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756A - 충전된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복합재 - Google Patents

충전된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복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756A
KR20070004756A KR1020067019514A KR20067019514A KR20070004756A KR 20070004756 A KR20070004756 A KR 20070004756A KR 1020067019514 A KR1020067019514 A KR 1020067019514A KR 20067019514 A KR20067019514 A KR 20067019514A KR 20070004756 A KR20070004756 A KR 20070004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glass
reinforced thermo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에스. 드'소우자
브리안 씨. 이스틴
로날드 제이. 이스라엘손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0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7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from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balloons, e.g. syntactic fo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29B7/90Fillers or reinforcements, e.g.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85Use of fibrou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8G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10T428/24994Fiber embedded in or on the surface of a polymeric matri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10T428/24994Fiber embedded in or on the surface of a polymeric matrix
    • Y10T428/249942Fibers are aligned substantially parallel
    • Y10T428/249945Carbon or carbonaceous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10T428/24994Fiber embedded in or on the surface of a polymeric matrix
    • Y10T428/249942Fibers are aligned substantially parallel
    • Y10T428/249946Glass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1Preformed hollow element-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1Preformed hollow element-containing
    • Y10T428/249974Metal- or silicon-contain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중공 버블을 포함하는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복합재는 놀랍게도 낮은 밀도 및 견고한 물리적 특성의 보존을 제공한다.
열가소성 복합재, 낮은 밀도, 견고한 물리적 특성

Description

충전된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복합재 {FILLED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본 발명은 개선된,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수지의 복합재, 특히 유리 버블로 충전된 섬유로 강화된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물질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열가소성 복합재에 섬유를 혼입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물질에 섬유를 혼입시켜 열가소성 물질을 강화시킴으로써 충격 강도, 인장 강도, 인장 및 굴곡 탄성률, 및 열가소성 물품 또는 부재의 수축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섬유와 비교하여 선형 열 팽창 및 수축성의 계수를 더욱 등방성으로 달성시키고 열가소성 물품 또는 부재의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지 조성물에 충진제로서 중공 입자를 혼입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중공 입자의 혼입으로 달성되는 밀도의 감소는 복합재의 원하는 물리적 특성의 감소라는 희생이 따른다.
개선된,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복합재의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중공 유리 미소구로 충전된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수지의 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재는 더욱 낮은 밀도 및 견고한 물리적 기계적 특성 (예를 들어, 내충격성, 인장 강도, 인장 및 굴곡 탄성률, 수축의 감소, 및 수분 흡수의 감소)의 놀랄만한 조합을 제공한다.
복합재의 인장 강도 및 다른 물리적 특성을 실질적으로 상당히 감소시키지 않고도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수지의 복합재의 밀도가 중공 유리 버블 또는 미소구로 충전함으로써 상당히 감소될 수 있음은 예상치 못한 발견이었다. 결과적으로,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복합재는 더욱 가볍지만 바람직하게는 견고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적 용도에의 사용을 위한 복합재, 예를 들면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한 부품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본 발명의 복합재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 강화 충진제 및 중공 유리 버블 또는 미소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복합재는 추가로 커플링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수지, 섬유, 버블, 및 복합재에서의 다른 성분들인, 난연제, 착색제, 등과의 상용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의 예시적 예는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TPI),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나일론, 및 이들의 블렌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예시적 예는 듀퐁사의 지텔™ 101L (Zytel™ 101L) 수지, 나일론 6,6 수지 및 나일론의 블렌드 (예를 들어 GE사로부터 입수가능한 나일론과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블렌드인 노릴 GTX (NORYL GTX))를 포함한다.
많은 공지된 섬유 강화 충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섬유 강화 충진제의 예시적 예는 유리, 흑연, 케블라™ (Kevlar™) 섬유, 등을 포함한다. 충진제는 생성되는 복합재의 원하는 특성에 부분적으로 의존하여 선택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둘 이상의 종류의 충진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상적인 복합재는 약 7 내지 약 35 중량 퍼센트의 섬유 강화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적은 양이 사용될 수는 있으나 물리적 특성을 불충분하게 조절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더욱 많은 양이 사용될 수는 있으나 너무 많이 하중된 복합재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섬유 강화 충진제는 수지 매트릭스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 또는 티타네이트 커플링제, 예를 들어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APS") 또는 N-2-(아미노에틸)-3-아미노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은 아미노실란이 사용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섬유 강화 충진제는 통상적으로 충진제 상에 커플링제를 함께 가지고 있다.
