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970A - 이동 교환기의 호 분리 및 제어를 통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교환기의 호 분리 및 제어를 통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970A
KR20070000970A KR1020060001017A KR20060001017A KR20070000970A KR 20070000970 A KR20070000970 A KR 20070000970A KR 1020060001017 A KR1020060001017 A KR 1020060001017A KR 20060001017 A KR20060001017 A KR 20060001017A KR 20070000970 A KR20070000970 A KR 20070000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ds
call
caller
called part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7969B1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진 filed Critical 김용진
Priority to JP2008519168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8547349A/ja
Priority to EP06769054A priority patent/EP1897394A1/en
Priority to PCT/KR2006/002477 priority patent/WO2007001143A1/en
Priority to US11/917,274 priority patent/US20090215461A1/en
Priority to RU2007146934/09A priority patent/RU2416890C2/ru
Priority to CA002611666A priority patent/CA2611666A1/en
Priority to BRPI0611580-2A priority patent/BRPI0611580A2/pt
Publication of KR20070000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7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s network provides a telephone service in addition or as an alternative, e.g. for backup purposes, to the telephone service provided by the telephone service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H04M3/4211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where the identifier is used to access a pro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교환기의 음성통화 호 처리 체계를 착신자의 서비스 등록 여부에 따라 세분화하여 음성호 처리 이전에 데이터호로의 연결을 유도함으로써 데이터호 처리시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실행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이동교환기는 임의의 발신자로부터 호 발신이 이루어질 경우, 착신자가 데이터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데이터호로 처리하여 착신자가 등록한 정보 및 컨텐츠를 발신자의 무선 단말기에 전송하여 데이터통신을 유도하게 되고, 착신자가 데이터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음성호로 처리하여 음성통화를 유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교환기의 음성통화 호 처리 체계를 발신자의 서비스 등록 여부에 따라 세분화하고 발신자 단말기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방법을 통하여 음성호 처리 이전에 데이터호로의 연결을 유도하여 발신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다. 즉, 이동교환기는 발신자로부터 호 발신이 이루어질 경우, 발신자가 데이터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서비스 등록 시 발신자 단말기에 이미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도록 하여 발신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서 착신가입자가 등록한 정보 및 컨텐츠를 선택하여 이용하거나 음성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Figure 112006000576424-PAT00001
호 분리 및 제어, 데이터 통신, 컨텐츠 프로바이더 데이터 서비스(CPDS), 음성호, 데이터호.

Description

이동 교환기의 호 분리 및 제어를 통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CALL SEPARATION AND CONTROL BY MOBILE SWITCHING CENT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프로바이더 데이터 서비스(CPDS) 제공 시스템과 통신망의 접속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CPDS 제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발신 가입자가 CPDS를 이용하는 전반적인 서비스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발신 가입자가 CPDS를 이용하는 서비스 흐름도를 이동교환기의 호처리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CPDS 가입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데이터 전송과정과 연결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착신가입자가 CPDS 화면 및 컨텐츠 등록 또는 변경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착신 가입자가 등록해 놓은 CPDS 서비스를 임의의 발신자가 이용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발신자가 착신가입자의 CPDS를 이용하는 서비스 흐름 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해 발신자가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Call Page Application)을 이용하여 착신가입자의 CPDS를 이용하는 서비스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도9에 도시된 서비스 흐름도를 발신자가 CPDS 서비스에 가입하여 이용하는 측면에서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 교환기의 음성통화 호 처리 체계를 발신자/착신자의 서비스 등록 여부에 따라 세분화하여 음성호 처리 이전에 데이터호로의 연결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데이터호 처리시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실행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이동 단말기(이하, 무선 단말기라 함)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무선 단말기의 기능과 데이터 통신 기술은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제는 무선 단말기간 화상통화가 