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237A -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제법 및 이 제법에 의해 제조된소성물 및 이 소성물을 사용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제법 및 이 제법에 의해 제조된소성물 및 이 소성물을 사용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237A
KR20070000237A KR1020050055806A KR20050055806A KR20070000237A KR 20070000237 A KR20070000237 A KR 20070000237A KR 1020050055806 A KR1020050055806 A KR 1020050055806A KR 20050055806 A KR20050055806 A KR 20050055806A KR 20070000237 A KR20070000237 A KR 20070000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rit
frame
photoluminescent
co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6207A (ko
Inventor
히로시 다나카
도모카즈 후쿠다
고 마츠모토
고이치로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유니버살 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살 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버살 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005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237A/ko
Publication of KR2006013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207A/ko
Publication of KR20070000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23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세라믹 소재의 표면에 당해 세라믹 소재와 축광재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된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를 부착하고,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건조후에 축광재와 대략 동일한 열팽창율로 조정된 피복용 유리 프리트를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부착하고, 피복용 유리 프리트의 건조전에 50㎛∼250㎛의 입경의 축광재를 건조전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층에 축광재의 상부측이 일부 노출되는 상태로 균일하게 1층 형상으로 부착하고, 피복용 유리 프리트와 축광재를 번갈아 수차례 반복하면서 부착하여 적층한 후, 최상의 일부 노출되는 축광재의 상부측을 피복용 유리 프리트를 부착시켜서 피복하고 건조후에, 화상부를 피복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인쇄하고, 그 위에 축광재와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된 융화용 유리 프리트를 소정 두께 부착한 후에,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를 균일하게 부착시키고, 이것을 고온으로 소성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을 제작하고, 이 소성물층을 유도 피난표시장치의 화상형성부에 사용한다.

Description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제법 및 이 제법에 의해 제조된 소성물 및 이 소성물을 사용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PROCESS FOR PREPARING A FIRED MATERIAL HAVING LIGHT STORAGE FUNCTION, FIRED MATERIAL PREPARED BY THE PROCESS AND A DISPLAY INDUCING REFUGE USING THE FIRED MATERIAL}
본 발명은, 잔광휘도가 높고, 게다가 잔광 계속시간도 긴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제법 및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 및 이 소성물을 사용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류 업계에서는, 소성물의 표면에의 그림넣기는 용이한 스크린인쇄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용이한 스크린인쇄를 이용하여, 축광재와 유리 프리트를 혼합한 것을 세라믹 소재의 표면에 인쇄하고, 이것을 고온에서 소성한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이 개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은 예를 들면 지하철역 구내의 피난 유도 표시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의 연구에서, 축광재에 의한 잔광휘도나 잔광 계속시간은, 축광재의 입경의 크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축광재의 입경이 클 수록, 잔광 휘도가 높고, 또 잔광 계속시간이 긴 것이 알려져 있다.
스크린인쇄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입자의 크기가 20∼30㎛가 아니면 인쇄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축광재의 입경도 20∼30㎛에 한정된다. 이와 같이 스크린인쇄를 이용한 경우, 사용하는 축광재의 입경이 작기 때문에, 유리 프리트와 혼합하여 소성해도 축광재의 열팽창율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어, 종래의 제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 축광재의 입경이 작기 때문에 잔광 기능이 낮다. 이 때문에, 스크린인쇄를 이용하여 축광재와 유리 프리트가 혼합된 것을 소성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경우, 조금이라도 잔광 휘도나 잔광 계속시간의 잔광기능을 올리기 위해서, 스크린인쇄와 소성을 몇번이나 되풀이하여, 축광재의 층을 두껍게 해서 그 사용량을 늘리고 있다.
그렇지만, 스크린인쇄와 소성을 몇번이나 반복하여 잔광성능을 높이는 경우에 있어서는, 수고와 시간이 걸려 코스트가 증가되고, 또, 사용할 수 있는 축광재의 입경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량을 늘려도, 축광재의 입경을 크게 하는 경우에 비해서, 잔광성능의 향상에는 한계가 있어, 비약적으로 잔광성능을 높이는 것은 곤란했다. 더욱이, 소성 회수가 증가하면 균열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축광재의 입경이 20∼30㎛로 작을 때에는, 그 부피에 대해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소성에 의한 산화 열화의 영향을 받기 쉬워지고, 이것에 의해 잔광성능이 저하된다. 이 경우, 축광재에 대해 유리 프리트의 비율을 늘리면 소성에 의한 산화 열화를 막을 수 있지만, 축광재의 비율이 작기 때문에 잔광 성능을 높일 수 없다. 유리 프리트의 비율을 적게 하여 축광재를 늘리면, 소성에 의한 산화 열화의 영향이 커져, 급격하게 잔광성능이 저하된다.
이에 반해, 축광재의 입경을 크게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비약적으로 잔광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지만, 종래의 스크린인쇄를 사용할 수 없고, 또, 축광재가 입경이 커지면, 두껍게 소성되고, 두껍게 하면, 축광재의 열팽창율의 영향이 커져서 균열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져, 양산화도 곤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일본 특개 2004-359480호에는, 유리 성분 이외의 기능성 성분의 층을 두껍게 형성할 수 있고 전사하여 소성후에 박리나 붕괴를 발생하지 않는 인쇄층을 전사하는 수단으로서, 전사후에 제 1 유리층(3), 기능층(4), 제 2 유리층(5)의 순으로 적층상태로 하고, 이것을 전사 대상이 되는 도자기의 표면에 전사하면, 제 1 유리층이 도자기(8)의 표면과 접촉하지만 제 1 유리층(3)이 유리 성분으로 이루어져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밀착성이 높아 박리되지 않고, 또한, 제 2 유리층(5)이 제 1 유리층(3) 및 기능층(4)을 덮을 수도 있어, 기능층을 두껍게 형성해도 붕괴되거나, 박리되지 않는다는 기술의 개시가 있다.
그러나, 이 공지예는, 소성기술에 의해 기능층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기능층이 무너지거나, 박리되지 않는다는 효과는 갖으나, 입경이 큰 축광재를 사용하는 기술에 의해, 잔광 휘도 및 잔광 계속시간을 길게 한다는 것은 아니다.
