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134B1 -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 Google Patents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134B1
KR100786134B1 KR1020050042845A KR20050042845A KR100786134B1 KR 100786134 B1 KR100786134 B1 KR 100786134B1 KR 1020050042845 A KR1020050042845 A KR 1020050042845A KR 20050042845 A KR20050042845 A KR 20050042845A KR 100786134 B1 KR100786134 B1 KR 10078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helmet
mouth
outlet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136A (ko
Inventor
박정선
Original Assignee
박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선 filed Critical 박정선
Priority to KR102005004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13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1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8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supply or suction of gas, air or smoke inside or outside the welding h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1Protecting means
    • B23K9/322Head prot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용접시 발생되는 강한 자외선 및 적외선과 같은 유해광선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차광 용접면이 장착된 용접헬멧에 있어 착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이 상기한 용접면에 부착되어 시야를 가리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입김방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의 얼굴 전체와 좌,우측 및 머리부분은 감싸주고 후방과 하부는 개구되어 있는 헬멧본체와, 상기 헬멧본체의 내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지지되는 헤드밴드와, 상기 헬멧본체의 전방에 장착되어 아크불꽃이 발생되지 않을 때에도 외부를 투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시 아크불꽃이 발생되는 순간에는 그와 동시에 자외선 및 적외선과 같은 유해광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용접면이 구비되어 있는 용접헬멧에 있어서,
상기 용접면의 하측으로서, 상기 용접헬멧을 착용한 작업자의 입과 마주하는 의 헬멧본체의 하부전면에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입김방출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용접헬멧, 용접면, 입김방출구, 고정링, 회전캡

Description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Helmet for welding}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상동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동 조립 및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조립 및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헬멧본체 11 : 상부전면
12 : 하부전면 13 : 전면부
2 : 용접면 3,3a : 입김방출구
31 : 부착부 32 : 지지대
4 : 헤드밴드 5 : 턱지지대
6 : 고정링 61 : 통공
7 : 회전캡 71 : 회전링
72 : 가동배출공 8 : 볼트
82 : 너트 9 : 필터
본 발명은 아크용접시 발생되는 강한 자외선 및 적외선과 같은 유해광선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차광 용접면이 장착된 용접헬멧에 있어 착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이 상기한 용접면에 부착되어 시야를 가리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입김방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용접시 용접아크에서 발생되는 강한 자외선 및 적외선이 사람의 눈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아크용접을 할 때에는 강한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는 차광 용접면이 부착되어 있는 용접마스크를 사용하거나 또는 자동차광 용접면이 장착된 용접헬멧 등을 사용하고 있다.
전자의 용접마스크는 사람의 얼굴 전면을 가릴 수 있는 마스크본체에 아크불꽃에서 발생되는 강한 자외선 및 적외선은 차단하고 아크불꽃을 투시할 수 있는 차광 용접면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또한 작업자가 용접마스크를 들고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스크본체의 전면 하단에 손잡이를 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는바, 이러한 용접마스크는 작업자가 한손으로는 용접마스크를 들고 다른 한손으로는 용접기를 들고 용접하여야 하는데 마스크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차광 용접면은 아크불꽃이 발생되지 않을 때에는 앞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는 마스크본체로 얼굴을 일부 가린 상태에서 한쪽 눈으로 용접봉의 끝단을 주시하고 있다가 용접봉이 용접 부위에 닿는 순간 아크불꽃이 발생되면 재빨리 마스크본체로 얼굴을 가리면서 차광 용접면을 통해 아크불꽃을 투시하면서 용접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용접봉이 용접부위에 닿을 때 발생되는 아크불꽃을 순간적으로 한쪽 눈이 보게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현상은 아크용접을 시작할 때마다 반복되어 아크불꽃에 노출된 한쪽 눈이 점차적으로 나빠지는 폐단이 있었으며, 또한 작업자는 항시 한쪽 손은 마스크본체를 들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용접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후자의 용접헬멧은 작업자가 용접헬멧을 머리 착용한 상태에서 양손을 다 사용하면서 용접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헬멧에는 용접시 아크불꽃이 발생되지 않을 때에는 외부를 투시할 수 있고 아크불꽃이 발생되는 순간에는 그와 동시에 강한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는 차광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광 용접면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전자의 용접마스크에 비하여 작업자의 눈을 효과적으로 보호함과 동시에 양손을 다 사용할 수 있어 용접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으므로 근래에 와서는 자동차광 용접면이 장착된 용접헬멧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용접작업시 아크불꽃이 발생됨과 동시에 아크불꽃에서 발생되는 강한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는 자동차광 용접면이 장착된 용접헬멧은 