가능해졌고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통신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의 부재와 한정적인 컨텐츠의 유통경로로 인해 데이터 서비스의 활용도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과 이동통신 기술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서비스는 이동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컨텐츠 포탈 사이트에서 한정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포탈 사이트의 제한적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의 특성으로 인해 데이터 통신의 활성화가 늦어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착신자가 제공하는 통화 대기중의 이미지 서비스 또는 음악 서비스는 착신자의 응답으로 통화로가 개설되기 전까지의 수 초 동안 발생하는 통화 대기중의 부가서비스로서 데이터 통신의 특성을 살린 서비스로 보기 어려우며 데이터 통신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동 교환기의 음성통화 호 처리 체계를 발신자/착신자의 서비스 등록 여부에 따라 세분화하여 음성호 처리 이전에 데이터호로의 연결을 유도함으로써 데이터호 처리시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모든 이동통신 가입자가 자신의 컨텐츠를 구성하여 임의의 발신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CP)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임의의 발신자는 자신과 이해관계에 있는 착신자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지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음성통화를 목적으로 하는 모든 전화통화가 데이터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활성화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교환기의 음성통화 호 처리 체계를 발신자/착신자의 서비스 등록 여부에 따라 세분화하여 음성호 처리 이전에 데이터호로의 연결을 유도함으로써 데이터호 처리시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서 비스를 실행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서,
착신자가 자신의 정보 및 컨텐츠를 제작하여 컨텐츠 프로바이더 데이터 서비스(Contents Provider Data Service:CPDS) 제공 시스템에 등록하였을 경우 이동 교환기는 호 발신 시 이를 확인하여 음성통화를 목적으로 하는 음성호의 연결을 중단시키고 데이터호로 변경 처리하는 교환기의 호 분리 및 제어 수단; 데이터호로 처리 될 경우 CPDS에 가입한 착신자의 정보 및 발신자의 정보를 교환기로부터 제공 받아 발신자 별로 분류된(예를 들면 가족/학교/직장/애인/친구/종교단체 등) 해당 착신자의 초기 등록 메뉴를 발신자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CPDS 서버의 1차 데이터 서비스 전송 제어 수단; 발신자는 자신의 단말기상에 출력된 초기 메뉴를 검색한 후 임의의 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메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요청할 경우, 발신자의 데이터 통신 이용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서비스 제어 수단; 발신자의 데이터 서비스 요청시 발신자가 지정한 메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발신자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CPDS 서버의 2차 데이터 서비스 전송 제어 수단; 데이터 통신을 통해 착신자의 컨텐츠를 열람하거나 다운로드 한 후 발신자가 음성통화를 요청할 경우 착신자의 CPDS 화면을 종료함과 동시에 데이터호를 해제하고 초기의 호 발신을 재개하여 음성호로 처리하여 음성통화를 가능케 하는 교환기의 음성호 재처리 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CPDS 제공 시스템(600)과 통신망의 접속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CPDS 제공 시스템(600)은 CPDS 제공을 위해 발신자 무선 단말기(100)와 이동통신망(400)을 통해 접속이 되고,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 등록을 위해 착신자 무선 단말기(200)와 이동통신망(400)을 통해 또는 PC(300)와 인터넷(500)을 통해 접속된다.
발신자 및 착신자 무선 단말기(100/200)는 모두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를 등록/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착신자의 단말기가 종래의 유선전화기인 경우에도 무선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터넷(500)을 통한 PC(300)로 초기 메뉴 및 컨텐츠를 등록/변경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CPDS 제공 시스템(600)은 착신자 무선 단말기(200)와 이동통신망(400)을 통해 접속되어 착신자 무선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서 CPDS 초기 메뉴 및 콘텐츠를 제작/등록/저장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CPDS 사용자는 CPDS 제공 시스템(600)에서 제공하는 라이센스 보호된 다양한 컨텐츠를 선택하여 자신의 CPDS 컨텐츠로 등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신자 무선 단말기(200)로부터 정지 화상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선택한 후 이를 CPDS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여 자신의 CPDS 초기 메뉴 및 콘텐츠로 제작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터넷(500)을 통해 PC(300)로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한 후 자신의 PC에 내장되어 있는 이미지, 동영상, 자료 또는 CPDS 제공 시스템(6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CPDS 초기 메뉴 및 콘텐츠를 제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록된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는 CPDS 제공 시스템에 접속된 발신자의 단말기(100)를 통해 발신자에게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CPDS 제공 시스템(600)의 상세 구성도이다.
CPDS 제공 시스템(600)은 CPDS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1), CPDS 가입자 컨텐츠 데이터베이스(612), CPDS 일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613)를 포함하는 CPDS 데이터베이스부(610)와, CPDS 데이터 처리부(621), CPDS 컨텐츠 처리부(622), CPDS 가입자 처리부(623)를 포함하는 CPDS 제어부(620)로 구성되어 있다.
