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831A -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 - Google Patents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831A
KR20210019831A KR1020190098943A KR20190098943A KR20210019831A KR 20210019831 A KR20210019831 A KR 20210019831A KR 1020190098943 A KR1020190098943 A KR 1020190098943A KR 20190098943 A KR20190098943 A KR 20190098943A KR 20210019831 A KR20210019831 A KR 20210019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upled
rotation
face protection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517B1 (ko
Inventor
서운수
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써보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써보레 filed Critical (주)써보레
Priority to KR102019009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517B1/ko
Priority to US16/692,451 priority patent/US11406539B2/en
Publication of KR2021001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5Special attachment of screens, e.g. hinged, removable; Roll-up protectiv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2Use of special optical filters, e.g. multiple layers, filters for protection against laser light or light from nuclear explosions, screens with different filter properties on different parts of the screen; Rotating slit-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7Straps; Buckles; Attachment of head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1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movable shutters, e.g. filter discs; Actu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1/00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 F16P1/06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specially designed for we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작업자의 안면 일측에 지지되고, 적어도 작업자의 안면 일측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안면보호수단과, 상기 작업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고정수단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수단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안면보호수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수단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 및 상기 회동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회동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안면보호수단의 일측에 연결되는 이동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수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 일측에 일측이 안면보호수단에 결합되는 이동브라켓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회전개폐를 위한 안면보호수단의 전후이동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Facial protection equipment for easy operation of rotating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수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 일측에 일측이 안면보호수단에 결합되는 이동브라켓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회전개폐를 위한 안면보호수단의 전후이동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용접은 2개 이상의 고체금속을 하나로 접합시키는 금속 가공으로서, 일반적으로 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높은 에너지 열원이 필요한데 이러한 에너지원으로 고압전기나 산소, 아세틸렌, 아르곤 등의 고압·폭발성 가스가 사용된다. 용접에 의한 유해성과 위험성은 용접작업에서 발생하는 용접흄(흄 중에 포함된 금속성분) 또는 유해가스, 유해광선, 소음, 고열환경 등으로 인해 비롯되는 것이다.
여기서, 용접흄이란 용접 시 열에 의해 증발된 물질이 냉각되어 생기는 미세한 소립자를 말하는 것으로써, 고온의 아크 발생열에 의해 용융금속 증기가 주위에 확산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인데, 피복 아크용접에 있어서의 흄 발생량과 용접 전류의 관계는 전류나 전압, 용접봉 지름이 클수록 발생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또한, 발생되는 유해광선인 강한 자외선 및 적외선은 사람의 눈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용접을 할 때에는 유해광선 및 용접흄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광 플레이트가 부착된 용접마스크 또는 용접고글, 호흡 마스크 등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2012년도에 출원한 특허등록 제1482166호의 용접용 차광고글(이하 '종래의 용접용 차광고글'이라 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용 차광고글(100)은 작업자의 안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LCD렌즈를 통해 주변 광량에 따라 작업자의 시야를 차광함으로써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는 자동 차광부(110)와, 양측단부가 자동차광부(110)의 양측부에 각각 연결되고 작업자의 두부에 착용되어 자동 차광부(110)의 배치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밴드(120) 및 자동 차광부(110)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작업자의 안면 일측에 밀착되는 스커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용접용 차광고글(100)은 용접 작업시 발생되는 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광량에 따라 LCD렌즈가 자동 차광하여 작업자의 안구를 강한 빛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는데, 여기서, 스커트(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유해광이나 용접스패터, 그라인더 비산물, 흄가스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작업자는 용접 과정 중 착용 중인 차광고글(1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자동 차광부(110)를 머리 위로 올려 시야를 보다 확보하게 되는데, 스커트(130)가 작업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동 차광부(11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경우 스커트(130)가 작업자 안면에 쓸리게 되므로 작업자는 자동 차광부(110)를 앞으로 잡아 당긴후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그러나, 자동 차광부(110)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밴드(120)가 작업자의 두부에 견고하게 밀착된 경우 자동 차광부(110)를 앞으로 당기는 동작에 상당한 힘이 소요되므로 그 동작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용접 작업 후 자동 차광부(110)를 쉽게 앞으로 잡아당겨 회전이 용이한 안면보호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수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 일측에 일측이 안면보호수단에 결합되는 이동브라켓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회전개폐를 위한 안면보호수단의 전후이동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동브라켓 