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4418A -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4418A
KR20030034418A KR1020010065347A KR20010065347A KR20030034418A KR 20030034418 A KR20030034418 A KR 20030034418A KR 1020010065347 A KR1020010065347 A KR 1020010065347A KR 20010065347 A KR20010065347 A KR 20010065347A KR 20030034418 A KR20030034418 A KR 20030034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called party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0556B1 (ko
Inventor
조창희
심규정
김유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556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556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a-1)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문자열로 구성된 착신자 아이디를 전송 받는 단계; a-2) 상기 착신자 아이디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번역하는 단계; a-3) 번역된 상기 전화번호를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한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로 호를 요청받는 단계; 및 a-5) 상기 호 요청에 따라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를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 음성서비스 뿐만 아니라 인터넷에서도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방식이 다각도로 연구되어 있다.

Description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using I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자 및 본인의 ID로 호 요청 및 인터넷에 바로 접속할 수 있는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서 타인에게 호를 요청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기를 포함하는 호 요청/수신 단말기에 숫자로 된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서 입력된 전화번호를 번역하여 호를 연결한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이동전화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번호자원이 고갈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번호체계가 복잡해지고 있다. 또한, 유선 망에서의 인터넷 보급에 따라 음성서비스 위주의 이동통신 망에서도 왑(WAP)을이용한 무선인터넷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음성서비스 뿐만 아니라 인터넷에서도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방식이 다각도로 연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방의 ID 또는 성명으로도 호를 유발할 수 있는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1)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문자열로 구성된 착신자 아이디를 전송 받는 단계; a-2) 상기 착신자 아이디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번역하는 단계; a-3) 번역된 상기 전화번호를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한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로 호를 요청받는 단계; 및 a-5) 상기 호 요청에 따라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를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b-1) 상기 단계 a-5)에서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단계 b-1)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가 전환하는 단계; b-3)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작성된 이메일을 착신자의 아이디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c-1) 상기 발신자가 소정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 하는 단계; c-2) 상기 단계 c-1)의 판단 결과 상기 발신자가 상기 소정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자가 호를 요청한 착신자가 상기 발신자와 동일한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 하는 단계; c-3) 상기 단계 c-2)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자가 상기 발신자와 동일한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착신자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d-1) 상기 단계 c-1)의 판단 결과 상기 발신자가 상기 소정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자가 호를 요청한 착신자가 소정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 하는 단계; d-2) 상기 단계 d-1)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자가 소정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자에게 인증을 요구하는 단계; d-3) 상기 단계 d-2)에서 상기 발신자가 요구된 인증에 부합하여 적합한 대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착신자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e) 상기 단계 d-1)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자가 소정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착신자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f) 상기 단계 c-2)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자가 상기 발신자와 동일한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자에게 부분적으로 상기 착신자가 가입된 가상 사설망 서비스의 제공을 제한하면서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k-1)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문자열로 구성된 착신자 아이디를 전송 받는 단계; k-2) 상기 착신자 아이디에 대응하는 다수의 전화번호로 번역하는 단계; k-3) 번역된 상기 다수의 전화번호를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k-4) 상기 수신한 다수의 전화번호 중 하나를 선택한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로 호를 요청받는 단계; 및 k-5) 상기 호 요청에 따라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m-1)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작성된 문자열로 구성된 아이디를 전송 받는 단계; m-2) 전송 받은 상기 아이디가 상기 발신자의 아이디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m-3) 상기 단계 m-2)의 판단 결과 상기 아이디가 상기 발신자의 아이디와 동일한 경우, 인증을 요구하는 단계; m-4) 상기 단계 m-3)의 인증 단계에서 적합하다고 판단 되면, 유선 인터넷 사업자가 제공하는 인증이 요구되는 사이트를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문자열로 구성된 아이디를 입력하여 호를 유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아이디를 상기 아이디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번역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중계서버;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요청에 따라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숫자로 구성된 전화번호가 아닌 문자열로 호를 유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을 요청하는 기본적인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아이디로 호를 요청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아이디로 호를 요청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아이디로 호를 요청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자신의 아이디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기지국
230 : 이동교환국
240 : 부가서비스서버
250 : 무선 인터넷 사업자 서버
260 : 중계서버(Translation Server)
270 :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310 : 유선 인터넷 사업자 서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 기지국(200), 이동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 230), 부가 서비스 서버(240), 무선 인터넷 사업자 서버(250), 중계서버(Translation server, 260),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및 유선인터넷 사업자 서버(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200)은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전송 장비, 기지국 송수신기(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210), 및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220)를 포함한다. 이들은 동일한 장소에 함께 형성되거나 또는 각각 별개의 장소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구분할 필요가 없으므로 함께 블록화하여 기지국(200)이라 한다.