CPDS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11)는 CPDS에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CPDS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해당 가입자의 정보 조회/등록/변경/삭제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CPDS 가입자 컨텐츠 데이터베이스(612)는 가입자가 요청하여 등록된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 정보를 담고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CPDS 제어부(620)의 요청에 따라 착신가입자의 초기 CPDS 메뉴 및 컨텐츠를 조회/등록/변경/삭제하며, 발신자가 호 발신을 시도하여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할 경우, CPDS 제어부(620)의 요청에 따라 발신자의 유형(예를 들면 가족/학교/직장/애인/친구/종교단체 등)에 맞는 착신가입자의 초기 메뉴 및 컨텐츠를 조회하여 선별된 정보를 CPDS 데이터 처리부(621)로 넘겨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CPDS 일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613)는 가입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화면, 동영상, 음악, 캐릭터, 로고, 자료 등의 라이센스 보호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CPDS 제어부(620)의 요청에 따라 해당 가입자의 초기 메뉴 및 컨텐츠 구성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CPDS 데이터 처리부(621)는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하는 발신자 또는 착신자 무선 단말기(100/200)와 CPDS 가입자의 초기 메뉴 및 컨텐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것으로 CPDS 가입자의 초기 메뉴 및 컨텐츠 등록/변경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CPDS 가입자의 초기 메뉴 및 컨덴츠 제공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의 역할을 담당한다. 즉,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의 등록/변경을 위해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한 착신자(200)로부터 메뉴 및 이미지, 동영상, 자료 등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해당 CPDS 가입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612)에 저장하며, 착신자(200)가 지정한 초기 메뉴 및 이미지, 동영상, 자료 등의 데이터를 발신자(100)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CPDS 컨텐츠 처리부(622)는 CPDS 초기 메뉴의 등록/변경을 위해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하는 착신자 무선 단말기(200) 또는 인터넷(300)을 통해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하는 PC(300)로 하여금 CPDS 초기 메뉴 및 콘텐츠를 용이하게 등록/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착신자 무선 단말기(200) 또는 PC(300)에서 요구한 메뉴 및 콘텐츠를 CPDS 가입자 컨텐츠 데이터베이스(612)와 CPDS 일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613)로부터 제공받아 CPDS 초기 메뉴 및 콘텐츠를 손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CPDS 가입자 처리부(623)는 CPDS 초기 메뉴의 등록/변경을 위해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하는 착신자 무선 단말기(200) 또는 인터넷(500)을 통해 시스템(600)에 접속하는 PC(300) 가입자의 접속 및 인증기능을 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발신 가입자가 CPDS를 이용하는 전반적인 서비스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신자 무선 단말기(100)가 호 발신(110)을 하면 이동교환기(MSC)(410)는 착신가입자가 CPDS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120)를 확인한 후,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음성호 처리(121)을 진행하여 착신자가 응답(122)을 하면 통화로를 개설한 후 음성통화(123)를 하게 한다. 만약 착신 가입자가 CPDS에 등록되어 있으면 이동교환기는 음성호 연결을 중단(130)하고 데이터호 처리로 변경하여 CPDS 제공 시스템에 접속을 하게 되며, 이동교환기(410)는 CPDS 제공 시스템으로 발신자 및 착신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CPDS 착신 가입자가 등록한 초기 메뉴를 요청(131)한다. CPDS 제공 시스템은 착신자가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 등록(210) 절차에 따라 등록한 발신자 별 CPDS 초기 메뉴를 발신자 및 착신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찾아낸 후(132) 발신자 무선 단말기에 전송(140)하게 된다. 발신자 무선 단말기(100)는 이를 받아 발신자에게 출력(150)해주게 된다. 만약 착신 가입자가 CPDS에 등록이 되어 있어도 임의의 발신자가 CPDS를 원치 않을 경우 발신자 무선 단말기(100) 내부에 CPDS 이용 여부를 미리 설정해 놓거나 착신 가입자 번호 이전 또는 이후에 특정 코드(* 또는 #)를 함께 눌러 전송하는 방법을 통해 바로 음성통화를 요청할 수도 있다.
발신자가 자신의 무선단말기(100)에 출력된 CPDS 초기 메뉴를 검색한 후 상기 메뉴에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해 추가적인 이용을 원할 경우 데이터 통신 이용여부를 선택(160)하게 된다. 데이터 통신 이용을 선택하여 CPDS 제공 시스템(600)으로 해당 컨텐츠 출력을 요청(170)하게 되면, CPDS 제공 시스템(600)은 상기 요청을 받아 해당 컨텐츠를 발신자 무선 단말기(100)로 전송(180)하게 된다. 발신자 무선 단말기(100)는 이 컨텐츠를 전송받아 출력/재생하여 발신자에게 제공(190)하게 된다. 또한 발신자는 CPDS 컨텐츠 출력 화면에 상시 표기된 음성통화요청 메뉴를 선택하거나 무선 단말기의 일정 키를 누름으로써 CPDS 컨텐츠 이용 중 언제든지 전화통화요청(161)을 할 수 있다. 상기 전화통화 요청시 호발신(162), 데이터호 해제(163), 음성호처리(164), 통화로 개설 등의 절차를 거쳐 음성통화(165)를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착신자가 무선가입자일 경우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착신자가 무선가입자가 아닌 유선가입자일 경우에도 CPDS 제공 시스템을 유선교환망과 연동시켜, 본 발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신가입자가 인터넷을 통해 PC로 등록한 메뉴 및 컨텐츠를 무선 발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발신 가입자가 CPDS를 이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이동교환기의 호처리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발신자 무선 단말기(S100)가 호 발신(S110)을 하게 되면 이동교환기는 발신자로부터의 호연결을 요청 받아 착신가입자의 정보를 조회하게 된다. 