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209B1 - 용접마스크 - Google Patents

용접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209B1
KR102244209B1 KR1020190092797A KR20190092797A KR102244209B1 KR 102244209 B1 KR102244209 B1 KR 102244209B1 KR 1020190092797 A KR1020190092797 A KR 1020190092797A KR 20190092797 A KR20190092797 A KR 20190092797A KR 102244209 B1 KR102244209 B1 KR 102244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
welding
operator
reflecto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4851A (ko
Inventor
신성우
조재훈
김명만
Original Assignee
신성우
조재훈
김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우, 조재훈, 김명만 filed Critical 신성우
Priority to KR102019009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2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4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two windows, one for viewing and one for use during the weld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5Visors with full face protection, e.g. for industrial safety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1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movable shutters, e.g. filter discs; Actu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1/00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 F16P1/06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specially designed for we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용접마스크는 마스크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투시구의 전면측으로 투시보안창과 보안경이 배치된 용접마스크의 상기 투시구 저면벽에 투명판을 배치하고, 상기 투시구의 내부에서 상기 투명판의 후방에 투시구의 하방을 반영할 수 있는 평판형의 대물측 반사경을 배치하며, 상기 투명판의 전방에 대물측 반사경에 대응하여 상기 대물측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된 상을 작업자의 시야측으로 다시 반사하는 접안측 반사경을 배치하며, 상기 대물측 반사경은 그 하측에 조절축을 착설하여 상기 투시구의 상기 저면벽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착설하며, 상기 투시구의 외부에 조절놉을 착설하여 작업자가 상기 투시구의 하방을 반영하는 범위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접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접안측 반사경은 접안측 반사경의 상측부가 마스크본체의 투시구에 배치된 보안경 측으로 기울어져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놉은 본 -디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마스크 {WELDING MASK}
본 발명은 용접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어, TIG 아크용접과 같은 특수용접에 사용되는 자동용접기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착용하여 투시창을 통해 자동용접캐리지에 의한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부위와 자동용접기의 조종을 위하여 작업자가 목에 걸고 조종하는 위한 리모트 펜던트와 같은 펜던트조종기를 편안한 자세에서 투시할 수 있는 용접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용접을 수행할 때 용접부위에서 발생하는 고광도의 광선으로부터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고 용접시 발생하는 유독가스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용접마스크를 착용한다. 종래의 이와 같은 용접마스크는 주로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마스크 본체에는 전면에 하나 이상의 보안경이 배치되는 투시창을 갖는 투시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투시부는 작업자의 눈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용접작업시에 용접부위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종래의 통상적인 용접마스크는 작업자가 전면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만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가 전면이 아닌 다른 방향 또는 주위를 투시하고자 할 때에는 마스크본체를 착용한 안면 전체를 투시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작업자가 자동용접장치를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할 때 용접물에 자동용접캐리지가 이동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목에 걸고 조종하는 리모트 펜던트와 같은 용접조종기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가 자신이 착용하고 있는 용접마스크의 전면 투시창만을 이용하여 용접물의 용접부위와 용접조종기의 계측기를 필요에 따라 투시하는데 불편함이 크다. 작업자가 머리를 크게 움직이지 않고 용접물의 용접부위와 용접조종기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투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용접마스크에서는 이러한 작업상의 이점을 기대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1.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80050 (2005.08.11 공개) 2.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95179 (2009.09.09 공개) 3.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16468 (2009.11.11 공개) 4.