많은 공지된 중공 미소구 또는 버블, 통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밀도의 원하는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복합재를 처리하는 동안 버블의 생존을 개선시키기 위해, 고 강도 유리 버블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바람직하다.
몇몇 예에서, 대다수의 버블은 열가소성 배합 및 압출 작업을 견디기 위해서는, 3,000 PSI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 PSI 초과의 이소탁틱 파쇄 강도를 보여야만 한다. 몇몇 실시태양에 있어서,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배합 및 압출 작업 뿐 아니라 팰릿화 및 사출 성형을 견디기 위해서 18,000 PSI 이상의 이소탁틱 파쇄 강도에 노출시 높은 생존성을 보일 것이다. 유리 버블의 강도는 통상적으로 ASTM D3102-72; "중공 유리 미소구의 유체정역학적 붕괴 강도" (Hydrostatic Collapse Strength of Hollow Glass Microspheres)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러한 유리 버블의 예시적 예로는 소다-석회-붕규산염 유리이며 18,000 psi의 이소탁틱 파쇄 강도, 0.60 g/cc의 밀도, 및 약 30 마이크론의 평균 지름을 보이는 3M™ 스콧클리트™ (Scotchlite™) S60HS 유리 버블이 있다.
본 발명의 통상적 복합재는 약 5 내지 약 20 중량 퍼센트의 버블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더욱 적은 양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밀도에 있어 더욱 제한된 감소만을 나타낼 것이다. 더욱 많은 양이 사용될 수 있으나 너무 많이 하중된 복합재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버블은 필요하다면 수지 매트릭스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될 수 있으나, 버블이 섬유로 강화되지 않은 수지 매트릭스에 혼입된 경우에 관찰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러한 처리가 특성에 있어 상당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음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물품은 사출 성형, 압출, 및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물품을 형성하는 다른 공지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복합재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우수한 인장 특성을 갖는 경량 부품의 유용성에 대한 몇몇 예는 사용자의 피로를 감소시키고(거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포츠 제품, 연료 절약, 가속의 개선 또는 더욱 높은 최고 속도, 및 연료 방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송기관 (자동차, 우주선, 등)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6068450519-PCT00001
표면 처리
구체적으로, 유리 버블을 표면 처리 전에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세척 후, 발연 실리카 (2 중량% 이하)를 유리 미소구와 혼합시켰다. 실란 처리화합물 (APTES 또는 AEAPTMS)을 물에 용해시켰다 (0.2 내지 0.5 중량%). 그후 용액 (1500 g)을 로스 혼합기 (Ross Mixer) (뉴욕주 하우파우지에 위치한 찰스 로스 & 손 사 (Charles Ross & Son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함)에 넣었다. 이어서 중간 속도에서 혼합이 시작되었고 유리 미소구 (GM)가 천천히 첨가되었다. GM의 첨가가 끝난 후, 혼합물을 추가 15분 동안 계속해서 혼합되게 하였다. 생성된 습윤 GM 페이스트를 그 후 알루미늄 팬에 부었고 80℃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 미소구를 180 마이크론 체를 통하여 체질하였다. 통상적으로 처리된 GM의 수득률은 90% 초과였다.
복합재의 배합 및 성형
모든 시료를 미소구 및 유리 섬유에 대한 상단 공급기, 수조 및 펠릿타이저 부가물이 장착된 베르스토프 울트라 글라이드 (Berstorff Ultra Glide) 이축 스크류 압출기 (TSE; 25 mm 스크류 지름; 길이와 지름의 비가 36 : 1; 독일 하노버의 베르스토프 게엠베하 (Berstorff GmbH)로부터 입수가능함) 상에서 배합하였다. 스크류 속도는 140 내지 160 rpm의 범위에 있었다. 온도 설정점은 200°F 내지 575°F (93℃ 내지 302℃)의 범위에 있었으나, 실제 값은 500°F 내지 575°F (93℃ 내지 260℃) 범위에 있었다. TSE 처리량은 약 101 bs/hr이었다.
