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400B1 -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동호인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동호인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400B1
KR100390400B1 KR10-1998-0047365A KR19980047365A KR100390400B1 KR 100390400 B1 KR100390400 B1 KR 100390400B1 KR 19980047365 A KR19980047365 A KR 19980047365A KR 100390400 B1 KR100390400 B1 KR 100390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caller
mobil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361A (ko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4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400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H04M3/42374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where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monitoring entity such as a potential calling party or a call processing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호인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취미가 같은 동호인을 찾기에 적당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호인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호인 접속 방법은 이동 단말에 희망하는 동호인 단어를 입력하고 통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동호인 단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상기 동호인 단어를 접수하고 상기 동호인 단어와 동일한 동호인 단어들을 입력한 다른 이동 단말이 있는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동일한 단어를 입력한 다른 이동 단말이 있으면 상기 이동 단말과 연결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호인 접속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호인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취미가 같은 동호인을 찾기에 적당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호인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 전화기나 무선 호출기(Pager)나 이동 단말기로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가입자 번호를 알아야만 통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무선 호출기나 이동 단말기는 통화 연결의 주목적 서비스 이외에도 각종 부가 서비스 기능으로 문자 서비스, 사서함 관리, 부재중 안내, 반복 수신, 시간지정 호출, 기념일 통보, 집단 호출, 음성 다이얼, 회의 통화, 음성 사서함, 팩스 사서함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각종 부가 서비스 기능은 자신의 정보 관리나 자신이 알고 있는 특정 상대방의 정보 관리에만 적용된다.
따라서,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와 동일한 취미를 갖고 있는 불특정한 임의의 상대방과의 통화 연결을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의 요구가 최근에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동일한 취미를 갖고 있는 불특정한 임의의 상대방과의 통화 연결 서비스 기능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동일한 취미 등을 갖고 있는 동호인간의 통화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호인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이동 단말에 희망하는 동호인 단어를 입력하고 통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동호인 단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상기 동호인 단어를 접수하고 상기 동호인 단어와 동일한 동호인 단어들을 입력한 다른 이동 단말이 있는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동일한 단어를 입력한 다른 이동 단말이 있으면 상기 이동 단말과 연결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취미를 갖고 있는 동호인들을 필요시쉽게 찾아 통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동호인 호출 시스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호인 호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호인 호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환기 2 : 데이터 베이스
3 : 기지국 제어기 4 : 기지국
5, 6 : 단말기
이하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동호인 호출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동호인 호출 시스템 블록 구성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등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동호인 호출 시스템은, 호의 교환 기능(라우팅, 호 제어), 공중 이동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 PLMN)과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 PSTN)을 연동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위치 등록 기능이나 핸드 오버 기능 등과 같은 무선 자원 할당 및 가입자의 이동성을 보장해주는 이동통신 교환기(1)와, 하나의 이동통신 기지국(4) 또는 그 이상의 이동통신 기지국(4a, 4b · · · , 4n)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제어기(3)와, 