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737A -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737A
KR20070001737A KR1020050057370A KR20050057370A KR20070001737A KR 20070001737 A KR20070001737 A KR 20070001737A KR 1020050057370 A KR1020050057370 A KR 1020050057370A KR 20050057370 A KR20050057370 A KR 20050057370A KR 20070001737 A KR20070001737 A KR 20070001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k
voltage
core voltag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7877B1 (ko
Inventor
최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05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87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3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4Bit-line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ram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뱅크가 액티브될 때 인에이블되는 뱅크 액티브 신호에 의해 제 1 전압레벨이 되고, 상기 뱅크의 비트라인이 프리챠지 될때 인에이블되는 뱅크 비트라인 프리챠지 신호에 의해 제 2 전압레벨로 천이되는 뱅크 코아전압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와; 라이트 시 인에이블되는 라이트 동작 감지신호에 의해 제 1 전압레벨이 되고, 라이트 또는 리드 동작이 끝난 후 인에이블되는 동작 종료 감지신호에 의해 제 2 전압레벨로 천이되는 라이트 동작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라이트 동작 감지부와; 상기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와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되, 이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 입력되어도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를 동작시키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논리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Description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Active Core Voltage Driver Control Circui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읽기(Read), 쓰기(Write), 프리챠지(precharge)시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전위를 나타낸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 제어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 제어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 제어회로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 110 : 라이트 동작 감지부
120 : 논리 회로부 130 : 펄스폭 조절부
본 발명은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active Vcore driver control)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램(DRAM)에서 데이터(data)를 읽을 때와 데이터를 쓸 때의 코아전압(Vcore: 내부 전원전압)의 소모량이 큰 차이를 보일 경우 라이트(write)와 리드(read) 시에 동작하는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의 수를 달리하여 코아전압(Vcore)을 효율적으로 구동시키는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램(DRAM)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라인은 입력 혹은 출력되는 데이터의 값에 따라 라인에 걸리는 전압의 전위가 달라진다. 디램(DRAM)에 읽거나 쓰는 작업이 끝나면 이러한 모든 입출력 라인을 특정한 레벨의 전압으로 만들어 주게되며, 이러한 과정을 입출력 라인의 프리챠지(precharge)라고 한다. 입출력 라인의 프리챠지 전위로 비트라인 프리챠지 전압(Vblp)을 주로 사용한다. 이때, 프리챠지 전압(Vblp)의 전위는 코아전압(Vcore)의 절반 값을 가진다.
입출력 라인을 비트라인 프리챠지 전압(Vblp)으로 프리차지하는 경우, 디램(DRAM)에서 데이터를 읽을 때는 입출력 라인이 프리챠지 레벨보다 0.1V 내지 0.2V 정도 작거나 큰 값을 가지고 이를 감지 증폭기(sense Amp.)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후 읽게 된다. 반면에, 디램(DRAM)에 데이터를 쓸 경우에는 데이터에 따라 입출력 라인이 코아전압(Vcore) 혹은 접지전압(Vss)의 값까지 벌어지게 된다.
도 1은 프리챠지 전압(Vblp)으로 입출력 라인을 프리챠지 해주는 경우에 리드(read), 라이트(write), 프리챠지시에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전위를 나타내고 있 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write)시에는 프리챠지 전압(Vblp)의 전위를 가지는 입출력 라인을 코아전압(Vcore)까지 올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읽을 때에 비하여 코아전압(Vcore)의 소모량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데이터 라이트(data write)시 코아전압(Vcore)의 값이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코아전압(Vcore)을 구동하는 드라이버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는 일반적으로 디램(DRAM)이 동작하고 있을 때, 즉 워드라인이 높은 전위를 가지고 있어서 셀(cell)의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할 때 구동하는 액티브 드라이버(active driver)와 항상 동작하고 있는 스탠바이 드라이버(standby driver)로 나누어진다. 또한, 액티브 드라이버는 특정 뱅크(bank)가 액티브 되었는가에 따라 구동을 시키게 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여기에서, ratvbp<0> 신호는 0번 뱅크(bank)가 액티브될 때 '로우' 펄스가 되며, rpcgbp<0> 신호는 0번 뱅크의 비트라인이 프리챠지 될때 '로우' 펄스가 된다. 