그 후 시험 표본을 ASTM 네개의 금형을 사용하는 150톤 엔젤 사출 성형기 (Engel Injection Molding Machine) (오스트리아 시베르트베르그에 위치한 엔젤 게엠베하 (ENGEL GmebH)로부터 입수가능함) 상에서 성형시켰다. 사용된 스크류 지름은 30 mm였고 사출 압력은 미소구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18,000 psi (124 Mpa) 미만으로 유지되었다.
시험법
인장 탄성률
인장 탄성률을 하기의 ASTM 시험법 D-638로 측정하여 Mpa로 나타내었다.
극한 인장 탄성률
극한 인장 탄성률을 하기의 ASTM 시험법 D-638로 측정하여 Mpa로 나타내었다.
굴곡 탄성률
굴곡 탄성률을 하기의 ASTM 시험법 D-790으로 측정하여 Mpa로 나타내었다.
극한 굴곡 강도
극한 굴곡 강도를 하기의 ASTM 시험법 D-790으로 측정하여 Mpa로 나타내었다.
파단 신장률
파단 신장률을 하기의 ASTM 시험법 D-638으로 측정하여 %로 나타내었다.
밀도
사출 성형된 복합재 물질의 밀도를 ASTM D-2840-69, "중공 미소구의 평균 입자 진밀도 (Average True Particle Density of Hollow Microsphere)"에 따라 측정하는데 조지아주 노르크로스에 위치한 마이크로메리틱스사 (Micromeritics)로부터 상표명 "아큐픽 1330 피크노미터 (ACCUPYC 1330 PYCNOMETER)" 하에 입수되는 완전히 자동화된 가스 변위 비중병이 사용되었다.
물리적 측정 과정
사출 성형된 복합재 시료의 밀도를 마이크로메리틱스 아큐픽 1330 헬륨 피크노미터 (조지아주 노르크로스 마이크로메레틱스 인스트루먼트사 (Micromeritics Instrument Corporation)로부터 입수가능함)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출 성형된 복합재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을 표 1에 열거된 ATSTM 표준 시험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112006068450519-PCT00002
다양한 복합재를 표 2에 나타난 조성물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68450519-PCT00003
Figure 112006068450519-PCT00004
복합재를 상기 나타난 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표 3에 나타낸 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06068450519-PCT00005

Claims (6)

  1.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하나 이상의 섬유 강화 충진제, 및 중공 미소구를 포함하는 복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TPI),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나일론, 및 이들의 블렌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강화 충진제가 유리, 흑연 및 케블라™ 섬유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가 7 내지 35 중량 퍼센트의 상기 섬유 강화 충진제를 포함하는 복합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소구가 유리 버블인 복합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가 5 내지 20 중량 퍼센트의 상기 버블을 포함하는 복합재.
KR1020067019514A 2004-03-22 2005-03-22 충전된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복합재 KR20070004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521504P 2004-03-22 2004-03-22
US60/555,215 2004-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756A true KR20070004756A (ko) 2007-01-09

Family

ID=3496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514A KR20070004756A (ko) 2004-03-22 2005-03-22 충전된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복합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38864A1 (ko)
EP (1) EP1727855A2 (ko)
JP (1) JP2007530739A (ko)
KR (1) KR20070004756A (ko)
CN (1) CN1934176A (ko)
WO (1) WO200509296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339A (ko) * 2013-05-01 2016-01-1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합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된 물품
WO2022182000A1 (ko) * 2021-02-26 2022-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란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수지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4892B4 (de) * 2005-02-03 2008-11-13 Lanxess Deutschland Gmbh Mit kugelförmigem Glas gefüllte thermoplastische Polyamide
US20070104943A1 (en) * 2005-11-10 2007-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led polymer composites
KR100828654B1 (ko) 2006-04-13 2008-05-09 주식회사 코오롱 엔진커버용 폴리아미드 하이브리드 수지 조성물
US20080191378A1 (en) * 2007-02-14 2008-08-14 Brian Paul Microsphere reinforcement of composite materials
EP2129716B1 (en) 2007-02-28 2018-05-23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Thermoplastic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spheres
FR2939077B1 (fr) * 2008-12-03 2013-01-11 Ateca Materiau d'ame.
