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823A - 기록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제품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제품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823A
KR20070001823A KR1020060058648A KR20060058648A KR20070001823A KR 20070001823 A KR20070001823 A KR 20070001823A KR 1020060058648 A KR1020060058648 A KR 1020060058648A KR 20060058648 A KR20060058648 A KR 20060058648A KR 20070001823 A KR20070001823 A KR 20070001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ent
recording medium
recording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후쿠다
마사아키 이소자키
카즈유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1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의 기록 매체와,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의 기록 매체와,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경우,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고,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한 이후에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때,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중단된 상기 컨텐츠에 관해, 중단된 처리를 재개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관해,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서,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도록,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 또는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의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기록 장치, 기록 방법, 프로그램, 프로그램 기록 매체

Description

기록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제품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RECORDING DEVICE, METHOD THEREOF, PROGRAM PRODUCT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도 1은 종래의 기록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재생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마이그레이션의 처리(migration process)를 적용하는 파일의 후보를 결정하는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기록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기록 재생 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기록 재생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HDD에 기록되는 캐시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스터브 상태(stub state)의 캐시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영역 및 확장 속성에서의 영역 정보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힌트 정보의 기록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1은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2는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3은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4는 액세스 이력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디렉토리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전위순회의 주사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의 생성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8은 인덱스(_n)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9는 리로드(reload)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기록 재생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기록 재생 시스템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2는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
기술분야
본원 발명은 그 전체 내용이 레퍼런스로 병합되어 있는 JP2005-189817호(2005년 6월 29일 출원)에 대한 요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록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텐츠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복수의 기록 매체에,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 매체의 드라이브에의 장착을 자동화함으로써, 많은 양의 컨텐츠를 간단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록 재생 시스템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록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비디오/오디오 인코더(11)는 입력된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한 베이스 밴드의 화상 데이터를 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 방식으로 부호화한다. 또한, 비디오/오디오 인코더(11)는 입력된 음성 신호(도시 생략)에 대응한 베이스 밴드의 음성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한다. 비디오/오디오 인코더(11)는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스트림 인코더(12)에 공급한다.
스트림 인코더(12)는 비디오/오디오 인코더(11)로부터 공급된, 부호화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방식 또는 MPEG 프로그램 스트림 방식의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변환에 의해 얻어진 스트림을 라이트 버퍼(13)에 공급한다.
라이트 버퍼(13)는 스트림 인코더(12)로부터 공급된 스트림(데이터)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기억하고 있는 스트림(데이터)을 드라이브(14)에 공급한다.
드라이브(14)는 장착되어 있는 광디스크(15)에, 라이트 버퍼(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파일로서 기록한다.
주크 시스템(16)은 드라이브(14)에의 광디스크(15)의 착탈을 제어한다. 주크 시스템(16)은 복수의 광디스크(15)의 각각을 격납하는 디스크 슬롯(17)으로부터 어 느 하나의 광디스크(15)를 피커(picker)(18)에 선택시킨다. 피커(18)는 주크 시스템(16)의 제어를 기초로, 선택한 광디스크(15)를 반송하고, 드라이브(14)에 장착시킨다. 또한, 피커(18)는 주크 시스템(16)의 제어를 기초로, 드라이브(14)로부터 취출된 광디스크(15)를 반송하여, 어느 하나의 디스크 슬롯(17)에 격납시킨다. 즉, 주크 시스템(16)은 피커(18)를 제어한다.
드라이브(14)는 장착되어 있는 광디스크(15)로부터 파일로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한 데이터를 리드 버퍼(19)에 공급한다. 리드 버퍼(19)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로 이루어지고, 드라이브(14)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스트림)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리드 버퍼(19)는 판독 지터를 흡수하고, 데이터 레이트를 일정하게 되도록 평탄화하여,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스트림)를 스트림 디코더(20)에 공급한다.
스트림 디코더(20)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방식 또는 MPEG 프로그램 스트림 방식의 스트림을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고, 분리한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비디오/오디오 디코더(21)에 공급한다.
비디오/오디오 디코더(21)는 부호화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이른바 베이스 밴드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복호한다. 또한, 비디오/오디오 디코더(21)는 복호에 의해 얻어진 베이스 밴드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한, 출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도시 생략)를 모니터(22)에 공급한다. 모니터(22)는 출력 화상 신호를 기초로 하여,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공급된 음성 신호를 기초로 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재생의 처리를 설명한다. 시각(t0)에서, 사용자로부터 재생이 요구되면, 재생이 요구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광디스크(15)가, 피커(18)에 의해, 디스크 슬롯(17)으로부터 드라이브(14)에 반송되고, 시각(t1)에서, 드라이브(14)에 장착된다.
시각(t2)에서, 드라이브(14)에 의한, 장착된 광디스크(15)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판독이 시작되고, 리드 버퍼(19)에 기억된다. 그리고, 시각(t3)에서, 리드 버퍼(19)에, 소정의 데이터량의 데이터가 쌓인 경우, 리드 버퍼(19)에 기억된 데이터가 스트림 디코더(20)에 판독된다. 그리고, 비디오/오디오 디코더(21)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응한 출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모니터(22)에 공급한다. 시각(t4)에서, 모니터(22)는 출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기초로 하여, 화상을 표시하고, 음성을 출력한다.
시각(t0)에서, 사용자로부터 재생이 요구되고 나서, 시각(t4)에서, 모니터(22)에 화상이 표시될 때까지, 디스크 슬롯(17)에 격납되어 있는 광디스크(15)가, 드라이브(14)에 장착되고, 장착된 광디스크(15)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는데 필요한 시간에 상당하는 타임 래그가 발생한다. 이 타임 래그는 기록 재생 시스템의 구성에도 따르지만, 20초부터 30초 정도이다.
상기 타임 래그는 재생을 요구할 때마다 매회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로써, 매우 큰 스트레스를 느끼게되고, 이 점은 조작감이라는 관점에서 큰 문제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SM(Hierarchical Storage Management : 계층형 기억역 관리) 소프트웨어의 사용이 고려된다. HSM 소프트웨어는 하드디스크 등의 고속의 보조 기록 장치에 보존되어 있는 파일을 보다 저속이며 염가의 기록 매체에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관리를 행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반적인 HSM에서는 데이터의 선두 부분이 고속의 1차 스토리지인 하드디스크에 캐시 파일로서 보존되고, 데이터의 전체가, 저속의 2차 스토리지인 광디스크에 보존된다. 이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발생한 경우, 1차 스토리지에 캐시되어 있는 데이터의 선두 부분이 액세스되어 있는 동안에,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2차 스토리지로부터 1차 스토리지에 카피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로부터는 1차 스토리지에 데이터의 전체가 기록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상과 같이 기록 용량당의 비용이 싼 2차 스토리지에 데이터의 전체를 배치하고, 1차 스토리지을 캐시 메모리로서 이용함에 의해, 유저에게는 외관상, 거대한 1차 스토리지을 이용하고 있는 것처럼 생각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HSM 시스템에 있어서, 1차 스토리지에서 기록 용량에 대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데이터량, 즉, 1차 스토리지의 사용률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마이그레이션의 처리가 시작되고, 1차 스토리지에 가용 영역(available space)이 작성된다.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는 데이터의 전체를 2차 스토리지에 기록하고, 1차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이다.
종래의 HSM 시스템에서는 HSM 시스템이 파일로서 관리하고 있는 모든 데이터를 리스트 업하여,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적용하는 파일의 후보를 결정하고 나서, 이들의 후보에게 실제의 마이그레이션의 처리가 적용된다.
특허 문헌 1 : 특개2003-296151호 공보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HSM 시스템이 관리하는 파일의 수가 많아지면, 1차 스토리지에 가용 영역이 작성될 때까지 타임 래그가 발생한다.
도 3은 종래의 HSM 시스템에서,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적용하는 파일의 후보를 결정하는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횡축은 파일의 수를 나타내고, 도 3의 종축은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적용하는 파일의 후보를 결정하는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적용하는 파일의 후보를 결정하는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파일의 수가 증가하면 길어저서, 5만의 파일로부터,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적용하는 파일의 후보를 결정하는 경우, 약 600초가 되었다.
이 경우, 1차 스토리지의 가용 영역보다도 큰 기억 영역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는 마이그레이션 처리가 실행되어 가용 영역이 작성될 때까지, 1차 스토리지에 기록할 수가 없다. 또한, 종래의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적용하는 파일의 후보를 결정하는 방식은 매우히 연산량이 큰 처리이다.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적용하는 파일의 후보를 결정하고, 실제로 마이그레이션이 종료되기까지, 오랫동안 시스템에 큰 부하가 걸린 상태가 계속되게 되어, 시스템의 통상 운용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신속하게 가용 영역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은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의 기록 매체와,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의 기록 매체와,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경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고,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여도,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때,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중단된 컨텐츠에 관해, 중단된 처리를 재개시키거나, 또는 제 2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서,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도록, 제 1의 기록 매체 또는 제 2의 기록 매체에의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서는 제 1의 기록 매체에,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컨텐츠의 데타가 기록되고, 제 2의 기록 매체에,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고,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경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고,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의 데이터의 부분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여도,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때,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중단된 컨텐츠에 관해, 중단된 처리를 재개시키거나, 또는 제 2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서,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도록, 제 1의 기록 매체 또는 제 2의 기록 매체에의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이 제어된다.
기록 제어 수단은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여도,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경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중단된 컨텐츠에 관해, 중단된 처리를 재개시키고, 중단된 처리가 완료되어도,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때, 제 2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서,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도록, 제 1의 기록 매체 또는 제 2의 기록 매체에의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기록 제어 수단은 소정의 주사 방식으로 컨텐츠를 주사하는 순서로, 컨텐츠 의 데이터의 부분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도록, 제 1의 기록 매체에의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기록 제어 수단은 전위순회, 중위순회, 또는 후위순회의 주사 방식으로 컨텐츠를 주사하는 순서로,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도록, 제 1의 기록 매체에의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컨텐츠에의 액세스의 이력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기록 제어 수단은 컨텐츠에의 액세스의 이력을 기초로, 제 1의 기록 매체에의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의하면, 보다 신속하게 가용 영역을 작성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 요건과,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구체적인 실시예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을 지지하는 구체적인 예가,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실시예 중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는 구체적인 예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 구체적인 예가, 그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역으로, 구체적인 예가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고 하여도, 그것은 그 구체적인 예가, 그 구성 요건 이외의 구성 요건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이 기재는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체적인 예에 대응하는 발명이 청구항에 전부 기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환언하면, 이 기재는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체예에 대응하는 발명이고, 이 출원의 청구항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발명의 존재, 즉, 장래, 분할 출원되거나, 보정에 의해 추가되는 발명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기재된 기록 장치는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도 5의 HDD(116))와,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도 5의 광디스크(119))와,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경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고,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여도,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때,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중단된 컨텐츠에 관해, 중단된 처리를 재개시키거나, 또는 제 2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서,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도록, 제 1의 기록 매체 또는 제 2의 기록 매체에의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5의 스토리지 매니저(1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기재된 기록 방법은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의 기록 방법으로서,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예를 들면, 도 11의 스텝(S34))과,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경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고,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여도,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때,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후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중단된 컨텐츠에 관해, 중단된 처리를 재개시키거나, 또는 제 2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서,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도록, 제 1의 기록 매체 또는 제 2의 기록 매체에의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예를 들면, 도 11 내지 도 13의 스텝(S35) 내지 스텝(S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기록 재생 시스템(10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비디오/오디오 인코더(111)는 입력된 입력 화상 신호에 대응한 베이스 밴드의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한다. 또한, 비디오/오디오 인코더(111)는 입력된 음성 신호(도시 생략)에 대응한 베이스 밴드의 음성 데이터를 MPEG 방식 으로 부호화한다. 비디오/오디오 인코더(111)는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스트림 인코더(112)에 공급한다.
