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657B1 -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657B1
KR101055657B1 KR1020110053790A KR20110053790A KR101055657B1 KR 101055657 B1 KR101055657 B1 KR 101055657B1 KR 1020110053790 A KR1020110053790 A KR 1020110053790A KR 20110053790 A KR20110053790 A KR 20110053790A KR 101055657 B1 KR101055657 B1 KR 101055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polymer
delete delete
emissivity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권
Original Assignee
(주)시그너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그너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시그너스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5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6Single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3Alloys based on alumin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통형 또는 판형 알루미늄 부스바의 표면에 방사율이 높은 고분자 물질을 수십미크론 두께로 코팅하여 알루미늄 방사율을 0.9 이상으로 높여서 복사열 전달량을 증가시켜 알루미늄 부스바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도록 하는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HIGH POLYMER APPLICATION ALUMINIUM BUSBAR AND SWITCHGEAR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원통형 또는 판형 알루미늄 부스바의 표면에 방사율이 높은 고분자 물질을 수십미크론 두께로 코팅하여 알루미늄 방사율을 0.9 이상으로 높여서 복사열 전달량을 증가시켜 알루미늄 부스바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도록 하는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수배전반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공장, 빌딩, 병원, 아파트 단지 및 각종 산업시설 등에 한전으로부터 공급된 특별 고압의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각종 설비 및 장비의 정격에 맞는 낮은 전압 및 정격용량으로 변환시켜 전기 시설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 제어 및 감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배전반은 한전으로부터 공급된 22.9㎸, 24㎸, 25.8㎸ 등의 특고압이 인가되는 특고압반과, 전력을 변압하는 변압반(Transformer;전력용 변압기)과, 저압배전반 및 MCC반(MOTOR CONTROL CENTER)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배전반에는 단자와 단자 사이를 접속하기 위하여 부스바(busbar)가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스바의 경우 높은 전기전도성이 필요하고, 차단기와 같은 특수 개폐기에 사용되는 부스바의 경우 스프링이나 다른 장치에 의해 접점이 이루어지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부스바 및 차단기 개폐용 부스바의 재질은 전기전도도가 좋은 구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기 판넬부에서 각 장치로 전기를 공급해주는 연결부인 부스바는 상기와 같이 대부분이 구리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나, 구리 소재의 특성상 무게가 무겁고, 다른 소재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재료비의 상승을 야기하여 수배전반 부품의 가격상승을 초래하고 중전기기나 그 이상의 용량 기기에 있어서 고 중량의 무게로 제품의 내구성에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로 가격이 저렴한 소재인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구리소재에 비하여 낮은 전기전도도로 인하여 구리보다 2배 이상의 부피를 가져야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전기 통전시 열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 환경에 따라서 냉각기를 설치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통전시 발생 가능한 아크에 의해서 용융점이 낮은 알루미늄 소재의 용융이 발생할 여지가 높기 때문에 중전기기나 그 이상의 용량 기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접점이 발생하는 부분에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높고 용융점이 높은 구리소재를 위치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 소재와 구리소재를 접합해 주는 방법은 대표적인 예로 클래드법을 들 수가 있다.
