향하는 면에 가압바 이탈방지돌기(23)가 형성되어 지지판(10)의 내면에 형성된 가압바 이탈방지턱(16)과 가압바 이탈방지돌기(23)가 대응하여 결속륜(210)의 상면을 가압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가압바(20)는 하방으로 한쌍의 지지바(2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1)의 동작설명을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용접헬멧(300)이 개방위치에 있을 경우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1)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동부가 지지판(1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용접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용접헬멧(300)을 하방으로 외력을 가한다.
도6은 용접헬멧(300)이 개방위치에서 차폐위치로 회동되고 있는 경우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1)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작업자가 용접헬멧(300)에 하방으로 외력을 가함에 따라 용접헬멧(300)과 결합된 회전판(30)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판(30)에 결합된 이동부(40) 또한 회전하되, 요홈(41)이 요철부(11)에 대응되어 요철부(11)의 외형을 따라 이동된다.
도7은 용접헬멧(300)이 차폐위치에 있을 경우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1)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요철부(11)의 외형을 따라 이동된 이동부(40)는 차 폐위치에 도착하게 되면 스토퍼턱(1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고 용접헬멧(300)의 차폐위치가 고정된다.
상기한 용접헬멧(300)이 회동되는 원리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안전모(200)의 직경을 'r', 안전모의 앞창(220)길이를 'd'로 가정하면, 용접헬멧(300)의 회동구간 중 거리가 가장 큰 구간은 안전모의 앞창(220)구간이므로 용접헬멧(300)의 회동반경이 'r+d'가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개방위치에서 용접헬멧(300)이 안전모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부(40)에 결합된다. 즉, 용접헬멧(300)의 두께를 제외하고, 안전모(200)와 용접헬멧(300)의 결합길이가 'r'이 된다. 이후, 용접헬멧(300)이 회동하여 안전모의 앞창(220)구간(r+d)를 통과할 경우 회전판(30)의 길이에 의해 'r'의 길이가 보상받게 되고, 이동부(40)가 요철부(11)의 외형을 따라 이동되는 길이에 의해 'd'의 길이가 보상받게되어 용접헬멧(300)이 안전모의 앞창(220)구간에서 간섭없이 차폐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용접헬멧(300)을 차폐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은 상기한 동작설명의 역순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8은 안전모(200)에 포켓(230)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지지판(10)을 고정하기 위해 가압바(20)가 포켓(230)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가압바(20)가 포켓(230)에 고정되는 상태를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지지판(10)과 그 외 구성은 생략했음을 밝혀둔다.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가압바(20)에 돌출형성된 결속륜 가압돌기(22)를 제거하고, 지지판(10)의 하단 절곡부(14)가 안전모(200)의 하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가압바(20)를 회전하여 포켓(230)에 삽입하고 한쌍의 지지바(24) 사이를 포켓(230)의 측벽에 결합하여 가압바(20)를 고정한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1)가 안전모(200)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및 도9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지지판(10)의 하단 절곡부(14)와 가압바(20)를 생략하고, 지지판(10)의 내측면에 삽입부(20')를 형성한 것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1)는 일단부에 걸림턱(20'a)이 형성된 삽입부(20')가 지지판(10)의 내면에 하방으로 연장되고, 안전모(200)에 형성된 포켓(230)에 삽입되어 걸림턱(20'a)이 안전모(200)의 하단부에 지지된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 을 포함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용접헬멧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의 전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지지판의 배면과 가압바를 도시한 도면,
도5는 용접헬멧이 개방위치에 있을 경우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용접헬멧이 개방위치에서 차폐위치로 회동되고 있는 경우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용접헬멧이 차폐위치에 있을 경우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는 안전모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지지판을 고정하기 위해 가압바가 포켓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헬멧 체결구가 안전모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접헬멧 체결부재 10 : 지지판
11 : 요철부 12 : 스토퍼턱
13 : 결합돌부 13a : 지지기둥
13b : 걸림날개 14 : 하단 절곡부
15 : 안전모 이탈방지돌부 16 : 가압바 이탈방지턱
20 : 가압바 21 : 결합공
22 : 결속륜 가압돌기 23 : 가압바 이탈방지 돌기
24 : 지지바 30 : 회전판
31 : 지지판 결합공 31a : 제1 결합공
31b : 제2 결합공 32 : 이동부 결합공
33 : 용접헬멧 고정부 33a : 각도조절 돌부
40 : 이동부 41 : 요홈
42 : 나사부 50 : 마감캡

Claims (5)