작업자가 착용하고 용접작업을 할 때 호흡에는 지장을 주지 않지만 작업자의 얼굴 전체와 좌,우측 및 머리 부분을 감싸주는 상태로 착용되므로서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이 자 동차광 용접면에 부착되는 이른바 김서림 현상이 발생되어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가 있는데, 상기한 김서림 현상은 날씨가 차가운 늦가을이나 겨울철에 심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입김이 나오는 계절에는 용접헬멧을 쓰고 용접작업을 진행하는 초기부터 자동차광 용접면에 입김이 서려 시야를 가리게 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용접면에 김이 서리게 될 때마다 수시로 용접헬멧을 벗고 자동차광 용접면에 형성된 김서림을 제거한 후 다시 착용하고 용접을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용접헬멧을 벗을 때에는 용접작업도 중단해야 하므로 용접작업이 더디어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용접헬멧을 착용하고 용접할 때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용접헬멧을 착용한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이 용접헬멧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용접헬멧을 쓰고 용접할 때 용접면에 김서림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므로서 작업자로 하여금 장시간 동안 용접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용접면을 통해 용접부위를 정확하게 투시하면서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업자의 얼굴 전체와 좌,우측 및 머리부분은 감싸주고 후방과 하부는 개구되어 있는 헬멧본체와, 상기 헬멧본체의 내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지지되는 헤드밴드와, 상기 헬멧본체의 전방에 장착되어 아크불꽃이 발생되지 않을 때에도 외부를 투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시 아크불꽃이 발생되는 순간에는 그와 동시에 자외선 및 적외선과 같은 유해광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용접면이 구비되어 있는 용접헬멧에 있어서,
상기 용접면의 하측으로서, 상기 용접헬멧을 착용한 작업자의 입과 마주하는 의 헬멧본체의 하부전면에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입김방출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김방출구는 용접부위에서 발생된 유해가스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은 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하부전면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방출구 외면은 상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단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용접면의 하단을 지지하는 헬멧본체의 상부전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방출구 내면은 상기한 방출구 외면의 상단보다 더 밑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하단이 개구되어 있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접헬멧을 착용한 작업자의 입과 마주하는 헬멧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입김방출구와;
상기 입김방출구의 주연부에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에 의하여 입김방출구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부와;
상기 입김방출구의 외측 주연부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통공이 환형상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을 감싸주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링과, 상기한 회전링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링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통공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공과 연통하여 상기 입김방출구로 유입되는 작업자의 입김이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동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캡;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 및 회전캡의 내측에는 용접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흡착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캡은 전면을 관통하여 입김방출구의 중심에 형성된 부착부에서 결속되는 볼트에 의하여 고정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회전캡에 형성된 가동배출공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각 통공들의 간격이 넓게 벌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상동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상동 조립 및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조립 및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상기의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의 도시는 헬멧본체(1)의 전면 상측에 장착된 용접면(2)의 하단을 지지하게 되는 상부전면(11)과 하부전면(12)의 경계부위에 입김방출구(3)가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의 헬멧본체(1) 내측 상부에는 작업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밴드(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내측 하부에는 작업자의 턱부위를 지지하는 턱지지대(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헤드밴드(4)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늘리고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헬멧본체(1)의 전면 상측에 장착된 용접면(2)은 기존의 용접헬멧에 사용되고 있는 자동전자용접면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자동전자용접면은 작업자가 용접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진행하지 않을 때에도 외부를 투시할 수 있으며, 용접작업을 할 때에는 아크불꽃이 발생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차광작동이 이루어져 아크불꽃에서 발생되는 강한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입김방출구(3)는 헬멧본체(1)를 착용한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용접작업시 사용자가 호흡할 때 아크불꽃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는 헬멧본체(1)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은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입김방출구(3)를 