착신가입자의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사의 HLR(홈위치등록기)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는데, 착신자의 CPDS 등록 정보도 홈위치등록기에 함께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신가입자의 정보 조회 중 CPDS에 등록되어 활성화되어 있는지의 여부(S120)도 함께 확인한다. 등록이 되어있지 않으면 일반 음성호처리(S121~S124)를 진행하여 음성통화(S125)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만약 착신 가입자가 CPDS에 등록되어 있으면 이동교환기는 발신가입자의 음성호 연결을 중단(S130) 시키고, 데이터호 처리로 변경하여 발신자와 착신자의 정보를 CPDS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고 착신 가입자의 초기 메뉴를 CPDS 제공 시스템에 요청한다(S140). 발신자와 착신자 정보를 전송받은 CPDS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유형별(가족/학교/직장/애인/친구/종교단체 등)로 저장되어 있는 초기 메뉴 중 해당 발신자의 초기 메뉴를 발신자 무선 단말기(S100)로 전송한다. 발신자 무선 단말기(S100)는 해당 메뉴를 전송받아 출력하게 되고, 발신자는 착신자가 등록한 초기 메뉴를 검색(S150)한 후 상기 메뉴에 대해 추가로 이용을 원할 경우 데이터 통신 이용 여부에 응함으로써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가로 이용/감상/자료저장(S160) 할 수 있다. 컨텐츠 이용 도중에도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언제든지 음성통화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성통화 요청(S170)시 기존 데이터 호를 해제(S180)하고 음성호 처리를 진행(S121~S124)하여 착신가입자와 음성통화(S125)를 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CPDS 가입자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데이터 전송과정과 연결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발신자가 호 발신을 요청할 경우 착신자의 CPDS 등록 여부(P110)에 따라 CPDS 가입자 초기 메뉴 데이터베이스(P120)는 해당 발신자에 맞는 착신 가입자의 초기 메뉴를 검색하게 되고 선택된 초기 메뉴는 발신자 단말기(P100)에 전송(P130)되어 출력되어 진다. 착신 가입자의 초기 메뉴는 착신 가입자가 발신자에게 보여주고 싶은 컨텐츠를 그룹화하여 놓은 목록(list)으로서, 배경화면/동영상/이미지/음악/텍스트 등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착신 가입자의 초기 메뉴를 검색한 후 발신자(100)가 초기 메뉴중 임의의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메뉴에 그룹되어져 있는 컨텐츠의 추가적인 이용을 원할 경우 CPDS 데이터 통신 이용 여부(P140)를 묻는 알림창이 발신자 단말기(P100)상에 출력된다. 상기 발신자가 데이터 통신 이용에 응할 경우 CPDS 가입자 컨텐츠 데이터베이스(P150)에서 검색된 해당 컨텐츠가 발신자 단말기(100)에 전송(P160)되어 출력된다. 이를 통해 발신자는 착신 가입자가 보유한 다채로운 이미지/캐릭터/동영상/화면/자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착신가입자가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를 등록 또는 변경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착신가입자는 착신 무선 단말기(200)를 통해 자가호 발신 등의 방법을 통해 CPDS 제공 시스템(600)으로 접속요구를 한다. 자가호 발신을 통해 CPDS를 등록/변경할 경우에는 이동교환기 내에 CPDS 자가호 제어기를 별도로 설치/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PDS 자가호 제어기는 임의의 착신 가입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자신의 단말기 번호로 호를 발신할 경우 착신 번호와 모바일 아이덴피케이션 넘버(MIN)가 동일한지 확인한다. 상기 인증과정 중 착신 번호와 발신자 정보의 MIN이 동일한 경우, CPDS 자가호 제어기는 이동통신사의 홈위치등록기(HLR)에 발신가입자의 CPDS 등록 여부를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교환기(410)는 해당 가입자의 CPDS 등록 여부를 확인한 후(210), CPDS 가입 여부에 따라 CPDS 등록 초기 화면 또는 착신 가입자가 등록해 놓은 CPDS 초기 메뉴의 출력을 요청(220)한다. CPDS 제공 시스템(600)은 가입유무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CPDS 화면을 착신 무선 단말기로 전송(230)하며 착신 무선 단말기는 전송받은 화면을 출력(240)하도록 한다. 착신가입자는 착신 무선 단말기(200)로 CPDS 제공 시스템(600)이 제공하는 기능을 통해 CPDS 초기 메뉴 및 콘텐츠를 제작 및 변경할 수 있다. CPDS 제공 시스템(600)이 제공하는 상기 기능을 통해 착신가입자가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의 등록 또는 변경 요구(250)를 하게 되면 CPDS 제공 시스템(600)은 이에 따라 해당 가입자의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를 변경하거나 등록(260)하게 된다. CPDS 제공 시스템(600)은 착신 단말기(200)로 초기 메뉴 및 컨텐츠 등록/변경 확인(270)을 통해 정상적인 등록/변경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착신가입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PC로도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무선 단말기(200)가 아닌 종래의 일반 유선전화기를 사용하고 있는 착신가입자가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를 등록 또는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PC(300)는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CPDS 제공 시스템에 접속(310)하게 되고, CPDS 제공 시스템은 해당 가입자의 인증/확인 절차(320)를 통해 접속 허가를 내어주게 되고 해당 가입자의 CPDS 화면을 PC로 전송(330)하게 된다. 