또,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일본 특개평 10(1998)-194871호에는, 무연 프리트 및 바인더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축광 도료(잔광성 상측 그림물감)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지예에서는, 소성 기술을 사용하여, 기재에 대해 잔광 도료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박리나 균열과 같은 문제기술의 해결책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 축광 도료를 기재로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일본 특개 2003-255869호에는, 저코스트로 잔광 휘도가 극히 높은 축광기능을 발휘하는 표시부재를 제공하기 위해서, 표시부재는 투광성 부재(11)의 이면에 화상부(1)가 형성되고, 공백 문자부(2) 또는 투명부(3)에 대응한 이면에는 투명 접착층(12)이 설치되고, 이 투명 접착층(12)에 대입경 축광재 입자(13)가 1층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축광재 입자(13)는 이면측으로부터 투명 수지층(14)으로 커버되고, 또한 상기 화상부(1) 또는 문자부(2)의 이면측에는 반사층(15)이 형성되고, 축광재 입자(13) 및 반사층(15)의 이면측에 반사 시트(16)를 접착하고, 이 반사 시트(16)의 이면측에 방수성 베이스 시트(17)를 부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공지예에서는, 대입경 축광재 입자(13)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대입경 축광재 입자(3)의 층을 기재(시트)로 형성할 때에 문제가 되는 박리나 균열과 같은 문제기술의 해결책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축광재를 사용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로서,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일본 특개 2001-295231호에는,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고, 게다가 충분한 내용강도를 갖는 보행자용의 피난 유도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장치의 내용은, 금속제 압정 본체의 표면측에 하측으로 넓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축광 세라믹 함유 플라스틱편을 밀착시키거나, 또는 금속제 압정 본체의 표면측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면측에 역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와 이 역오목부를 관통 구멍을 통하여 연통하고, 이 오목부, 이 역오목부 및 이 관통구멍에 축광 세라믹 함유 플라스틱편을 밀착시킨 구성이다.
그러나, 이 표식 압정의 경우, 축광 세라믹과 압정 본체와의 밀착성이 나쁘고, 또 바닥에 있어서는, 이 압정 본체가 밟히거나 하면, 손상되거나, 고정이 느슨해지는 결점이 있고, 또한 바닥을 청소하거나 할 때에, 압정 본체의 오목부내에 물이 침입됨으로써, 축광 세라믹이 박리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건물이나 예를 들면 지하철의 홈 등에는, 지진이나 화재발생시의 피난 유도 표식이 부착되어 있고, 이 표식은, 비상전원을 가진 자발광식의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대별할 수 있다. 단, 자발광식의 것이라도, 주위가 어두워지고, 또한 검은 연기가 자욱히 끼거나 한 경우에, 표식이 보기 어렵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연기나 유독 가스를 피하는 자세로서, 구부러지거나, 바닥을 기어가도록 하여 이동하는 것이 추장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바닥을 기어가도록 하여 피난하는 경우에, 높은 장소에 있는 표식은 잘 보이지 않으므로, 바닥에 피난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문자 등을 표기한 타일, 시트 등을 시공하고 있는 예가 많이 보여진다.
그러나, 이 화살표, 문자 등의 표식 첨부의 타일을 시공하는 경우, 처음부터 시공하는 경우에는 문제는 없지만, 이미 시공된 후에 후부착 하는 경우에는, 플러스, 드릴 등으로 시공하는 부분의 타일을 부수고, 여기에 표식부착의 타일을 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고가 상당히 드는 동시에, 공기, 비용도 든다.
한편, 시트의 경우에는, 바닥면에 첩부하여 시공하는 방식 때문에, 후부착 자체는 손쉽게 가능하지만, 소재에 수지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화재때에는 이 열로 용손되어 버려,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동시에, 통로의 경우에는 마모가 진행되어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상기 타일이나 시트에 있어서, 야광 도료 등을 사용한 것도 있지만, 어느쪽도 어둠이나 연기 중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또, 피난자중에는, 눈이 부자유한 사람이 있는 경우도 있고, 이 사람들에게는, 종래의 축광재를 사용한 긴급 유도 표식장치는 도움이 되지 않아, 안전대책으로서는 불충분하다.
현재 공지의 피난 유도 표식장치중에, 축광재(도료)를 사용한 표시장치로서는, 다음의 것이 공지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1996-312108호 공보에는, 어둠에서도 볼 수 있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로서, 「타일 카페트에 창 구멍을 개구형성하고, 이 창 구멍내에 축광 도료로 유도표시를 나타내어 이루어지는 유도표시 플레이트를 수납 설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지예의 경우는, 재질에 수지가 사용되어 있으므로, 화재시의 열로 용해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화재시의 피난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바닥면에 부착한 경우에, 단차가 커지는 동시에, 타일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바닥면에 손쉽게 부착할 수는 없다. 특히, 지하철의 홈이나 계단, 통로 등에 후부착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4-163621호 공보에는, 정전시에도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피난로의 유도 싸인 등을 발광 표시되게 할 수 있고, 또, 정상시와 정전시로 표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표시용 시트와 플로어 매트로서, 「기재 시트(2)의 표면에 축광 도료 또는 축광 필름으로 형성된 발광 표시면(3)이 형성되고, 기재 시트(2)상에 적층된 투광성 시트(4)의 표면에 통상 표시면(5)이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발광 표시면(3)은 피난용의 유도 싸인으로 되어 있고, 통상 표시면(5)은 노선의 환승을 위한 안내나 광고 등으로 되어 있고, 통상의 밝은 상태에서는, 표시용 시트(1)는, 환승 안내나 광고 등의 통상 표시면(5)이 표시되어 있는데, 정전이 되어 주위가 어두워지면, 발광 표시면(3)에 표시가 바뀌어, 지상출구 등으로의 피난로가 표시되도록 구성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지예의 경우도, 상기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1996-312108호와 동일한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잔광 휘도가 높고 잔광 시간이 긴 입경이 큰 축광 기능을 갖는 소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목적은 소성 기술을 이용하여 축광재층을 개재상에 층상으로 형성하는 기술에 있어서, 기재와 축광재층내에 박리가 발생하거나, 축광재층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축광 기능을 갖는 소성물층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 3 목적은 축광재층의 표면에 스크린인쇄 등의 기법으로 문자나 도면 등의 화상 등을 적확하게 인쇄할 수 있는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층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 4 목적은, 피난 유도 표시판을 바닥이나 벽 등의 피부착면에 대해,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동시에, 하중에 대한 내력이 크고, 물이나 먼지 등이 부착 플레이트와 축광재 사이에 침입하여 잔류하지 않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 5 목적은 눈이 부자유한 사람에게도 유효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세라믹 소재의 표면에 당해 세라믹 소재와 축광재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된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를 부착하고,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건조후에 축광재와 대략 동일한 열팽창율로 조정된 피복용 유리 프리트를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부착하고, 피복용 유리 프리트의 건조전에 50㎛∼250㎛의 입경의 축광재를 건조전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층에 축광재의 상부측이 일부 노출되는 상태에서 균일하게 1층 형상으로 부착하고, 피복용 유리 프리트와 축광재를 번갈아 수차례 반복하면서 부착하여 적층한 후, 최상의 일부 노출되는 축광재의 상부측을 피복용 유리 프리트를 부착시켜서 피복하여 건조후에, 화상부를 피복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인쇄하고, 그위에 축광재와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된 융화용 유리 프리트를 소정 두께 부착한 후에,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를 균일하게 부착시키고, 이것을 고온으로 소성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은, 금속판의 표면에 당해 금속판과 축광재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된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를 부착하고,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건조후에 축광재와 대략 동일한 열팽창율로 조정된 피복용 유리 프리트를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부착하고, 피복용 유리 프리트의 건조전에 50㎛∼250㎛의 입경의 축광재를 건조전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층에 축광재의 상부측이 일부 노출되는 상태로 균일하게 1층 형상으로 부착하고, 피복용 유리 프리트와 축광재를 번갈아 수차례 반복하면서 부착하여 적층한 후, 최상의 일부 노출되는 축광재의 상부측을 피복용 유리 프리트를 부착시켜서 피복하여 건조후에, 화상부를 피복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인쇄하고, 그 위에 축광재와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된 융화용 유리 프리트를 소정 두께 부착한 후,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를 균일하게 부착시키고, 이것을 고온에서 소성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제조되는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로서, 화상부는 피난 유도를 나타내는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치된 