형성하는 방출구 내면(11a)과 방출구 외면(12a) 각각은 서로 상,하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의 도시와 같이 방출구 내면(11a)의 하단(11a-1)은 방출구 외면(12a)의 상단(12a-1)보다 하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이와 반대로 방출구 외면(12a)의 상단(12a-1)은 방출구 내면(11a)의 하단(11a-1)보다 상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헬멧본체(1)를 착용하고 용접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 는 입김은 방출구 내면(11a)의 개구된 하단(11a-1)으로 유입되어 입김방출구(3)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며, 헬멧본체(1)의 외부에서 발생된 유해가스가 하부전면(12)쪽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방출구 외면(12a)을 따라 상향으로 흐르게 되며 입김방출구(3)로는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서 작업자는 마음놓고 호흡을 하면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 3 및 도 4의 도시는 헬멧본체(1)의 전면부(13)에 입김방출구(3a)를 형성한 실시예로서, 상기 입김방출구(3a)의 중심에는 부착부(3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부착부(31)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입김방출구(3a)의 주연부에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32)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입김방출구(3a)의 전면에는 고정링(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링(6)의 둘레에는 다수의 통공(61)이 연속해서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6)에는 회전캡(7)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캡(7)은 고정링(6)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감싸주는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링(71)과, 상기한 회전링(7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6)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61)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공과 연통하는 가동배출공(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캡(7)의 전면 중심에는 볼트(8)가 관통하여 머리부(81)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조립공(7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볼트(8)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는 회전캡(7)의 볼트조립공(73)을 관통하여 입김방출구(3a)의 중심에 형성된 부착부(31)의 내측에서 너트(82)에 의하여 나사체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회전캡(7)이 고정링(6)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인데, 상기 회전캡(7)을 좌,우측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너트(82)를 약간 나사풀림하며, 상기 회전캡(7)을 회전 조절한 후에 상기한 너트(82)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회전캡(7)은 회전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작업자가 용접하고자 하는 용접부위와는 반대방향에 회전캡(7)의 가동배출공(72)이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용접작업시 입에서 나오는 입김은 입김방출구(3a)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링(6)의 다수의 통공(61)으로 배출되지 않고 회전캡(7)의 가동배출공(72)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61)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회전캡(7)의 가동배출공(72)은 용접부위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게 되어 용접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는 가동배출공(72)으로 유입되지는 않게 된다.
도 6의 도시는 전술한 실시예(도 3 및 도 4)의 고정링(6) 내부에 필터(9)를 장착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용접작업시 용접헬멧을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의 호흡에 의해 유해가스가 회전캡(7)의 가동배출공(72)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혹시 발생된다 하더라도 유해가스를 여과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로서 필터(9)를 더 추가하여 구성한 것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각 실시예에서는 고정링(6)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61)들이 서로 근접된 간격을 가지고 원주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상기한 통공(61)들의 이격 간격을 회전캡(7)에 형성된 가동배출공(72)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입김이 발생되지 않는 계절 예를 들면, 봄에서부터 가을과 같이 입김이 생기지 않는 따뜻한 계절에는 굳이 작업 자의 입김을 외부로 방출시키지 않더라도 용접면(2)에 입김이 서리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때에는 회전캡(7)을 회전조작하여 가동배출공(72)이 고정링(6)의 통공(61) 사이에 위치토록 조절하여 입김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해가스도 유입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헬멧본체(1)의 전면부에 입김방출구(3)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헬멧본체(1)를 착용한 작업자의 입과 마주하는 위치에 입김방출구(3)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입에서 나오는 입김이 용접면(2)쪽으로 올라가지 않고 곧바로 입김방출구(3)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용접면(2)에 입김이 서리지 않게 되는 것이며, 설령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 전부가 입김방출구(3)로 방출되지 않고 일부가 용접면(2)으로 올라가게 된다 하더라도 그 량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용접면(2)을 통한 작업자의 시야를 가릴 정도는 아니므로 작업자는 자신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으로 인하여 용접면(2)을 투시하지 못하게 되는 방해현상을 받지 않고 계속하여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헬멧본체(1)의 전면에 형성된 입김방출구(3)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 있듯이 입김방출구(3)를 형성시키는 방출구 내면(11a)과 방출구 외면(12a)이 서로 상,하로 