스트림 인코더(112)는 비디오/오디오 인코더(111)로부터 공급된, 부호화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방식 또는 MPEG 프로그램 스트림 방식의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변환에 의해 얻어진 스트림을 HSM(113)에 공급한다.
HSM(113)은 기록 매체에의 컨텐츠의 데이터의 계층적인 기록을 관리한다(계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의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관리한다고 말할 수 있다). HSM(113)은 스토리지 매니저(114)의 제어를 기초로, 스트림 인코더(112)로부터 공급된 스트림을 버퍼(115)를 통하고1 HDD(Hard Disk Drive)(116)에 공급한다. HDD(116)는 고속의 1차 스토리지의 한 예이고, HSM(113)의 제어를 기초로, 버퍼(115)를 통하여, HSM(113)으로부터 공급된 스트림(데이터)을 기록한다. 또한, HDD(116)는 기록하고 있는 스트림(데이터)을 버퍼(115) 또는 버퍼(117)에 공급한다.
버퍼(115)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HDD(116)의 일부의 기록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HSM(113) 또는 HDD(116)로부터 공급된 스트림(데이터)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기억하고 있는 스트림(데이터)을 HSM(113) 또는 HDD(116)에 공급한다. 버퍼(117)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HDD(116)의 일부의 기록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HDD(116) 또는 드라이브(118)로부터 공급된 스트림(데이터)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기억하고 있는 스트림(데이터)을 HDD(116) 또는 드라이브(118)에 공급한다.
버퍼(115) 및 버퍼(117)는 판독 지터를 흡수하고, 데이터 레이트를 일정하게 되도록 평탄화한다.
드라이브(118)는 장착되어 있는 광디스크(119)에, 버퍼(117)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파일로서 기록한다. 광디스크(119)는 저속의 2차 스토리지의 한 예이고, 예를 들면, MO(Magneto-Optical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CD(Compact Disc) 등이다.
주크 시스템(120)은 드라이브(118)에의 광디스크(119)의 착탈을 제어한다. 주크 시스템(120)은 복수의 광디스크(119)의 각각을 격납하는 디스크 슬롯(121)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광디스크(119)를 피커(122)에 선택시킨다. 피커(122)는 주크 시스템(120)의 제어를 기초로, 선택한 광디스크(119)를 반송하고, 드라이브(118)에 장착시킨다. 또한, 피커(122)는 주크 시스템(120)의 제어를 기초로, 드라이브(118)로부터 취출된 광디스크(119)를 반송하여, 어느 하나의 디스크 슬롯(121)에 격납시킨다. 즉, 주크 시스템(120)은 피커(122)를 제어한다.
드라이브(118)는 장착되어 있는 광디스크(119)로부터 파일로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 데이터를 버퍼(117)에 공급한다. 광디스크(119)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버퍼(117)를 통하여, HDD(116)에 공급되고, HDD(116)에 기록된다.
HSM(113)은 광디스크(119)로부터 판독되고, HDD(116)에 기록된 데이터(스트림)를 HDD(116)로부터 버퍼(115)를 통하여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스트림)를 스트림 디코더(123)에 공급한다.
스트림 디코더(123)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방식 또는 MPEG 프로그램 스 트림 방식의 스트림을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고, 분리한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24)에 공급한다.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24)는 부호화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이른바 베이스 밴드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복호한다. 또한,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24)는 복호에 의해 얻어진 베이스 밴드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한, 출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도시 생략)를 모니터(125)에 공급한다. 모니터(125)는 출력 화상 신호를 기초로 하여,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공급된 음성 신호를 기초로 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기록 재생 시스템(101)에서, 컨텐츠를 기록하는 경우, 입력된 입력 화상 신호에 응한 컨텐츠의 모든 데이터가 HDD(116)에 기록된다. 그리고, 드라이브(118)의 가용 시간에서,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모든 데이터가, 광디스크(119)에 카피된다. 이 경우, HSM(113)이 어느 광디스크(119)에 어느 컨텐츠의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후술하는 스토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시킨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 정보에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파일을 식별하는 정보, 컨텐츠의 모든 데이터가 기록된 광디스크(119)를 식별하는 정보, 기록한 일시(date and time), 또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파일의 이름 등이 포함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직접 입력된 스트림을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고, 스트림을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데이터의 부호화의 방식은 MPEG로 한하지 않고, 소정의 압축 신장을 위한 부호화 방식이라면 좋다. 또한, 스트림의 방식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5는 기록 재생 시스템(101)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취득하던지, 사용자에게 기록 재생 시스템(101)에 관한 각종의 정보를 통지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기록 재생 시스템(101) 전체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에 응하여, 비디오/오디오 인코더(111), 스트림 인코더(112),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24), 스트림 디코더(123), 컨텐츠 매니저(142), 및 스토리지 매니저(114)를 제어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비디오 카메라(171)로부터의 입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입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비디오/오디오 인코더(111)에 공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24)로부터 출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출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모니터(125)에 공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스토리지 매니저(114)를 통하여, HSM(113)으로부터 공급된 스트림(데이터)을 스트림 디코더(123)에 공급한다.
컨텐츠 매니저(142)는 기록 재생 시스템(101)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내용을 관리하고, 컨텐츠의 내용를 검색한다. 컨텐츠 매니저(142)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DB)(161)에의 컨텐츠에 관한 각종의 정보의 기록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1)로부터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의 판독을 제어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1)에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로서, 컨텐츠에 관련되는 파일의 정보(예를 들면, 파일명, 패스명(path name) 등), 컨텐츠의 내용 및 부가 정보(예를 들면,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의 장르 등), 컨텐츠의 압축 형식(방식), 재생 시간, 및 인덱스 정보(예를 들면, 컨텐츠에서의 인덱스의 위치 등), 및 액세스 가능한 유저(사용자)의 유저 정보 등(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름, 패스워드 등)이 기록된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1)에는 액세스 이력 테이블이 기록된다. 액세스 이력 테이블은 최근 액세스된 소정의 수의 컨텐츠에 관해, 액세스의 이력에 관한 정보를 격납한다. 예를 들면, 액세스 이력 테이블은 최근 액세스된 100의 컨텐츠의 각각에 관해, 액세스의 이력에 관한 정보를 격납한다.
또한, 액세스 이력 테이블에 격납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수는 임의의 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컨텐츠의 수는 초기 설정에 의해 결정된다. 액세스 이력 테이블에 격납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수는 기록 재생 시스템(101)의 동작중에 동적으로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이력 테이블은 각각의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의 파일의 패스명(path name), 컨텐츠의 파일이 작성된 일시를 나타내는 작성 일시, 컨텐츠의 파일이 최후에 갱신된 일시를 나타내는 최종 갱신 일시, 컨텐츠의 파일이 최후에 액세스된 일시를 나타내는 최종 액세스 일시, 및 컨텐츠의 파일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파일 사이즈 등인, 액세스의 이력에 관한 정보를 격납한다.
컨텐츠 매니저(142)는 액세스 이력 테이블에 액세스의 이력에 관한 정보를 격납하지 않은 컨텐츠에 액세스되면, 액세스된 컨텐츠에 관해, 액세스의 이력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정보를 액세스 이력 테이블에 격납한다.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시스템(101)에 컨텐츠가 기록되면, 컨텐츠 매니저(142)는 기록된 컨텐츠에 관해, 액세스의 이력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정보를 액세스 이력 테이블에 격납한다.
또한, 컨텐츠 매니저(142)는 컨텐츠가 액세스되면(컨텐츠의 데이터가 판독되면), 액세스 이력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를 갱신한다.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을 상위로부터 제어한다. 즉,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으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HSM(113)을 제어한다. 스토리지 매니저(114)에는 시스템 매니저(162) 및 파일 I/O 매니저(163)가 마련되어 있다.
시스템 매니저(162)는 스토리지 제어 관련의 시스템을 설정하고, 시스템 로그를 기록하고, 에러 로그를 관리하고, 메인터넌스 처리를 실행한다. 파일 I/O 매니저(16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으로부터의 파일의 판독 또는 기록의 요구를 받아들인다. 파일 I/O 매니저(163)는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파일의, 예를 들면, 화상 컨텐츠 또는 음악 컨텐츠의 일부분인, 지정된 일부분의 데이터를 스터브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스터브 파일(상태)에의 변환을 지시한다. 파일 I/O 매니저(163)는 광디스크(119)로부터 HDD(116)에의 데이터의 판독(후술하는 리로드(reload))의 처리의 중단 또는 재개를 지시한다. 또한, 파일 I/O 매니저(163)는 HDD(116)로부터 광디스크(119)에의 데이터의 기록의 처리의 중단 또는 재개를 지시한다.
HSM(113)은 HDD(116), 드라이브(118), 광디스크(119), 주크 시스템(120), 디 스크 슬롯(121), 및 피커(122)를 가상 스토리지화 하여, HDD(116)에 의한 컨텐츠의 데이터의 일시적인 기록을 제어한다. HSM(113)은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 스토리지 서버(165), 스토어 데이터베이스(DB)(166), 미디어 서버(167), 및 볼륨 데이터베이스(DB)(16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은 HSM(113)에 관리되어 있는 파일의 확장 속성을 관리하고, 확장 속성을 재기록한다.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은 HSM(113)에 관리되어 있는 파일에 대한 액세스 이벤트를 관리한다.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은 광디스크(119)로부터 HDD(116)에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를 제어하고, HDD(116)로부터 광디스크(119)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처리를 제어한다.
스토리지 서버(165)는 광디스크(119)로부터 HDD(116)에 데이터를 판독하던지, 또는 HDD(116)로부터 광디스크(119)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스토리지 서버(165)는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캐시 파일에 관한 정보의 스토어 데이터베이스(166)에의 기록 및 캐시 파일에 관한 정보의 스토어 데이터베이스(166)로부터의 판독을 관리한다. 또한, 스토리지 서버(165)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전체와, 그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119)와의 링크 정보를 관리한다.
스토어 데이터베이스(166)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캐시 파일로서,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어 데이터베이스(166)에는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명과, 캐시 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값인 캐시 파일 ID와의 연 관(association)이 격납된다. 또한, 스토어 데이터베이스(166)에는 캐시 파일이 기록된 시간 또는 캐시 파일이 최후에 액세스된 시간을 나타내는 캐시 파일 데이트 정보, 및 전체의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는 광디스크(119)를 특정하는 볼륨 ID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스토어 데이터베이스(166)에는 주크박스(145) 내의 각 광디스크(119)의 빈 용량이 기록된다.
미디어 서버(167)는 각각의 디스크 슬롯(121)에 격납되어 있는 광디스크(119)를 관리한다. 미디어 서버(167)는 체인저 드라이버(143)에 대해, 지정된 광디스크(119)의 드라이브(118)에의 장착(마운트)을 요구한다. 또한, 미디어 서버(167)는 체인저 드라이버(143)에 대해, 드라이브(118)에 장착되어 있는 광디스크(119)의 디스크 슬롯(121)에의 격납(언마운트(unmount))을 요구한다.
