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774A -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774A
KR20070002774A KR1020050058440A KR20050058440A KR20070002774A KR 20070002774 A KR20070002774 A KR 20070002774A KR 1020050058440 A KR1020050058440 A KR 1020050058440A KR 20050058440 A KR20050058440 A KR 20050058440A KR 20070002774 A KR20070002774 A KR 20070002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lc
alignment layer
crystal display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형기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2774A/ko
Publication of KR2007000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a change of the texture state of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4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usin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reflector
    • G02F2201/34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reflector cholesteric liquid crystal refl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레스테릭 액정 컬러필터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LC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며 각각 상하부에 형성된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하부에 형성된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하부에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로서 형성되어 전기장의 인가에 따라 배향방향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제 1 배향막과; 상기 제 1 배향막과 서로 마주대하며 상기 제 1 배향막과 동일한 재질로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제 2 배향막과; 상기 제 2 배향막 하부에 형성된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배향막 사이에 개재된 콜레스테릭 액정를 포함함으로서 인가된 전기장에 의해 상기 배향방향이 변화됨에 따라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가 변함으로써 반사되는 파장값을 달리하여 풀 컬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적, 녹 ,청색의 염료 또는 안료를 이용한 컬러필터 패턴과, 콜레스테릭 액정 특성상 편광판을 삭제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C, 콜레스테릭 액정,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 배향방향변화

Description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by cholesteric liquid crystal}
도 1은 기판상에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한 것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b는 종래의 콜레스테릭 액정 컬러필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진 배향막에 있어 전계 인가에 의한 액정 디렉터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
도 4a 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CLC 액정표시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a는 전압을 인가하지 전의 상태를, 도 4b는 전압을 인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51 : 제 1 기판 155 : 게이트 전극
158 : 게이트 절연막 162 : 반도체층
170 : 소스 전극 172 : 드레인 전극
176 : 보호층 180 : 화소전극
184 :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의) 제 1 배향막
187 : 콜레스테릭 액정 188 : 액정분자
191 : 제 2 기판 194 : 공통전극
196 :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의) 제 2 배향막
op : 콜레스테릭 액정의 고유 피치
p :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
RD : 배향방향
본 발명은 반사형 컬러필터를 갖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콜레스테릭 액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빛을 이용하는 방식에 따라 투과형(transmission type)과 반사형(reflection type)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의 뒷면에 부착된 배면광원으로부터 나오는 인위적인 빛을 액정에 입사시켜 액정의 배열에 따라 빛이 흡수되거나 통과하여 블랙 또는 화이트를 표시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인위적인 배면광원을 사용함으로 전력소비가 큰 단점이 있는 반면,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빛의 대부분을 외부의 자연광 이나 인조광원에 의존하는 구조를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전력소비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상기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반사형 컬러 액정표시장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액정패널에 입사되었다가 반사된 빛이 컬러필터를 착색하여 색감을 인지하게 되는 방식임으로, 빛의 손실이 크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는 별도로 제작되며 적, 녹, 청의 서브컬러필터가 일정한 순서로 배열되어 있고, 각 서브컬러필터는 감광성 안료의 도포와, 노광, 패턴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따라서, 공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재료비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때, CLC는, 액정의 분자축이 비틀어진 경우나 반사된 분자의 상이 원래의 상과 다른 카이랄(chiral) 특성을 띠는 분자와 네마틱 액정을 혼합하여 네마틱 액정의 디렉터(director)가 비틀어진 배열 상태를 가지는 액정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네마틱 액정상은 액정 분자들이 일정 방향으로 정렬된 규칙성을 갖는다. 이에 비해 CLC는 층의 구조를 갖는데 각 층에서 액정들은 일반 네마틱의 규칙성을 보인다. 하지만 층간 액정의 배열은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에 의해 층간의 반사율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반사율의 차이는 빛의 반사와 간섭에 의해 색상을 보여 줄 수 있다.