착신가입자는 PC에 출력된 등록 초기 화면 또는 착신가입자가 등록해놓은 CPDS 초기 메뉴 화면(340)을 확인한 후 CPDS 제공 시스템(600)이 제공하는 기능을 통해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 등록/변경 요구(350)를 하게 되고 이에 따라 CPDS 제공 시스템(600)은 CPDS 메뉴 및 컨텐츠를 등록/변경(360)한 후 착신가입자에게 그 여부(370)를 알려주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착신 가입자가 등록해 놓은 CPDS 서비스를 임의의 발신자가 이용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신자가 전화통화를 위해 착신자의 전화 번호(011-9980-1234)를 입력한 후 통화 키를 누름으로써 통화를 요청(M100)할 경우 착신 가입자의 CPDS 초기 메뉴가 발신자의 단말기(100) 상에 출력(M200)된다. 상기 초기 메뉴는 착신 가입자가 CPDS 서비스 등록시 발신자들의 유형에 따라 구분해 놓은 다수의 초기 메뉴 중 하나로서, 도 7에서는 친구그룹을 위한 CPDS 초기 메뉴로 가정하여 작성되었다. 상기 초기 메뉴가 발신자의 단말기(100)에 출력되면 발신자는 다양한 메뉴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그 메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초기 메뉴 중 2번을 선택(M300)하여 해당되는 컨텐츠를 요청할 경우 알림창이 뜨면서 데이터 통신 요금이 부과됨을 알리게 되고(M400) 이에 응답할 경우 해당 컨텐츠가 발신자의 단말기(100)에 출력(M500)된다. 화면상에 있는 컨트롤 키를 사용하여 다양한 사진을 검색한 후 # 키를 이용하여 초기 메뉴 화면으로 이동하여 다른 메뉴에 있는 컨텐츠를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검색 또는 다운로드한 후 통화 키를 누름으로써 착신자와의 음성통화를 요청(M600)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해 발신자가 착신가입자의 CPDS를 이용하는 서비스 흐름도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면은 발신자가 음성통화 이후 착신자가 등록해 놓은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써, 음성통화가 완료된 시점에서 착신자의 CPDS 등록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과정이 상기 도3과 구분된다.
발신자 무선 단말기(100)가 호 발신(110)을 하면 이동교환기(410)는 음성호처리(B120) 절차를 수행하게 되며 착신자 무선 단말기(200)의 착신응답(B121)을 통해 통화로 개설 후 음성통화(B122)를 하게 된다. 음성통화 후 착신자가 음성통화로를 해제(B130)하면 이동교환기(410)는 착신가입자가 CPDS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B140),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의 음성통화로를 해제(B150)한다. 만약 착신가입자가 CPDS에 등록되어 있으면 이동교환기는 데이터호 처리로 변경하여 CPDS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게 되며, 발신자 및 착신자의 정보를 전송(B141)하여 CPDS 착신 가입자가 등록한 초기 메뉴를 요청한다. CPDS 제공 시스템은 착신자가 CPDS 초기 메뉴 및 컨텐츠 등록(210)절차에 따라 등록한 발신자별 CPDS 초기 메뉴를 발신자 및 착신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찾아낸 후(B142) 발신자 무선 단말기에 전송(B143)하게 된다. 발신자 무선 단말기(100)는 이를 받아 발신자에게 출력(B160)해주게 된다.
발신자가 자신의 무선단말기(100)에 출력된 CPDS 초기 메뉴를 검색한 후 상기 메뉴에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해 추가적인 이용을 원할 경우 데이터 통신 이용여부를 선택(B170)하게 된다. 데이터 통신 이용을 선택하여 CPDS 제공 시스템(600)으로 해당 컨텐츠 출력을 요청하게 되면(B180), CPDS 제공 시스템(600)은 상기 요청을 받아 해당 컨텐츠를 발신자 무선 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된다(B190). 발신자 무선 단말기(100)는 이 컨텐츠를 전송받아 출력/재생하여 발신자에게 제공하게 된다(B191). 만약 발신자가 상기 메뉴에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해 이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 통신 이용여부 확인과정(B170)에서 원하지 않음을 표시함으로써 이동 교환기는 데이터호를 해제하게 된다(B171).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해 발신자가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Call Page Application)을 이용하여 착신가입자의 CPDS를 이용하는 서비스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면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시하는 도면으로써, 착신자의 서비스 등록 여부 확인 절차 이전에 발신자의 서비스 등록 여부 확인 절차를 거침으로써 서비스를 원하지 않는 임의의 발신자가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제기될 수 있는 불만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 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착신가입자의 통화가능 상태를 알 수 있고, 음성통화, SMS, 착신가입자의 초기메뉴 접속등의 기능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방식은 발신가입자가 착신가입자의 초기 메뉴 검색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발신가입자가 음성통화를 목적으로 호 발신을 할 경우 착신가입자의 초기메뉴 출력을 위해 기다릴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발신가입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발신자(100)나 착신자(200)가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면 이동교환기(410)는 발신자(100)나 착신자(200)가 CPDS 제공시스템(600)으로 호를 접속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발신자(100)는 본인이 원하는 형태의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구성하거나 초기메뉴를 구성하게 된다. 이를 마치면 CPDS는 서비스 등록(A610)을 한 후, 이에 대한 결과를 이동교환기(410)에 알려주어 해당 가입자가 CPDS 서비스 등록을 마쳤음을 통보하게 된다(A611). 그리고 CPDS 제공시스템(600)은 발신가입자(100)에게 본인이 선택한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고(A620), 발신자(100)는 이를 무선단말기에 저장함으로써 CPDS 이용 준비를 완료한다(A630). 상기 애플리케이션 저장 절차는 CPDS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가입자(200)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착신가입자가 제공하는 초기메뉴 접속 또는 음성통화 요청 등의 메뉴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용 응용프로그램으로서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플랫폼을 지원하는 단말기상에서 구현 가능하다.