및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복귀부재 및 회동브라켓 및 연결부재 중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마그넷을 통해 이동브라켓 이동조작 후 이동브라켓의 복귀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면보호수단의 회전개폐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브라켓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자유회전부의 일측이 회동브라켓 내면 일측에 지지되도록 하여 이동브라켓의 적어도 어느 일측이 회동브라켓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브라켓의 이동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작업자의 안면 일측에 지지되고, 적어도 작업자의 안면 일측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안면보호수단과, 상기 작업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고정수단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수단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안면보호수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수단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 및 상기 회동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회동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안면보호수단의 일측에 연결되는 이동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에 상기 회동브라켓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 중 서로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마그넷이 부착되고, 상기 마그넷은 서로 인력을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브라켓은 상기 회전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회전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단부가 상기 회동브라켓의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자유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수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 일측에 일측이 안면보호수단에 결합되는 이동브라켓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회전개폐를 위한 안면보호수단의 전후이동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동브라켓 및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복귀부재 및 회동브라켓 및 연결부재 중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마그넷을 통해 이동브라켓 이동조작 후 이동브라켓의 복귀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면보호수단의 회전개폐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브라켓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자유회전부의 일측이 회동브라켓 내면 일측에 지지되도록 하여 이동브라켓의 적어도 어느 일측이 회동브라켓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브라켓의 이동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2012년도에 출원한 특허등록 제 1482166호의 용접용 차광고글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개폐가 용이한 안면보호구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개폐가 용이한 안면보호구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수단을 전방으로 당기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수단을 상방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수단이 머리에 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브라켓이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개폐가 용이한 안면보호구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개폐가 용이한 안면보호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개폐가 용이한 안면보호구(1)는 안면보호수단(10)과, 고정수단(20) 및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면보호수단(10)은 작업자의 안면 일측에 배치되어 적어도 작업자의 안면 일측을 차폐함으로써 용접작업시 발생하는 유해광 또는 용접흄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차광렌즈(12)가 구비된 용접마스크 또는 용접고글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접고글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안면보호수단(10)은 본체(11)와, 본체(11) 일측 중 작업자의 안구와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차광렌즈(12) 및 본체(11)의 후단부 외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작업자의 안면 중 안구 주변에 밀착되는 스커트(13)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스커트(13)는 본체(11)와 작업자의 안면 사이로 유해광이나 용접스패터, 그라인더 비산물, 흄가스 등이 본체(1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수단(20)은 작업자의 두부(頭部) 착용되고, 후술하는 연결부재(30)를 통해 안면보호수단(10)과 연결되어 안면보호수단(10)이 작업자의 안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수단(20)은 작업자의 두부 둘레에 착용되는 밴드부(21)와, 밴드부(21)의 일측에 결합되어 밴드부(21)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밴드부(21)가 작업자의 두부에 착용된 후 길이조절부(22)를 통해 밴드부(21)를 조임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작업자의 두부에 착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20)은 작업자의 두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도록 작업자의 머리둘레 방향으로 착용되는 제1 밴드유닛(21a)과, 양측단부가 제1 밴드유닛(21a)의 일측에 결합되고 작업자의 머리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 밴드유닛(2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밴드유닛(21a)은 후술하는 회동브라켓(31)의 회전고정공(31a)과 대응되는 일측에 고정돌기(21aa)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1 밴드유닛(21a)은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0)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이를 지지하기 위한 캡(C)과 와셔(Y)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30)는 일단부가 고정수단(20)의 일첵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31)과, 회동브라켓(31)의 일측에 회동브라켓(3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안면보호수단(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이동브라켓(32)과, 회동브라켓(31)과 이동브라켓(32) 사이에 개재되는 복귀부재(33)와, 회전브라켓과 이동브라켓(32) 중 서로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마그넷(3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작업자가 안면보호수단(10)을 회전개폐하고자 하는 경우 안면보호수단(10)의 전방이동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브라켓(31)은 일단부가 제1 밴드유닛(21a)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회전방향으로 다수의 회전고정공(31a)이 형성되어 일단부가 제1 밴드유닛(21a)으로부터 회전동작 된 후 제1 밴드유닛(21a)의 고정돌기(21aa)를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회전고정공(31a)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위치가 고정된다.