US9249283B2 (en) * 2009-04-29 2016-02-02 Tundra Composites, LLC Reduced density glass bubble polymer composite
US20110152057A1 (en) * 2009-12-21 2011-06-23 Gang Qi Hollow microspheres
US8617702B2 (en) 2010-04-28 2013-12-3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Thermally insulated structural members, and doors and windows incorporating them
JP5977239B2 (ja) 2010-09-08 2016-08-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グラスバブルズ、それによる複合材料、及びグラスバブルズの製造方法
AU2013232474B2 (en) * 2012-03-16 2015-06-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weight articles, composite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WO2014042614A1 (en) * 2012-09-11 2014-03-20 Baxter International Inc. Polymer films containing microspheres
CN103087463A (zh) * 2013-01-28 2013-05-0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轻质复合材料
US20150239531A1 (en) * 2014-02-25 2015-08-2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upport for mounting and for thermal insulation of liquid tanks
CN105295325B (zh) * 2014-06-27 2019-12-27 康廷南拓结构塑料有限公司 包括表面改性的微球体的低密度模塑料
CN107698942B (zh) * 2014-06-30 2020-06-02 赛史品威奥(唐山)结构复合材料有限公司 包含表面改性玻璃填料的片状模塑组合物
US10400091B2 (en) 2014-10-31 2019-09-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oplastic composite, method for preparing thermoplastic composite, and injection-molded product
DK3374427T3 (da) 2015-11-12 2023-07-24 Tundra Composites Llc Kompositmateriale omfattende en termoplastisk vinylpolymer og fibre belagt med en grænseflademodifikator
ES2728953T3 (es) * 2015-12-23 2019-10-29 Borealis Ag Composición de polipropileno reforzado con fibras ligeras
WO2018109118A1 (en) * 2016-12-15 2018-06-2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ellet comprising an axial core and a polymer sheath, and its manufacture
CN106866924A (zh) * 2017-02-18 2017-06-20 青岛科技大学 隔震聚氨酯弹性体材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8218647A1 (en) * 2017-06-02 2018-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oplastic composite, method of making thermoplastic composite, and injection-molded product
US10717245B2 (en) 2018-04-03 2020-07-21 Johns Manville System for producing a fully impregnated thermoplastic prepreg
EP3643736A1 (en) * 2018-10-26 2020-04-29 Johns Manville System for producing a fully impregnated thermoplastic prepreg
CN109679312A (zh) * 2018-12-07 2019-04-26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聚合物复合材料
US11090839B2 (en) * 2019-07-02 2021-08-17 Johns Manville System for producing a lightweight thermoplastic composite sheet
CN111336324A (zh) * 2019-12-31 2020-06-26 日丰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高性能pp复合保温管
FR3111353B1 (fr) 2020-06-15 2022-11-11 Arkema France Compositions de moulage à base de polyamide, de fibres de carbone et de billes de verre creuses et leur utilisation
FR3115285B1 (fr) 2020-10-15 2023-11-17 Arkema France Compositions de polyether block amides, de fibres de carbone et de renforts de verre creux presentant une faible densite et leur utilisation
KR20230030378A (ko)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6207A (en) * 1994-03-14 1997-07-08 Ppg Industries, Inc. Aqueous sizing compositions for glass fibers providing improved whiteness in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DE69511615T2 (de) * 1994-05-20 1999-12-09 Ube Industries Polyamidmatrix mit darin dispergierten Polyolefinkörnern enthaltendes Harzverbundmaterial
DE19502458C2 (de) * 1995-01-28 1997-03-20 Moeller Plast Gmbh Schaumstoff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en
US7183334B2 (en) * 1995-04-26 2007-02-27 Reinforced Polymers, Inc. Low temperature molding compositions with solid thermoplastic elastomer thickeners and fiber reinforcement
US6444713B1 (en) * 1997-05-21 2002-09-03 Denovus Llc Foam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compositions
US6679965B1 (en) * 1997-06-04 2004-01-20 Alliant Techsystems Inc. Low density composite rocket nozzle component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from standard density phenolic matrix, fiber reinforced materials