착신가입자(200)는 CPDS 서비스 가입단계(A210)를 통하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관리자 모드에서 자신의 통화 가능 상태를 입력(A220) 할 수 있다. 착신가입자(200)가 입력한 통화 상태 정보는 착신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동교환기(410)에 등록 요청(A221)을 하게 되고 이동교환기(410)는 CPDS 제공 시스템(600)에 통화상태 정보를 통보하고 저장(A222 및 A223)하는 단계를 거쳐 착신가입자(200)의 통화 상태 등록 절차가 완료된다.
발신자(100)가 호 발신(A120)을 하면 이동교환기(410)는 발신자가 CPDS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A130),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음성호 처리을 진행하여(A131), 착신자가 응답을 하면 통화로를 개설한 후 음성통화를 하게 한다(A132 및 A133). 만약 발신자가 CPDS에 등록되어 있으면 이동교환기(410)는 착신가입자의 CPDS 서비스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A140), 착신자가 CPDS 서비스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착신자의 초기메뉴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발신자(100)에게 요청하며(A141), 착신자가 CPDS 서비스에 등록이 되어 있으면 착신가입자의 상태 조회 및 통보 과정(A150 및 A151)을 통하여 착신가입자 의 상태 정보 및 서비스 등록 정보를 포함한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발신자(100)에게 요청한다(A160). 발신자(100)의 무선 단말기는 이동교환기(410)로부터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구동요청을 받으면 이미 CPDS 서비스 등록을 통해 저장된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A170).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에서 발신가입자는 착신가입자의 통화 가능 상태 및 착신가입자의 초기 메뉴 등록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발신자(100)는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된 메뉴를 이용하여 SMS, MMS, 착신자 초기메뉴 접속 등을 하게 되는데, 본 도면은 그 중 하나의 실시예로서 착신가입자 초기메뉴를 선택하여 무선컨텐츠를 이용하거나 음성통화를 선택하여 음성통화를 하게 되는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발신자(100)가 착신가입자 초기메뉴를 선택하게 되면(A180), 이동교환기(410)는 그 요청을 받아 발신자/착신자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착신가입자 초기메뉴를 요청하며(A181), CPDS 제공 시스템(600)은 해당되는 착신가입자 초기메뉴를 검색하여(A182) 발신자(100)에게 전송하게 된다(A183). 만약 발신자(100)가 음성통화를 선택하면(A190), 이동교환기(410)는 이를 받아 음성호처리를 하게 되며(A192) 착신응답(A193) 및 통화로 개설을 통해 음성통화를 하게 된다(A194).
도 10은 상기 도9a 및 도 9b에서 도시된 서비스 흐름도를 발신자가 CPDS 서비스에 가입하여 이용하는 측면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신가입자(100)가 전화통화를 위해 착신자(200)의 전화 번호(011-200-2000)를 입력한 후 통화를 요청(C110)할 경우 발신가입자(100)의 단말기상에 본인이 구 성해 놓은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출력된다. 이 때 착신자(200)가 CPDS 서비스에 등록하여 본인의 초기메뉴 화면을 가지고 있으면 착신자 초기메뉴(화면에서의 '초기메뉴 접속' 항목)가 활성화된 화면이 출력되고(C120), 만약 착신자(200)가 CPDS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착신자 초기메뉴(화면의 '초기메뉴 접속' 항목)가 비활성화된 화면이 출력된다(C130). 상기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발신가입자(100)가 CPDS 서비스에 등록하면서 구성해 놓은 화면으로서, 발신가입자(100)가 자주 쓰는 기능을 선택하여 구성한 화면이다. 상기 화면 구성시 음성통화 키와 초기메뉴 접속 키는 기본으로 제공되며 SMS, MMS, 사진보내기 등의 기능은 발신가입자가 선택적으로 추가 할 수 있다. 상기 SMS, MMS, 사진보내기와 같은 기능은 무선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일 수도 있고 무선인터넷을 거치지 않고 이동교환망에서 직접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일 수도 있다. 발신가입자(100)가 상기 단계 C120에서 '초기메뉴 접속'을 요청하게 되면 착신가입자(200)가 제공하는 초기메뉴 화면이 출력된다(C121). 발신가입자(100)는 착신가입자(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및 컨텐츠의 메뉴를 검색한 후 세부 컨텐츠 출력을 요청하여 출력된 컨텐츠를 이용(C122) 할 수 있다. 상기 모든 화면 이용 중, 발신가입자(100)는 음성통화를 요청할 수 있으며 통화연결 키를 누름으로써 음성통화요청 화면이 출력되고(C140), 상기 도9b에서 도시한 음성호 처리과정(A192~A194)이 시작된다.