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62978 (2012.06.15 공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마스크본체의 투시부에 작업자가 시선을 아래로 약간만 움직이면 작업자의 하방에 위치하는 용접현장을 투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전면의 용접부위를 투시하여 확인하는 과정과 시선을 하향하여 용접조종기 등을 불편함이 없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용접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용접마스크는 마스크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투시구의 전면측으로 투시보안창과 보안경이 배치된 용접마스크의 상기 투시구 저면벽에 투명판을 배치하고, 상기 투시구의 내부에서 상기 투명판의 후방에 투시구의 하방을 반영할 수 있는 평판형의 대물측 반사경을 배치하며, 상기 투명판의 전방에 대물측 반사경에 대응하여 상기 대물측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된 상을 작업자의 시야측으로 다시 반사하는 접안측 반사경을 배치하며, 상기 대물측 반사경은 그 하측에 조절축을 착설하여 상기 투시구의 상기 저면벽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착설하며, 상기 투시구의 외부에 조절놉을 착설하여 작업자가 상기 투시구의 하방을 반영하는 범위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접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접안측 반사경은 접안측 반사경의 상측부가 마스크본체의 투시구에 배치된 보안경 측으로 기울어져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놉은 본 -디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용접기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착용하여 투시창을 통해 자동용접캐리지에 의한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부위와 자동용접기의 조종을 위하여 작업자가 목에 걸고 조종하는 리모트 펜던트와 같은 펜던트조종기를 편안한 자세에서 필요에 따라 동시에 투시할 수 있는 용접마스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용접마스크의 투시부를 확대하여 보인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용접마스크의 투시부의 외면을 보인 부분확대 측면도.
도 1에서 작업자가 안면에 착용하는 용접마스크의 마스크본체(10)는 통상적인 용접마스크와 같이 본질적으로 작업자의 안면, 특히 시력과 호흡을 보호하기 위한 장구로서 합성수지, 경금속판재, 또는 이들의 복합재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마스크본체(10)는 작업자의 안면 전체를 가리는 형태로 대체로 장타원 반구형의 형태이며 작업자의 눈에 해당하는 위치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투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투시구(12)의 전면에는 상측이 힌지(14)로 연결되어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구조로 투시보안창(16)이 구비되어 있고 그 내측에 보안경(18)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적인 용접마스크의 구조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투시구(12)의 하측 저면벽(20)에는 투명판(22)이 착설되어 있고 투시구(12)의 내부에서 이러한 투명판(22)의 후방에 투시구(12)의 하방을 반영할 수 있는 평판형의 대물측 반사경(24)이 배치되고, 투명판(22)의 전방에 대물측 반사경(24)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대물측 반사경(24)으로부터 반사된 상(像)을 작업자의 시야측으로 다시 반사하는 접안측 반사경(26)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대물측 반사경(24)은 그 하측에 조절축(28)을 착설하여 투시구(12)의 저면벽(20)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착설하며 투시구(12)의 외부에 조절놉(30)을 착설하여 작업자가 투시구(12)의 하방을 반영하는 범위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TIG 아크용접과 같이 자동용접기를 이용하여 용접물(32)의 자동용접을 수행할 때 용접물(32)에 대한 용접을 수행하는 자동용접캐리지(34)가 사용되고 작업자는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펜던트조종기(36)를 이용하여 자동용접캐리지를 조종한다. 이러한 펜던트조종기(36)는 작업자가 목에 걸고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접마스크는 작업자가 적당한 착용구를 이용하여 마스크본체(10)를 자신의 안면에 착용한다. 작업자는 시야의 전면에 위치하는 마스크본체(10)의 투시구(12)에 배치된 보안경(18)과 투시보안창(16)을 통하여 용접물(32)의 용접부위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자신의 목에 걸고 복부위치에 놓이도록 한 펜던트조종기(36)를 보면서 조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의 경우, 작업자가 머리를 숙여 투시구(12)의 전면을 통하여 펜던트조종기(36)를 보면서 손으로 필요한 조종을 수행하여야 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마스크본체(10)의 투시구(12)의 저면벽(20)에 투명판(22)을 배치하고, 투시구(12)의 내부에서 이러한 투명판(2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대물측 반사경(24)과 접안측 반사경(26)을 입설하여 투시구(12)의 저면벽(20)에 배치된 투명판(22)을 통하여 입사되는 투시구(12)의 하방환경, 예를 들어 작업자가 목에 걸고 복부부분에서 조종하는 자동용접기의 펜던트조종기(36)의 상(像)이 대물측 반사경(24)에 입사되었다가 접안측 반사경(26) 측으로 반사되고 반사된 상이 접안측 반사경(26)에서 반사되어 작업자의 시야에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마스크본체(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머리를 숙이지 않고 하측방향의 대상물,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펜던트조종기(36)를 투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대물측 반사경(24)에 입사되어 반사되는 상은 좌우 또는 상하가 반전된 반전상(反轉像)이지만 이러한 반전상이 다시 접안측 반사경(26)에 입사되었다가 반사되어 작업자의 시야에 들어갈 때는 정상의 상으로 바뀌므로 작업자가 혼돈없이 펜던트조종기(36)를 조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안측 반사경(26)은 작업자의 시야를 감안하여 상부가 전방측으로 기울어진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된 반면에, 대물측 반사경(24)은 투시구(12)의 저면벽(20)에 축설되는 조절축(28)을 가짐으로써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도조절은 투시구(12)의 외측으로 연장된 조절축(28)의 단부에 고정된 조절놉(30)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된 위치는 적당한 정지구를 이용하여 정지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정지구로서는 통상적인 수단으로 조절축(28)과 저면벽(20)의 축수부 사이의 마찰이거나, 볼-디텐트(ball-detent) 수단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마스크본체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야를 전방의 용접부위 측으로 향하게 한 자세로 머리를 숙이지 않고 마스크본체의 투시구 내에 배치된 대물측 반사경과 접안측 반사경을 이용하여 하방의 대상물을 정상상으로 투시할 수 있어 용접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10: 마스크본체, 12: 투시구, 14: 힌지, 16: 투시보안창, 18: 보안경, 20: 저면벽, 22: 투명판, 24: 대물측 반사경, 26: 접안측 반사경, 28: 조절축, 30: 조절놉, 32: 용접물, 34: 자동용접캐리지, 36: 펜던트조종기.