바닥, 벽 등에 후부착 할 수 있는 구성의 것으로서, 중앙부에 축광 도료를 사용하여 표기한 유도표시판을 넣어서 부착하기 위한 유도표시판 부착 오목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유도표시판 부착 오목부의 주위에 사각형의 액자 프레임을 형성하고, 또한, 이 액자 프레임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를 향하여 슬로프를 형성하고, 상기 유도표시판 부착 오목부의 주위로서, 상기 액자 프레임에 있어서, 적어도 4개소에 고정볼트 구멍을 뚫어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축광 도료를 사용하여 표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액자 프레임의 윤곽의 1변을 산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축광 도료를 사용하여 표기한 유도표시판측의 화살표의 방향과, 상기 산형의 방향을 일치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산형으로 형성한 변과 반대측의 변에, 동일하게 산형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이면으로서,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유도표시판 부착 오목부내에, 투과구멍을 뚫어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 5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표면의 일부 또는 소성물층의 일부에, 유도방향을 나타내는 점자 또는 점 모양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전체가 스테인레스 판을 프레스가공 하여 형성하고, 상기 고정볼트 구멍 및 투과구멍을 2차가공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에 있어서, 주위의 틀면을 제외하고 상면에 축광성을 갖는 소성물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소성물층의 표면에 문자, 도형, 기호를 단독으로,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표기하여 이루어지는 소성물층 형성 플레이트와,
주위에 위쪽으로 불거져 나온 액자 프레임을 형성하고, 이 액자 프레임내에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표시 플레이트를 삽입하고, 액자 프레임로 둘러싸여진 개구부로부터 상기 소성물층의 부분을 노출시키는 동시에 소성물층의 주위에 형성한 프레임면 부분을 액자 프레임내에 아래쪽으로부터 밀착시켜서 표시 플레이트를 넣어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부착 플레이트와,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액자 프레임 및 표시 플레이트의 프레임면 부분에 뚫어 설치된 볼트 구멍을 경유하여 피부착면에 표시 플레이트 및 부착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 플레이트의 하면에 쿠션 매트를 부착하고, 이 쿠션 매트를 표시 플레이트와 피부착면 사이에 개재시켜서 부착 플레이트를 피부착면에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1 또는 12에 기재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 플레이트의 프레임면과 부착 플레이트의 액자 프레임의 내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해서 양자를 미리 접착하여 일체화 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2 또는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쿠션 매트를 표시 플레이트의 하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해서 일체화 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1∼1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쿠션 매트의 하면에 이형지 부착의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1∼1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윤곽의 1변을 피난방향을 향해서 화살표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 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1∼16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 또는 축광 도료의 표면에는, 피난방향을 나타내는 점자가 형성되어 있어서, 눈이 부자유한 사람은, 이 점자를 의지하여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4에 있어서, 판 형상의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에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를 스크린인쇄 또는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부착한다.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는 판 형상의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 전체를 균일한 두께로 피복하도록 부착된다.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가 부착되는 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100∼200㎛이고 150㎛가 바람직하다.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의 두께는 클 수록,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과 축광재(5)의 열팽창율의 차이를 융화할 수 있다.
세라믹 소재(1)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타일, 도자기 등이 사용된다. 또, 금속판(2)의 재질로서는 철, 스테인레스, 구리 등이 사용된다. 세라믹 소재(1)는 금속판(2)에 비해 소성에 의한 열팽창의 영향이 적고, 또 부식의 영향도 없는 이점이 있다. 한편, 금속판(2)은 강도가 있으므로, 내구성이 있고, 세라믹 소재(1)와 같이 깨지지 않고, 또 판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제품으로서 수송하는 경우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세라믹 소재(1)의 경우에 비해서 부피가 커지지 않으므로, 동일표면적일 때에는 수배의 양을 운반할 수 있다.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는,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과 축광재(5)의 용착을 강화하고, 또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과 축광재(5)의 열팽창율을 융화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는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과 축광재(5)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되어 있다.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는, 예를 들면 규석, 장석, 알루미나 등을 혼합한 것을 고온에서 용융시키고, 급냉 고화후에 분쇄하고 이것을 분말 형상으로 한 것이다.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는 스크린인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10㎛ 전후의 분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의 열팽창율은, 장석, 알루미나의 혼합비율을 바꿈으로써 임의의 열팽창율로 조정할 수 있다. 알루미나를 늘리면 열팽창율을 작게 할 수 있고, 장석을 늘리면 열팽창율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에는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에의 부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적당량의 용해제로서의 예를 들면 스키지 오일이 혼합되어서 액상으로 된 상태에서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에 부착된다.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에 혼합된 스퀴즈 오일은 그 후의 연소과정에서 증발한다.
또,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는 백색 또는 투명색의 것이 사용된다.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이 백색이 아닐 때에는 백색으로 착색된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가 사용되고,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이 백색일 때에는 투명한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가 사용된다. 이것은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이 백색이 아닐 때에는 잔광 휘도가 어두워지기 때문이다.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를 백색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재료에 예를 들면 티타늄이 부가된다.
판 형상의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의 전체에 균일하게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를 예를 들면 150㎛의 두께로 부착하고 그 표면이 건조한 후에, 건조한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의 표면에 피복용 유리 프리트(4)를 스크린인쇄 또는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부착한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는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의 표면 전체를 균일한 두께로 피복하도록 부착된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가 부착되는 두께로서는 축광재(5)의 입경의 반 정도의 예를 들면 100㎛∼50㎛이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는 축광재(5)의 주위를 피복하여 소성과정에 의한 산화 열화를 막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 피복용 유리 프리트(4)는 축광재(5)를 부착하는 경우에 1층 형상으로 부착하기 쉽도록 접착제적인 역할을 하는 작용이 있어, 소성과정에서 피복용 유리 프리트(4)와 축광재(5)는 더욱 고정된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는 소성과정에서 축광재(5)와 박리되지 않도록 축광재(5)와 동일한 열팽창율로 조정되어 있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는,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규석, 장석, 알루미나 등을 혼합한 것을 고온에서 용융시키고, 급랭 고화후에 분쇄하여 이것을 분말 형상으로 한 것이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는 스크린인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10㎛ 전후의 분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열팽창율은, 장석, 알루미나의 혼합비율을 바꿈으로써 임의의 열팽창율로 조정할 수 있다. 알루미나를 늘리면 열팽창율을 작게 할 수 있고, 장석을 늘리면 열팽창율을 크게 할 수 있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는 축광재(5)와 동일한 열팽창율로 조정된 것이 사용된다.