모든 이동통신 가입자가 자신의 컨텐츠를 구성하여 임의의 발신자에게 다양 한 맞춤 정보와 컨텐츠를 제공하게 되고 임의의 발신자는 자신과 이해관계에 있는 착신자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지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음성통화 위주의 현 전화통화 체계에서 탈피하여 데이터 통신 활성화에 기여하며, 나아가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표방하는 3세대(WCDMA) 또는 3.5세대(HSDPA) 이동통신 서비스의 주력 서비스로 무한한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한적인 유통경로로 인한 컨텐츠 부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모든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자(일반 이용자 및 비즈니스 이용자)가 자신의 컨텐츠를 적극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나아가 이동 단말기와 이동통신 강국에 걸맞는 이동 컨텐츠 강국으로 도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Claims (9)

  1. 무선단말기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이동 교환기의 호 분리 및 제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되어 있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액세스되어 사용자의 정보 및 컨텐츠가 등록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610), 및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또는 컨텐츠를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무선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데이터 서비스(CPDS) 제어부(620)를 구비한 CPDS 제공 시스템(600); 및
    발신자측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 발신시, 또는 음성통화후 착신자로부터의 음성통화로의 해제시에, 착신자가 상기 CPDS에 등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음성호 연결을 중단하고 데이터호로 변경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단말기가 상기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되도록 하고,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호를 음성호로 변경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호 분리 및 제어수단을 구비한 이동 교환기(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 무선단말기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이동 교환기의 호 분리 및 제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측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 발신시, 착신자가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컨텐츠 프로바이더 데이터 서비스(CPDS)의 이용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이 동 교환기(410)에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등록여부 판단결과, 상기 착신자가 상기 CPDS 이용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음성호 처리를 하여 상기 착신자의 응답에 의해 통화로가 개설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등록여부 판단결과, 상기 착신자가 상기 CPDS 이용자로 등록되어 있으면, 음성호 연결을 중단하고 데이터호로 변경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 단말기가 상기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CPDS 제공 시스템(600) 접속시, CPDS 제공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자의 초기 메뉴를 발신자의 무선단말기에 전송하는 1차 데이터 서비스 전송단계;
    발신자가 상기 초기 메뉴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여 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요청할 경우 발신자가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발신자의 데이터 통신 이용 확인시,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발신자측 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2차 데이터 서비스 전송단계; 및
    발신자의 음성통화 요청에 따라 데이터호를 해제하고 음성호 처리를 하여 발신자와 착신자 사이에 통화로를 개설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PDS 이용자가 무선 단말기 또는 인터넷을 통해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CPDS 이용자가 초기 메뉴 및 컨텐츠를 구성하여 상기 CPDS 제공 시스템(600)의 데이터베이스 내에 등록 또는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PDS 제공 시스템(600)의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 초기 메뉴 및 컨텐츠가 등록될 때에, 상기 초기 메뉴 및 컨텐츠를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따로 저장하고 각각의 초기 메뉴마다 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연동시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PDS 이용자가 무선 단말기를 통해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할 때에 상기 CPDS 이용자가 자가호 발신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CPDS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6.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PDS 이용자가 초기 메뉴 및 컨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단계가,
    발신자를 소정 유형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분류마다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초기 메뉴 및 컨텐츠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데이터 서비스 전송단계가, 발신자 별로 분류된 상기 초기 메뉴 중 상기 발신자가 속하는 분류에 대응하는 초기 메뉴를 상기 발신자측 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8. 무선단말기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이동 교환기의 호 분리 및 제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음성통화후 착신자로부터의 음성통화로의 해제시, 착신자가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컨텐츠 프로바이더 데이터 서비스(CPDS)의 이용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이동 교환기(410)에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등록여부 판단결과, 상기 착신자가 상기 CPDS 이용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발신자의 음성통화로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등록여부 판단결과, 상기 착신자가 상기 CPDS 이용자로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음성통화로를 데이터호로 변경하여 상기 발신자측 무선 단말기가 상기 CPDS 제공 시스템(600)에 접속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CPDS 제공 시스템(600) 접속시, CPDS 제공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자의 초기 메뉴를 발신자의 무선단말기에 전송하는 1차 데이터 서비스 전송단계;
    발신자가 상기 초기 메뉴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여 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요청할 경우 발신자가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발신자의 데이터 통신 이용 확인시,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발신자측 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2차 데이터 서비스 전송단계; 및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호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9. 무선단말기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이동 교환기의 호 분리 및 제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가 PC 또는 단말기를 통해 CPDS 서비스 등록 및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구성하여 본인의 단말기에 상기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단계;