교차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입김의 방출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용접부위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입김방출구(3)로 역류하여 유입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므로서 사용자는 용접작업시 자신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을 외 부로 방출시킬 수 있게 되며, 용접면(2)을 통해서는 용접부위를 정확하게 주시할 수 있게 되므로서 용접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또한 용접작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로부터는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어 편안한 마음과 자세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는 헬멧본체(1)의 전면부(13)에 형성된 입김방출구(3a)의 전면측에 통공(61)이 다수 형성된 고정링(6)의 외주를 회전가능하게 감싸고 있는 회전캡(7)을 회전조작하는 수단으로 회전링(71)의 일측에 형성된 가동배출공(72)의 위치를 사용자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는 용접헬멧을 착용한 작업자가 용접부위의 위치에 대하여 가동배출공(72)을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회전캡(7)을 회전조작하므로서 용접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가동배출공(72)으로의 유입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작업자 자신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은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일례로서, 용접헬멧을 착용한 작업자가 밑을 내려다 보면서 용접하게 될 때에는 용접부위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회전캡(7)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흐르는 상태가 되는데, 이 경우에는 용접헬멧 착용자는 헬멧본체(1)를 착용하기 전에 너트(82)를 약간 나사풀림한 다음 회전캡(7)을 회전조작하여 가동배출공(72)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조절하고, 이어서 너트(82)를 나사조임하여 회전캡(7)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헬멧본체(1)를 착용하고 용접작업을 하게되면 용접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가동배출공(72)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입김은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게 되며, 또는 용접위치가 헬멧본체(1)의 좌측에 있을 경우에는 회전 캡(7)의 회전조작하여 가동배출공(72)의 우측에 위치토록 하면 회전캡(7)의 좌측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의 유입현상은 배제하면서 입김은 가동배출공(72)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접헬멧 착용자는 용접부위의 위치의 반대쪽에 가동배출공(72)이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헬멧본체(1)를 기준하여 용접부위가 사방 어느 위치에 있던지간에 용접헬멧 착용자는 자신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은 외부로 배출시켜 용접면(2)에 입김이 서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용접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는 가동배출공(72)의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용접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링(6) 및 회전캡(7) 내부에 유해가스를 여과하는 필터(9)를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용접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로부터 용접헬멧을 착용하고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만약에, 용접시 발생된 유해가스가 가동배출공(72)을 통해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필터(9)가 유해가스를 여과시키게 되므로서 헬멧본체(1)를 쓰고 있는 작업자는 유해가스의 위험으로부터 안심하고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은 필터(9)를 통해 가동배출공(72)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헬멧본체(1)에 고정링(6)과 회전캡(7)이 장착되는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링(6)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61)들의 이격간격이 회전캡(7)의 가동배출공(72)을 차단할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시켰을 때에는 입김이 발생되지 않는 따뜻한 날씨에 용접작업을 할 때에는 입김을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게 되더라도 용접면(2)에 입김이 서리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회전캡(7)을 회전조작하여 가동배출공(72)이 고정링(6)에 형성된 통공(61)들 사이의 막힌부분에 위치토록 조절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유해가스가 입김방출구(3a)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용접위치에 따라 회전캡(7)을 회전조작하는 수고를 하지 않고도 유해가스에 대한 염려없이 안전하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헬멧을 착용하고 용접작업을 수행할 때 용접헬멧을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을 곧바로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어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용접면을 통해 용접부위를 선명하게 투시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용접을 정밀하게 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용접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작업자의 얼굴 전체와 좌,우측 및 머리부분은 감싸주고 후방과 하부는 개구되어 있는 헬멧본체(1)와, 상기 헬멧본체의 내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지지되는 헤드밴드(4)와, 상기 헬멧본체(1)의 전방에 장착되어 아크불꽃이 발생되지 않을 때에도 외부를 투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시 아크불꽃이 발생되는 순간에는 그와 동시에 자외선 및 적외선과 같은 유해광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용접면(2) 및 상기 용접면 하측에 용접헬멧(1)을 착용한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입김방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용접헬멧에 있어서,
