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258U -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258U
KR20070000258U KR2020070000942U KR20070000942U KR20070000258U KR 20070000258 U KR20070000258 U KR 20070000258U KR 2020070000942 U KR2020070000942 U KR 2020070000942U KR 20070000942 U KR20070000942 U KR 20070000942U KR 20070000258 U KR20070000258 U KR 200700002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andle
locking device
automatic locking
pul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36140Y1 (ko
Inventor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이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혁 filed Critical 이동혁
Priority to KR2020070000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140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1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을 언록킹할 때 손잡이를 개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개방시킬 수 있게 하며, 사용자 또는 시공자, 창호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손잡이 방식 또는 레버방식으로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창문용 잠금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창틀(A)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16)와 창문(B)에 고정되어 스트라이커(16)에 걸림 되는 훅(8)이 결합하는 자동잠금장치(C)를 포함하는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잠금장치(C)의 훅(8)을 록킹 언록킹할 수 있도록 하는 창문프레임(B1)에 피스(10)로 고정되는 창문손잡이(D)와, 창문손잡이(D)의 일측에 형성된 공틀의 당김 손잡이(1)와, 당김 손잡이(1)의 후퇴 전진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편(2)과, 작동편(2)이 일정하게 회전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작동공(3)과, 당김 손잡이(1)가 정확하게 전진 후퇴할 수 있게 하는 돌출홈(4-1)을 구비한 밑판(4)과, 밑판(4)과 결합하여 작동편(2)의 이탈을 방지하고 당김 손잡이(1)의 작동을 이탈 없게 하는 커버(5)와, 당김 손잡이(1)가 창문(B) 언록킹 시 후퇴하였다가 원위치로 복원되게 하는 복원스프링(6)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창문손잡이에 비해 창문개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사용자 또는 시공자, 창호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창문손잡이, 자동잠금장치, 훅, 스트라이커, 창호잠금장치