이러한 회동브라켓(31)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밴드유닛(21a)에서 회전하여 안면보호수단(10)에 회전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동브라켓(32)을 지지하여 고정수단(20)과 안면보호수단(10)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브라켓(32)은 일측이 회동브라켓(31)의 일측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브라켓(3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가 안면보호수단(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때, 이동브라켓(32)은 안면보호수단(10)의 착용용이성을 위해 일단부가 안면보호수단(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이동브라켓(3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동브라켓(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즉 회동브라켓(31)에 안면보호수단(10)의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가 안면보호수단(10)을 회전개폐하고자 하는 경우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안면보호수단(10)이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동브라켓(32)은 회전브라켓의 일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몸체(32a)와, 이동몸체(32a)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유회전부(3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유회전부(32b)는 원형 단면을 갖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 일측이 이동몸체(32a)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양측단부가 회동브라켓(31)의 일측에 각각 지지되어 적어도 이동몸체(32a)의 일측이 회동브라켓(31)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자유회전부(32b)는 이동몸체(32a)가 회동브라켓(31)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이동몸체(32a)가 회동브라켓(31)으로 이격배치되도록 하여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할 뿐 아니라 이동몸체(32a)의 이동동작에 따라 회동브라켓(31) 일측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여 이동몸체(32a)의 이동동작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복귀부재(33)는 일단부가 회동브라켓(31)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이동브라켓(32)의 일측에 지지되어 이동브라켓(32)에 회동브라켓(31)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안면보호수단(10)을 전방으로 당겨 상방으로 회전개폐 조작을 완료한 경우 탄성력에 의해 이동브라켓(32)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마그넷(34)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브라켓과 이동브라켓(32) 중 서로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설치되되, 서로 인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바 복귀부재(33)와 같이 작업자가 안면보호수단(10)을 전방으로 당겨 상방으로 회전개폐 조작을 완료한 경우 인력에 의해 이동된 이동브라켓(32)을 당겨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수단을 전방으로 당기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수단을 상방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수단이 머리에 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브라켓이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1)의 동작을 첨부된 도6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안면보호수단(10)의 스커트(13)를 안면 중 눈 주위에 밀착한 상태로 용접작업을 수행한다.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안면보호수단(10)을 머리에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안면보호수단(10)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자유회전부(32b)의 양측단부가 회동브라켓(31)의 일측에 지지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자유회전하며, 이동브라켓(32)은 회동브라켓(31)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전방으로 이동된다.
안면보호수단(10)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커트(13)부가 작업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작업자는 스커트(13)부가 안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안면보호수단(10)을 상방으로 회전한 후 안면보호수단(10)의 파지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안면보호수단(10)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서 복귀부재(33)가 이동브라켓(32)에 회동브라켓(31)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이동브라켓(32)이 초기위치로 자동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브라켓(32)에 부착된 마그넷(34)과 회동브라켓(31)에 부착된 마그넷(34)간 서로 인력이 발생하면서 이동브라켓(32)이 초기위치에 쉽게 복귀함으로써 용접고글이 작업자의 머리에 거치된다.