이 피복용 유리 프리트(4)에는 건조한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의 표면에의 부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적당량의 용해제로서의 예를 들면 스퀴지 오일이 혼합되어서 액상으로 된 상태에서 건조후의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의 표면에 부착된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에 혼합된 스퀴지 오일은 그 후의 연소과정에서 증발한다. 또, 피복용 유리 프리트(4)는 광이 내부까지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색의 것이 사용된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을 축광재(5)의 입경의 반 정도의 예를 들면 100㎛의 두께로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의 표면에 부착하고, 부착된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이 건조하기 전에, 이 두께보다 큰 예를 들면 200㎛ 전후의 입경을 갖는 축광재(5)를 건조전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4)층에 축광재(5)의 상부측이 일부 노출되는 상태로 균일하게 1층 형상으로 부착된다. 또, 이 부착되는 축광재(5)는, 외형이 원구 형상이 아니고 여러가지 이형으로 이루어지는 입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착된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두께를 축광재(5)의 입경의 반 정도로 하는 것은, 축광재(5)가 균일한 1층 형상으로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부착되는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일부의 축광재(5)는 두꺼운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내부에 완전히 가라앉거나, 또 다른 일부의 축광재(5)는 완전히 가라앉거나 하지 않고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부분에 부착되거나 하여, 각 축광재(5)의 부착면이 요철 형상으로 되어서 균일한 1층 형상으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두께가 축광재(5)의 입경의 반 정도의 경우에는,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에 축광재(5)를 부착시킨 경우, 각 축광재(5)는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두께분 만큼 약간 침하하면 그 하층측의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의 표면에 있어서 그 이상 침하되지 않고, 균일한 1층 형상으로 축광재(5)를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축광재(5)의 부착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건조전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에 입자 형상의 축광재(5)를 균일하게 뿌리고, 그 후, 판 형상의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을 기울이거나, 부분적으로 축광재(5)가 모여 있는 개소에는 세게 불거나 하여, 축광재(5)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시킨다. 건조전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은 접착기능이 있기 때문에,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에 접촉된 축광재(5)는 그 접착기능에 의해 부착된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에 부착된 축광재(5) 끼리의 상측에 떨어져서 피복용 유리 프리트(4)에 접촉되지 않은 축광재(5)는, 판 형상의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을 기울이면, 굴러서 이동하여 다른 개소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4)에 부착되거나,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의 외측으로 뛰어나가거나, 또는, 그 표면을 날려버리면, 불어 날려서 다른 개소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4)에 부착되거나,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의 외측으로 튀어나간다.
축광재(5)에는, 화학적·광학적으로 우수한, 예를 들면, SrAl2O4:Eu2+, Dy3+ 등의 알칼리토류-알루민산 축광 형광체가 사용된다.
축광재(5)는, 태양광이나 인공광을 흡수하여, 어두움에서 그 광을 방출하는 성질이 있어, 그 잔광 휘도를 이용하여 지하도 등에서는 긴급 정전시에 유도 안내 표시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잔광 휘도가 높을 수록 좋다. 본원의 발명에서는, 소성물에 있어서 입경이 큰 축광재(5)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잔광 성능을 높이고 있다.
축광재(5)는, 그 입경이 클 수록, 잔광의 초기 강도가 큰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이것을 소성하는 경우에 지나치게 크면, 균열이나 박리가 발생하고, 또, 소성후의 외관도 그다지 좋지 않아, 제품가치가 없다. 소성에 적합한 입경으로서는, 50㎛∼250㎛라고 생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입경이 200㎛의 축광재(5)를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에 균일하게 1층 형상으로 부착시키고,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건조후에, 그 위에 동일한 성분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4)를 스크린인쇄 또는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부착한다. 피복용 유리 프리트(4)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용해제로서의 스퀴지 오일이 혼합되어 있다.
이 경우, 부착시킨 축광재(5)를 완전하게 피복하여 피복용 유리 프리트(4)에 매몰시키는 두께만큼 부착하는 한편으로, 그 위에 다시 축광재(5)를 부착시키는 경우, 그 상측으로부터 부착시키는 축광재(5)가 상기와 마찬가지로 피복용 유리 프리트(4)내에 매몰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이다.
이 때문에, 축광재(5)의 입경이 예를 들면 200㎛일 때에는, 그 위에 부착되는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두께는 200㎛ 정도이다. 그 결과, 그 위에 부착된 피복용 유리 프리트(4)는 하층의 매몰된 축광재(5)의 상면으로부터 예를 들면 100㎛ 정도의 두께가 된다.
하층의 축광재(5)의 상부측의 노출되는 부분을 상측으로부터 매몰하여 피복시킨 피복용 유리 프리트(4)가 건조되기 전에, 그 표면에 새로운 축광재(5)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 예를 들면, 뿌려서 균일하게 1층 형상으로 부착한다.
이하, 동일한 방법으로 축광재(5)를 예를 들면 상중하 3층분 적층하고 건조한 후, 상층의 상부측이 노출되는 축광재(5)에 상측으로부터 매몰시켜서 완전하게 피복하기 위해서 피복용 유리 프리트(4)로 균일하게 부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상의 축광재(5)의 형상은 둥근 구형상이 아니라, 이형이고, 이것을 균일하게 1층 형상으로 늘어 놓아도 축광제(5) 끼리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기 때문에, 이것을 복수층, 예를 들면 3층 적층해도 하층까지 광이 투과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복수층 적층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피복용 유리 프리트(4) 및 축광재(5)는 모두 동일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되고, 그 열팽창율도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사용되는 모든 피복용 유리 프리트(4)에는 부착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용해제로서의 예를 들면 스퀴지 오일이 혼합된다. 이 스퀴지 오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소성과정에서 증발한다.
최상층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4)가 건조한 후에, 건조한 최상층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에 예를 들면 무기안료와 스퀴지 오일을 혼합한 것을 예를 들면 스크린인쇄에 의해 원하는 도형이나 문자, 기호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상부(6)를 인쇄한다.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로 이루어지는 피난 유도용 표시부재(9)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부(6)는 피난 유도용의 예를 들면, 화살표나 도형, 비상구, EXIT 등의 문자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는, 초록색의 안료가 사용되어서 인쇄된다.