상기 이동 교환국(MSC, 230)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유선 네트워크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로의 사용자 통화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이동 교환국(MSC, 230)은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 서버(240)에는 음성메시지 서비스(VMS, Voice MessageService),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통합메시지 처리시스템(UMS, Unified Message Service) 및 서비스 제어부(SCP, Service Control Point )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합메시지 처리시스템(UMS)은 기업에서 운용해 왔던 음성 사서함, 팩스 시스템, 이메일 시스템을 컴퓨터 전화 통합(CTI,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로 통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상기 무선 인터넷 사업자 서버(2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종래의 숫자로 구성된 전화번호가 아닌 착신자의 아이디(이하 ID(Identification)라한다)로 호를 요청할 때, 상기 중계서버(Translation Server, 260)로 상기 착신자 ID를 전송하여 상기 착신자 ID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번역하도록 한다. 또한, 자신의 ID로 호를 요청하는 경우엔 상기 유선 인터넷 사업자 서버(310)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중계서버(260)는 착신자 ID가 입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중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 받고자 가입한 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70)와 연동하여 상기 착신자 ID에 대응하는 숫자로 구성된 전화번호를 번역한다. 상기 번역된 전화번호로 무선망을 통하여 발신자 및 착신자를 연결한다.
상기 유선 인터넷 사업자 서버(310)는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ID가 발신자 자신인 경우 인증을 통하여 바로 소정의 인터넷 사이트를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한다. 상기 유선 인터넷 사업자 서버(310)는 상기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터넷 쇼핑(320), 인터넷 티켓팅(330), 및 인터넷 은행(340) 등과 연동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을 요청하는 기본적인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호 연결을 원하는 착신자의 ID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버튼 중 발신버튼을 선택하여 전송한다(S10).
상기 발신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착신자의 ID는 중계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중계서버에서는 상기 착신자의 ID에 대응하는 숫자로 구성된 전화번호를 번역하여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20).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래의 방법대로 호처리를 요청한다(S30). 호처리를 요청 받은 교환기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가 원하는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착신을 시도한다(S40). 상기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요청에 응답하면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이루어진다(S50).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아이디로 호를 요청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신자는 착신자의 ID로 호를 요청하기 위하여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문자열모드로 전환한다(S100).
상기 문자열모드로 전환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대기(Idle)상태에서도 문자, 즉 한글 또는 영문 등으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착신자의 ID를 입력한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버튼 중 발신버튼을 선택하여 호를 요청한다(S110).
상기 착신자의 ID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무선망을 통하여 중계서버로 전송된다. 상기 중계서버에서 상기 착신자 ID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전화번호를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120).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수신한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로 호를 요청하여(S130) 상기 착신자가 응답하는 경우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간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S140, S150).