미디어 서버(167)에 마련되어 있는 볼륨 데이터베이스(168)는 광디스크(119)에 관계되는 정보를 격납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데이터베이스(168)에는 각 광디스크(119)의 블랭크 디스크(blank disk) 상태로의 기록 용량, 및 각 광디스크(119)의 미디어로서의 종류(MO(Magneto-Optical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c)+R, 또는 DVD+RW 등)와 기록 전용 또는 판독기록 가능 등의 속성이 기록된다. 또한, 볼륨 데이터베이스(168)에는 주크박스(145) 내의 각 디스크 슬롯(121)에 격납되어 있는 광디스크(119)의 볼륨 ID, 및 주크박스(145)에 탑재되어 있는 드라이브(118)의 사용 상황이 기록된다.
체인저 드라이버(143)는 드라이브(118)를 제어하고, 주크박스 제어부(144)와 HSM(113)과의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갖는다.
주크박스 제어부(144)는 주크 시스템(120) 및 주크 서보(169)를 포함한다. 주크 시스템(120)은 드라이브(118), 광디스크(119), 디스크 슬롯(121), 및 피커(122)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주크박스(145))을 제어한다. 주크 서보(169)는 주크박스(145)를 구동한다.
주크박스(145)는 드라이브(118), 광디스크(119), 디스크 슬롯(121), 및 피커(1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1), 스토어 데이터베이스(166), 및 볼륨 데이터베이스(168)의 각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확장 속성으로서, 캐시 파일에서의 컨텐츠의 부분에 관한 영역 정보, 컨텐츠의 어느 부분을 캐시 파일로서 HDD(116)에 기록하는지의 힌트를 나타내는 힌트 정보, 및 캐시 파일 ID가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에 기록된다.
또한, 컨텐츠의 확장 속성으로서, 그 캐시 파일에 관한 마이그레이션의 처리가 중단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마이그레이션의 처리가 중단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는 플래그로 되고, 1인 플래그는 그 캐시 파일에 관한 마이그레이션의 처리가 중단된 것을 나타내고, 0인 플래그는 그 캐시 파일에 관한 마이그레이션의 처리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다. 또한,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는 유저로부터 중지가 요구된 경우, 다른 컨텐츠에 의 액세스의 처리가 시작된 경우, 또는 컨텐츠의 기록이 시작된 경우 등 중단된다.
또한, 컨텐츠의 확장 속성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파일 시스템에 의해 기록 및 판독을 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1)에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역 정보는 캐시 파일에서의 컨텐츠의 부분에 관한, 컨텐츠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그 부분의 선두까지의 오프셋 값(바이트)을 나타내는 오프셋, 컨텐츠의 부분의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사이즈, 및, 상세는 후술하지만, 컨텐츠의 부분이 스토어 완료인지 또는 홀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한다. 또한, 힌트 정보는 컨텐츠의 어느 부분을 캐시 파일로서 HDD(116)에 기록하는지를 나타내고, 컨텐츠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그 부분의 선두까지의 오프셋 값(바이트)을 나타내는 힌트 오프셋, 컨텐츠의 부분의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힌트 사이즈, 상세는 후술하지만, 부분의 속성을 나타내는 영역 플래그, 및, 이 부분을 마이그레이션한 경우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힌트 프라이어러티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를 격납하는 파일의 속성으로서, 판독 전용 또는 판독 기록 가능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파일 시스템에 의해 기록된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HDD(116)에 기록되는 캐시 파일 및 캐시 파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데이터의 판독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HDD(116)에 기록되는 캐시 파일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비디오/오디오 인코더(111)에 의해, 부호화되고, 스트림 인코더(112)에 의해, 다중화된, 스트림(컨텐츠)은 캐시 파일로서 HDD(116)(의 캐시 영역)에 기록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스트림(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된 캐시 파일의 상태를 레귤러 상태라고 칭한다.
주크박스(145)의 가용 시간에서 실행되는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을 광디스크(119)에 기록하는 섀도우드화에 의해, 컨텐츠의 전체는 HDD(116)에 기록됨과 함께, 광디스크(119)에도 기록된다.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가 HDD(116)에 기록됨과 함께 광디스크(119)에 기록되고 있는 경우의, 캐시 파일의 상태를 비트 파일 상태라고 칭한다.
캐시 파일이 레귤러 상태 또는 비트 파일 상태인 경우, 환언하면, 스트림의 전체, 즉, 컨텐츠의 데이터의 전체가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의 데이터의 전체는 HDD(116)로부터 판독되기 때문에, 고속으로, 컨텐츠의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그러나, 캐시 파일이 레귤러 상태 또는 비트 파일 상태인 경우,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이 많기 때문에, 다수의 컨텐츠에 관해, 레귤러 상태 또는 비트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을 HDD(116)에 기록하고 있면, HDD(116)의 기록 영역의 소비량이 커지고, HDD(116)가 곧바로 꽉차게 되어 버린다(HDD(116)의 모든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된 상태가 되어 버린다).
그래서, 예를 들면, 캐시 파일이 HDD(116)에 기록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참조하여, 오래된 캐시 파일로부터 차례로,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광디스크(119)에 기록시켜서, HDD(116)에 기록하고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을 작게 함으로써, HDD(116)에 기록된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의 총량을 일정한 범위 내에 수습 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컨텐츠의 데이터의 소정의 부분이 기록된 캐시 파일의 상태를 스터브 파일 상태라고 칭한다. 특히, 컨텐츠의 데이터의 소정의 부분으로서, 복수의 부분이 기록된 캐시 파일의 상태를 멀티 스터브 상태라고 칭한다. 캐시 파일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전부를 없애고, 컨텐츠의 확장 속성 및 캐시 파일 ID만을 HDD(116)에 기록하고 있는 상태를 예외적으로, 제로 스터브 상태라고 칭한다.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119)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 데이터를 HDD(116)에 기록하는 것을 리로드라고 칭한다. 예를 들면, 광디스크(119)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HDD(116)에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으로부터 취득된 입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HDD(116)에 기록되고, 또한, HDD(116)에 기록된 데이터가 드라이브(118)에 장착된 광디스크(119)에 기록된다.
이 데이터를 판독하는 경우에는 HDD(116)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되던지, 또는 장착된 광디스크(119)로부터 드라이브(118)에 의해 데이터가 판독된다. 광디스크(119)로부터 드라이브(118)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는 일단, HDD(116)에 기록되고, HDD(116)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에 판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를 판독하는 경우에는 드라이브(118)에 장착된 광디스크(119)로부터 드라이브(118)에 의해 데이터가 판독되고, 버퍼(117)에 일시적 으로 기억된다. 버퍼(117)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데이터는 HDD(116)에 공급되고, HDD(116)에 의해 기록된다.
HDD(116)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후술하는 스터브 영역의 데이터)는 버퍼(115)에 판독되고, 버퍼(11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판독의 요구에 응하여, 버퍼(117)를 통하여 광디스크(119)로부터 판독되고, HDD(116)에 기록된 데이터(후술하는 홀 영역의 데이터)도, 버퍼(115)에 판독되고, 버퍼(11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버퍼(11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출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도 8은 스터브 상태의 캐시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는 비교를 위해 비트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을 도시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에는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가 격납되고, 스터브 상태의 캐시 파일에는 컨텐츠의 부분의 데이터가 격납된다.
예를 들면, 스터브 상태의 캐시 파일에는 인덱스 정보로 나타내는 인덱스에 대응하는 위치의, 컨텐츠의 부분의 데이터가 격납된다. 인덱스 정보가, 컨텐츠의 시작 위치의 인덱스 1, 컨텐츠의 시작부터 23분 26초 경과한 위치의 인덱스 2, 컨텐츠의 시작부터 38분 45초 경과한 위치의 인덱스 3, 및 컨텐츠의 시작부터 43분 59초 경과한 위치의 인덱스 4를 나타내는 경우, 컨텐츠의 시작 위치의 소정의 기간의 컨텐츠의 부분의 데이터, 컨텐츠의 시작부터 23분 26초 경과한 위치의 소정의 기간의 컨텐츠의 부분의 데이터, 컨텐츠의 시작부터 38분 45초 경과한 위치의 소정 의 기간의 컨텐츠의 부분의 데이터, 및 컨텐츠의 시작부터 43분 59초 경과한 위치의 소정의 기간의 컨텐츠의 부분의 데이터가, 캐시 파일에 스터브 데이터로서 격납된다.
스터브 데이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시간의 길이는 디스크 슬롯(121)에 격납되어 있는 광디스크(119)를 디스크 슬롯(121)으로부터 취출하여 드라이브(118)에 장착하고, 드라이브(118)이 장착된 광디스크(119)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를 판독하기 까지 필요한 시간보다 길고, 예를 들면, 20초로부터 30초 정도가 된다.
여기서, 스터브(stub)란, 캐시 파일로서, HDD(116)의 캐시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부분을 말한다. 스터브 영역이란, 스터브 데이터가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상의 영역, 즉, 스터브의 영역을 말한다. 홀 영역이란, 스터브 데이터가 HDD(116)에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상의 영역을 말한다.
스터브 영역 및 홀 영역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 단지 영역이라고 칭한다. 도 8에 있어서, 인덱스 1에 대응하는 0으로 나타내는 스터브 영역인 영역의 데이터(스터브 데이터)는 HDD(116)에 캐시 파일로서 기록되고, 인덱스 1과 인덱스 2와의 사이의, 1로 나타내는 홀 영역인 영역의 데이터는 HDD(116)에 기록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인덱스 2에 대응하는 2로 나타내는 스터브 영역인 영역의 데이터(스터브 데이터), 인덱스 3에 대응하는 4로 나타내는 스터브 영역인 영역의 데이터(스터브 데이터), 및 인덱스 4에 대응하는 6으로 나타내는 스터브 영역인 영역의 데이터(스터브 데이터)는 HDD(116)에 캐시 파일로서 기록된다. 또한, 인덱스 2와 인덱스 3과의 사이의, 3으로 나타내는 홀 영역인 영역의 데이터, 인덱스 3과 인덱스 4와의 사 이의, 5로 나타내는 홀 영역인 영역의 데이터, 및 인덱스 6의 후의, 7로 나타내는 홀 영역인 영역의 데이터는 HDD(116)에 기록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여, 영역 및 확장 속성에서의 영역 정보에 관해 설명한다. 도 9에서 도시한 예에 있어서, 컨텐츠의 데이터의 선두에, 스터브 영역이 배치되고, 그 스터브 영역에 계속하여, 홀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홀 영역에 계속하여, 스터브 영역이 배치되고, 또한, 그 스터브 영역에 계속하여, 홀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컨텐츠의 선두의 부분의 데이터인 스터브 데이터는 HDD(116)의 캐시 파일에 기록되고(스토어 완료로 되고), 컨텐츠의 선두의 그 부분에 계속되는 영역으로서, 소정의 길이의 영역의 데이터는 HDD(116)의 캐시 파일에 기록되지 않는다(홀 상태로 된다). 또한, 그 홀 상태의 영역에 계속되는 컨텐츠의 소정의 부분의 데이터인 스터브 데이터는 HDD(116)의 캐시 파일에 기록되고(스토어 완료가 되고), 그 부분에 계속된 영역으로서, 소정의 길이의 영역의 데이터는 HDD(116)의 캐시 파일에 기록되지 않는다(홀 상태로 된다). 즉, 컨텐츠의 부분의 데이터가 HDD(116)의 캐시 파일에 기록되어 있는 영역과, 기록되지 않은 영역이 교대로 배치된다.