화상부(3)가 인쇄된 부분은, 그 표면이 화상부(6)로 피복되기 때문에, 축광재(5)는 가려져버려, 화상부(6)가 인쇄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축광재(5)가 표면으로부터 보이게 되어, 이 부분이 잔광하게 된다. 또, 화상부(6)의 속에는 소위 공백의 상태도 있고, 공백의 화상부(6)의 경우에는 공백의 부분이 축광재(5)가 보이는 부분이 되고, 이 공백의 부분이 잔광하게 된다.
화상부(6)가 인쇄된 최상층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에 융화용 유리 프리트(7)를 스크린인쇄 또는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부착한다. 융화용 유리 프리트(7)는 화상부(6)가 인쇄된 최상층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 전체를 균일한 두께로 피복하도록 부착된다. 융화용 유리 프리트(7)가 부착되는 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20㎛이다.
융화용 유리 프리트(7)는 축광재(5)와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8)의 열팽창율을 융화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융화용 유리 프리트(7)는 축광재(5)와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8)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되어 있다.
융화용 유리 프리트(7)는,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나 피복용 유리 프리트(4)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규석, 장석, 알루미나 등을 혼합한 것을 고온에서 용융시키고, 급냉 고화후에 분쇄하고 이것을 분말 형상으로 한 것이다. 융화용 유리 프리트(7)는 스크린인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10㎛ 전후의 분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융화용 유리 프리트(7)의 열팽창율은 장석, 알루미나의 혼합비율을 바꿈으로써 임의의 열팽창율로 조정할 수 있다. 알루미나를 늘리면 열팽창율을 작게 할 수 있고, 장석을 늘리면 열팽창율을 크게 할 수 있다. 융화용 유리 프리트(7)는 축광재(5)와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8)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된 것이 사용된다.
이 융화용 유리 프리트(7)에는 건조된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에의 부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적당량의 용해제로서의 예를 들면 스퀴지 오일이 혼합되어서 액상으로 된 상태에서 건조후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4)의 표면에 부착된다. 융화용 유리 프리트(7)에 혼합된 스퀴지 오일은 그 후의 연소과정에서 증발한다. 또, 융화용 유리 프리트(7)는 광이 내부까지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색의 것이 사용된다.
융화용 유리 프리트(7)의 표면에 예를 들면 200㎛ 이상의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8)를 균일하게 부착시킨다. 이 보호용 유리 프리트(8)는 축광재(5)를 보호하기 위한 소재이다. 통상은 이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보호용 유리 프리트(8)를 다수회 소성을 반복하여 형성되는데,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8)를 사용함으로써 보호층을 형성하는 회수가 1회 또는 2회의 소성으로 끝나게 된다. 다수회 행해지고 있던 소성작업 공정이 1회 또는 2회 정도가 되도록 대폭적인 단축을 예상할 수 있고, 게다가 소성작업 공정이 감소함으로써 소성공정에서 생기기 쉬운 균열이나 박리의 발생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후에, 소재에 따라 다른 예를 들면 600℃∼900℃에서 소화(燒化) 소성한다.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3), 피복용 유리 프리트(4), 융화용 유리 프리트(7)에 혼합된 스퀴지 오일에 소성과정에서 기화하여 증발하고, 500℃∼600℃에서 유리 프리트는 유리화되고, 700℃∼900℃에서 축광재(5)와 유리의 고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판 형상의 세라믹 소재(1) 또는 금속판(2)의 표면에는 축광재(5)가 베이킹되어 고정화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에 의해 제조된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과 타사제품과의 잔광 휘도를 비교한 표를 다음에 나타낸다. 이 표로부터, 잔광휘도가 2배 이상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폐사의 축광재는 입경이 150㎛인 경우이다.
타사와의 축광성능 비교표
잔광휘도 (mcd/m2)
5분 10분 20분 60분
폐사제품 671 378 193 57
A사 제품 276 152 79 23
B사 제품 273 143 72 23
C사 제품 90 56 32 1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개변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11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 유도 표시장치를 방의 비상구(300)의 방향을 나타내도록, 바닥(301)에 후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6은 표식 전체의 평면도, 도 7은 B-B'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부착 플레이트 자체의 평면도, 도 9는 C-C'선 단면도, 도 10은 점자를 나타낸 부착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1은 부착 플레이트의 하면에 요철을 형성한 예의 설명도이다.
상기 각 도면에서, 부재번호 100은, 피난 유도 표시장치로서의 부착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부착 플레이트(100)는, 평면 직사각형을 하고 있고, 이 단변중 1변의 중앙을 산형(104)으로 형성한 윤곽으로 형성되어 있다. 산형(104)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쌍방에 형성해도 좋다. 부재번호 102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100)의 중앙에 형성된 평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유도표시판 부착 오목부로서, 이 부착 오목부(102)의 중앙에는, 도 8,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원형의 투과구멍(103)이 형성되어 있다.
부재번호 105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100)에서, 부착 오목부(102)와 부착 플레이트(100)의 윤곽(101a) 사이에 형성된 액자 프레임(101)의 주위에서 윤곽(101a)을 향하여 완만하게 형성된 슬로프이다.
부재번호 106 및 107은, 부착 플레이트(100)를 바닥면에 고정할 때에 사용하는 부착 볼트 구멍(접시형 구멍)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액자 프레임(101)의 4코너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 수는, 부착 플레이트(100)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3개소 이상이라면 임의이지만, 2개소이면, 강도적으로 불충분하여, 2개소는 피해야 한다.
부재번호 108 및 109는 상기 볼트 부착구멍(106, 107)으로부터 바닥면(301)에 타설 된 앵커볼트이다.
부재번호 111은 상기 부착 플레이트(1)의 부착 오목부(102)내에 수납된 축광 도료를 베이킹하여 표면에 화살표(112)와 비상구의 문자(113)를 표기하여 이루어지는 유도표시판으로서, 이 유도표시판(111)의 이면과 부착 오목부(102)의 표면과는, 에폭시 수지계의 접착제(114)를 사용하여 첩부되어 있다.
도 10에서, 부재번호 115는 액자 프레임(101)의 산형(104)측에 형성된 유도점자로서, 눈이 부자유한 사람은 이 점자(115)에 접촉함으로써, 피난방향을 인지할 수 있다. 이 점자(115)는 액자 프레임(101)에 맞춰서 표시판(111)측에도 만들어도 좋다.
도 11에서, 부재번호 116은 부착 플레이트(100)의 이면에 형성된 요철로서, 이 요철(116)의 작용에 의해, 가령 바닥면(301)과 부착 플레이트(100)의 이면 사이에 모래와 같은 협잡물이 있어도, 확실하게, 평면적으로 부착 플레이트(100)는 바닥면(301)에 밀착된다.