그리고, 펄스폭 조절부(10)는 펄스의 폭을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맨 끝단의 신호인 vcoreactb<0>가 '로우'가 되면 0번 뱅크의 코어 전압을 구동해 주는 액티브 드라이버가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0번 뱅크(bank)가 액티브(active)가 되면 vcoreactb<0> 신호가 접지전압(Vss)이 되어 해당 뱅크의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를 동작시키며, 액티브가 끝난 후 비트라인이 프리챠지가 되면 상기 펄스폭 조절부(10)에 의하여 딜 레이(delay)되는 일정 시간 후에 vcoreactb<0>가 전원전압(Vdd)이 되어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가 동작을 멈추게 된다. 각각의 뱅크마다 위와 같은 제어 회로를 가지고 있게 되며,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한 뱅크(bank)가 액티브될 때, 다른 뱅크의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는 구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제어 방식에서는 리드(read)와 라이트(write)때 같은 구동력을 가지므로 라이트를 하지 않고 액티브와 리드(read)만 하는 경우에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의 큰 구동력으로 인하여 코아전압(Vcore)의 값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며, 라이트 때 필요한 큰 구동력을 얻기 위하여 코아전압(Vcore)의 드라이버가 디램(DRAM)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전의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와 같이 데이터를 읽을 때와 쓸 때의 코아전압(Vcore)의 구동력을 같게 하는 것보다 데이터를 쓸때 더 많은 전류를 구동하게 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라이트(write)와 리드(read) 때 동작하는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의 수를 변화시켜 전류 소모량에 따라 효과적으로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를 구동시킴으로써,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의 크기를 줄일 뿐만 아니라 코아전압(Vcore)의 소모량이 작을 때 드라이버의 크기가 너무 커지면서 코아전압(Vcore)의 전위가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뱅크가 액티브될 때 인에이블되는 뱅크 액티브 신호에 의해 제 1 전압레벨이 되고, 상기 뱅크의 비트라인이 프리챠지 될때 인에이블되는 뱅크 비트라인 프리챠지 신호에 의해 제 2 전압레벨로 천이되는 뱅크 코아전압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와; 라이트 시 인에이블되는 라이트 동작 감지신호에 의해 제 1 전압레벨이 되고, 라이트 또는 리드 동작이 끝난 후 인에이블되는 동작 종료 감지신호에 의해 제 2 전압레벨로 천이되는 라이트 동작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라이트 동작 감지부와; 상기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와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되, 이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 입력되어도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를 동작시키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논리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논리 회로부와 상기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 사이에 펄스의 폭을 조절하는 펄스폭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는 상기 제 n 뱅크 액티브 신호가 인에이블될 때 제 1 노드로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제 1 풀-업소자와; 상기 제 n 뱅크 비트라인 프리챠지 신호가 인에이블될 때 상기 제 1 노드로 접지전압을 공급하 는 제 1 풀-다운소자와; 상기 제 1 노드의 신호를 래치시킴과 동시에 반전시켜 제 2 노드로 출력하는 제 1 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는 파워업 신호에 의해 상기 제 2 노드로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제 2 풀-업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부는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신호와 상기 동작 종료 감지신호가 제 1 전압레벨을 가질 때 제 4 노드로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제 3 및 제 4 풀-업소자와; 상기 동작 종료 감지신호가 제 2 전압레벨을 가질 때 상기 제 4 노드로 접지전압을 공급하는 제 2 풀-다운소자와; 상기 제 4 노드의 신호를 래치시킴과 동시에 반전시켜 제 5 노드로 출력하는 제 2 래치부와; 상기 제 5 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제 6 노드로 출력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부는 파워업 신호에 의해 상기 제 4 노드로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제 5 풀-업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논리 회로부는 상기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와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 제어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 제어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0 뱅크(bank)가 액티브될 때 제 1 전압레벨(예를 들어, '로우')을 갖는 제 0 뱅크 액티브 신호(ratvbp<0>)에 의해 제 1 전압레벨(예를 들어, '로우')을 가지며, 제 0 뱅크의 비트라인이 프리챠지 될때 제 1 전압레벨('로우')을 갖는 제 0 뱅크 비트라인 프리챠지 신호(racgbp<0>)에 의해 제 2 전압레벨('하이')로 바뀌는 뱅크 코아전압 제어신호(Nd3의 신호)를 발생하는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100)와, 라이트(write) 시 제 2 전압레벨('하이')을 갖는 라이트 동작 감지신호(casp_wt)에 의해 제 1 전압레벨('로우')을 가지며, 라이트 또는 리드(read) 동작이 끝난 후 제 1 전압레벨('로우')을 갖는 동작 종료 감지신호(ybstenbp)에 의해 제 2 전압레벨('하이')로 바뀌는 라이트 동작 감지신호(wt_actvcoreb)를 발생하는 라이트 동작 감지부(110)와, 