영역 정보는 영역 각각의, 영역 번호, 오프셋, 사이즈, 및 플래그를 포함한다. 영역 번호는 파일의 선두로부터 0 내지 N(정수)이 연속한 값을 취한다. 즉, 영역 번호는 0을 초기치로 하여, 컨텐츠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차례로, 영역의 각각에 부가되는 정수의 일련 번호이다. 오프셋은 파일의 선두(컨텐츠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그 영역의 선두까지의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오프셋은 예를 들면, 바이 트를 단위로 한다. 사이즈는 그 영역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나타낸다. 사이즈는 예를 들면, 바이트를 단위로 한다. 플래그는 스터브 영역(스토어 완료)인지 또는 홀 영역(홀 상태)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1인 플래그는 스터브 영역(스토어 완료)인 것을 나타내고, 0인 플래그는 홀 영역(홀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컨텐츠의 데이터의 선두의 스터브 영역은 컨텐츠의 데이터의 선두에 위치하고, 이 영역의 데이터량이 150바이트이고, 스터브 영역(스토어 완료)이므로, 컨텐츠의 데이터의 선두의 스터브 영역에는 0인 영역 번호, 0인 오프셋, 150인 사이즈, 및 1인 플래그가 부가된다. 컨텐츠의 데이터에서의 선두로부터 2번째의 영역은 이 영역의 본래의 데이터량이 800바이트이고, 홀 영역(홀 상태)이므로, 이 영역에는 1인 영역 번호, 150인 오프셋, 800인 사이즈, 및 0인 플래그가 부가된다.
마찬가지로, 컨텐츠의 데이터에서의 선두로부터 3번째의 영역은 이 영역의 데이터량이 150바이트이고, 스터브 영역(스토어 완료)이므로, 이 영역에는 2인 영역 번호, 950(150+800)인 오프셋, 150인 사이즈, 및 1인 플래그가 부가된다. 컨텐츠의 데이터에서의 선두로부터 4번째의 영역은 이 영역의 본래의 데이터량이 1400바이트이고, 홀 영역(홀 상태)이므로, 이 영역에는 3인 영역 번호, 1100(950+150)인 오프셋, 1400인 사이즈, 및 0인 플래그가 부가된다.
이와 같이 컨텐츠의 확장 속성에서의 영역 정보는 캐시 파일에서의 각 영역의 상태를 나타낸다. 영역 정보를 참조함에 의해, 캐시 파일에서의 영역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힌트 정보의 기록의 처리를 설명 한다. 스텝S11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컨텐츠 매니저(142)를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1)로부터, 컨텐츠에서의 인덱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S12)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인덱스 정보를 기초로, 인덱스로 나타내는 컨텐츠상의 위치를 특정한다.
스텝S13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특정되는 위치를 힌트 섹션의 시작 위치로 하는 힌트 정보를 생성한다. 힌트 섹션은 힌트 정보로 나타내는 컨텐츠에서의 부분(범위)이다.
힌트 정보는 컨텐츠의 어느 부분을 캐시 파일로서 HDD(116)에 기록하는지의 힌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컨텐츠(컨텐츠의 데이터)에 힌트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컨텐츠의 데이터중, 임의의 부분의 데이터를 스터브 데이터로서 HDD(116)의 캐시 영역에 기록할 수 있다. 즉, 컨텐츠의 데이터중, 힌트 정보로 나타내는 부분의 데이터가 스터브 데이터로서 캐시 파일에 격납되어 HDD(116)에 기록된다. 또한, 힌트 정보를 참조함에 의해, 단계적인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힌트 정보는 버전 넘버, 힌트 섹션 길이(section lenght), 힌트 오프셋, 힌트 사이즈, 영역 플래그(region flg), 힌트 프라이어러티, 및 타임 스탬프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힌트 정보에, 하나의 버전 넘버 및 하나의 힌트 섹션 길이가 배치된다. 하나의 힌트 정보에, 힌트 섹션의 수에 응한, 힌트 오프셋, 힌트 사이즈, 영역 플래그, 힌트 프라이어러티, 및 타임 스탬프가 배치된다. 즉, 1조(組)의 힌트 오프셋, 힌트 사이즈, 영역 플래그, 힌트 프라이어러티, 및 타임 스탬프는 하나의 영역의 정보를 나타낸다.
버전 넘버는 힌트 정보의 버전을 나타내고,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힌트 섹션 길이는 이 힌트 정보로 나타내는 모든 힌트 섹션의 데이터량의 합계를 나타낸다. 하나의 힌트 섹션의 데이터량을 일정하게 하면, 힌트 섹션 길이를 하나의 힌트 섹션의 데이터량으로 나눗셈 함에 의해, 힌트 섹션의 수를 구할 수 있다.
힌트 오프셋은 각각의 힌트 섹션의 시작 위치를 컨텐츠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의 오프셋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힌트 오프셋의 단위는 데이터량(바이트 등)으로 된다. 힌트 사이즈는 힌트 섹션의 데이터량을 나타낸다. 힌트 사이즈의 단위는 예를 들면, 바이트로 된다.
영역 플래그는 각각의 힌트 섹션에 관해, 인덱스에 대응한 힌트 섹션인지, 인상적인 장면에 대응하는 힌트 섹션인지, 또는 중요한 장면에 대응하는 힌트 섹션인지 등의 속성을 나타낸다.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영역 플래그를 참조하여, 액세스에 응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힌트 프라이어러티는 각각의 힌트 섹션을 마이그레이션하는 경우의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힌트 프라이어러티의 값이 클수록, 그 힌트 섹션에 대응하는 부분의 데이터가 마이그레이션되기 쉽다. 힌트 프라이어러티에 0이 설정된 경우, 그 컨텐츠가 기록 재생 시스템(101)으로부터 삭제될 때까지, 1차 스토리지인 HDD(116)에, 그 힌트 섹션에 대응하는 부분의 데이터가 캐시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 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의해, 빈번하게 액세스되는 컨텐츠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는 힌트 섹션의 힌트 프라이어러티에 0을 설정하는 등, 힌트 프라이어러티의 값을 관리할 수 있다.
타임 스탬프는 그 힌트 섹션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부분(데이터)에 최후에 액세스된 일시를 나타낸다. 타임 스탬프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 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의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미리 정한 값을 버전 넘버에 설정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스텝(S12)의 처리에서 특정된, 컨텐츠의 재생에서의 시각인 컨텐츠상의 위치에서, 컨텐츠의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그 위치까지의 데이터량을 구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그 데이터량을 힌트 오프셋이로 한다. 또한,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미리 정한 값을 힌트 사이즈로 한다. 또한,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인덱스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값을 영역 플래그로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미리 정한 값을 힌트 프라이어러티에 설정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컨텐츠의 최초의 인덱스에 관해서는 0, 그 밖의 인덱스에 관해서는 1인 값을 힌트 프라이어러티에 설정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최후에 액세스된 일시를 타임 스탬프로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힌트 섹션의 수에 힌트 사이즈를 곱셈하여 얻어진 값을 힌트 섹션 길이로 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이와 같이 생성한 버전 넘버, 힌트 섹션 길이 힌트 오프셋, 힌트 사이즈, 영역 플래그, 힌트 프라이어러티, 및 타임 스탬프를 소 정의 순서로 배치함에 의해 힌트 정보를 생성한다.
스텝S14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스토리지 매니저(114)를 통하여, HSM(113)의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확장 속성에, 힌트 정보를 격납시킨다.
스텝(S15)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컨텐츠 매니저(142)에 문의한 결과를 기초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1)에 인상적인 장면을 나타내는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15)에서, 인상적인 장면을 나타내는 정보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16)으로 진행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컨텐츠 매니저(142)를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1)로부터 인상적인 장면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S17)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인상적인 장면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상의 인상적인 장면의 선두의 위치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인상적인 장면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의 재생에서의 시각으로 정해지는 인상적인 장면의 선두의 위치를 특정한다.
스텝(S18)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인상적인 장면의 선두의 위치를 힌트 섹션의 시작 위치로 하는 힌트 정보를 생성한다. 스텝(S19)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스토리지 매니저(114)를 통하여, HSM(113)의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확장 속성에, 힌트 정보를 격납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S15)에서, 인상적인 장면을 나타내는 정보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 스 텝(S16) 내지 스텝(S19)의 처리는 스킵되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인덱스 정보 또는 인상적인 장면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힌트 정보가 생성되고, 기록된다.
이와 같이 기록된 힌트 정보를 참조하여, 단계적인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할 수가 있다.
또한, 힌트 정보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에 응한 값이 직접 설정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으로 한하지 않고,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의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기록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S31)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의 주사를 시작하는 디렉토리인 앵커 포인트를 설정한다. 또한,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시작하고, 최초에 실행되는 스텝(S31)의 처리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미리 정한 디렉토리(예를 들면, 루트 디렉토리 등)인 앵커 포인트를 설정한다. 후술하는 스텝(S41), 스텝(S53), 또는 스텝(S60)의 처리에서,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이 되었다고 판정되고, 절차가 스텝(S31)으로 되돌아온 경우,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그때까지의 처리에서 주목하고 있던 디렉토리, 또는 그때까지의 처리의 대상이 되는 파일이 격납되어 있는 디렉토리를 파일의 주사를 시작하는 디렉토리로 하도록 앵커 포인트를 설정한다.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스텝(S32) 및 스텝(S65)에서, 설정된 앵커 포인트에 관해 스텝(S33) 내지 스텝(S64)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스페이스 가드의 처리의 루프 제어를 실행한다.
스텝(S33)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웨이트 처리를 실행하여, 미리 정한 기간만큼 대기한다. 스텝(S34)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으로부터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을 취득하고,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이 상한 임계치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34)에서, 데이터량이 상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을 삭감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스텝(S33)으로 되돌아와, 소정의 기간만큼 대기하고,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이 상한 임계치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S34)에서, 데이터량이 상한 임계치를 초과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35)으로 진행하고,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스텝(S31)의 처리에서 설정된 앵커 포인트로 이동한다. 즉, 스텝(S35)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앵커 포인트인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파스를 설정하는 등으로, 앵커 포인트인 디렉토리로 이동한다(디렉토리를 특정한다).
스텝(S36)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마이그레이션 레벨(n)에 미리 정한 초기치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S36)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마이그레이션 레벨(n)에 초기치인 8을 설정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마이그레이션 레벨(n)은 컨텐츠의 부분의 데이터를 캐시하는지의 여부를 정하는 기준이다.
또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스텝(S40)으로서 후술하는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의 생성의 처리에서 이용한 마이그레이션 레벨(n)을 기억하여 두고, 스텝(S36)에서, 그 전회의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의 생성의 처리에서 이용한 마이그레이션 레벨(n)을 초기치로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스텝(S37) 및 스텝(S44)에서, 앵커 포인트로부터 차례로 캐시 파일을 주사하고, 주사한 캐시 파일을 기초로, 스텝(S39) 내지 스텝(S43)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대상 디렉토리 조작의 루프 제어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38)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디렉토리의 구조 및 각각의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파일의 파일명을 취득한다. 그리고, 스텝(S38)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취득한 디렉토리의 구조 및 파일명을 기초로, 현재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로부터, 처리의 대상이 되는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S37) 및 스텝(S44)의 대상 디렉토리 조작의 루프 제어의 처리가 실행되어, 최초에 실행되는 스텝(S38)의 처리에서, 앵커 포인트로서 설정된 디렉토리를 기초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이 특정된다. 후술하는 스텝(S43)에서, 다음의 디렉토리로 이동한 후에 실행되는 스텝(S38)의 처리에서, 이동한 디렉토리를 기초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이 특정된다.