덧붙여서 실시예의 부착 플레이트(100)는 1.00mm 두께의 스테인레스 판(SUS304)을 프레스가공 한 것으로, 그 길이는 276.53mm, 폭은 130mm, 부착 플레이트(100)의 높이는 3.5mm, 슬로프(105)의 각도는 30°, 코너의 R은 25mm, 표시판(11)의 길이는 270mm, 폭은 97mm, 투과구멍(103)의 길이는 80mm, 폭은 36mm이다.
(실시예 3)
도 12∼도 17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난 유도 표시장치(이하 「표시장치」라고 한다.)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표시장치(200)를 비상구(300)를 향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바닥(301)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표시장치(200)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B-B'선 확대단면도이다.
상기 도 12∼도 14에서 부재번호 201은 표시장치(200)의 표시 플레이트로서, 이 표시 플레이트(201)는, 사각형의 스테인레스 판(202)의 표면에, 축광 도료(안료)층(203)을 소성하고, 이 표면에 피난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204)를 표기하고, 상기 축광 도료층(203)의 주위에는, 동일 폭의 프레임면(205)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프레임면(205)에는, 볼트 구멍(206)이 6개소 형성되어 있다.
부재번호 207은 사각형의 액자 프레임(208)을 조금 불거져나오게 하고 이 액자 프레임(208)로 둘러싸여진 내측에 상기한 축광 도료층(203)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209)를 형성하고, 액자 프레임(208)에는 볼트 구멍(접시형 구멍)(210)을 형성한 구성의 스테인레스 판을 프레스가공 하여 형성한 부착 플레이트로서, 이 부착 플레이트(207)의 액자 프레임(208)의 전방(상기 화살표(204)가 나타내는 방향)의 부분은, 화살표(204)의 방향에 맞추어서 산형으로 테두리(211) 되어 있어서, 부착 플레이트(207)의 형상으로부터도, 피난방향을 알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부재번호 212는 앵커볼트로서, 도 13에서는 1개만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한 볼트 구멍(210)의 수만큼 준비되어 있다.
또한, 표시 플레이트(201)측의 볼트 구멍(206) 및 부착 플레이트(207)측의 볼트 구멍(210) 및 앵커볼트(212)의 수는, 본 실시예 1에서는 6개로 되어 있지만, 표시 플레이트(201) 및 부착 플레이트(207)의 크기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는 바닥면(301)에 표시장치(200)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표시 플레이트(201)는 부착 플레이트(207)내에서, 액자 프레임(208)로 프레임면(205)이 눌러져 있고, 축광 도료층(203)은 액자 프레임(208)의 개구부(209)로부터 표면에 노출되고, 바닥면(301)에 앵커볼트(212)로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3의 경우, 표시 플레이트(201)와 부착 플레이트(207)는 노출된 상태의 것을 현장에서 조합시키고, 도 14와 같이 시공하고 있는데, 표시 플레이트(201)의 프레임면(205)과 부착 플레이트(207)의 액자 프레임(208)의 내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면에서 표시 플레이트(201)와 부착 플레이트(207)를 일체로 접착해 두면, 수송이나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하게 되므로, 이와 같이 미리 일체화 하여 제품으로 해두도록 구성해도 좋다.
(실시예 4)
본 실시예 4는, 바닥면(301)에 표시장치(200)를 고정할 때에, 바닥면(301)의 요철이나, 변형을 흡수하여 밀착성을 좋게 하는 것과, 위쪽으로부터 받는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덜컹거리거나, 축광 도료층(203)이나 부착 플레이트(207)가 손상되거나 하지 않도록, 표시 플레이트(201)의 하면과 바닥면(301) 사이에 도 15에 도시하는 볼트 구멍(214)을 6개소에 형성한 쿠션 매트(213)를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재시킨 예로서,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예 4의 쿠션 매트(213)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판을 표시 플레이트(201)와 동일 크기로 가공하여, 표시 플레이트(201)와 동일한 위치에 볼트 구멍(214)을 형성한 형상이다. 또한, 재질은 고무에 한하지 않지만, 내구성이 있는 소재의 것으로서, 부직포 등을 사용해도 좋다.
(실시예 5)
본 실시예 5는, 실시예 3에 있어서는 표시 플레이트(201)의 이면으로서 바닥면(301)과 밀착하는 면, 및 실시예 4에 있어서는 쿠션 매트(213)의 이면에 이형지(215) 부착의 감압 접착제층(216)을 미리 형성해 두고, 현장에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형지(215)를 벗기고, 접착제층(216)으로 바닥면(301)에 첩부하여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예로서,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대응하고 있다.
또, 이와 같이 접착제층(216)을 형성해 둠으로써, 표시장치(200)를 부착할 때에, 미리 위치방향을 정해 두고, 그 다음에 앵커볼트(212)를 단단히 조이도록 하면, 표시장치(200)의 방향에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하지 않고, 또 앵커볼트(212)를 단단히 조임시에 표시장치가 움직이거나 하지 않아, 작업이 용이하다.
또, 예를 들면 표시장치를 벽이나 천장에 부착할 때는, 임시 고정을 이 접착제층(216)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표시장치를 앵커볼트(212)로 고정하는 항구적인 시공이 아니라, 임시의 피난구를 설치하거나 했을 때는, 앵커볼트(212)를 사용하지 않고 표시장치(200)를 임의의 장소에 부착해 두고,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벗겨서 제거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용도시에 사용할 수 있는 표시장치는, 표시 플레이트(201)와 부착 플레이트(207) 및 쿠션 매트(213)가 있을 경우에는, 이 쿠션 매트(213)도 일체로 접착해 두는 것이 전제이다.
(실시예 6)
본 실시예 6은, 눈이 부자유한 사람이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부착 플레이트(207)에 피난방향을 나타내는 점자(217)를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하는 예로서,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대응하고 있다. 단, 이 점자(217)는 부착 플레이트(207)에 맞추고, 축광 도료층(203)의 표면에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축광 도료층(203)의 표면에 형성하는 화살표(204)는, 스크린인쇄 또는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있어서, 축광 도료층(203)의 축광재에는 네모토토쿠슈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판매의 상품명 「루미노바」를 사용했다. 이 특성은 표 2와 같다.