무선 송수신 장치로 구성되어 공중 이동 통신망과 이동 단말기(5)(6)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셀을 통제하고 셀에 할당된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기지국(4)으로 구성되어 이동 단말기(5)(6)간 또는 이동 단말기(5)(6)와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유선 가입자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는 동호인 호출용 데이터 베이스(2)와 접속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동호인 호출용 데이터 베이스(2)는 이동통신 시스템 운용자가 이동 통신 가입자중 취미나 기호 등이 같은 임의의 가입자들간의 만남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의 단어(예를 들면, 낚시, 등산, 영화 및 연극 등)그룹을 주(main)로 하고, 상기 임의의 단어에 서브(sub)로 이동 단말기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동호인 호출용 데이터 베이스는 동호인 호출 부가 서비스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고, 이동 통신 이외에도 무선 호출기 가입자 또는 공중 교환 전화망 가입자도 이동통신 시스템의 특정 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하여 이용하게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호인 호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호인 호출 방법은 이동통신 가입자를 기준으로 그 중에서도 동호인 호출 부가 서비스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호인 호출 부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취미를 같이하는 동호인을 찾고자 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의 메뉴에서 동호인 호출 모드 버튼을 누른다.(100)
이어서, 가입자가 통화를 희망하는 동호인의 단어(key word)를 단말기에 있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영문이나, 한글로 입력시킨다. (101) 이때, 영문이나 한글 이외에도 이동통신 시스템 운용자가 설정해놓은 문자나 그림 서비스 등을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키 패드(key pad)에 있는 저장버튼이나 통화버튼을 누르면, 단말기에서는 입력된 단어를 코드화하여 이동통신 기지국 및 이동통신 기지국 제어기를 경유하여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한다.(103)
이동통신 교환기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보내온 동호인 단어를 접수한후, 동호인 호출용 데이터 베이스에서 동일한 단어를 송신한 단말기들이 있는지를 검색하고, 동일한 단어를 송신한 단말기(들)가(이) 있으면 이 단말기(들)에 관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호출함과 동시에 피호출 단말기가 통화버튼을 눌러 수신하게 되면 이동통신 교환기는 두 단말기 가입자가 상호 통화 가능하도록 통화로를 연결시켜 준다. (104)
이때 일반적으로 하나의 전화가입자에게 다수의 다른 전화가입자들이 전화를 하더라도 그 중 가장 먼저 연결되는 하나의 다른 전화가입자에게만 통화로를 설정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가 동일한 조건의 서비스를 요청하면 이동통신 교환기(1)에서는 동호인 호출용 데이터베이스(2)를 검색하여 선입선출방식과 같은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가장 우선(최초의 서비스 요청자)되는 단말기에게 임의로 한 사람의 번호를 전송하여 통화로를 연결시킨 후, 차례대로 그 다음 순서의 단말기에게 다른 임의의 한 사람의 번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두 가입자간 통화로를 설정하도록 한다.
그러면, 동호인과 통화를 원하는 이동통신 가입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105)
그러나 만약 동일한 단어를 입력한 단말기가 없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안내를 하게 되며, 이와 같은 서비스는 최초에 동호인 호출 모드를 실행한 후 서비스를요청한 이동 단말기가 동호인 호출 모드를 종료한다면 동호인 호출 서비스 역시 종료된다. 이와 같은 동호인 호출 모드 종료는 일반유선전화의 온후크 또는 이동 단말기의 키 패드 중 종료 키패드를 누르는 것으로 통화서비스종료가 실행되는 것과 유사한 방법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호인 호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임의의 단말기 소지자가 영화 동호인을 찾고 싶을 때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임의의 단말기 소지자가 영화 동호인을 찾고 싶을 때(200), 임의의 단말기 소지자는 단말기의 메뉴에서 동호인 호출 모드 메뉴를 누른다.(201)
이어서, 단말기 소지자는 단말기의 키 패드를 이용하여 호출하고자 하는 동호인 메뉴에서 "영화"란 단어를 입력시킨다.(202) 이어서, 저장버튼 또는 통화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단말기에서는 "영화"란 단어를 이동통신 기지국 및 이동통신 기지국 제어기를 경유하여 이동통신 교환기에 전송한다.(20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기에서 보내온 "영화"란 단어를 접수하고, 데이터 베이스에서 동일한 단어를 접수한 다른 가입자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동일한 단어를 접수한 단말기가 있으면, 임의의 단말기 가입자와 데이터 베이스에 동일한 단어를 접수한 다른 가입자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임의의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를 호출하여 통화로를 접속시킨다.(204)
그러면, 임의의 단말기 가입자와 다른 단말기 가입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 (205)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한 이동단말기 가입자들이 필요시 동호인을 찾아 통화할 수 있으므로 정보교환 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주며, 필요시에는 불특정 사람들이 함께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다.