스텝(S39)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특정된 캐시 파일이 가까운 장래에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은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특정된 캐시 파일이 가까운 장래에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40)으로 진행하고, 특정된 캐 시 파일에,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의 생성의 처리를 적용하여, 캐시 파일로부터 컨텐츠의 소정의 부분의 데이터를 삭제한다. 캐시 파일로부터 컨텐츠의 소정의 부분의 데이터가 삭제되면,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삭감되게 된다. 또한,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의 생성의 처리의 상세는 도 1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S40)의 처리의 후, 절차는 스텝(S41)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스텝(S39)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1)의 액세스 이력 테이블로부터, 특정된 캐시 파일에 관한 액세스의 이력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액세스의 이력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특정된 캐시 파일이 가까운 장래에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번 액세스된 데이터는 재차,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최종 액세스 일시로 나타내는 컨텐츠의 파일이 최후에 액세스된 일시로부터 현재의 일시까지의 기간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짧은 경우, 특정된 캐시 파일이 가까운 장래에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하고, 최후에 액세스된 일시로부터 현재의 일시까지의 기간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경우, 특정된 캐시 파일이 가까운 장래에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판정한다.
도 14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1)에 기록되어 있는 액세스 이력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는 액세스 이력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액세스의 이력에 관한 정보중, 하나의 컨텐츠에 관한 액세스의 이력에 관한 정보가 나타나 있다.
도 14에서, 좌측의 세로 1열은 필드의 명칭을 나타내고, 좌측부터 2번째의 세로 1열은 각각의 필드의 정보의 타입을 나타낸다. 또한, 좌측부터 3번째의 세로 1열은 각각의 필드가 검색의 키로서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좌측부터 4번째의 세로 1열은 각각의 필드의 디폴트를 나타낸다. 또한, 우측의 세로 1열은 각각의 필드에 관한 비고를 나타낸다.
액세스 이력 테이블에는 파일 패스(file path), 작성 일시, 최종 갱신일, 최종 액세스 일, 및 파일 사이즈의 필드가 마련된다. 파일 패스(file path)의 필드는 각각 컨텐츠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파일에의 파스가 나타내는 패스명을 격납한다. 작성 일시의 필드는 컨텐츠의 파일이 작성된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격납한다. 최종 갱신일의 필드는 컨텐츠의 파일이 최후에 갱신된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격납한다. 또한, 최종 액세스 일의 필드는 컨텐츠의 파일이 최후에 액세스된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격납한다. 파일 사이즈의 필드는 각각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격납한다.
파일 패스의 필드에 격납되는 파일 패스명의 타입은 문자열로 이루어지고, 작성 일시의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의 타입은 일시(date and time)로 되고, 최종 갱신일의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의 타입은 일시(date and time)로 되고, 최종 액세스 일의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의 타입은 일시(date and time)로 된다. 파일 사이즈의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의 타입은 부호 없는 정수로 된다.
파일 패스의 필드에 격납되는 패스명이 주 키(main key)로 되고, 파일을 특정하는 ID로서 사용된다.
작성 일시의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의 디폴트는 작성 일시로 되고, 작성 일시의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는 파일의 작성시에 액세스 이력 테이블에 기록된다. 최종 갱신일의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의 디폴트는 최종 갱신 일시로 되고, 최종 갱신일의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는 파일이 갱신된 경우, 액세스 이력 테이블에 기록된다(갱신된다).
최종 액세스 일(date)의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의 디폴트는 최종 액세스 일시로 되고, 최종 액세스 일의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는 파일(의 데이터)이 액세스된 경우, 액세스 이력 테이블에 기록된다(갱신된다). 파일 사이즈의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의 디폴트는 파일 사이즈로 된다.
예를 들면, 스텝(S39)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61)의 액세스 이력 테이블로부터, 특정된 캐시 파일에 관한 이력 정보로서, 최종 액세스 일의 필드에 격납되는 정보를 판독하여, 컨텐츠의 파일이 최후에 액세스된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특정된 캐시 파일이 가까운 장래에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39)에서, 특정된 캐시 파일이 가까운 장래에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40)의 처리는 스킵되고, 절차는 스텝(S41)으로 진행한다.
스텝(S41)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으로부터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을 취득하여,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이 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으로되어 있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더욱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을 삭감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텝(S42)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하한 임계치는 상한 임계치보다 작은 값으로 된다.
스텝(S42)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현재,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관해 모든 캐시 파일을 특정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모든 캐시 파일을 특정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43)으로 진행하고, 주사 순서에 응하여, 주사의 대상이 되는 다음의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스텝(S42)에서, 현재,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관해 모든 캐시 파일을 특정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캐시 파일이 아직 있기 때문에, 스텝(S43)의 처리는 스킵되고, 스텝(S44)으로 진행한다.
스텝(S41)에서,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이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을 이 이상 삭감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스텝(S31)으로 되돌아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37) 및 스텝(S44)의 처리에 의해,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캐시 파일이 주사되고, 주사된 캐시 파일에 관해, 스텝(S39) 및 스텝(S40)의 처리가 적용된 경우, 절차는 스텝(S37) 및 스텝(S44)의 루프의 처리를 빼고서, 스텝(S45)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스텝(S38) 및 스텝(S43)의 처리에서의, 디렉토리의 주사 및 캐시 파일의 특정한 구체적인 예에 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디렉토리의 주사 및 캐시 파일의 검색(특정)은 전위순회(pre-order traversal), 중위순회(in-order traversal), 또는 후위순회(post-order traversal) 등의 방식으로 할 수 있다.
도 15는 디렉토리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가장 위의 "/"로 나타내는 디렉토리는 루트 디렉토리이다. 그리고, 루트 디렉토리란, 캐시 파일이 격납되는 디렉토리중, 가장 상위의 디렉토리를 말한다.
루트 디렉토리에는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 "bbb/"로 나타내는 디렉토리, 및 "ccc/"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배치된다. 또한, 루트 디렉토리는 "A"인 파일 및 "B"인 파일을 격납한다.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는 "ddd/"로 나타내는 디렉토리, 및 "eee/"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배치된다.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는 "C"인 파일을 격납한다.
"bbb/"로 나타내는 디렉토리는 "D"인 파일을 격납한다. "ccc/"로 나타내는 디렉토리는 파일을 격납하지 않는다.
"ddd/"로 나타내는 디렉토리는 "E"인 파일을 격납한다. "eee/"로 나타내는 디렉토리는 파일을 격납하지 않는다.
도 16은 전위순회의 주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위순회 방식에서는 현재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파일을 검색(특정)하고 나서,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자식 디렉토리(child directory)를 앞순(pre-order)으로 주사한다.
즉, 전위순회 방식에서는 우선, 현재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파일을 검색(특정)한다. 다음에,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자식 디렉토리를 앞 순으로 주목한다. 주목된 자식 디렉토리에 관해, 재귀적으로(recursively), 전위순회 방식으로, 파일이 검색되고, 또한 그 자식 디렉토리가 앞순으로 주목된다.
따라서,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루트 디렉토리에 먼저 주목하면, 루트 디렉토리의 "A"인 파일 및 "B"인 파일이 검색된다. 다음에, 루트 디렉토리의 최초의 자식 디렉토리인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주사)되고,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C"인 파일이 검색된다.
다음에,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의 최초의 자식 디렉토리인 "ddd/"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주사)되고, "ddd/"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E"인 파일이 검색된다. 그리고,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의 2번째(최후)의 자식 디렉토리인 "eee/"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된다.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의 모든 자식의 디레쿠트리가 주목되었기 때문에, 다음에, 루트 디렉토리의 2번째의 자식 디렉토리인 "bbb/"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된다. 그리고, "bbb/"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D"인 파일이 검색된다.
또한, 루트 디렉토리의 최후의 자식 디렉토리인 "ccc/"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된다. "ccc/"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는 파일이 격납되지 않는다. 루트 디렉토리의 모든 자식 디렉토리가 주목되었기 때문에,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전위순회 방식에서는 "A"인 파일, "B"인 파일, "C"인 파일, "E"인 파일, "D"인 파일이 차례로 검색(특정)되게 된다.
중위순회 방식에서는 현재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자식 디렉토리를 중위순(in-order)으로 주사하고, 주사의 과정에서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파일이 검색(특정)된다.
즉, 중위순회 방식에서는 루트 디렉토리의 최초의 자식 디렉토리인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되고, 또한,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의 최초의 자식 디렉토리인 "ddd/"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된다. "ddd/"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는 자식 디렉토리가 없기 때문에, "ddd/"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E"인 파일이 검색된다.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로 되돌아와,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C"인 파일이 검색된다.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의 최후의 자식 디렉토리인 "eee/"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된다. "eee/"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는 파일이 격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루트 디렉토리로 되돌아온다.
여기서, 루트 디렉토리의 "A"인 파일 및 "B"인 파일이 검색된다.
다음에, 루트 디렉토리의 2번째의 자식 디렉토리인 "bbb/"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되고, "bbb/"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는 자식 디렉토리가 없기 때문에, "bbb/"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D"인 파일이 검색된다.
그리고, 루트 디렉토리의 최후의 자식 디렉토리인 "ccc/"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된다. 루트 디렉토리의 모든 자식 디렉토리가 주목되었기 때문에,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중위순회 방식에서는 "E"인 파일, "C"인 파일, "A"인 파일, "B"인 파일, "D"인 파일이 차례로 검색(특정)된다.
또한, 후위순회 방식에서는 현재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자식 디렉토리를 후위순(post-order)으로 주사한 후에,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파일이 검색(특정)된다.
즉, 후위순회 방식에서는 루트 디렉토리의 최초의 자식 디렉토리인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되고, 또한,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의 최초의 자식 디렉토리인 "ddd/"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된다. "ddd/"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는 자식 디렉토리가 없기 때문에, "ddd/"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E"인 파일이 검색된다.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로 되돌아와,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의 최후의 자식 디렉토리인 "eee/"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된다. "eee/"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는 파일이 격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로 되돌아와,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C"인 파일이 검색된다.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의 자식 디렉토리의 전부가 주목되고, "aaa/"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C"인 파일이 검색되었기 때문에, 다음에, 루트 디렉토리의 2번째의 자식 디렉토리인 "bbb/"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된다. "bbb/"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는 자식 디렉토리가 없기 때문에, "bbb/"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D"인 파일이 검색된다.
루트 디렉토리의 최후의 자식 디렉토리인 "ccc/"로 나타내는 디렉토리가 주목된다. "ccc/"로 나타내는 디렉토리에는 자식 디렉토리가 없고, 파일도 격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루트 디렉토리의 "A"인 파일 및 "B"인 파일이 검색되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후위순회 방식에서는 "E"인 파일, "C"인 파일, "D"인 파일, "A"인 파일, "B"인 파일이 차례로 검색(특정)된다.
이상과 같이 스텝(S37) 및 스텝(S44)의 처리에 의해,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캐시 파일이 주사되고(차례로 검색되고), 주사(검색)된 캐시 파일에 관해, 스텝(S39) 및 스텝(S40)의 처리가 적용된다.
스텝(S45)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마이그레이션 레벨(n)로부터 1을 빼고, 그 결과를 마이그레이션 레벨(n)에 설정한다. 즉, 마이그레이션 레벨(n)은 1만큼 작게 된다.