화학조성 SrAl2O4:Eu,Dy
체색 연한 황록색
평균입경 2-60㎛(4)
여기파장 200-450nm
발광최대파장 520nm
잔광휘도(1) ~250mcd/m2
잔광휘도(2) >1,500분
여기시간(3) ~30분
내광성(4) >1,000시간
화학적 안정성 양호
비중(5) 3.6
(1) 상용광원 D65를 사용하고 200lx의 조도로 4분간 조사한 후 5분 경과후의 잔광 휘도
(2) 상용광원 D65를 사용하고 200lx의 조도로 4분간 조사한 후 잔광 휘도가 0.32mcd/m2까지 쇠퇴하는 시간
(3) 상용광원 D65를 사용하고 200lx의 조도로 조사한 경우의 여기 포화시간
(4) 내광성 가속시험 300W의 고압수은등으로 조사했을 때 잔광 휘도가 초기값에 대해 80% 이하가 될 때까지의 시간
(5) 안료분체의 참비중
(6) 각 그레이드에 따른다
(청구항 1∼3)
본 발명에 의하면, 입경이 큰 축광재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소성과정에 있어서의 균열이나 박리의 발생을 막을 수 있는 동시에 축광재의 산화 열화를 적게하여 잔광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고, 입경이 큰 축광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잔광기능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일층이어도 잔광 휘도를 높일 수 있지만, 복수층으로 적층함으로써, 잔광휘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축광재가 완전한 구형이 아니라 이형이기 때문에, 축광재끼리의 사이에 태양광이나 인공광 등이 투과하는 간극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효과와 더불어, 세라믹 소재에 비해 열팽창이 크게 다른 금속판의 표면에 축광재를 고정화 할 수 있고, 세라믹 소재에 없는 금속판의 우수한 성능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소성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피난 유도용 표시부재에 비해, 잔광 휘도나 잔광 계속시간 등의 잔광성능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10)
본 발명에 의하면, 축광재를 사용한 유도 표시장치를 후부착으로 바닥면이나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그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바닥면에 후부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단하고 동시에, 시공경비가 적어도 된다.
2. 단차가 낮기 때문에, 보행이나 캐스터 이동의 장해가 되기 어렵다.
3. 부착 플레이트의 전방(표시판에 표기된 화살표 방향)에 산형을 형성함으로써, 화살표의 방향을 보다 알기 쉽게, 강조할 수 있으므로, 기능성이 보다 향상되는 동시에, 의장성도 좋다. 또, 전후 방향에 산형을 형성함으로써, 부착 플레이트에 표시판을 첩부할 때에 전후 방향으로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4. 부착볼트 구멍을 적어도 4개소로 함으로써, 부착 플레이트를 바닥면에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다.
5. 액자 프레임에 슬로프를 형성함으로써, 단차감이 해소된다.
6. 부착 오목부에 투과구멍을 설치함으로써, 이 구멍을 통하여 부착 오목부내에 침입한 물의 배수가 가능하다.
7. 액자 프레임 또는 표시판의 표면에 점자를 설치함으로써, 눈이 부자유한 사람의 유도에 유효하다.
8. 부착 플레이트의 이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협잡물을 이 요철이 흡수하기 때문에, 바닥면과의 밀착이 양호하게 된다.
(청구항 11∼17)
본 발명에 의하면, 축광재를 사용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음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1.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착 플레이트의 액자 프레임내에 표시 플레이트를 넣고, 앵커볼트로 바닥면에 고정하는 방식 때문에, 부착 플레이트의 표면에 넣어서 축광 도료층 부착의 표시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예에 비해, 짓밟힘이나 충격에 강하고, 견고하여, 내구성이 각별히 향상된다.
2.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착 플레이트를 바닥에 부착할 때, 표시 플레이트측에도 볼트 구멍을 설치하고, 부착 플레이트와 함께 앵커볼트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플레이트가 덜컹거리거나 하는 걱정이 없다.
3.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게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의 적응력이 있는 동시에, 표시 플레이트의 종류가 바뀌거나, 축광 도료층이 손상, 마모되거나 한 경우에는, 앵커볼트를 떼고 부착 플레이트를 벗겨내어, 표시 플레이트를 다른 것 또는 신규한 것으로 교환할 수 있다.
4.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쿠션 매트의 작용으로 표시 플레이트에 이러한 충격이 경감되어서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바닥면에 미소한 요철이나 변형이 있던 경우에도, 잘 밀착된다.
5. 청구항 13, 1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표시 플레이트와 부착 플레이트 및 쿠션 매트를 미리 일체화 해둘 수 있으므로, 수송은 물론,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향상된다.
6.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현장에서 이형지를 벗기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표시 플레이트 또는 쿠션 매트를 바닥면에 접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 접착제를 준비하거나, 현장에서 접착제를 일일이 도포하거나 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7.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착 플레이트의 형상 바로 그것이 피난방향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표식으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다.
8.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눈이 부자유한 사람이 예를 들면 바닥을 기어가서 피난하는 경우에, 점자에 접촉함으로써 피난방향을 알기 때문에, 눈이 부자유한 사람에게도 유효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시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소성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시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소성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시하는 피난 유도용 표시부재의 평면도,
도 4A∼도 4L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서의 제조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유도표시판을 바닥면에 부착한 상태의 설명도,
도 6은 유도표시판을 세팅한 부착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7은 A-A'선 단면도,
도 8은 유도표시판을 부착하기 전의 부착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9는 B-B'선 단면도,
도 10은 점자를 도시한 부착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1은 이면에 요철을 형성한 부착 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를 바닥면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표시 플레이트와 부착 플레이트 및 앵커볼트의 설명도,
도 14는 B-B'선 확대단면도,
도 15는 쿠션 매트의 설명도,
도 16은 쿠션 매트를 사용하여 시공한 예의 설명도,
도 17은 감압 접착제층을 표시 플레이트 또는 쿠션 매트의 이면에 형성하고, 이형지를 벗기고 있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부호의설명)
1 세라믹 소재 2 금속판
3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
4 피복용 유리 프리트
5 축광재 6 화상부
7 융화용 유리 프리트
8 보호용 유리 프리트
9 피난 유도용 표시부재
100 부착 플레이트 101 액자 프레임
102 유도표시판 부착 오목부
103 투과구멍 104 산형
111 유도표시판 115 점자
116 요철 200 표시장치
201 표시 플레이트 202 스테인레스 판
203 축광 도료층 204 화살표
205 프레임면 206 볼트 구멍
207 부착 플레이트 208 액자 프레임
209 노출구 210 볼트 구멍
211 테두리 212 앵커볼트
213 쿠션 매트 214 볼트 구멍
215 이형지 216 접착제층
217 점자

Claims (17)

  1. 세라믹 소재의 표면에 당해 세라믹 소재와 축광재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된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를 부착하고,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건조후에 축광재와 대략 동일한 열팽창율로 조정된 피복용 유리 프리트를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부착하고, 피복용 유리 프리트의 건조전에 50㎛∼250㎛의 입경의 축광재를 건조전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층에 축광재의 상부측이 일부 노출되는 상태로 균일하게 1층 형상으로 부착하고, 피복용 유리 프리트와 축광재를 번갈아 수회 반복하면서 부착하여 적층한 후, 최상의 일부 노출되는 축광재의 상부측을 피복용 유리 프리트를 부착시켜서 피복하여 건조후에, 화상부를 피복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인쇄하고, 그 위에 축광재와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된 융화용 유리 프리트를 소정 두께 부착한 후에,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를 균일하게 부착시키고, 이것을 고온으로 소성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