Claims (3)

  1. 이동 단말에서 동호인 호출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동호인 호출 모드에서 상기 이동 단말이 희망하는 동호인 단어를 입력하고 통화 키를 눌러 동호인 통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동호인 단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호인 통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상기 동호인 단어가 접수되면 상기 동호인 단어와 동일한 동호인 단어들을 전송한 다른 이동 단말이 있는가를 검색 하는 단계 ;
    상기 검색결과 동일한 단어를 입력한 다른 이동 단말이 있으면 상기 이동 단말간 통화로를 설정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호인 접속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호인 통화 연결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통신 교환국과, 상기 동호인 단어 그룹과 이동 단말의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의 상기 동호인 단어가 접수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이동 단말이 전송한 동호인 단어라 동일한 동호인 단어들을 전송한 다른 이동 단말이 있는가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호인 접속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호인 통화 연결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동호인 단어를 접수하거나 검색할 때 상기 동호인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 단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호인 접속방법 .
KR10-1998-0047365A 1998-11-05 1998-11-05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동호인접속방법 KR100390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365A KR100390400B1 (ko) 1998-11-05 1998-11-05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동호인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365A KR100390400B1 (ko) 1998-11-05 1998-11-05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동호인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361A KR20000031361A (ko) 2000-06-05
KR100390400B1 true KR100390400B1 (ko) 2003-10-10

Family

ID=1955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365A KR100390400B1 (ko) 1998-11-05 1998-11-05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동호인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191B1 (ko) * 2001-11-20 2004-12-16 이광민 휴대전화 정보교환 시스템을 이용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KR100857816B1 (ko) * 2007-08-06 2008-09-10 주식회사 비티비솔루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자 상호간의 정보 교환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246A (ja) * 1992-11-24 1994-06-10 N T T Idou Tsuushinmou Kk 移動無線通信方式
JPH09298771A (ja) * 1996-03-04 1997-11-18 Hitachi Ltd 待ち合わせシステム
KR20000008303A (ko) * 1998-07-11 2000-02-07 이보경 한 쌍의 무선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15167A (ko) * 1998-08-27 2000-03-15 서정욱 유사정보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단말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246A (ja) * 1992-11-24 1994-06-10 N T T Idou Tsuushinmou Kk 移動無線通信方式
JPH09298771A (ja) * 1996-03-04 1997-11-18 Hitachi Ltd 待ち合わせシステム
KR20000008303A (ko) * 1998-07-11 2000-02-07 이보경 한 쌍의 무선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15167A (ko) * 1998-08-27 2000-03-15 서정욱 유사정보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단말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361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996B1 (ko) 통신단말장치, 통신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GB2336968A (en) A telephone provided with means for establishing a conference call
KR19990072959A (ko) 통신시스템의스위치내에서의호출처리방법및장치
KR100317010B1 (ko) 통신 시스템의 스위치에서의 호출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100264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KR100568020B1 (ko) 통화 모드별 통화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314970B1 (ko) 통신 시스템의 스위치에서의 호출 처리 방법 및 장치
JPH08289371A (ja) 移動している者との通信を確立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390400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동호인접속방법
JP388310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並びにネットワーク装置
KR1006519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설정 방법
KR100978385B1 (ko) 전화번호 우선순위에 따른 호신호 연결 방법 및 장치, 및그를 이용한 전화통신시스템 및 단말기
KR20050075470A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위치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251001B1 (ko) 컴퓨터 망을 이용한 전화 착/발신 제어방법
KR100221058B1 (ko) 개인번호를 이용한 호 자동접속시스템 및 호 자동접속방법
KR100440556B1 (ko) 아이디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JPH11168773A (ja) 移動電話システム
KR20050098148A (ko) 이동통신에서의 발신자 정보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57682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호 형성 방법
KR100470545B1 (ko)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화상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00308141A (ja) 通信システム
KR20000067431A (ko) 통신 시스템에서 개인번호 서비스 제어방법
JP2003110700A (ja) 通話接続方法および通話接続装置
JPH04196741A (ja) 待時応答機能付電話交換システム
JP200011339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伝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