도 1은 기판상에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한 것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CLC의 액정 분자들의 회전은 일종의 나선구조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나선 구조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구조의 특징은 나선의 회전 방향과 나선의 반복 주기인 피치(pitch)(p)이다. 상기 피치(p)는 액정층(15)이 다시 동일한 배열로 돌아올 때까지 높이로 이해할 수 있고 이 피치(p)가 CLC의 색상을 결정하는 변수가 된다. 즉 피치(p)가 적색의 파장(630nm)과 동일한 경우 이 CLC는 정면에서 적색을 반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갖는 CLC를 이용하여 상기 CLC의 피치를 소정의 방법을 고정함으로써 빛의 산란과 투과를 이용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CLC를 사용하면 그 특성색의 반사와 산란 상태를 이용해 화면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하여 선택 반사를 하는 표시소자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전기장 인가 시는 나선구조로 특정 파장을 반사하고, 전기장 미인가시는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이 수직으로 정렬함으로써 반사하지 않음으로 블랙을 표시하게 된다. 이 경우 배향막은 콜레스테릭 액정을 수직 배열시키는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선택 반사를 하는 표시소자는 단색만이 가능하며, 컬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을 서로 다른 나선 구조를 갖는 3중층 구조로 형성하여야 한다.
이하,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구성을 위해 CLC를 이용하여 적, 녹, 청색을 표시하기 위한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종래의 CLC 컬러필터의 공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영역으로 정의된 기판(32)을 준비하고, 상기 기판(32)위로 고분자 물질을 도포하여 배향막(36)을 형성하고, 상기 배향막(36) 상부에 CLC와 광 폴리머를 혼합한 혼합 CLC를 도포하여 CLC층(37)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CLC층(37)은 다수의 영역으로 정의되어, 각 영역별로 적, 녹, 청을 표시할 수 있도록 CLC층의 파장특성을 제어한다. 상기 CLC층(37)의 파장특성은 나선구조로 배열된 액정의 피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이때, 상기 나선구조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은 온도를 조절하여 피치를 조절하는 방식과, 자외선을 조사하여 피치를 조절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온도 조절에 의한 피치 조절 방식은 먼저, 상기 기판을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상기 CLC층의 피치를 조절한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 각 CLC층(37)의 영역별로 마스크(40)를 이용한 별도의 자외선 조사하는 방법이며, 상기 자외선 조사 방식은 제 1 파장대를 가지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액정의 피치를 조절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해 산소 또는 질소 분위기에서 제 2 파장대를 가지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전술한 온도 조절 또는 자외선 조사 방식을 이용하여 각 표시색 마다 공정을 반복하여 적, 녹 ,청색을 반사(표시)하는 CLC 컬러필터(38)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기판(32)의 전 면적에 대해 적색을 표시하는 서브컬러 필터만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공정을 녹색과 청색의 서브컬러필터를 만드는 공정에도 반복하여 정의하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기판의 전면에 적, 녹, 청을 표시하는 CLC 컬러필터(38)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각 컬러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조된 CLC 컬러필터 위로 액정층을 구비하고, 제 2 기판을 더욱 형성함으로써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제조 방법에 따른 CLC 액정표시장치는 컬러를 표시하기 위해 각 서브픽셀 별로 피치를 각각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그 제조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CLC는 실제적으로 컬러를 표시하는 컬러필터로서의 역할만을 하게됨으로 상기 CLC 컬러필터 상부로 액정층을 더욱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그 배열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를 배향막으로 CLC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풀 컬러를 구현하면서도 그 제조 방법이 단순한 CLC 액정표시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조 방법을 단순화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LC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며 각각 상하부에 형성된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하부에 형성된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하부에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지고 전기장의 인가에 따라 배향방향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제 1 배향막과; 상기 제 1 배향막과 서로 마주대하며 상기 제 1 배향막과 동일한 재질로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제 2 배향막과; 상기 제 2 배향막 하부에 형성된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배향막 사이에 개재된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2 배향막은 수평 배향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1, 2 배향막의 배향방향은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전압 인가전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인가된 전기장에 따라 상기 배향방향이 변화되고 이에 의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가 변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 변화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배향막의 배향방향과 콜레스테릭 액정의 회전방향이 일치하면 그 피치가 감소하고,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회전방향과 반대가 되면 피치가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 변화 의해 반사되는 광의 파장범위는 가시광선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에는 상기 화소전극과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가 더욱 구비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컬러 CLC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인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그 배열을 달리하는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Ferroelectric Liquid Crystal Polymer ; FLCP) 에 대해 설명한다.