Claims (2)

  1. 마스크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투시구(12)의 전면측으로 투시보안창(16)과 보안경(18)이 배치된 용접마스크의 상기 투시구(12) 저면벽(20)에 투명판(22)을 배치하고, 상기 투시구(12)의 내부에서 상기 투명판(22)의 후방에 투시구(12)의 하방을 반영할 수 있는 평판형의 대물측 반사경(24)을 배치하며,
    상기 투명판(22)의 전방에 대물측 반사경(24)에 대응하여 상기 대물측 반사경(24)으로부터 반사된 상을 작업자의 시야측으로 다시 반사하는 접안측 반사경(26)을 배치하며, 상기 대물측 반사경(24)은 그 하측에 조절축(28)을 착설하여 상기 투시구(12)의 상기 저면벽(20)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착설하며,
    상기 투시구(12)의 외부에 조절놉(30)을 착설하여 작업자가 상기 투시구(12)의 하방을 반영하는 범위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접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접안측 반사경(26)은 접안측 반사경(26)의 상측부가 마스크본체(10)의 투시구(12)에 배치된 보안경(18) 측으로 기울어져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놉(30)은 본 -디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마스크.
  2. 삭제
KR1020190092797A 2019-07-31 2019-07-31 용접마스크 KR102244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97A KR102244209B1 (ko) 2019-07-31 2019-07-31 용접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97A KR102244209B1 (ko) 2019-07-31 2019-07-31 용접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851A KR20210014851A (ko) 2021-02-10
KR102244209B1 true KR102244209B1 (ko) 2021-04-26

Family

ID=7456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797A KR102244209B1 (ko) 2019-07-31 2019-07-31 용접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764A (ko) 2022-05-19 2023-11-28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9571A (en) 1984-11-16 1987-03-17 Falkiner Raymond C Dual vision welding helme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631A (ja) * 1996-12-27 1998-07-07 West Japan Railway Co 不可視領域の溶接作業用保護具
KR0182188B1 (ko) * 1996-12-30 1999-04-01 이원 반사경이 부착된 용접헬멧
KR20050080050A (ko) 2005-07-05 2005-08-11 한명진 용접마스크
KR20090095179A (ko) 2008-03-05 2009-09-09 유한회사 고산테크 용접마스크겸용 안면보호구
KR100972613B1 (ko) 2008-05-07 2010-07-27 한명진 용접마스크겸용 안면보호구
KR101178254B1 (ko) * 2010-07-30 2012-08-29 (주)경도상사 용접용 투시 보호구
KR101202519B1 (ko) 2010-12-07 2012-11-16 유상섭 용접 마스크
KR102022584B1 (ko) * 2017-09-12 2019-09-18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용 보호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9571A (en) 1984-11-16 1987-03-17 Falkiner Raymond C Dual vision welding helm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764A (ko) 2022-05-19 2023-11-28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851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0198B2 (en) Protection device for a welder
US8291513B2 (en) Counter balanced, hands free, self positioning, protective shield
US8266724B2 (en) Helmet equipped with eye shield and with face-conformable gasket along edge portion of eye shield
CN105380746B (zh) 具有抬头显示式自动变光过滤器的焊接面罩
EP3541220B1 (en) Lighting attachment for welding helmets
US4937879A (en) Automatic welding helmet
US11324274B2 (en) Welding helmet
KR101440263B1 (ko) 무선 자동 차광수단이 구비된 용접헬멧 및 그 제어방법
KR102244209B1 (ko) 용접마스크
CN105769437B (zh) 配备无线模块的抬头显示式焊接面罩
KR101179354B1 (ko) 용접 마스크
US20210113891A1 (en) Adjustable Belay Optical Systems and Methods
US11648151B2 (en) Welding helmet
US1885744A (en) Welder's device
US2309599A (en) Counterbalance for welder's hoods
JP3135775U (ja) 防護マスク装置
JP6818069B2 (ja) 溶接面および溶接方法
FI90624B (fi) Suojalaite
KR20160094516A (ko) 용접건 스크린
KR20110017484A (ko)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한 용접 헬멧의 눈부심 방지장치
JP2002144044A (ja) 溶接用液晶防護面
US20220000667A1 (en) Welding helmet with a stepless adjustable protective shield stop
RU104064U1 (ru) Защитная маска сварщика
KR20210019831A (ko)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
KR20200086045A (ko) 핸즈프리 안면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