상기 단계 S130의 호 요청에 따라 착신자에게 요청한 호를 상기 착신자가 착신할 수 없는 경우, 안내방송에 따라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남기거나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거나 또는 이메일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상기 이메일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발신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 즉, 이메일을 작성하여 전송한다(S160, S170, S180).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아이디로 호를 요청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예는 착신자가 백화점, 회사, 놀이공원 등과 같이 하나의 상호로 다수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발신자에게 제공되는 전화번호가 하나가 아닌다수의 리스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중계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착신자의 전화번호가 하나 인지를 판단한다(S123). 상기 단계 S123의 판단 결과, 착신자의 전화번호가 하나인 경우는 단계 S130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 S123의 판단 결과 착신자의 전화번호가 둘 이상의 다수개인 경우, 상기 발신자는 리스트 중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호를 요청한다(S125).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아이디로 호를 요청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문자열모드로 전환한 후, 착신자의 ID를 입력하여 호를 요청한다(S200, S210).
상기 착신자의 ID를 수신한 중계서버는 상기 착신자 ID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번역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22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한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를 요청하면 상기 발신자가 가상 사설망 서비스(Virtual Private Network, 이하 VPN이라 함)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상기 단계 S230의 판단 결과, 발신자가 VPN 서비스의 가입자인 경우 착신자가 발신자와 동일한 VPN 서비스의 가입자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상기 단계 S240의 판단 결과 착신자 역시 발신자와 동일한 VPN 서비스의 가입자라면 VPN 서비스를 구동시킨 호를 연결한다(S250).
그러나, 상기 단계 S240의 판단 결과 착신자가 발신자와 동일한 VPN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니라면, 부분적으로 사용을 제한한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 및 착신자의 호를 연결한다(S260, S270).
또한, 상기 단계 S230의 판단 결과 발신자가 VPN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착신자가 VPN 서비스의 가입자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80).
상기 단계 S280의 판단 결과 착신자 역시 VPN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자 및 착신자를 일반적인 호로서 연결한다(S290).
그러나, 상기 단계 S280의 판단 결과 착신자가 VPN 서비스의 가입자인 경우 발신자에게 인증을 요구하여 상기 발신자가 적합한 대상인 경우에만 상기 VPN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를 제공한다(S281, S282, S250).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자신의 아이디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제 4 실시예는 ID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곧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문자열 모드로 전환한 다음, 착신자의 ID가 아닌 자신의 ID를 입력하여 발신 버튼을 누르면, 중계서버에서 착신될 ID 및 발신자 ID가 동일함을 확인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증을 요구한다(S300, S310, S320, S33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인 입력한 ID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발신자의 홈페이지 또는 해당 동아리 또는 기업 홈페이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제공된다(S340, S350).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물론이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의 아라비아 숫자로 착신자를 식별하는 것이 아니라 영어, 한글 등의 문자열(String)로 조합된 정보로 착신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단순히 착신자를 구분하는 기능을 넘어서 인터넷이서의 포탈 ID( Portal ID)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커뮤니티(Community)간의 교류 확대를 통한 전자상거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a-1)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문자열로 구성된 착신자 아이디를 전송 받는 단계;
    a-2) 상기 착신자 아이디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번역하는 단계;
    a-3) 번역된 상기 전화번호를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한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로 호를 요청받는 단계; 및
    a-5) 상기 호 요청에 따라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를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b-1) 상기 단계 a-5)에서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단계 b-1)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가 전환하는 단계;
    b-3)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작성된 이메일을 착신자의 아이디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c-1) 상기 발신자가 소정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 하는 단계;
    c-2) 상기 단계 c-1)의 판단 결과 상기 발신자가 상기 소정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자가 호를 요청한 착신자가 상기 발신자와 동일한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 하는 단계;
    c-3) 상기 단계 c-2)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자가 상기 발신자와 동일한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착신자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d-1) 상기 단계 c-1)의 판단 결과 상기 발신자가 상기 소정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자가 호를 요청한 착신자가 소정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 하는 단계;
    d-2) 상기 단계 d-1)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자가 소정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자에게 인증을 요구하는 단계;