  2. 금속판의 표면에 당해 금속판과 축광재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된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를 부착하고,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건조후에 축광재와 대략 동일한 열팽창율로 조정된 피복용 유리 프리트를 소재 융화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부착하고, 피복용 유리 프리트의 건조전에 50㎛∼250㎛의 입경의 축광재를 건조전의 피복용 유리 프리트와 축광재를 번갈아 수차례 반복하면서 부착하여 적층한 후, 최상의 일부 노출되는 축광재의 상부측을 피복용 유리 프리트를 부착시켜서 피복하고 건조후에, 화상부를 피복용 유리 프리트의 표면에 인쇄하고, 그 위에 축광재와 대입경의 보호용 유리 프리트의 중간의 열팽창율로 조정된 융화용 유리 프리트를 균일하게 부착시키고, 이것을 고온으로 소성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상부는 피난 유도를 나타내는 피난 유도용 표시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
  4. 중앙부에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을 사용하고 표면에 유도표시 화상을 형성한 유도표시판과, 상기 유도표시판을 넣어서 부착하기 위한 유도표시판 부착 오목부를 형성한다 동시에, 상기 유도표시판 부착 오목부의 주위에 사각형의 액자 프레임을 형성하고, 또한, 이 액자 프레임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를 향해서 슬로프를 형성하고, 상기 유도표시판 부착 오목부의 주위이며, 상기 액자 프레임에서, 적어도 4개소에 앵커볼트 삽통구멍을 뚫어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축광 도료를 사용하여 표기한 유도표시판을 바닥면에 후부착하기 위한 부착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부착 플레이트의 액자 프레임의 윤곽의 1변을 산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산형을, 화상에 화살표가 있을 경우, 이 화살표의 방향과 일치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산형으로 형성한 변과 반대측의 변에, 동일하게 산형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부착 플레이트의 이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부착 플레이트의 유도표시판 부착 오목부내에, 투과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부착 플레이트의 표면의 일부 또는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표면의 일부에, 피난 유도방향을 나타내는 점자 또는 점모양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부착 플레이트는 전체가 스테인레스 판을 프레스가공 해서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 구멍 및 투과구멍은 2차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11. 주위에 프레임면을 남기고 그 상면에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소성물층의 표면 또는 표층내에 문자 또는 도형 또는 기호를 단독으로,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표기하여 이루어지는 소성물층 형성 플레이트와,
    주위에 위쪽으로 불거져나온 액자 프레임을 형성하고, 이 액자 프레임내에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소성물층 형성 플레이트를 삽입하고, 액자 프레임로 둘러싸여진 개구부로부터 상기 소성물층을 노출시키는 동시에, 소성물층의 주위에 형성한 프레임면 부분을 액자 프레임내에 아래쪽으로부터 밀착시켜서 소성물층 형성 플레이트를 집어넣는 소성물층 형성 플레이트 부착 프레임과,
    상기 부착 프레임의 액자 프레임 부분 및 소성물층 형성 플레이트의 프레임면 부분에 뚫어서 설치된 앵커볼트 구멍을 경유하여 부착 프레임를 바닥 또는 벽 등의 건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소성물층 형성 플레이트의 하면에 쿠션 매트를 부착하고, 이 쿠션 매트를 소성물층 형성 플레이트와 피부착면 사이에 개재시켜서 부착 프레임를 피부착면에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소성물층 형성 플레이트의 프레임면과 부착 프레임의 액자 프레임의 내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해서 양자를 미리 접착하여 일체화 해두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쿠션 매트를 소성물층 형성 플레이트의 하면에 접착제를 사용해서 접착하여 일체화 해두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쿠션 매트의 하면에 이형지 부착의 감압 점착제층을 형성해 두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부착 프레임의 윤곽의 1변을 피난방향을 향해서 화살표 형태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부착 프레임 또는 소성물층의 표면에는 피난방향을 나타내는 점자가 형성되어 있어, 눈이 부자유한 사람은 이 점자를 의지하여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유도 표시장치.
KR1020050055806A 2005-06-27 2005-06-27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제법 및 이 제법에 의해 제조된소성물 및 이 소성물을 사용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 KR20070000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806A KR20070000237A (ko) 2005-06-27 2005-06-27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제법 및 이 제법에 의해 제조된소성물 및 이 소성물을 사용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806A KR20070000237A (ko) 2005-06-27 2005-06-27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제법 및 이 제법에 의해 제조된소성물 및 이 소성물을 사용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6207A KR20060136207A (ko) 2007-01-02
KR20070000237A true KR20070000237A (ko) 2007-01-02

Family

ID=3786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806A KR20070000237A (ko) 2005-06-27 2005-06-27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제법 및 이 제법에 의해 제조된소성물 및 이 소성물을 사용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2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3925U (ja) 蓄光式標識板
EP0522785A2 (en) Phosphorescent panel
JP2006314693A (ja) 避難誘導標示装置
KR100942662B1 (ko) 축광판의 제조 방법 및 축광판
EP1746078A1 (en) Fired product having luminous function and evacuation route guiding sign device using fired product
JPWO2006120960A1 (ja) 標示板
CA251225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ired product having luminous function, fired product manufactured thereby, and evacuation route guiding sign device using fired product
JP2008165203A (ja) 案内標識
KR20060122398A (ko) 축광물질을 이용한 유도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0237A (ko)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제법 및 이 제법에 의해 제조된소성물 및 이 소성물을 사용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
US2007003698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ired product having luminous function, fired product manufactured thereby, and evacuation route guiding sign device using fired product
KR20060136207A (ko) 축광기능을 갖는 소성물의 제법 및 이 제법에 의해 제조된소성물 및 이 소성물을 사용한 피난 유도 표시장치
JP2006219317A (ja) 蓄光機能を有する焼成物の製法及び蓄光機能を有する焼成物からなる避難誘導用表示部材
JP2001329670A (ja) 滑り防止テープ
KR102348394B1 (ko) 축광 기능을 겸비한 미끄럼 방지용 바닥재블록 및 그 바닥재블록의 제조방법
JP2019038986A (ja) 蓄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749097B2 (ja) 蓄光式標識とその製造法
JP6763714B2 (ja) 蓄光材又は蛍光材を備える誘導標識を備える構造物
JP3482407B2 (ja) 蓄光機能を有する表示部材
JP2006285880A (ja) 蓄光式避難誘導板および蓄光式避難誘導板ユニット
JP2007200036A (ja) 蓄光式誘導表示体
JP2008280720A (ja) 凹凸ブロックの凹部貼付用積層シート
KR200426648Y1 (ko) 축광성 타일
JP2007322585A (ja) 誘導シール及び誘導シールの製造方法
JP2012118123A (ja) 粗面密着性に優れた蓄光再帰反射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