    상기 입김방출구(3)는 용접부위에서 발생된 유해가스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입에서 나오는 입김은 잘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헬멧본체(1)를 착용한 작업자의 입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입김방출구(3)를 형성시키기 위한 방출구 외면(12a)은 상기 헬멧본체(1)의 하부전면(12)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작업자의 입보다 높은 위치에서 그 상단(12a-1)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입김방출구를 형성시키기 위한 방출구 내면(11a)은 용접면(2)의 하단을 지지하는 헬멧본체(1)의 상부전면(11)에서 상기한 방출구 외면(12a)의 내측을 향해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한 방출구 외면(12a)의 상단(12a-1)보다 더 낮은 위치의 작업자 입 앞에서 그 하단(11a-1)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2. 삭제
  3. 작업자의 얼굴 전체와 좌,우측 및 머리부분은 감싸주고 후방과 하부는 개구되어 있는 헬멧본체(1)와, 상기 헬멧본체의 내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지지되는 헤드밴드(4)와, 상기 헬멧본체(1)의 전방에 장착되어 아크불꽃이 발생되지 않을 때에도 외부를 투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시 아크불꽃이 발생되는 순간에는 그와 동시에 자외선 및 적외선과 같은 유해광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용접면(2)이 구비되어 있는 용접헬멧에 있어서,
    상기 용접헬멧을 착용한 작업자의 입과 마주하는 헬멧본체(1)의 전면부(13)에 형성되어 있는 입김방출구(3a)와;
    상기 입김방출구(3a)의 주연부에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대(32)에 의하여 입김방출구(3a)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부(31)와;
    상기 입김방출구(3a)의 외측 주연부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통공(61)이 환형상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고정링(6)과;
    상기 고정링(6)을 감싸주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링(71)과, 상기한 회전링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링(6)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통공(61)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공(61)과 연통하여 상기 입김방출구(3a)로 유입되는 작업자의 입김이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동배출공(72)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캡(7);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6) 및 회전캡(7)의 내측에는 용접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흡착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9)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7)은 그 전면을 관통하여 입김방출구(3a)의 중심에 형성된 부착부에서 결속되는 볼트(8)에 의하여 고정링(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6)은 회전캡(7)에 형성된 가동배출공(72)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각 통공(61)들의 이격간격이 넓게 벌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KR1020050042845A 2005-05-23 2005-05-23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KR10078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845A KR100786134B1 (ko) 2005-05-23 2005-05-23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845A KR100786134B1 (ko) 2005-05-23 2005-05-23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136A KR20070081136A (ko) 2007-08-16
KR100786134B1 true KR100786134B1 (ko) 2007-12-21

Family

ID=3861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845A KR100786134B1 (ko) 2005-05-23 2005-05-23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60B1 (ko) 2012-04-05 2012-08-03 박세광 김서림 방지 용접용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4333A (zh) * 2016-09-07 2016-12-14 芜湖德鑫汽车部件有限公司 挂耳式焊接面罩
JP6426236B1 (ja) * 2017-06-19 2018-11-21 久男 羽生 溶接用手持ちシールド面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239A (ja) * 2000-06-19 2002-01-11 Aiwa Co Ltd 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239A (ja) * 2000-06-19 2002-01-11 Aiwa Co Ltd 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 제2002-7239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60B1 (ko) 2012-04-05 2012-08-03 박세광 김서림 방지 용접용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136A (ko)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1871B2 (en) Face protector lens assembly and method of use
EP2839817B1 (en) Face protector
EP1567824B1 (en) Helmet
AU2018335559B2 (en) Welding helmet
KR101116947B1 (ko) 이중 쉴드가 구비된 안면보호구
US10401651B2 (en) Protection device
KR100786134B1 (ko) 용접면에 입김이 서리지 않는 용접헬멧
US20050114986A1 (en) Paint particle deflector
AU2018337929B2 (en) Protective headgear with adjustable air supply
KR20090095145A (ko) 분리형 용접마스크
KR101000752B1 (ko) 용접헬멧 체결구
KR102262797B1 (ko) 다용도 마스크
KR20020007239A (ko) 습기 방지구조를 갖는 용접 마스크
WO2015034575A1 (en) Face protector lens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11864604B2 (en) Face mask and shield combination
CN211023485U (zh) 一种新型焊接面罩
KR20190002016U (ko) 차세대 용접 마스크
CN213646401U (zh) 多功能焊接组合护具
KR200265389Y1 (ko) 습기 방지구조를 갖는 용접 마스크
CN216293152U (zh) 头戴式防护罩随动结构
US12004585B2 (en) Welding helmet
KR102147827B1 (ko) 용접마스크
AU2012101615A4 (en) A Tradesman's Mask
TW201315453A (zh) 工程防護面罩
KR102360958B1 (ko) 안전모 착용상태에서도 용접 가능한 용접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