상기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100)와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부(110)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이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 입력되어도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미도시)를 동작시키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신호(vcoreactb<0>)를 발생하는 논리 회로부(120)와, 상기 논리 회로부(120)와 상기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 제어신호(vcoreactb<0>)를 출력하는 출력단자(Nd8) 사이에 펄스의 폭을 조절하는 펄스폭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100)는, 상기 제 0 뱅크 액티브 신호(ratvbp<0>)가 제 1 전압레벨('로우')을 가질 때 노드(Nd1)로 전원전압(Vdd)을 공급하는 PMOS 트랜지스터(P11)와, 상기 제 n 뱅크 비트라인 프리챠지 신호 (racgbp<0>)가 제 1 전압레벨('로우')을 가질 때 상기 노드(Nd1)로 접지전압(Vss)을 공급하는 NMOS 트랜지스터(N11)와, 상기 노드(Nd1)의 신호를 반전시켜 노드(Nd2)로 출력하는 인버터(G2)와, 상기 노드(Nd2)의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노드(Nd1)로 출력하는 인버터(G3)와, 상기 노드(Nd2)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노드(Nd3)로 출력하는 인버터(G4_1, G4_2)와, 파워업 신호(pwrup)에 의해 상기 노드(Nd2)로 전원전압(Vdd)을 공급하는 PMOS 트랜지스터(P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write) 동작 감지부(110)는,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신호(casp_wt)와 상기 동작 종료 감지신호(ybstenbp)가 제 1 전압레벨('로우')을 가질 때 노드(Nd4)로 전원전압(Vdd)을 공급하는 PMOS 트랜지스터(P13)(P14)와,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신호(casp_wt)가 제 2 전압레벨('하이')을 가질 때 상기 노드(Nd4)로 접지전압(Vss)을 공급하는 NMOS 트랜지스터(N12)와, 상기 노드(Nd4)의 신호를 반전시켜 노드(Nd5)로 출력하는 인버터(G5)와, 상기 노드(Nd5)의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노드(Nd4)로 출력하는 인버터(G6)와, 상기 노드(Nd5)의 신호를 반전시켜 노드(Nd6)로 출력하는 인버터(G7)와, 파워업 신호(pwrup)에 의해 상기 노드(Nd4)로 전원전압(Vdd)을 공급하는 PMOS 트랜지스터(P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논리 회로부(120)는, 상기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100)와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부(110)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 연산하는 NAND 게이트(G8)와, 상기 NAND 게이트(G8)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G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압레벨은 '로우' 전압레벨이고, 상기 제 2 전압레벨은 '하이' 전압레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 제어회로의 동작 타이밍도로서, 뱅크(bank) 0번을 액티브(active), 라이트(write), 프리챠지(precharge)를 할 때 각각의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vcoreactb<0> 신호(f)와 vcoreactb<1> 신호(g)는 각각 0번 뱅크와 1번 뱅크의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의 인에이블 신호이다. 그리고, casp_wt 신호(c)는 라이트(write) 시에 '하이'가 되는 펄스이며, ybstenbp 신호(d)는 라이트 혹은 리드가 끝난 후 일정 시간 안에 다른 리드(read), 라이트(write) 명령이 들어오지 않으면 '로우' 펄스가 되는 신호이다.
뱅크(bank) 0번을 액티브하면 ratvbp<0> 신호(a)가 '로우'가 되기 때문에 상기 vcoreactb<0> 신호(f)는 '로우'가 되면서 뱅크 0번의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가 구동하게 된다. 이 후에 라이트(write)가 시작되면 cap_wt 신호(c)가 '하이' 펄스로 뜨게 되며 이로 인하여 wt_actvcoreb 신호(e)가 '로우'가 된다.
이때, 상기 wt_actvcoreb 신호(e)는 해당 뱅크의 액티브 유무와 상관없이 라이트(write)가 시작되면 모든 뱅크의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 제어회로에서 '로우'가 된다. 이렇게 '로우'로 된 상기 wt_actvcoreb 신호(e)가 모든 뱅크의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해당 뱅크(1번 뱅크)가 액티브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1 번 뱅크의 액티브 코어전압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vcoreactb<1> 신호(g)가 wt_actvcoreb 신호(e)에 의하여 '로우'가 된다. 도 4에서는 1번 뱅크의 액티브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vcoreactb<1> 신호(g)만을 그렸지만 이 외의 모든 뱅크의 액티브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신호도 '로우'가 되어 모든 액티브 드라이버가 동작하게 된다.
이어, 라이트(write)가 끝나면, 상기 펄스폭 조절부(130)에 의한 딜레이 후 상기 wt_actvcoreb 신호(e)가 '하이'가 되며 워드라인이 액티브되어 있는 뱅크 0의 vcoreactb<0> 신호(f)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뱅크의 vcoreactb 신호를 '하이'로 만들어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 이 후, 프리챠지(precharge)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vcoreactb<0> 신호(f)도 '하이'가 되어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의 구동이 끝나게 된다. 따라서, 액티브, 리드(read) 동작시에는 해당 뱅크의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만 동작하지만, 라이트(write) 동작시에는 뱅크에 관계없이 모든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가 구동하게 된다.