강유전성 액정(Ferroelectric Liquid Crystal ; FLC)은 외부에서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더라도 자발적으로 전기분극을 갖는 액정을 말한다.
강유전성 액정은 영구 쌍극자 모멘트가 존재하여, 특정 조건에서 외부 전기장이 없어도 쌍극자 모멘트들이 일 방향으로 정렬하는 특성을 가지며, 그 움직임이 액정분자 즉 액정 디렉터의 일끝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끝이 일방향으로 원운동하는 형태가 된다.
즉,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FLCP)로 이루어진 배향막에 있어 전계 인가에 의한 액정 디렉터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유전성 액정 디렉터(106)의 일끝이 상기 디렉터의 운동궤적을 도시한 원추(100)의 꼭지점에 고정이 되고 다른 한쪽이 나선의 원주상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때, 전계 인가시 상기 액정 디렉터(106)의 회전 방향은 상기 액정 디렉터(106)에 발현된 자발분극(103)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최근에 전술한 특성을 갖는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FLCP)가 개발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성질을 갖는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FLCP)를 배향막으로 이용하여 CLC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FLCP)는 인가되는 전기장에 대해 더욱 정확히는 인가되는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전기장의 방향이 발현된 자발분극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면 회전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그 회전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FLCP)의 특성을 이용하여 CLC의 피치를 조절함으로써 피치 변화에 따라 상기 피치와 일치하는 파장대의 색을 반사시킴으로써 풀 컬러를 표시하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면이 된다.
2개의 기판 사이에 CLC층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CLC층의 피치는 기판 표면 조건 즉, 상기 CLC층은 실제적으로는 배향막과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배향막의 배향방향과, CLC 고유의 피치 즉, 배향막등의 경계면이 없을 경우 형성되는 CLC의 고유 피치에 의해 결정된다.
종래에 있어서는 피치 자체가 가온 방식 또는 자외선 조사 방식에 의해 이미 피치를 고정한 상태가 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기장을 인가하면 상기 전기장에 의해 배열방향이 바뀌는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FLCP)를 이용하여 배향막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전기장 인가에 의해 상기 배향막의 배열상태가 바뀌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배향막과 접촉하는 CLC 자체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피치를 변화시키게 된다.
CLC는 그 액정분자들이 회전하는 방향 좌선 또는 우선으로 정해져 있는 바, 전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배향막의 액정 디렉터의 회전에 의해 배향 방향 변화가 상기 CLC의 꼬임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피치는 증가하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피치가 감소하게 된다.
도 4a 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CLC 액정표시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a는 전압을 인가하지 전의 상태를, 도 4b는 전압을 인가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기판(151)상에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FLCP)로서 제 1 배향막(18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배향막(184) 하부에는 각 화소영역(P)마다 게이트 전극(155)과, 게이트 절연막(158)과, 반도체층(162)과, 소스 및 드레인 전극(170, 172)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172)의 드레인 전극(172)과 연결되며 보호층(176) 위로 화소전극(180)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하나의 화소영역(P)에만 박만트랜지스터(Tr)가 형성된 것으로 보이고 있으나,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각 화소영역(P)마다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51)과 대응하는 제 2 기판(191)의 최하부에는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FLCP)로 이루어진 제 2 배향막(19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배향막(196) 상부로 공통전극(19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이격한 제 1, 2 기판(151, 191)의 제 1, 2 배향막(184, 196) 사이에는 CLC가 충진되어 있다.