그런데 구리와 알루미늄을 클래드 할때 접합 하고자 하는 소재의 표면에 불순물이 존재하여 접합면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클래드 전 표면처리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가압에 의한 방법이기 때문에 클래드 전과후의 치수변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국부적인 접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 또는 판형의 알루미늄 부스바의 표면에 방사율이 높은 고분자 물질을 수십미크론 두께로 코팅하여 알루미늄 방사율을 0.9 이상으로 높여서 복사열 전달량을 증가시켜 알루미늄 부스바의 온도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재료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고, 구리 부스바와 동일 부피이면서도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를 이용하는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원통형 또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봉체와; 방사율이 0.9 이상인 세라믹, 유성 페인트, 바니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상기 봉체의 표면에 10~30㎛의 두께로 코팅되는 고분자 물질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원통형 또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봉체와; 방사율이 0.9 이상인 세라믹, 유성 페인트, 바니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상기 봉체의 표면에 10~30㎛의 두께로 코팅되는 고분자 물질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따르면, 원통형 또는 판형의 알루미늄 부스바의 표면에 방사율이 높은 고분자 물질을 수십미크론 두께로 코팅하여 알루미늄 방사율을 0.9 이상으로 높여서 복사열 전달량을 증가시켜 알루미늄 부스바의 온도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재료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고, 구리 부스바와 동일 부피이면서도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전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를 구비하는 배전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와 알루미늄 도체와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와 구리 부스바 간의 규격을 비교한 도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10)는 원통형 또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봉체(11)와, 방사율을 일정값 이상 가지고, 봉체(11)의 표면에 일정 두께로 코팅되는 고분자 물질층(1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봉체(11)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100)은 부스바(10)가 원통형 또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봉체(11)와, 방사율을 일정값 이상 가지고, 봉체(11)의 표면에 일정 두께로 코팅되는 고분자 물질층(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원통형의 부스바가 수전반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판형의 부스바가 배전반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고분자 물질의 방사율은 0.9 이상이고, 고분자 물질은 세라믹, 유성 페인트, 바니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고분자 물질의 코팅 두께는 10~30㎛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와 알루미늄 도체와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와 구리 부스바 간의 규격을 비교한 도표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원통형 알루미늄 부스바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가 도포된 원통형 알루미늄 부스바(10) 및 일반적인 판형 알루미늄 부스바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가 도포된 판형 알루미늄 부스바(10)의 온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원통형인 경우 외경 80㎜, 내경 40㎜이며, 운전전류가 5000A인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알루미늄 부스바는 60℃로 상승되고, 고분자가 도포된 원통형 알루미늄 부스바(10)는 29℃로 상승됨을 확인할 수 있다.
판형인 경우 폭 200㎜, 두께 17㎜로 2장이며, 운전전류가 5000A인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알루미늄 부스바는 81℃로 상승되고, 고분자가 도포된 판형 알루미늄 부스바(10)는 30℃로 상승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가 도포된 판형 알루미늄 부스바(10)는 일반적인 판형 구리 부스바보다 그 크기가 약 1.2배 정도 크고, 중량은 1/4 이하로 가벼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가 도포된 원통형 알루미늄 부스바(10)는 일반적인 원통형 구리 부스바와 크기가 거의 동일하고, 중량은 1/5 수준으로 가벼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부스바 11 : 봉체
13 : 고분자 물질층 100 : 수배전반

Claims (16)

  1. 원통형 또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봉체와;
    방사율이 0.9 이상인 세라믹, 유성 페인트, 바니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상기 봉체의 표면에 10~30㎛의 두께로 코팅되는 고분자 물질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원통형 또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봉체와;
    방사율이 0.9 이상인 세라믹, 유성 페인트, 바니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상기 봉체의 표면에 10~30㎛의 두께로 코팅되는 고분자 물질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10053790A 2011-06-03 2011-06-03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1055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790A KR101055657B1 (ko) 2011-06-03 2011-06-03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790A KR101055657B1 (ko) 2011-06-03 2011-06-03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657B1 true KR101055657B1 (ko) 2011-08-09

Family