Description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GRIP TYPE LOCKING DEVICE OF WINDOW}
도 1은 본 고안의 제품구성과 결합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당김 손잡이를 당기기 전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당김 손잡이를 당긴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을 창문에 적용한 예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A: 창틀 B: 창문 B1: 창문프레임 C: 자동잠금장치 D: 창문손잡이
1: 당김 손잡이 1-1: 홈 1-2: 홈 1-3: 요홈
2: 작동 편 2-1: 작동돌기
3: 작동공
4: 밑판 4-1: 돌출홈
5: 커버 6: 복원스프링 7: 회전축 10: 피스
21: 브래킷 22: 당김바 23: 기어 24: 훅 25: 브래킷 커버
27: 복원스프링
본 고안은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장치 본체에 장착된 훅을 작동시킴에 있어서,
잠금장치 본체에 전후진 되는 손잡이 방식의 손잡이 작동체나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는 레버식 손잡이를 선택적으로 조립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기호나 취향 또는 슬라이드 창호의 특성에 따라 손잡이식 또는 레버식으로 선택 적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창문의 자동잠금장치는 슬라이드식, 레버식, 버튼식으로 구분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잠금장치는 그 구성이 슬라이드식 손잡이만을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록킹 언록킹 작동의 형태가 상이한 버튼식 또는 레버만을 결합사용할 수 있는 획일적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잠금장치 본체로 두 가지 타잎의 손잡이를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할 수는 없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잠금장치는 창문에 설치 사용시 사용에 한계가 따랐으며 레버식 잠금장치 사용시 별도의 레버장착을 위한 부분이 필요하여 시공상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사용자 또는 시공자의 선택 폭 또한 그만큼 좁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에 의해 간편하게 언록킹 할 수 있고, 별도의 잠금 동작 없이도 창문의 잠금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창문용 자동잠금장치의 구성을 적극 개량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창문 손잡이를 잡고 창문 개방 측으로 밀기만 하면 언록킹과 함께 창문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하여 창문개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부품을 분해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을 창문에 적용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가)는 창문손잡이(D)의 일측에 형성된 당김 손잡이(1)를 잡고 창문(B)을 개방하고자하는 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언록킹과 함께 창문(B)이 개방되는 데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도시한 바와 같이 밑판(4)에 의해 밀폐되고 창문프레임(B1)에 피스(10)로 고정되는 창문손잡이(D)와 창문손잡이(D)의 일측에 공틀의 당김 손잡이(1)를 치합형성하며,
당김 손잡이(1)의 하부에는 밑판(4)의 돌출홈(4-1)과 결합하여 당김 손잡이(1)가 이탈 없이 일정하게 전진 후퇴를 할 수 있게 하는 홈(1-2)과,
당김 손잡이(1)의 후면에는 커버(5)의 후면 부와 맞닿아 당김 손잡이(1)가 창문(B)개방시 후퇴하였다가 전진할 수 있게 하는 복원스프링(6)을 내입할수 있게 하는 요홈(1-3)과,
작동편(2)과 결합하여 당김 손잡이(1)의 수평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게 하는 홈(1-1)이 구비되고,
밑판(4)에는 자동잠금장치(C)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7)이 작동을 가능케 하며 작동편(2)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작동공(3)과,
당김 손잡이(1)의 홈(1-2)과 결합하여 당김 손잡이(1)의 수평운동을 이탈 없이 일정하게 하여 주는 돌출홈(4-1)로 구성된다.
작동편(2)은 회전축(7)의 단부와 결합하며 당김 손잡이(1)의 홈(1-2)과 유격 없이 1:1로 결합하여 자동잠금장치(C)의 운동을 공차 없이 이루어지게 하는 작동돌기(2-1)를 구비하고 있다.
자동잠금장치(C)는 브래킷(21)에 내장되고 브래킷 커버(25)에 의해 밀폐되어 상기 당김 손잡이(1)의 후퇴에 의해 당김 손잡이(1)의 홈(1-1)과 회동 회전하며 작동편(2)의 단부와 결합하는 회전축(7)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회전하여 당김바(22)를 후퇴시키는 기어(23)와, 기어(23)의 회전력에 의해 기어(23)와 회동하여 후퇴하는 당김바(22)와, 창문(B) 록킹 시 창틀(A)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6)와 가압탄발하여 후퇴한 후 복원스프링(27)의 반발력에 의해 전진하여 스트라이커(26)의 요홈에 내입되어 록킹이 가능하게 하는 훅(24)과, 창문(B)개방이 완료된 후 훅(24)을 자동잠금 록킹 대기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가)가 설치되는 창문에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된 창문(B)을 닫는 순간 창틀(A)에 설치된 스트라이커(26)와 자동잠금장치(C)의 브래킷(21)에 내장된 훅(24)이 가압탄발하여 후퇴한 후 전진하여 스트라이커(26)의 요홈에 훅(24)이 내입되어 록킹이 이루어지게 되고, 창문(B)을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창문프레임(B1)에 장착된 창문손잡이(D)의 당김 손잡이(1)를 잡고 개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창문(B)이 개방되는 것이다.
이는 별도의 레버나 버튼이 없이도 손잡이를 잡기만 하여도 창문(B)이 언록킹되어 별도의 수고로움 없이도 창문(B)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창문(B)을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창문손잡이(D)의 일측에 구비된 당김 손잡이(1)에 손을 접지한 상태에서 개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면 당김 손잡이(1)의 홈(1-2)과 결합한 작동돌기(2-1)가 회전하여 작동편(2)과 결합한 회전축(7)이 회동하여 회전함으로써 회전축(7)의 단부와 결합한 자동잠금장치(C)의 기어(23)가 함께 회전하여 기어(23)에 의해 후퇴하는 당김바(22)의 당김 작용에 의해 스트라이커(26)의 요홈에 내입되어 있던 훅(24)이 빠져나오게 되어 창문(B)을 언록킹 시키 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창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당김 손잡이(1)에 가해졌던 힘이 해제되면 훅(24)과 당김 손잡이(1)는 각각의 스프링(6)(27)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용하는 본 고안의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가)는 창문(B)의 개방을 위해 레버를 돌리거나 버튼을 누르는 별도의 수고로움 없이 창문손잡이(D)를 잡고 개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기만 하여도 언록킹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서, 기존 창문 손잡이에 비해 창문개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레버식 잠금장치 사용시 작동을 위하여 설치되었던 별도장치의 장착이 없어 시공상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였으며, 한가지의 자동잠금장치(C)를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레버 또는 창문손잡이)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 또는 시공자의 선택의 폭 또한 넓게 하였다.

