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432U - 고용량 버스바 - Google Patents

고용량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432U
KR20070000432U KR2020070002157U KR20070002157U KR20070000432U KR 20070000432 U KR20070000432 U KR 20070000432U KR 2020070002157 U KR2020070002157 U KR 2020070002157U KR 20070002157 U KR20070002157 U KR 20070002157U KR 20070000432 U KR20070000432 U KR 200700004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capacity
copper
bus bar
insulation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38877Y1 (ko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2020070002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877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4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4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8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3Alloys based on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Landscapes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여러가닥의 동선으로 구조된 편조선 내부에 알미늄바를 삽입하고 절연과 난연재질의 피복으로 코팅하여 작업성 및 작업 후 보존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동일 규격의 동 부스바 와 비교하여 가공시간이 빠르고 월등한 전류를 흐르게 하며 진동에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용 고용량 버스바.
고용량, 버스바, 편조선, 안전성, 보존성

Description

고용량 버스바 {High capacity busbar}
도면 1은 주석을 도금한 알루미늄바.
도면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여러가닥의 동으로 구조된 편조선.
도면 3은 도면 2에서 사용되는 편조선의 확대모습.
도면 4는 절연과 난연 재질의 피복.
도면 5는 도면 1의 주석도금한 알루미늄바와 도면 2의 편조선, 도면 4의 피복을 결합하여 만든 고용량 버스바의 완성도.
본 고안은 고용량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이나 특고압을 상대하는 기기에 들어가는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수전 후 변압하여 전력을 전송하기 직전의 함으로, 계폐기, 과전류 차단기, 계기(전류계, 전압계, 전력량계 등)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전반은 수변전실에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에서는 배전반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수전반도 포함되어 설명되는 것으로 한다.
종래에는 배전반에 버스바를 접지용과 각각 기기들간의 연결체로서 사용되었다.
하지만, 버스바는 표면적상 편조선보다 낮은 전류를 흐르게 구성 되어 있다. 은과 동 도금으로 되어있어서 그 무게가 상당해 옮기는데 불편하였고, 그 가격또한 비싸게 측정되었다.
반면,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바를 이용하여 버스바를 제조하면, 알루미늄의 전기전도도가 구리보다낮기 때문에 동일한 전류량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으로 형성해야 하므로 버스바의 부피가 증가되어 설치 및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전반은 특고압을 상대하는 기계이니 만큼 조금더 높은 전류를 이용해야 하는데 그럴 때 버스바가 사용되게 되면 그에따른 원자재의 수량이 많아지게 되고 그만큼 다루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류를 더 높게 흐르게 할 수 있는 새로운 고용량 버스바를 제공하는것을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스바를 알루미늄바와 편조선으로 구성함으로서 경량으로 하면서 비용을 절감시켜주는 버스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많은 수의 동선을 꼬아서 만든 편조선과, 본체는 알루미늄바로 구성되고, 그 외부엔 피복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규 격의 버스바보다 더 높은 통전성을 확보하면서 작업성을 향상시켜주는 고용량 버스바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버스바 외부엔 절연과 난연재질의 피복으로 코팅되어 작업 후 보존성이 높아지며 안정성 또한 보장된다.
또한 편조선을 사용하여 기존의 버스바보다 진동에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버스바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편조선과 알루미늄바로 구성되고, 외부엔 절연재질의 피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버스바(6)가 제공된다.
상기 제공된 알루미늄바는 4각형으로 이루어진 본체(1)와, 여러개의 동선을 꼬아서 만든 편조선(2), 절연과 난연 재질의 고무 피복(3)으로 구성된다.
도면 1에서 본체(1)는 알루미늄 바를 사용한다.
도면 1에서 알루미늄바(1)는 수분등 기타 이물질에 의하여 부식을 방지할수 있도록 주석 으로 도금(4)되어있다.
도면 2에서 편조선(2)은 여러가닥의 동으로 구조된 편조선(5)을 사용한다.
도면 4에서 피복(3)은 절연과 난연 재질의 고무 피복을 사용한다.
도면 1의 알루미늄바(1)는 도면 2의 편조선(2)보다 작은 사이즈를 사용한다.
도면 4에서의 피복(3)은 도면 2의 편조선(2)보다 큰 사이즈를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면 2의 편조선(2)은 도면 1의 본체인 알루미늄바(1)와 결합되어 다른 버스바에 비해 더 넓은 표면적을 지니게 되어 더 월등한 전기량이 흐르게 되며, 편조선은 버스바와 같은 구조의 동으로 구조되어있어 전기전도도가 버스바에 비해 떨어지지 않으며, 도면 4의 피복(3)은 절연과 난연 재질의 고무로 구성되어 높은 열과 감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수 있으며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으로 된 도면 1의 본체(1)의 둘레부에는 주석으로 도금된 도금층(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선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편조선과 알루미늄바로 이루어지되 알루미늄바의 둘레부에는 주석으로 도금된 도금층이 형성되어있고, 편조선과 알루미늄바의 혼합체 외부에는 절연과 난연 재질의 고무로 이루어진 피복이 감싸고있어서, 동일 규격의 부스바와 비교하여 가공시간이 빠르고 월등한 전류를 흐르게 하며 진동에 강하고 안전성이 보장되므로 상품성이 우수하다.