ID=4493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790A KR101055657B1 (ko) 2011-06-03 2011-06-03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6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6665A (ko) * 2012-07-27 2012-09-26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EP2645486A1 (en) * 2012-03-29 2013-10-02 ABB Technology AG A pole connector for in-series circuit breakers
EP2645487A1 (en) * 2012-03-29 2013-10-02 ABB Technology AG A pole connector for in-series circuit breakers
WO2013143657A1 (en) * 2012-03-29 2013-10-03 Abb Technology Ag A pole connector for in-series circuit breakers
WO2014182174A1 (en) * 2013-05-06 2014-11-13 Norsk Hydro Asa High performing aluminium component with a surface coating suitable for thermal radiation applications
GB2545446A (en) * 2015-12-16 2017-06-21 Ge Aviation Systems Group Ltd Power distribution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0458A (en) * 1980-04-22 1981-11-20 Toshiba Corp Masking device for fluid and dip coating method
JPH01175117A (ja) * 1987-12-28 1989-07-11 Mitsubishi Cable Ind Ltd ブスバーまたはバスダクト
JP2006024449A (ja) 2004-07-08 2006-01-26 Kyoho Mach Works Ltd バスバーおよび通電装置
KR20070000432U (ko) * 2007-02-06 2007-04-10 이승철 고용량 버스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0458A (en) * 1980-04-22 1981-11-20 Toshiba Corp Masking device for fluid and dip coating method
JPH01175117A (ja) * 1987-12-28 1989-07-11 Mitsubishi Cable Ind Ltd ブスバーまたはバスダクト
JP2006024449A (ja) 2004-07-08 2006-01-26 Kyoho Mach Works Ltd バスバーおよび通電装置
KR20070000432U (ko) * 2007-02-06 2007-04-10 이승철 고용량 버스바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5486A1 (en) * 2012-03-29 2013-10-02 ABB Technology AG A pole connector for in-series circuit breakers
EP2645487A1 (en) * 2012-03-29 2013-10-02 ABB Technology AG A pole connector for in-series circuit breakers
WO2013143657A1 (en) * 2012-03-29 2013-10-03 Abb Technology Ag A pole connector for in-series circuit breakers
CN104303368A (zh) * 2012-03-29 2015-01-21 Abb技术有限公司 用于串联断路器的极柱连接器
CN104303368B (zh) * 2012-03-29 2016-03-30 Abb技术有限公司 用于串联断路器的极柱连接器
KR20120106665A (ko) * 2012-07-27 2012-09-26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WO2014182174A1 (en) * 2013-05-06 2014-11-13 Norsk Hydro Asa High performing aluminium component with a surface coating suitable for thermal radiation applications
EP2994552A4 (en) * 2013-05-06 2017-01-18 Norsk Hydro ASA High performing aluminium component with a surface coating suitable for thermal radiation applications
GB2545446A (en) * 2015-12-16 2017-06-21 Ge Aviation Systems Group Ltd Power distribution connector
GB2545446B (en) * 2015-12-16 2018-08-22 Ge Aviat Systems Ltd Power distribution connector
US10494119B2 (en) 2015-12-16 2019-12-03 Ge Aviation Systems Limited Power distribution connector with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heat si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657B1 (ko)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US8487722B2 (en) Thermally managed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US7795840B2 (en) Battery charger with a planar bus
US11451118B2 (en) Conductor arrangement and transportable electrical drive device
US9806639B2 (en) Dielectric fluids for linear switched capacitive devices
KR20120106665A (ko) 고분자 도포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1200568B1 (ko) 수배전반 부스바 도포용 도료
CN103137371B (zh) 接地开关装置
KR20120106666A (ko) 고분자 도포 구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CN101814347B (zh) 充油绝缘套管
US11081923B2 (en) Corona shielding system for an electrical machine
KR101373570B1 (ko) 흑연 조성물로 코팅된 알루미늄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100987156B1 (ko) 영상고조파 내량형 분전반
Cardenas et al. Thermal characterization of electrical wires and insulation operated in variable frequency mode
KR101433004B1 (ko)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Polykrati et al. Thermal effect on electric power network components under short-circuit currents
Rao et al.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rmal performance of class B and class F compact busbar assembly
US10991519B2 (en) Flexible conductor for disconnector and the disconnector thereof
CN205302976U (zh) 电动汽车电芯模块用铜排
US10673294B2 (en) Corona shielding system for an electrical machine
Boeke et al. Comparison of low voltage AC and DC power grids
Yahya et al. Review of busbar operation under nonlinear load condition
US9444230B2 (en) Power distribution assembly and header assembly therefor
US20160039634A1 (en) Elevator control panel, and an elevator
DE102021109001A1 (de) Hochleistungs-Induktions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