Claims (2)

  1.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가)에 있어서,
    밑판(4)에 의해 밀폐되며 창문 프레임(B-1)에 피스(10)로 고정되는 커버(5)와,
    커버(5)의 일측에 형성된 공틀의 당김 손잡이(1)와,
    당김 손잡이(1)의 홈(1-1)과 결합하여 당김 손잡이(1)의 수평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게 하는 작동돌기(2-1)가 구비된 작동편(2)과,
    작동편(2)의 회전운동을 일정하게 하고 작동편(2)의 이탈을 방지하며 회전축(7)에 전달하게 하는 작동공(3)과,
    당김 손잡이(1)의 전진과 후퇴를 일정하게 하는 홈(1-2)과,
    밑판(4)에 구비되어 당김 손잡이(1)의 홈(1-2)과 맞닿아 수평운동을 일정하게 하는 돌출홈(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자동잠금장치(C)에 내장되어 창문(B)개방시 상기 작동편(2)에 의해 전달된 회전축(7)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23)에 치합 구성되어 스트라이커(26)의 홈에 내입되어 있던 훅(24)을 당겨주어 훅(24)이 스트라이커(26)에서 빠져나오게 하여 창문(B)을 개방하게 하는 당김바(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KR2020070000942U 2007-01-18 2007-01-18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KR200436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942U KR200436140Y1 (ko) 2007-01-18 2007-01-18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942U KR200436140Y1 (ko) 2007-01-18 2007-01-18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258U true KR20070000258U (ko) 2007-03-08
KR200436140Y1 KR200436140Y1 (ko) 2007-06-11

Family

ID=4365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942U KR200436140Y1 (ko) 2007-01-18 2007-01-18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1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458Y1 (ko) * 2009-10-27 2012-02-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119Y1 (ko) * 2009-05-13 2011-12-06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1122312B1 (ko) 2009-09-07 2012-03-22 이재민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458Y1 (ko) * 2009-10-27 2012-02-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140Y1 (ko) 200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0362B2 (en) Keyed lockset operable by pivoting actuator about a first axis or a second axis
EP2985397B1 (en) Mortise lock
WO2016033805A1 (en) Cylindrical latch bolt assembly having beleved blocking surface
KR200436140Y1 (ko)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KR890001456Y1 (ko) 문짝용 핸들장치
KR101436676B1 (ko) 도어락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101598961B1 (ko) 설치가 용이한 범용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락
CN110118040B (zh) 一种铰链结构
CN210714223U (zh) 一种铰链结构
JP3686168B2 (ja) 抽斗のラッチ装置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CN210622525U (zh) 门锁
KR200446702Y1 (ko)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JP3647555B2 (ja) 扉錠のハンドル装置
KR20070112979A (ko) 차량용 도어의 투-모션 래치 구조
JP3646796B2 (ja) 表示錠
EP0029405A1 (fr) Crémone, en particulier crémone-serrure pour porte, porte-fenêtre ou analogue
KR200458458Y1 (ko)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JP3032362U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H0230593Y2 (ko)
KR200288716Y1 (ko) 문 자물쇠
KR100415053B1 (ko) 도어록 장치
KR101805680B1 (ko) 푸시풀 출입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