Claims (1)

  1. 여러가닥의 동선으로 구조된 편조선 내부에 알루미늄바를 삽입하고 절연과 난연재질의 피복으로 코팅하여 작업성 및 작업 후 보존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동일 규격의 동 부스바 와 비교하여 가공시간이 빠르고 월등한 전류를 흐르게 하며 진동에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용 고용량 버스바.
KR2020070002157U 2007-02-06 2007-02-06 고용량 버스바 KR200438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157U KR200438877Y1 (ko) 2007-02-06 2007-02-06 고용량 버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157U KR200438877Y1 (ko) 2007-02-06 2007-02-06 고용량 버스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432U true KR20070000432U (ko) 2007-04-10
KR200438877Y1 KR200438877Y1 (ko) 2008-03-07

Family

ID=4162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157U KR200438877Y1 (ko) 2007-02-06 2007-02-06 고용량 버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8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440B1 (ko) * 2008-01-25 2009-12-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통전용 부스바의 접속부
KR101055657B1 (ko) * 2011-06-03 2011-08-09 (주)시그너스시스템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20120106665A (ko) * 2012-07-27 2012-09-26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1624B (zh) * 2017-06-29 2019-04-12 广州艮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分拣输送系统的柔性传动棒
US11145434B2 (en) 2019-05-08 2021-10-12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Low voltage power conductor and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440B1 (ko) * 2008-01-25 2009-12-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통전용 부스바의 접속부
KR101055657B1 (ko) * 2011-06-03 2011-08-09 (주)시그너스시스템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20120106665A (ko) * 2012-07-27 2012-09-26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877Y1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8755A (ko) 에너지 절약형 와이어 케이블
KR20070000432U (ko) 고용량 버스바
CN202013767U (zh) 一种舰船用硅橡胶绝缘中压变频软电缆
JP2015220769A (ja) 接続導体ユニット
CN208548165U (zh) 一种便于连接的海工用耐泥浆仪表控制软电缆
CN207896616U (zh) 母线槽单元及母线槽接地干线系统
CN215817382U (zh) 一种新型的一进二出电缆分接箱
CN103456384A (zh) 一种铜包铝合金导体汽车用电缆
CN208240385U (zh) 一种轻型高抗拉耐磨被复线
CN202650673U (zh) 自生式分支电线电缆
CN205231295U (zh) 一种负荷开关用高压绝缘保护线
CN215732566U (zh) 一种全浇注汇流排
CN111262137A (zh) 一种开关柜电缆拆装不间断多功能接地装置
CN201340748Y (zh) Pe绝缘pvc护套稀土丝屏蔽电缆
CN106449300B (zh) 一种快速接线的漏电保护器
CN219738559U (zh) 一种铜排连接用绝缘纸结构
CN212365544U (zh) 一种具有护套的多芯电线
CN217010355U (zh) 一种用于低压配电线路无功补偿的组合式支柱绝缘子
CN214175728U (zh) 一种超耐磨柔性电缆母线
CN203038682U (zh) 一种轻型柔软氟塑料绝缘电线
CN216251169U (zh) 一种变电站母线桥接地装置
RU203606U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о-силовой провод
CN208001132U (zh) 母线槽取电结构
CN214043110U (zh) 一种新型的电力传输汇流排
CA2986409A1 (en) Electrical equipment with additional compartment and wiring to account for temperature limitations of connected condu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