스텝(S46)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마이그레이션 레벨(n)이 0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46)에서, 마이그레이션 레벨(n)이 0 미만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S37)으로 되돌아와, 전회의 처리에 비교하여 1 작은 마이그레이션 레벨(n)에 관해, 스텝(S37) 내지 스텝(S44)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소정의 마이그레이션 레벨(n)을 기초로,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가 삭제(트렁케이트)되어도, 아직,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으로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전회의 처리에 비교하여 1 작은 마이그레이션 레벨(n)을 기초로, ㄷ다시 캐시 파일로부터 데이터가 트렁케이트된다. 여기서, 트렁케이트의 처리는 캐시 파일의 부분의 데이터, 또는 캐시 파일의 모든 데이터를 1차 스토리지로부터 삭제하는 처리이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캐시 파일이 주사되고, 초기치로서의 8인 마이그레이션 레벨(n)을 기초로, 주사된 캐시 파일로부터 데 이터가 삭제(트렁케이트)된다. 8인 마이그레이션 레벨(n)을 기초로, 주사된 캐시 파일로부터 데이터가 삭제되어도,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경우, 다시,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캐시 파일이 주사되고, 7인 마이그레이션 레벨(n)을 기초로, 주사된 캐시 파일로부터 데이터가 트렁케이트된다. 마찬가지로, 7인 마이그레이션 레벨(n)을 기초로, 주사된 캐시 파일로부터 데이터가 삭제되어도,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경우, 다시,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캐시 파일이 주사되고, 6인 마이그레이션 레벨(n)을 기초로, 주사된 캐시 파일로부터 데이터가 트렁케이트된다.
이상과 같이 주사된 캐시 파일로부터 데이터가 삭제되어도,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경우,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캐시 파일이 주사되고, 1씩 작은 값으로 된 마이그레이션 레벨(n)을 기초로, 주사된 캐시 파일로부터 데이터가 트렁케이트되는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S46)에서, 마이그레이션 레벨(n)이 0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이 이상,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의 생성의 처리(트렁케이트의 처리)로 캐시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삭제할 수 없기 때문에, 스텝(S47)으로 진행하고,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스텝(S48) 및 스텝(S56)에서, 루트 디렉토리로부터 차례로 캐시 파일을 주사하고, 주사한 캐시 파일에 스텝(S50) 내지 스텝(S55)의 처 리를 적용하도록 대상 디렉토리 조작의 루프 제어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49)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처리의 대상이 되는 캐시 파일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S48) 및 스텝(S56)의 대상 디렉토리 조작의 루프 제어의 처리가 실행되고, 최초에 실행되는 스텝(S49)의 처리에서, 루트 디렉토리를 기초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캐시 파일이 특정된다. 후술하는 스텝(S55)에서, 다음의 디렉토리로 이동한 후에 실행되는 스텝(S49)의 처리에서, 이동한 디렉토리를 기초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캐시 파일이 특정된다.
스텝(S50)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특정된 캐시 파일의 확장 속성을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으로부터 취득한다.
스텝(S51)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확장 속성을 기초로, 특정된 캐시 파일이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중단한 캐시 파일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특정된 캐시 파일이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중단한 캐시 파일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S52)으로 진행하고, 특정된 캐시 파일에 관한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재개시킨다.
스텝(S51)에서, 특정된 캐시 파일이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중단한 캐시 파일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S52)의 처리는 스킵되고, 절차는 스텝(S53)으로 진행한다.
스텝(S53)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으로부터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을 취득하여,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이 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데이터량이 하한 임 계치 미만으로 되어 있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54)으로 진행한다. 스텝(S54)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관해, 모든 캐시 파일을 특정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관해, 모든 캐시 파일을 특정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55)으로 진행하고, 주사 순서에 응하여, 주사의 대상이 되는 다음의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스텝(S54)에서,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관해, 모든 캐시 파일을 특정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그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관해, 캐시 파일이 아직 있기 때문에, 스텝(S55)의 처리는 스킵되고, 스텝(S56)으로 진행한다.
스텝(S53)에서,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이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31)으로 되돌아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48) 및 스텝(S56)의 처리에 의해,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캐시 파일이 주사되고, 주사된 캐시 파일에 관해, 스텝(S50) 내지 스텝(S52)의 처리가 적용된 경우, 절차는 스텝(S48) 및 스텝(S56)의 루프의 처리를 빼고서, 스텝(S57)으로 진행한다.
스텝(S49) 및 스텝(S55)의 처리에서의, 디렉토리의 주사 및 캐시 파일의 특정한 처리는 예를 들면, 디렉토리의 주사 및 캐시 파일의 검색(특정)은 전위순회, 중위순회, 또는 후위순회 등의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스텝(S57)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스텝(S58) 및 스텝(S63)에서, 루트 디렉토리로부터 차례로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을 주사하고, 주사한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에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적용하도록 대상 디렉토리 조작의 루프 제어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59)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기초로,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을 특정하고, 특정된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에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적용한다. 예를 들면, 스텝(S58) 및 스텝(S63)의 대상 디렉토리 조작의 루프 제어의 처리가 실행되고, 최초에 실행되는 스텝(S59)의 처리에서, 루트 디렉토리를 기초로,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이 특정되고, 특정된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에 마이그레이션의 처리가 적용된다. 후술하는 스텝(S62)에서, 다음의 디렉토리로 이동한 후에 실행되는 스텝(S59)의 처리에서, 이동한 디렉토리를 기초로,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이 특정되고, 특정된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에 마이그레이션의 처리가 적용된다.
스텝(S60)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으로부터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을 취득하고,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이 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으로되어 있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61)으로 진행한다. 스텝(S61)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62)으로 진행하고, 주사 순서에 응하여, 주사의 대상이 되는 다음의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스텝(S61)에서, 주목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이 있다 고 판정된 경우, 스텝(S62)의 처리는 스킵되고, 스텝(S63)으로 진행한다.
스텝(S60)에서,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이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31)으로 되돌아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58) 및 스텝(S63)의 처리에 의해, 루트 디렉토리로부터 차례로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이 주사되고, 주사된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의 전부에 마이그레이션의 처리가 적용된 경우, 절차는 스텝(S58) 및 스텝(S63)의 루프의 처리를 빼고서, 스텝(S64)으로 진행한다.
스텝(S59) 및 스텝(S62)의 처리에서의, 디렉토리의 주사 및 마이그레이션의 처리를 적용하는 레귤러 상태의 캐시 파일의 특정한 처리는 예를 들면, 디렉토리의 주사 및 캐시 파일의 검색(특정)은 전위순회, 중위순회, 또는 후위순회 등의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스텝(S64)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에 마이그레이션의 대상이 되는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통지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모니터(125)에, 마이그레이션의 대상이 되는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통지하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스텝(S64)의 처리의 후, 스텝(S32) 및 스텝(S65)의 스페이스 가드의 루프의 처리를 빼고서,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HDD(116)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경우, 광디스크(119)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이 HDD(116)로부터 소거되고, 광디스크(119)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HDD(116)로부터 소거하여도,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하한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때,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광디스크(119)에 기록시킨 후 HDD(116)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중단된 컨텐츠에 관해, 중단된 처리가 재개되던지, 또는 , 광디스크(119)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가 광디스크(119)에 기록시키고, HDD(116)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이 소거된다.
평균적인 처리시간이 짧다고 상정되는 순서로, HDD(116)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1차 스토리지인 HDD(116)에, 보다 신속하게 가용 영역을 작성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7은 도 11의 스텝(S40)에 대응하는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의 생성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S81)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의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으로부터 컨텐츠의 확장 속성을 판독하고, 컨텐츠의 확장 속성에 힌트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81)에서, 힌트 정보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82)으로 진행하고,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의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로부터 컨텐츠의 확장 속성을 판독하고, 판독 컨텐츠의 확장 속성으로부터 힌트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힌트 정보중의, 모든 힌트 섹션의 데이터량의 합계를 나타내는 힌트 섹션 길이를 취득한다.
스텝(S83)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힌트 섹션 길이를 하나의 힌트 섹션의 데이터량으로 나눗셈 함에 의해 힌트 섹션의 수를 산출한다.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스텝(S84) 및 스텝(S92)에서, 각각의 힌트 섹션에 관해 스텝(S85) 내지 스텝(S91)의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S84) 내지 스텝(S92)의 처리를 힌트 섹션의 수만큼 반복하도록 루프 제어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85)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힌트 정보로부터, 소정의 힌트 섹션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힌트 오프셋을 취득한다. 스텝(S86)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힌트 정보로부터, 그 힌트 섹션의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힌트 사이즈를 취득한다. 스텝(S87)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힌트 정보로부터, 그 힌트 섹션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힌트 프라이어러티를 취득한다.
스텝(S88)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힌트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영역을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캐시 파일상으로부터 삭제하는 홀 영역에 설정한다.
스텝(S89)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힌트 프라이어러티가 설정되어 있는 마이그레이션 레벨(n)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89)에서, 힌트 프라이어러티가 설정되어 있는 마이그레이션 레벨(n) 이하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S90)으로 진행하고,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그 힌트 프라이어러티가 설정되어 있는 힌트 섹션을 스터브 영역(캐시하는 영역)에 설정한다.
한편, 스텝(S89)에서, 힌트 프라이어러티가 설정되어 있는 마이그레이션 레벨(n) 이하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S91)으로 진행하고,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그 힌트 프라이어러티가 설정되어 있는 힌트 섹션을 캐시 파일상으로부터 삭제하는 홀 영역에 설정한다.
각각의 힌트 섹션에 관해 스텝(S85) 내지 스텝(S91)의 처리가 실행되고, 각 각의 힌트 섹션을 포괄하는 영역은 스터브 영역에 설정되던지, 또는 홀 영역에 설정되게 된다. 또한, 힌트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영역은 홀 영역에 설정된다.
스텝(S84) 내지 스텝(S92)의 처리가 힌트 섹션의 수만큼 반복된 후, 절차는 스텝(S44)으로 진행한다.
스텝(S81)에서, 컨텐츠의 확장 속성에 힌트 정보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93)으로 진행하고,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초기 설정에 따라, 파일 내부 영역을 설정한다. 즉, 스텝(S93)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초기 설정에 따라, 컨텐츠의 영역을 스터브 영역이나, 홀 영역에 설정하고, 스텝(S94)으로 진행한다.
스텝S94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홀 영역의 데이터가 캐시 파일에 기록되고 필요하는지의 여부, 즉, 홀 영역의 데이터가 캐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홀 영역의 데이터가 캐시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95)으로 진행하고, HSM(113)에, 홀 영역의 데이터를 캐시 파일로부터 삭제(소거)시킨다. HSM(113)은 스토리지 매니저(114)의 제어에 의거하여, HDD(116)의 캐시 파일로부터 홀 영역의 데이터를 소거시킨다. 그 후, 절차는 스텝(S96)으로 진행한다.
스텝(S94)에서, 홀 영역의 데이터가 캐시되어 있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캐시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삭제하는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텝(S95)의 처리는 스킵되고, 절차는 스텝(S96)으로 진행한다.