    d-3) 상기 단계 d-2)에서 상기 발신자가 요구된 인증에 부합하여 적합한 대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착신자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e) 상기 단계 d-1)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자가 소정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착신자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f) 상기 단계 c-2)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자가 상기 발신자와 동일한 가상 사설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자에게 부분적으로 상기 착신자가 가입된 가상 사설망 서비스의 제공을 제한하면서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7. k-1)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문자열로 구성된 착신자 아이디를 전송 받는 단계;
    k-2) 상기 착신자 아이디에 대응하는 다수의 전화번호로 번역하는 단계;
    k-3) 번역된 상기 다수의 전화번호를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k-4) 상기 수신한 다수의 전화번호 중 하나를 선택한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로 호를 요청받는 단계; 및
    k-5) 상기 호 요청에 따라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8. m-1)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작성된 문자열로 구성된 아이디를 전송 받는 단계;
    m-2) 전송 받은 상기 아이디가 상기 발신자의 아이디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m-3) 상기 단계 m-2)의 판단 결과 상기 아이디가 상기 발신자의 아이디와 동일한 경우, 인증을 요구하는 단계;
    m-4) 상기 단계 m-3)의 인증 단계에서 적합하다고 판단 되면, 유선 인터넷 사업자가 제공하는 인증이 요구되는 사이트를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9. 문자열로 구성된 아이디를 입력하여 호를 유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아이디를 상기 아이디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번역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중계서버;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요청에 따라 착신자의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KR10-2001-0065347A 2001-10-23 2001-10-23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KR100440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347A KR100440556B1 (ko) 2001-10-23 2001-10-23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347A KR100440556B1 (ko) 2001-10-23 2001-10-23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418A true KR20030034418A (ko) 2003-05-09
KR100440556B1 KR100440556B1 (ko) 2004-07-15

Family

ID=2956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347A KR100440556B1 (ko) 2001-10-23 2001-10-23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752B1 (ko) * 2004-08-02 2008-03-10 주식회사 유시드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호접속 시스템과 호접속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321B1 (ko) * 1995-12-20 1999-07-01 윤종용 호출 아이디를 이용한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304411B1 (ko) * 1999-05-31 2001-09-26 김진찬 지능망 교환기에서의 전화번호 연결 서비스 방법
KR20020014615A (ko) * 2000-08-18 2002-02-25 박가현 수신자 유/무선 전화번호 보안시스템
KR100351734B1 (ko) * 2000-11-06 2002-09-11 강선호 아이디를 이용한 전화통화 방법.
KR20030001053A (ko) * 2001-06-28 2003-01-06 신동화 문자아이디를 이용한 통화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752B1 (ko) * 2004-08-02 2008-03-10 주식회사 유시드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호접속 시스템과 호접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0556B1 (ko) 200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0174B1 (e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multaneous voice and multimedia commun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e
US6788769B1 (en) Internet directory system and method using telephone number based addressing
KR20040053341A (ko) 다수의 사용자에게 음성메일 메시지 송신
US7603108B2 (en) Automatic connection and access controls for communications devices
US6792265B1 (en) Conference call setup utilizing a wireless access protocol capable telephone
JP5247433B2 (ja) 秘密ルーティング制御番号
WO19940222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elecommunications such as telephone calls
US20070237320A1 (en) Technique for provid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in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s
KR20030009000A (ko)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문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050087189A (ko) 이동통신망에서 위치기반 발신자 애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100754449B1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0440556B1 (ko)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US20190052757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the Routing, in Particular Forwarding of an Object of a Communications Activity, and Device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997689B1 (ko)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97373B1 (ko) 화상 통화에서의 영상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장치
RU22666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в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KR20030021771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채팅방법
KR20060003628A (ko) 발신자 등록을 이용한 실질적인 발신정보 제공 시스템 및이의 운용방법
KR100390400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동호인접속방법
KR100711910B1 (ko) 유선 전화기를 위한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01850B1 (ko) 모바일 도메인 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및 모바일 도메인을 이용한 호 처리 방법
KR100553136B1 (ko) 통합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75511A (ko) 단축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