    착신자가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자신의 통화 가능 상태 정보를 입력하여 이동교환기를 통하여 CPDS 제공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발신자가 음성호를 시도하면 이동교환기가 발신자 및 착신자의 CPDS 서비스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발신자에게 상기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
    발신자의 단말기에 상기 콜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발신자는 착신가입자의 상태 및 서비스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통화를 계속 진행하거나 SMS 또는 MMS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착신자가 제공하는 초기 메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호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0060001017A 2005-06-28 2006-01-04 이동 교환기의 호 분리 및 제어를 통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방법 KR10066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519168A JP2008547349A (ja) 2005-06-28 2006-06-27 移動交換機の呼分離および制御による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06769054A EP1897394A1 (en) 2005-06-28 2006-06-27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call separation and control by mobile switching center
PCT/KR2006/002477 WO2007001143A1 (en) 2005-06-28 2006-06-27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call separation and control by mobile switching center
US11/917,274 US20090215461A1 (en) 2005-06-28 2006-06-27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call separation and control by mobile switching center
RU2007146934/09A RU2416890C2 (ru) 2005-06-28 2006-06-27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осредством разделения и контроля вызовов с помощью мобильного средства коммутации
CA002611666A CA2611666A1 (en) 2005-06-28 2006-06-27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call separation and control by mobile switching center
BRPI0611580-2A BRPI0611580A2 (pt) 2005-06-28 2006-06-27 sistema e método para comunicação de dados através de separação e controle de chamada por centro de comutação mó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6362 2005-06-28
KR1020050056362 2005-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70A true KR20070000970A (ko) 2007-01-03
KR100667969B1 KR100667969B1 (ko) 2007-01-11

Family

ID=3786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017A KR100667969B1 (ko) 2005-06-28 2006-01-04 이동 교환기의 호 분리 및 제어를 통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15461A1 (ko)
JP (1) JP2008547349A (ko)
KR (1) KR100667969B1 (ko)
CN (1) CN101213861A (ko)
BR (1) BRPI0611580A2 (ko)
RU (1) RU241689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2934B2 (en) * 2007-11-28 2013-06-25 Nokia Corporation Portable apparatus, method and user interface
US9826096B1 (en) 2015-12-01 2017-11-21 8X8, Inc. Visual interfaces for telephone calls
RU2719442C1 (ru) * 2019-08-29 2020-04-17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обильные ТелеСистемы" (ПАО "МТС")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оединениями в сет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при состояниях, когда номер вызываемого абонента занят, осуществлен сброс звонка или произошел сетевой сбо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327A (ja) * 1998-10-14 2000-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構内交換機
US8104612B2 (en) * 2001-11-29 2012-01-31 Ultra Pro Corporation Sleeves and album pages for flat items
JP2005072692A (ja) * 2003-08-28 2005-03-17 Edia:Kk 広告配信方法、広告配信システム
US20050053950A1 (en) * 2003-09-08 2005-03-10 Enrique Zudaire Ubani Protocol and software for multiplex real-time PCR quantification based on the different melting temperatures of amplicons
WO2006102546A1 (en) * 2005-03-24 2006-09-28 Cook Incorporated Exchangeable delivery system with distal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16890C2 (ru) 2011-04-20
CN101213861A (zh) 2008-07-02
BRPI0611580A2 (pt) 2010-09-21
JP2008547349A (ja) 2008-12-25
US20090215461A1 (en) 2009-08-27
KR100667969B1 (ko) 2007-01-11
RU2007146934A (ru)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1811B2 (en) Notifications of incoming messages
JP4362178B2 (ja) ユーザ・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と電話プログラム間のapiを備える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7050861B1 (en) Controlling a destination terminal from an originating terminal
US8982877B2 (en) Provision of telephony caller ID service via common instant communications clients
US7013003B2 (en) Location-based forwarding
RU2454013C2 (ru) УПРАВЛЕНИЕ ПЕРЕДАЧЕЙ РЕЧИ ПО ИНТЕРНЕТ-ПРОТОКОЛУ (VoIP)
CN100445992C (zh) 管理通信网络中的联系人
US77518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current mobile applications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911922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multimedia options
US2013018544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r persona management
KR100392768B1 (ko) 발신 교환기를 이용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20070051236A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2905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67969B1 (ko) 이동 교환기의 호 분리 및 제어를 통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및 방법
EP1111875B1 (en) Controlling a destination terminal from an originating terminal
US79699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using a data object representing a user in a distributed communication network
EP18973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call separation and control by mobile switching center
KR20040044720A (ko) 유무선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시스템
CN115473955A (zh) 一种终端的许可通信的方法
KR20030034418A (ko)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그 시스템
MXPA06008826A (en) System and method for queueing and moderating group talk
NZ530400A (en) An intelligent messaging server for bridging text and non-text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