이후, 이동브라켓(32)에 부착된 마그넷(34)과 회동브라켓(31)에 부착된 마그넷(34)간 인력에 의해 용접고글의 거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용접고글을 재착용하는 동작은 위 동작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안면보호수단 11 : 본체
12 : 차광렌즈 13 : 스커트
20 : 고정수단 21 : 밴드부
21a : 제1 밴드유닛 21aa : 고정돌기
21b : 제2 밴드유닛 22 : 길이조절부
30 : 연결부재 31 : 회동브라켓
31a : 회전고정공 32 : 이동브라켓
32a : 이동몸체 32b : 자유회전부
33 : 복귀부재 34 : 마그넷

Claims (4)

  1. 일측이 작업자의 안면 일측에 지지되고, 적어도 작업자의 안면 일측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안면보호수단과;
    상기 작업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고정수단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수단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안면보호수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수단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 및
    상기 회동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회동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안면보호수단의 일측에 연결되는 이동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에 상기 회동브라켓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 중 서로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마그넷이 부착되고, 상기 마그넷은 서로 인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라켓은
    상기 회전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회전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단부가 상기 회동브라켓의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자유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
KR1020190098943A 2019-08-13 2019-08-13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 KR10232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943A KR102326517B1 (ko) 2019-08-13 2019-08-13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
US16/692,451 US11406539B2 (en) 2019-08-13 2019-11-22 Facial protection equipment for easy operation of rotating opening and clo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943A KR102326517B1 (ko) 2019-08-13 2019-08-13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831A true KR20210019831A (ko) 2021-02-23
KR102326517B1 KR102326517B1 (ko) 2021-11-15

Family

ID=7456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943A KR102326517B1 (ko) 2019-08-13 2019-08-13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06539B2 (ko)
KR (1) KR1023265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7419A (en) * 1992-08-24 1994-08-16 Infection Control Products, Inc. Face protector
US6341382B1 (en) * 2000-11-06 2002-01-29 Jackson Products, Inc. One-piece adjustable headgear support
KR101236728B1 (ko) * 2010-12-13 2013-02-25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 마스크용 힌지 결합구조
KR20180018255A (ko) * 2016-08-10 2018-02-21 타이커만 일렉트로닉스 헤드밴드 구성체 및 이 헤드밴드 구성체가 장착된 용접 헬멧
KR20190014170A (ko) * 2017-07-27 2019-02-12 (주)써보레 보호구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헤드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512A (en) * 1975-05-12 1978-01-24 Tore Georg Palmaer Locating device for ear-muffs on helmets
US9433252B2 (en) * 2012-07-31 2016-09-06 Revision Military S.Ar.L. Helmet accessory attachment system
KR101482166B1 (ko) 2013-03-12 2015-01-14 (주)써보레 마스크 탈착형 자동 차광 고글
IT201700021390A1 (it) * 2017-02-24 2018-08-24 Ci Erre E S R L Casco protettivo con visiera/occhiale ribaltabi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7419A (en) * 1992-08-24 1994-08-16 Infection Control Products, Inc. Face protector
US6341382B1 (en) * 2000-11-06 2002-01-29 Jackson Products, Inc. One-piece adjustable headgear support
KR101236728B1 (ko) * 2010-12-13 2013-02-25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 마스크용 힌지 결합구조
KR20180018255A (ko) * 2016-08-10 2018-02-21 타이커만 일렉트로닉스 헤드밴드 구성체 및 이 헤드밴드 구성체가 장착된 용접 헬멧
KR20190014170A (ko) * 2017-07-27 2019-02-12 (주)써보레 보호구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헤드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517B1 (ko) 2021-11-15
US20210045921A1 (en) 2021-02-18
US11406539B2 (en)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979B1 (ko) 보호구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헤드밴드
US9610198B2 (en) Protection device for a welder
US4937879A (en) Automatic welding helmet
US9474651B2 (en) Detachable welding face mask
CN102370541B (zh) 焊接用透视护具
CN109718007A (zh) 一种护目镜内掀式面罩
KR102326517B1 (ko) 회전개폐조작이 용이한 안면보호구
CN214489201U (zh) 一种用于竖面焊接的电弧焊防护罩
KR101724666B1 (ko) 알곤 용접 보호장치
US10766104B2 (en) Welding accessory apparatus
KR101986257B1 (ko) 헤드밴드용 지지패드
US1885744A (en) Welder's device
KR102244209B1 (ko) 용접마스크
KR102188439B1 (ko) 기능성 용접면
GB2388807A (en) Weld gun protective cover
KR200460038Y1 (ko) 손잡이 일체형 용접 마스크
CN103735353A (zh) 一种头盔式焊接面罩
CN220698598U (zh) 焊枪罩
JPH10298819A (ja) ヘルメット用保護メガネ装置
JPH0910252A (ja) 溶接溶断保護面
KR200200629Y1 (ko) 용접용 마스크
KR200166304Y1 (ko) 용접용헬멧의차단경개폐장치
CN219847071U (zh) 机械焊接用面部护罩
KR101503900B1 (ko) 용접 마스크
US20210220939A1 (en) Mig torch head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