스텝(S96)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스터브 영역의 데이터가 캐시 파일에 기록되어 있지 않는지의 여부, 즉, 스터브 영역의 데이터가 캐시되어 있지 않은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스터브 영역의 데이터가 캐시되어 있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 우, 스텝(S97)으로 진행하고, HSM(113)에, 스터브 영역의 데이터를 캐시 파일에 리로드시킨다. HSM(113)은 스토리지 매니저(114)의 제어에 의거하여,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광디스크(119)를 드라이브(118)에 장착시킨다. HSM(113)은 드라이브(118)에, 광디스크(119)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를 판독시키고, 판독한 컨텐츠의 데이터를 HDD(116)의 캐시 파일에 격납함에 의해, 스터브 영역의 데이터를 리로드한다. 그 후, 절차는 스텝(S98)으로 진행한다.
스텝(S96)에서, 스터브 영역의 데이터가 캐시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터브 영역의 데이터를 리로드하는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텝(S97)의 처리는 스킵되고, 절차는 스텝(S98)으로 진행한다.
스텝(S98)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의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에, 캐시 파일로부터의 데이터의 소거 또는 캐시 파일에의 데이터의 리로드의 결과에 대응하도록, 컨텐츠의 확장 속성의 영역 정보를 재기록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이 생성된다.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에, 마이그레이션 레벨(n)을 기초로 한,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의 생성의 처리가 적용되면, n 이하의 힌트 프라이어러티의 힌트 섹션에 대응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이 생성되게 된다.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에, 보다 작은 값의 마이그레이션 레벨(n)을 기초로 한,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의 생성의 처리가 적용되면, 캐시 파일로부터 스터브 데이터가 소거되기 때문에, 캐시 파일의 데이터량은 보다 삭감되게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생성된,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을 이용한, 컨텐츠의 데이터의 판독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18은 인덱스(_n)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S111)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의 파일 I/O 매니저(163)는 데이터의 판독을 시작하는 인덱스(_n)의 지정을 받아들인다. 보다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응한, 재생을 시작하는 인덱스의 선택을 받아들인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사용자에게 선택되고, 재생을 시작하는 인덱스를 지정하는 데이터를 파일 I/O 매니저(163)에 공급한다. 파일 I/O 매니저(16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취득함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의 판독을 시작하는 인덱스(_n)의 지정을 받아들인다.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인덱스(_n)로부터의 재생을 HSM(113)에 지시한다.
스텝(S112)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의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에 격납되어 있는 영역 정보를 기초로, 판독이 지시된 컨텐츠의 모든 데이터가 캐시 파일로서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지, 즉, 판독이 지시된 컨텐츠의 모든 데이터가 HDD(116)에 스토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112)에서, 모든 데이터가 HDD(116)에 스토어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113)으로 진행하고,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에, 인덱스(_n)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컨텐츠의 데이터의 판독을 지시한다. HSM(113)은 HDD(116)에, 인덱스(_n)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캐시 파일의 데이터의 판독을 시작시킨다. 스텝(S113)의 처리의 후, 절차는 스텝(S119)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112)에서, 모든 데이터가 HDD(116)에 스토어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114)으로 진행하고,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에, 인덱스(_n)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의 판독을 지시한다. HSM(113)은 HDD(116)에, HDD(116)의 캐시 파일의 인덱스(_n)에 대응하는 스터브 영역의 선두 위치로부터 데이터의 판독을 시작시킨다.
따라서, 컨텐츠가 즉석에서 재생되게 된다.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에, 광디스크(119)로부터 HDD(116)에의 해당하는 컨텐츠의 데이터의 판독 요구인 리로드 커맨드를 발행한다.
스텝(S115)에서, HSM(113)은 스토어 데이터베이스(166)로부터, 대응하는 캐시 파일 ID와 볼륨 ID를 참조한다. 스텝(S116)에서, 스토리지 서버(165)는 볼륨 데이터베이스(168)을 기초로, 볼륨 ID로 특정되는 광디스크(119)가 격납되어 있는 디스크 슬롯(121)을 특정한다. 즉, 스토리지 서버(165)는 미디어 서버(167)에, 볼륨 ID로 특정되는 광디스크(119)가 격납되어 있는 디스크 슬롯(121)의 특정을 요구한다. 미디어 서버(167)는 볼륨 데이터베이스(168)에, 주크박스(145)의 각 디스크 슬롯(121)에 격납되어 있는 광디스크(119)를 특정하는 볼륨 ID중, 스토리지 서버(165)로부터의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볼륨 ID와 일치하는 볼륨 ID를 검색시킨다. 볼륨 데이터베이스(168)가, 스토리지 서버(165)로부터의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볼륨 ID로 특정되는 광디스크(119)가 격납되어 있는 디스크 슬롯(121)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여 오기 때문에, 미디어 서버(167)는 디스크 슬롯(121)을 나타내는 정보를 스토리지 서버(165)에 공급한다. 이로써, 스토리지 서버(165)는 볼륨 ID로 특 정되는 광디스크(119)가 격납되어 있는 디스크 슬롯(121)을 특정한다.
스텝(S117)에서, 스토리지 서버(165)는 미디어 서버(167)에, 특정된 디스크 슬롯(121)에 격납되어 있는 광디스크(119)의 드라이브(118)에의 장착을 지시한다. 미디어 서버(167)는 체인저 드라이버(143)을 통하여, 주크 시스템(120)에, 특정된 디스크 슬롯(121)에 격납되어 있는 광디스크(119)를 드라이브(118)에 장착시킨다. 즉, 주크 시스템(120)의 제어를 기초로, 주크박스(145)의 피커(122)는 특정된 디스크 슬롯(121)으로부터, 광디스크(119)를 취출하고, 반송하고, 그 광디스크(119)를 드라이브(118)에 장착(마운트)시킨다.
스텝(S118)에서, 리로드의 처리가 실행된다. 리로드의 처리의 상세는 도 1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S118)의 처리의 후, 절차는 스텝(S119)으로 진행한다.
스텝(S119)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캐시 파일의 최후까지 데이터를 판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캐시 파일의 최후까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119)으로 되돌아와, 판정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119)에서, 캐시 파일의 최후까지 데이터를 판독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한다.
다음에, 도 1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도 18의 스텝(S118)의 리로드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한다. 스텝(S131)에서, 스토리지 매니저(114)는 HSM(113)에,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고, 리로드의 시작를 지시한다. HSM(113)의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은 리로드의 시작 위치를 현재, HDD(116)로부터 판독되어 있는 데이터 의 위치의 후의 영역이고, 가장 가까운 영역의 선두로 한다.
스텝(S132)에서, HSM(113)의 스토리지 서버(165)는 리로드를 시작한다. 즉, 스토리지 서버(165)는 리로드의 시작 위치에서의 데이터를 광디스크(119)가 장착된 드라이브(118)로부터 판독시키하고, 판독 데이터를 캐시 파일의 소정의 영역에 격납시키도록, HDD(116)에 기록시킨다.
스텝(S133)에서,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은 그 영역이 스토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영역이 스토어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134)에서, 리로드의 시작 위치를 그 영역의 후의 홀 영역이고, 가장 가까운 홀 영역의 선두로 이동한다. 스텝(S133)에서, 그 영역이 스토어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134)의 처리는 스킵된다.
스텝(S135)에서, HSM(113)의 스토리지 서버(165)는 리로드를 시작한다.
스텝(S136)에서,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은 그 영역의 리로드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영역의 리로드가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136)으로 되돌아와, 판정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136)에서, 그 영역의 리로드가 완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137)으로 진행하고,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은 리로드를 완료한 영역과 인접하는 스터브 영역을 결합시키도록 확장 속성을 재기록한다.
스텝(S138)에서,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은 캐시 파일의 최후까지 리로드가 완료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138)에서, 캐시 파일의 최후까지 리로드가 완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139)으로 진행하고,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은 컨텐츠의 모든 데이터가 HDD(116)에 기록되었는지, 즉, 컨텐츠의 모든 데이터가 스토어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139)에서, 컨텐츠의 모든 데이터가 스토어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140)으로 진행하고,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은 오토 리로드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140)에서, 오토 리로드 모드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S141)으로 진행하고, 마이그레이션 파일 시스템(164)은 리로드의 시작 위치를 캐시 파일의 선두로 이동하고, 스텝(S132)으로 되돌아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138)에서, 캐시 파일의 최후까지 리로드가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132)으로 되돌아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139)에서, 컨텐츠의 모든 데이터가 스토어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S140)에서, 오토 리로드 모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HDD(116)의 캐시 파일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가 판독되어 있는 동안으로서, 미리 캐시 파일에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의 판독이 실행되기 전에, 드라이브(118)에 장착된 광디스크(119)로부터 홀 영역의 데이터가 판독되고, 판독된 데이터가 캐시 파일에 격납된다. 드라이브(118)는 컨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데이터의 판독 속도에 비교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광디스크(119)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때문에,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되기 전에 HDD(116)의 캐시 파일에 격납되어 있지 않았던 데이터는 그 데이터가 컨텐츠의 재생을 위해 판독되기 전에, HDD(116)의 캐시 파일에 격납된다. 따라서, 컨텐츠의 재생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항상, HDD(116)의 캐시 파일로부터 판독할 수 있도록 된다.
그 결과, 컨텐츠의 데이터의 판독이 요구되면, 대기 시간을 거의 생기게 한 일 없이 신속하게 컨텐츠의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음성 또는 화상의 컨텐츠인 경우, 화상 또는 음성이 도중 절단되는 일 없이 화상 또는 음성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광디스크(119)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를 먼저 판독하여, HDD(116)에 기록시키기 때문에, 광디스크(119)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직접 재생에 이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드라이브(118)는 보다 빨리 개방할 수 있다. 즉, 광디스크(119)의 고속 판독 등, 드라이브(118)의 능력을 보다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고, 드라이브(118)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터브 파일 상태의 캐시 파일이 HDD(116)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판독이 요구되면,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광디스크(119)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되고, 판독된 데이터가 캐시 파일에 격납된다. 그리고, 캐시 파일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가 판독되고, 컨텐츠가 재생된다.
이상과 같이 번거로운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임의의 부분을 판독할려고 하는 경우의, 대기 시간의 발생은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캐시 파일에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를 광디스크(119)로부터 판독하고, 광디스크(119)로부터 판독 데이터로부터 직접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0은 이 경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기록 재생 시스템(101)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경우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HDD(116)는 기록하고 있는 스트림(데이터)을 버퍼(201) 또는 셀렉터(202)에 공급한다.
버퍼(201)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HDD(116)의 일부의 기록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HDD(116)로부터 공급된 스트림(데이터)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기억하고 있는 스트림(데이터)을 드라이브(118)에 공급한다.
셀렉터(202)는 HSM(113)의 제어를 기초로, 드라이브(118)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또는 HDD(11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어느 한쪽을 선택한다. 버퍼(115)는 셀렉터(202)에 선택된, 드라이브(118)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또는 HDD(11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어느 한쪽을 취득하고, 취득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셀렉터(202)는 하드웨어로서 마련하여도 좋지만, 소프트웨어(처리)에 의해 셀렉터(202)와 등가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셀렉터(202)는 스토리지 매니저(114)의 제어를 기초로, 드라이브(118)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또는 HDD(11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캐시 파일에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를 광디스크(119)로부터 판독하고, 광디스크(119)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로부터 직접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HDD(116)의 캐시 파일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는 HDD(116)로부터 판독되고, HDD(116)의 캐시 파일에 격납되지 않은 데이터는 드라이브(118)에 장착된 광디스크(119)로부터 드라이브(118)에 의해 판독된다.