JP2001172479A (ja) * 1999-12-16 2001-06-26 Sumitomo Chem Co Ltd 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US6916536B1 (en) * 2001-09-20 2005-07-12 Christopher R. Hammen Composites incorporating covalently bonded interstitial polymer resins
US6793274B2 (en) * 2001-11-14 2004-09-21 L&L Products, Inc. Automotive rail/frame energy management system
US6864297B2 (en) * 2002-07-22 2005-03-0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omposite foam made from polymer microspheres reinforced with long fib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339A (ko) * 2013-05-01 2016-01-1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합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된 물품
WO2022182000A1 (ko) * 2021-02-26 2022-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란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수지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22216A (ko) * 2021-02-26 2022-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란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수지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92961A3 (en) 2005-12-01
JP2007530739A (ja) 2007-11-01
US20050238864A1 (en) 2005-10-27
EP1727855A2 (en) 2006-12-06
WO2005092961A2 (en) 2005-10-06
CN1934176A (zh) 200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4756A (ko) 충전된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복합재
Ozkutlu et al. Effects of hollow glass microsphere density and surface modification on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 (methyl methacrylate) syntactic foams
US20070155858A1 (en) Polyamide syntetic foam
CN107641242A (zh) 一种注塑材料
Mousa The Effects of Content and Surface Modification of Fill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elective Laser Sintered Polyamide12 Composites.
Wasekar et al. Effect of cenosphere concentration on the mechanical, thermal, rheolog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nylon 6
CN104250438B (zh) 一种增韧增强尼龙复合材料及制备方法
Saharudin et al. Synergistic effects of halloysite and carbon nanotubes (HNTs+ CN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nanocomposites.
US20070116942A1 (en) Filled composite
Arslan et al. Effect of fiber amount on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3-aminopropyl) triethoxysilane treated basalt fiber reinforced ABS composites
Ramakrishna et al. Effec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water absorption of granite powder composites on toughening epoxy with unsaturated polyester and unsaturated polyester with epoxy resin
KR20170043720A (ko) 경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 조성물
Patil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hybrid glass micro balloons/fly ash cenosphere filled vinyl ester matrix syntactic foams
Bal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n nanofiber (CNF) based epoxy composites
JPH028864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BR102013028247A2 (pt) processo para aumento da adesão de um material inorgânico de reforço em uma matriz polimérica, material inorgânico de reforço, processo de obtenção de um material compósito termoplástico, material compósito termoplástico e artigo compósito termoplástico
JP2000303362A (ja) サイジング剤、及び該サイジング剤で処理されたチョップド炭素繊維
RU2434033C2 (ru) Полиамидный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й фуллереновыми наполнителями (варианты)
Shayuti et al. Compressive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polypropylene/polycarbonate blends
Rama et al. Tensile, flexural, density and void content studies on granite powder filled hydroxyl terminated polyurethane toughened epoxy composite
Jiang et al. Toughening wood/polypropylene composites with polyethylene octene elastomer (POE)
Bakar et al. Effect of nano-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VC-U and PVC-U/acrylic blend
EASWARAN et al. INVESTIGATIONS ON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EPOXY BASED COMPOSITES BASED ON CHEMICALLY FUNCTIONALIZED MULTIWALL CARBON NANOTUBES WITH MILLED GLASS AND CARBON FIBER.
Weiss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reinforced with short graphite fibers
Ray Modification of the dynamic damping behavior of fly ash filled unsaturated polyester resin/SBR latex blend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