이때, 전압을 인가하기 전의 상기 제 1, 2 배향막(184, 196)에 있어, 배향방향은 모두 좌우방향으로 수평 배향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배향막(184, 196)과 접촉하는 CLC의 액정분자(188)들이 상기 배향방향(RD)에 영향을 받아 좌우로 배치되며, 점점 내부로 근접하며 상기 액정분자 (RD)들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때, 도 4a와 도 4b에서는 실험예로써 두 기판(151, 191)간의 거리인 셀갭(d)이 1.47㎛, 고유피치(op)가 367nm인 CLC를 주입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이때, 상기 두 기판(151, 191) 내에서 전압을 인가하기 전에 4회 회전한 것을 보이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CLC로 입사되는 빛 중에서 λ=d*p(d는 셀갭, p는 CLC의 피치)를 만족하는 파장값을 갖는 성분에 대해서 반사시키게 된다.
따라서, 셀갭(d) 1.47㎛, 고유피치(op)가 367nm인 본 발명의 실험예의 경우, 상기 CLC로 입사된 빛은 550nm의 파장(1.47*367nm)에 대해서 반사가 일어남으로 녹색을 표시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150)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180)과 공통전극(194)에 각각 신호전압과 공통전압이 입력되면, 상기 화소전극(180)과 공통전극(194) 사이에 공통전극(194)에서 화소전극(180)을 향하거나, 또는 화소전극(180)에서 공통전극(194)을 향하는 방향성을 갖는 전기장이 생성되며, 상기 전기장에 따라 제 1, 2 배향막(184, 196)의 배향방향(RD)이 변하게 되는데, 상기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FLCP)로 이루어진 제 1, 2 배향막(184, 196) 형성 시, 자발분극의 회전방향의 설정 조건에 따라 액정 디렉터가 고정된 상태(전기장의 방향과 자발분극의 방향이 반대가 되는 경우)를 유지하거나 또는 회전한 상태(전기장의 방향과 자발분극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때, 전압을 인가하여 제 1, 2 기판(184, 196) 중 어느 하나의 기판(도면에서는 제 2 기판(196))에 형성된 배향막(도면에서는 제 2 배향막(196))의 배향방향 (RD)이 CLC의 회전(꼬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는 회전수가 증가하여 CLC의 피치(p)는 짧아지고, 반대로 CLC의 회전(꼬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수가 감소하여 CLC의 피치(p)는 증가하게 된다.
도 4b에 있어서는 화소전극(180)을 통해 신호전압이, 공통전극(194)을 통해 공통전압이 입력되었을 경우, 이들 두 전극(180, 194)간에 전압차로 인해 발생한 전기장에 의해 상기 제 1 배향막(184)은 그 배향방향(RD)이 회전하지 않고, 전압 인가 전의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2 배향막(196)은 상기 CLC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것을 보이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배향막의 배향방향(RD)이 CLC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CLC의 피치(p)는 3.5회 회전하게 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이때, 변화된 피치(p)값은 420nm(367nm * 4회/3.5회)가 되며, 이 경우 반사되는 파장은 그 값이 630nm가 되어 적색을 표현하게 된다.
도면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기 제 2 배향막(196)의 배향방향(RD)이 CLC의 꼬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였다고 하면, 그 회전수는 4.5회가 되고, 피치(p)는 327nm가 되어 반사되는 파장은 490nm가 청색 계통의 빛을 반사하게 된다.