4개의 뱅크(bank)로 이루어진 디램(DRAM)의 경우 데이터를 쓸 경우에는 데이터를 읽을 때에 비해 4배의 코아전압(Vcore) 구동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코아전압(Vcore)의 드라이버의 크기를 키우지 않고도 라이트(write) 동작 때 코아전압(Vcore)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 제어회로에 의하면, 라이트(write)와 리드(read) 때 동작하는 액티브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의 수를 변화시켜 전류 소모량에 따라 효과적으로 코아전압 (Vcore) 드라이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코아전압(Vcore)의 소모량이 작을 때 드라이버의 크기가 너무 커지면서 코아전압(Vcore)의 전위가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아전압(Vcore)의 전류가 많이 소모되는 라이트(write)일 때, 작은 크기의 코아전압(Vcore) 드라이버로도 충분한 크기의 코아전압(Vcore)을 구동시켜 코아전압(Vcore)의 드롭(drop)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소정 뱅크가 액티브될 때 인에이블되는 뱅크 액티브 신호에 의해 제 1 전압레벨이 되고, 상기 뱅크의 비트라인이 프리챠지 될때 인에이블되는 뱅크 비트라인 프리챠지 신호에 의해 제 2 전압레벨로 천이되는 뱅크 코아전압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와;
    라이트 시 인에이블되는 라이트 동작 감지신호에 의해 제 1 전압레벨이 되고, 라이트 또는 리드 동작이 끝난 후 인에이블되는 동작 종료 감지신호에 의해 제 2 전압레벨로 천이되는 라이트 동작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라이트 동작 감지부와;
    상기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와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되, 이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 입력되어도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를 동작시키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논리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부와 상기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 사이에 펄스의 폭을 조절하는 펄스폭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는
    상기 제 n 뱅크 액티브 신호가 인에이블될 때 제 1 노드로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제 1 풀-업소자와;
    상기 제 n 뱅크 비트라인 프리챠지 신호가 인에이블될 때 상기 제 1 노드로 접지전압을 공급하는 제 1 풀-다운소자와;
    상기 제 1 노드의 신호를 래치시킴과 동시에 반전시켜 제 2 노드로 출력하는 제 1 래치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는 파워업 신호에 의해 상기 제 2 노드로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제 2 풀-업소자를 더 포함하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부는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신호와 상기 동작 종료 감지신호가 제 1 전압레벨을 가질 때 제 4 노드로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제 3 및 제 4 풀-업소자와;
    상기 동작 종료 감지신호가 제 2 전압레벨을 가질 때 상기 제 4 노드로 접지전압을 공급하는 제 2 풀-다운소자와;
    상기 제 4 노드의 신호를 래치시킴과 동시에 반전시켜 제 5 노드로 출력하는 제 2 래치부와;
    상기 제 5 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제 6 노드로 출력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부는 파워업 신호에 의해 상기 제 4 노드로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제 5 풀-업소자를 더 포함하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부는 상기 뱅크 코아전압 제어부와 상기 라이트 동작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KR1020050057370A 2005-06-29 2005-06-29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KR100687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370A KR100687877B1 (ko) 2005-06-29 2005-06-29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370A KR100687877B1 (ko) 2005-06-29 2005-06-29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737A true KR20070001737A (ko) 2007-01-04
KR100687877B1 KR100687877B1 (ko) 2007-02-27

Family

ID=3786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370A KR100687877B1 (ko) 2005-06-29 2005-06-29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8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877B1 (ko)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9800B2 (en)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sense amplifier circuit using the same
KR100678427B1 (ko) 소비 전력이 감소되고 시험 시간이 단축된 반도체 기억 장치
KR20040004813A (ko) 워드라인 구동 회로
US7567469B2 (en) Over driving pulse generator
US7675798B2 (en)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US785269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reducing precharge time
US10102900B2 (en) Memory device with separate read active signal and write active signal having different activation periods used for word line selection during read and write operation
KR100599213B1 (ko) 입출력 라인 프리차지 회로, 이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입출력 라인 프리차지 방법
US753253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930952B2 (en) Method of reading memory device in page mode and row decoder control circuit using the same
US7986577B2 (en) Precharge voltage supplying circuit
KR100924331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센스앰프 전원 공급 회로
KR100294450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어레이내부전원전압발생회로
KR10087680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816729B1 (ko) 코어전압 생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687877B1 (ko) 액티브 코아전압 드라이버 제어회로
KR101171254B1 (ko) 비트라인 센스앰프 제어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7134037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KR20040102725A (ko) 전압손실없이 고속으로 셀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및 그를 위한 메모리 장치
KR102198771B1 (ko)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를 구동하는 방법
CN112786090B (zh) 储存器写入装置及方法
KR100991384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와 그의 동작 방법
KR101046994B1 (ko) 리프레쉬 주기조절회로
KR100693782B1 (ko) 센스앰프 드라이버
KR20050059790A (ko) 감지증폭기의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