  1. 안전모의 양측부에 취부되고, 일측에 용접헬멧이 결합되어 상기 용접헬멧이 작업자의 안면을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작업자의 안면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하는 용접헬멧 체결구에 있어서,
    상부에 부채꼴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전모의 양측부에 취부되는 한쌍의 지지판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타단부 일측에 이동부 결합공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일단부에 상기 요철부와 대응하는 요홈이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부 결합공을 통해 삽입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며,
    상기 용접헬멧은 상기 회전판과 상기 마감캡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헬멧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타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용접헬멧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접헬멧 고정부는 일측에 각도조절 돌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용접헬멧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의 홈에 상기 각도조절 돌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용접헬멧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헬멧 체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판은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형성되고, 하단 절곡부의 선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된 안전모 이탈방지턱과 상단부 내면 일측에 돌출된 가압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의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회전시 상기 가압바 이탈방지턱과 대응되는 가압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가압바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헬멧 체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는 일측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헬멧 체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판은 일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삽입부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안전모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포켓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안전모의 하단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헬멧 체결구.
KR1020080002552A 2008-01-09 2008-01-09 용접헬멧 체결구 KR10100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552A KR101000752B1 (ko) 2008-01-09 2008-01-09 용접헬멧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552A KR101000752B1 (ko) 2008-01-09 2008-01-09 용접헬멧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541A KR20090076541A (ko) 2009-07-13
KR101000752B1 true KR101000752B1 (ko) 2010-12-13

Family

ID=41333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552A KR101000752B1 (ko) 2008-01-09 2008-01-09 용접헬멧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974B1 (ko) 2015-01-16 2016-03-04 이규성 다기능 안전모
KR20190014170A (ko) * 2017-07-27 2019-02-12 (주)써보레 보호구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헤드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717B1 (ko) * 2010-03-30 2012-03-28 주식회사 에스탑 용접면 부착용 안전모
KR101660000B1 (ko) * 2016-01-08 2016-09-27 이영옥 안전모가 구비된 용접마스크
CN109498270B (zh) * 2018-12-25 2024-02-02 武汉威和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头戴式焊接面罩
KR200493720Y1 (ko) * 2020-09-07 2021-05-25 강영균 페이스 쉴드가 장착된 안전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1731A (en) 1993-06-18 1995-10-31 Shei Kako Kabushiki Kaisha Shield plate mounting structure in helmet
KR100750720B1 (ko) 2006-09-21 2007-08-2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1731A (en) 1993-06-18 1995-10-31 Shei Kako Kabushiki Kaisha Shield plate mounting structure in helmet
KR100750720B1 (ko) 2006-09-21 2007-08-2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974B1 (ko) 2015-01-16 2016-03-04 이규성 다기능 안전모
KR20190014170A (ko) * 2017-07-27 2019-02-12 (주)써보레 보호구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헤드밴드
KR101950979B1 (ko) 2017-07-27 2019-02-22 (주)써보레 보호구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헤드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541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752B1 (ko) 용접헬멧 체결구
US7409723B2 (en) Multifunctional protection rack for safety helmet
KR200405938Y1 (ko) 전면개방형 용접마스크
US8291513B2 (en) Counter balanced, hands free, self positioning, protective shield
US11376161B2 (en) Welder protector
KR101950979B1 (ko) 보호구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헤드밴드
WO2016037539A1 (zh) 具有抬头显示式自动变光过滤器的焊接面罩
KR100789083B1 (ko) 용접마스크
US3380073A (en) Protective device such as welder shield
KR200405939Y1 (ko) 용접마스크용 엘시디차폐경 결합구조
KR101660000B1 (ko) 안전모가 구비된 용접마스크
US20140208476A1 (en) Welding helmet having a dual vision arrangement
KR102353943B1 (ko) 패널 및 ar 코팅층을 포함하는 용접 보호구
KR200441735Y1 (ko) 슬라이드식 보안경이 부착된 안전모
KR101129717B1 (ko) 용접면 부착용 안전모
KR100814366B1 (ko) 용접면
KR101401546B1 (ko) 헤드밴드에 교체가능한 바이저 힌지 결합구조
KR101289968B1 (ko) 작업용 안전모
KR100786134B1 (ko)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US3308477A (en) Shield for welders' helmets
KR102049070B1 (ko) 안전모용 걸이구
KR200415174Y1 (ko) 용접용 헬멧의 차광유리 용접면 구조
FR2890538A1 (fr) Perfectionnements aux casques de protection pour peintre
KR200436144Y1 (ko)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
KR200475810Y1 (ko) 용접용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