즉, HDD(116)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스터브 영역의 데이터는 HDD(116)로부터 버퍼(115)에 판독되고, 버퍼(11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HDD(116)에 미리 기록되지 않은 홀 영역의 데이터는 광디스크(119)로부터 판독되고, HDD(116)에 의해 기록되지 않고, 버퍼(115)에 직접 공급되고, 버퍼(11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버퍼(11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출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HDD(116)에의 액세스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HDD(116)의 기록 영역의 사용량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광디스크(119)를 드라이브(118)에 장착(마운트)한 후는 홀 영역을 포함한, 컨텐츠상의 임의의 부분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기록 재생 시스템(101)의 처리 및 도 20에서 도시된 기록 재생 시스템(101)의 처리를 적응적으로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기록하고 있는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1은 기록하고 있는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기록 재생 시스템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경우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기록 재생 시스템은 서버(301)와, 서버(301)에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접속된 클라이언트(303)로 이루어진다.
서버(301)는 HSM(113), 스토리지 매니저(11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 컨텐츠 매니저(142), 체인저 드라이버(143), 주크박스 제어부(144), 주크박스(145), 스트리밍 서버(321), 및 네트워크 라이브러리(3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클라이언트(303)로부터 송신되어 온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스트림을 스토리지 매니저(163)에 공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스토리지 매니저(163)로부터 공급된 스트림을 스트리밍 서버(321)에 송신시킨다.
스트리밍 서버(321)는 네트워크 라이브러리(322)로서 기술되어 있는 절차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으로부터 공급된 스트림을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클라이언트(303)에 송신한다. 스트리밍 서버(321)는 클라이언트(303)로부터 송신되어 온, 소정의 위치로부터의 컨텐츠의 재생을 요구하는 데이터(스트림의 송신 요구)가 수신되면, 요구된 위치로부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스트림을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클라이언트(303)에 송신한다.
네트워크 라이브러리(322)에는 네트워크(302)를 통한, 스트림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절차가 기술되어 있다.
네트워크(302)는 무선 또는 유선을 전송 매체로 하는 홈 네트워크 등의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공중 회선, 또는 전용 회선 등으로 이루어지고, 각종의 데이터(스트림을 포함)를 전송한다.
클라이언트(30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1), 스트리밍 클라이언트(342), 네트워크 클라이언트(343), 비디오/오디오 디코더(344), 및 비디오 오디오 인코더(34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1)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취득하던지, 사용자에게 클라이언트(303)에 관한 각종의 정보를 통지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1)은 클라이언트(303) 전체를 제어한다.
스트리밍 클라이언트(342)는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서버(301)로부터 송신되어 온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스트림을 비디오/오디오 디코더(344)에 공급한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343)는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서버(301)와 각종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343)는 비디오 오디오 인코더(345)로부터 공급된 스트림을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서버(301)에 송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클라이언트(343)는 소망하는 위치로부터의 컨텐츠의 재생을 요구하는 데이터(스트림의 송신 요구)를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서버(301)에 송신한다.
비디오/오디오 디코더(344)는 스트림을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분리한다. 그리고, 비디오/오디오 디코더(344)는 부호화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이른바 베이스 밴드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복호하고, 복호에 의해 얻어진 베이스 밴드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한, 출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도시 생략)를 모니터(125)에 공급한다.
비디오 오디오 인코더(345)는 비디오 카메라(171)로부터의 입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입력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베이스 밴드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비디오 오디오 인코더(345)는 베이스 밴드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함으로써 스트림을 생성한다. 비디오 오디오 인코더(345)는 생성한 스트림을 네트워크 클라이언트(343)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서버(301)는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클라이언트(303)에, 소망하는 위치로부터 컨텐츠를 재생하는 스트림을 신속하게 송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번거로운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임의의 부분을 판독하려고 하는 경우의, 대기 시간의 발생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1차 스토리지으로서, HDD(116)에 대신하여, 반도체 메모리 등의 다른 고속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2차 스토리지으로서, 광디스크(119)에 대신하여,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의 1차 스토리지에 비교하여 기록 용량당의 가격이 싼 다른 기록 매체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도 22는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401)은 ROM(Read Only Memory)(402), 기록부(408), 또는 기록부(409)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403)에는 CPU(4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적절히 기억된다. 이들의 CPU(401), ROM(402), 및 RAM(403)은 버스(404)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또한, CPU(401)로서, "Cell 탄생", 닛케이 일렉트로닉스, 닛케이 BP사, 2005년 2월 28일, 89페이지 내지 117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셀을 채용할 수 있다.
CPU(401)에는 또한, 버스(404)를 통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4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05)에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406),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407)가 접속되어 있다. CPU(401)는 입력부(406)로부터 입력되는 지령에 대응하여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401)는 처리의 결과를 출력부(407)에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05)에 접속되어 있는 기록부(408)는 예를 들면 HDD(116)에 대응하고, CPU(4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부(409)는 예를 들면 주크박스(145)에 대응하고, 각종의 데이터나 CPU(4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통신부(410)는 인터넷이나 LAN 등의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클라이언트(303) 등의 외부의 장치와 통신한다.
또한, 통신부(410)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취득하고, 기록부(408) 또는 기록부(409)에 기억하여도 좋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05)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브(411)는 자기 디스크(421), 광디스크(422), 광자기 디스크(423), 또는 반도체 메모리(424) 등이 장착된 때, 그들을 구동하고,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취득한다. 취득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필요에 응하여 기록부(408) 또는 기록부(409)에 전송되어 기록된다.
일련의 처리를 시키는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는 기록 매체는 도 22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컴퓨터와는 별도로,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42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 광디스크(422)(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 광자기 디스크(423)(MD(Mini-Disc)(상표)를 포함), 또는 반도체 메모리(42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유저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402)이나, 기록부(408)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또는 기록부(409)에 포함되는 광디스크(119)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필요에 응하여 루터, 모뎀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방송이라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매체를 통하여 컴퓨터에 인스톨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입각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의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라면 행할 수 있는 각종 변형, 수정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의하면, 보다 신속하게 가용 영역을 작성할 수 있다.

Claims (9)

  1. 기록 장치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의 기록 매체와,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의 기록 매체와,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경우,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고,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한 이후에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때,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중단된 상기 컨텐츠에 관해, 중단된 처리를 재개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관해,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서,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도록,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 또는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의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한 이후에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중단된 상기 컨텐츠에 관해, 중단된 처리를 재개시키고, 중단된 처리가 완료된 이후에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때,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관해,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서,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도록,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 또는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의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소정의 주사 방식으로 상기 컨텐츠를 주사하는 순서로,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도록,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에의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전위순회, 중위순회, 또는 후위순회의 주사 방식으로 상기 컨텐츠를 주사하는 순서로,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도록,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에의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의 액세스의 이력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컨텐츠에의 액세스의 이력을 기초로,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에의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6.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의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경우, 상기 제 2의 기녹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고,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 체로부터 소거한 이후에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때,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중단된 상기 컨텐츠에 관해, 중단된 처리를 재개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관해,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서,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도록,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 또는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의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7.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경우,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고,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한 이후에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때,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중단된 상기 컨텐츠에 관해, 중단된 처리를 재개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관해,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서,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도록,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 또는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의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한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제품.
  8. 제 7항에 기재된 프로그램 제품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기록 매체.
  9. 기록 장치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의 기록 매체와,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의 기록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경우,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하고,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전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한 이후에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지 않는 때,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후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가 중단된 상기 컨텐츠에 관해, 중단된 처리를 재개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관해, 상기 컨텐츠의 전체의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서,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부분을 소거하도록, 상기 제 1의 기록 매체 또는 상기 제 2의 기록 매체에의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도록 기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KR1020060058648A 2005-06-29 2006-06-28 기록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제품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200700018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9817A JP2007011565A (ja) 2005-06-29 2005-06-29 記録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JP-P-2005-00189817 2005-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823A true KR20070001823A (ko) 2007-01-04

Family

ID=37012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648A KR20070001823A (ko) 2005-06-29 2006-06-28 기록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제품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22105A1 (ko)
EP (1) EP1739678A1 (ko)
JP (1) JP2007011565A (ko)
KR (1) KR20070001823A (ko)
CN (1) CN10044596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878B1 (ko) * 2008-11-24 2014-03-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기록 장치에서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한 기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9577B (en) * 2006-06-30 2011-12-14 Data Equation Ltd Data processing
JP2008250715A (ja) * 2007-03-30 2008-10-16 Kddi Corp データ配置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588626B2 (ja) 2008-08-04 2014-09-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光学補償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0058790A1 (ja) * 2008-11-21 2010-05-27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制御方法、コンテンツ配信制御プログラム、キャッシュ制御装置
US9854055B2 (en) * 2011-02-28 2017-12-2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y-based content discovery and delivery
CN103177127B (zh) * 2013-04-18 2016-03-09 陶光毅 基于光盘库的数据库存储系统及利用该系统的方法
US9262464B2 (en) * 2013-04-24 2016-02-16 Piriform Ltd. Cleaner with browser monitoring
WO2018037464A1 (ja) * 2016-08-22 2018-03-01 株式会社エーピー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ストレージシステム、ストレージ通信装置、ダウンロード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099487B2 (ja) * 2020-03-31 2022-07-12 横河電機株式会社 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72C (zh) * 1993-06-03 1999-10-13 世嘉企业股份有限公司 由盘再现数据的设备和方法、在盘上记录数据的方法和盘
US6188830B1 (en) * 1997-07-14 2001-02-13 Sony Corporation Audiovisual effects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ntaneous storage-based playback of audio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video data
US6023709A (en) * 1997-12-15 2000-0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file error classification and correction in a hierarchical storage management system
US6269382B1 (en) * 1998-08-31 2001-07-3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igration and recall of data from local and remote storage
US6625750B1 (en) * 1999-11-16 2003-09-23 Emc Corporation Hardware and software failover services for a file server
JP3778055B2 (ja) * 2001-11-02 2006-05-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3727896B2 (ja) * 2002-03-29 2005-12-21 株式会社東芝 Hsmシステムおよび同システムのマイグレーション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878B1 (ko) * 2008-11-24 2014-03-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기록 장치에서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한 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22105A1 (en) 2007-05-31
CN100445962C (zh) 2008-12-24
JP2007011565A (ja) 2007-01-18
EP1739678A1 (en) 2007-01-03
CN1912851A (zh)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1823A (ko) 기록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제품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JP4684522B2 (ja) 静止画のための情報の記録及び/または再生装置
US200502077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recorded program using virtual file system and file structure
JP6110637B2 (ja) 画像処理装置
EP1811519A2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program, encoding apparatus, and encoding method
JP4241839B2 (ja) データ及びファイルシステム情報の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WO2007072843A1 (ja) 複数の記録媒体にコンテンツを記録する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8193345A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JP4419919B2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WO2000058837A1 (fr) Gestion de fichiers, enregistrement/reproduction de donnees et dispositifs a cet effet
US20070014198A1 (e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recording progra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4186963B2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読み出し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930358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4174696B2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0644734B1 (ko) 기록/재생 장치, 기록/재생 방법 및 프리젠테이션 매체
JP2004272339A (ja) 蓄積制御装置、蓄積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蓄積制御方法
US8763053B1 (en) File system for a file server of a video-on-demand system
JPH1028553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004355767A (ja) 再生装置
JP4289403B2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JP2007080148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134429B2 (ja) 情報記録媒体と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装置
JP2007080147A (ja) 読み出し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50038451A (ko) 대화형 광디스크의 부가 오디오 파일 관리 및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