전술한 실험예에서는 청색 표현이 좀 미약하게 보일 수 있으나, 배향막의 배향방향의 회전 각도를 90도를 기준으로 가감함으로써 반사되는 파장 값을 조절함으로써 적, 녹 ,청색의 표현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풀 컬러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2 기판상의 제 2 배향막만이 전기장 에 대응하여 회전한 것을 보이고 있으나, 자기장 방향이 바뀌면 그 반대로 제 1 배향막의 배향방향이 회전하고 제 2 배향막의 배향방향이 고정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하여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할 경우, 편광판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CLC 액정표시장치는 적, 녹 ,청색의 염료 또는 안료를 이용한 컬러필터 패턴과, 콜레스테릭 액정 특성상 편광판 부착없이 컬러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함으로서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를 고정하는 종래대비 단순히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를 이용한 제 1, 2 배향막 사이에 콜레스테릭 액정을 개재하여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제조 단순화에 의해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 패턴 및 편광판을 삭제함으로서 경량 박형의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서로 대향하며 각각 상하부에 형성된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하부에 형성된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하부에 강유전성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지고 전기장의 인가에 따라 배향방향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제 1 배향막과;
    상기 제 1 배향막과 서로 마주대하며 상기 제 1 배향막과 동일한 재질로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제 2 배향막과;
    상기 제 2 배향막 하부에 형성된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배향막 사이에 개재된 콜레스테릭 액정
    를 포함하는 CLC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배향막은 수평 배향된 CLC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배향막의 배향방향은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되
    거나 또는 전압 인가전의 상태를 유지하는 CLC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된 전기장에 따라 상기 배향방향이 변화되고 이에 의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가 변하는 것이 특징인 CLC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 변화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배향막의 배향방향과 콜레스테릭 액정의 회전방향이 일치하면 그 피치가 감소하고,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회전방향과 반대가 되면 피치가 증가하는 것이 특징인 CLC 액정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 변화 의해 반사되는 광의 파장범위는 가시광선 영역인 CLC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에는 상기 화소전극과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가 더욱 구비된 CLC 액정표시장치.
KR1020050058440A 2005-06-30 2005-06-30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02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440A KR20070002774A (ko) 2005-06-30 2005-06-30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440A KR20070002774A (ko) 2005-06-30 2005-06-30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774A true KR20070002774A (ko) 2007-01-05

Family

ID=3786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440A KR20070002774A (ko) 2005-06-30 2005-06-30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277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557A (ko) * 2009-07-22 201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콜레스테릭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35424A (ko) * 2010-10-05 2012-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콜레스테릭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4763A (ko) * 2015-03-24 2016-10-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광학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133514A (ko) * 2016-05-24 2018-12-1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필름, 투명 스크린 및 화상 표시 시스템과 투명 포스터
JPWO2019035449A1 (ja) * 2017-08-14 2020-07-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構造体および反射層の形成方法
CN114994964A (zh) * 2022-05-23 2022-09-02 南京大学 一种平面光学器件及其制备方法、检测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557A (ko) * 2009-07-22 201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콜레스테릭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35424A (ko) * 2010-10-05 2012-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콜레스테릭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4763A (ko) * 2015-03-24 2016-10-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광학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133514A (ko) * 2016-05-24 2018-12-1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필름, 투명 스크린 및 화상 표시 시스템과 투명 포스터
JPWO2019035449A1 (ja) * 2017-08-14 2020-07-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構造体および反射層の形成方法
JP7023967B2 (ja) 2017-08-14 2022-02-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構造体および反射層の形成方法
CN114994964A (zh) * 2022-05-23 2022-09-02 南京大学 一种平面光学器件及其制备方法、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5399B1 (en) Re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diffusion layer of phase separated liquid crystal and polymer
US6621543B2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14816B1 (ko) 액정 표시 장치
US674771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cholesteric liquid crystal
JP3538149B2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02774A (ko)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05234204A (ja) 液晶表示装置
US6794216B2 (en) Cholesteric liquid crystal color filter substrat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60018773A (ko) 반투과형 표시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20050054715A (ko) 컬러 필터 기판, 이를 갖는 액정 표시 패널, 이를 갖는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04269B1 (ko) 액정표시장치
TWI288839B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the same
KR101642989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JP2005141086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04988B1 (ko) 콜레스테릭 액정 컬러필터 및 그의 제조 방법
TWM592536U (zh) 高對比度膽固醇液晶顯示屏
JP4733967B2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20050031962A (ko) 수직배향형 액정표시소자
JP2005157373A5 (ko)
JP3046730B2 (ja) 反射拡散板およ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KR101398556B1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JPH10111502A (ja) 反射型ゲストホスト液晶表示装置
KR100904521B1 (ko) 콜레스테릭 액정 컬러필터를 적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715906B1 (ko) Clc 컬러필터의 제조방법
JP2003195319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