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192U -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 - Google Patents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192U
KR20070000192U KR2020070001259U KR20070001259U KR20070000192U KR 20070000192 U KR20070000192 U KR 20070000192U KR 2020070001259 U KR2020070001259 U KR 2020070001259U KR 20070001259 U KR20070001259 U KR 20070001259U KR 20070000192 U KR20070000192 U KR 200700001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step plate
stepper
control uni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37264Y1 (ko
Inventor
한상원
Original Assignee
한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원 filed Critical 한상원
Priority to KR2020070001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264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1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192U/ko
Priority to US11/689,069 priority patent/US20080171639A1/en
Priority to JP2007174513A priority patent/JP2008168109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2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A61H1/003Rocking or oscill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ransverse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전동으로 구동되는 웨이브식 스텝퍼에 있어서 인체의 족부 또는 기타 단련 및 지방분해 부위를 스텝판의 강력한 웨이브 진동 및 개선된 다단계 제어시스템에 의해 유산소 운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인체의 기초 신진 대사율의 증가를 도모함은 물론 체지방분해 및 근력강화에 효과적인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해, 본 고안은 체지방을 분해하거나 진동장치에 의해 근력강화를 도모하도록 형성되는 전동스텝퍼에 있어서, 함체형의 몸체로써 상,하부 면상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부(111)가 형성되는 스탠드(110)와, 상기 스탠드(110)의 상부 일측 면상에 결합되어 세워지되 외주면 일측부에 통기성 수납함(121)이 부설되는 중앙지주(120)와, 상기 중앙지주(120)의 좌,우 양단부에서 돌출 연장되어 스탠드(110)의 상부 면상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도록 손잡이(130)가 구비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스탠드의 공간부(111)에 수납되되 상부 외주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211)와 원적외선램프(212)를 부설한 스텝판(210)과, 상기 스텝판(210)의 저면에 직착되어 고정되고 몸체가 브러시레스 모터(Brushless Motor-BLDC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모터(220)와, 상기 구동모터(220)의 출력축과 연동하도록 형성되는 구동벨트(230)와, 상기 구동벨트(230)의 종동부 측과 연결되는 종동풀리(240)와, 상기 종동풀리(240)로부터 연동되되 종동풀리(240)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분기되는 회전샤프트(250)와, 상기 회전샤프트(250)로부터 연동하도록 일측에 구동링크(261)를 부설한 진동용브라켓(260)이 구비되는 구동장치(200)와; 상기 구동장치(200)에 4단계의 다른 진동을 부여하도록 형성되는 한편 구동장치(200)에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코스설정부(310)와, 상기 스텝판의 원적외선램프(212)에 설정온도, 설정시간을 제어하도록 원적외선조절부(320)가 구비되는 제어부(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짧은 시간에 비해 유산소 운동 효과가 탁월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요부를 집중해서 운동할 수 있어서 기초 대사율의 증가를 통한 비만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웨이브, 진동, 스텝퍼, 프레임, 구동장치, 제어부, 원적외선, 아로마

Description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Stepper with wave type vibra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의 일측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의 타측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의 개략적 평면 설치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부의 블럭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부의 메뉴얼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코스설정부의 설명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코스설정에 따른 스텝퍼의 진동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모터(BLDC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프레임 110 ... 스탠드
111 ... 공간부 120 ... 중앙지주
121 ... 수납함 130 ... 손잡이
200 ... 구동장치 210 ... 스텝판
211 ... 지압돌기 212 ... 원적외선램프
220 ... 구동모터 230 ... 구동벨트
240 ... 종동풀리 250 ... 회전샤프트
260 ... 진동용브라켓 261 ... 구동링크
300 ... 제어부 310 ... 코스설정부
320 ... 원적외선조절부
본 고안은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전동으로 구동되는 웨이브식 스텝퍼에 있어서 인체의 족부 또는 기타 단련 및 지방분해 부위를 스텝판의 강력한 웨이브 진동 및 개선된 다단계 제어시스템에 의해 유산소 운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인체의 기초 신진 대사율의 증가를 도모함은 물론 체지방분해 및 근력강화에 효과적인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헬스클럽 등에는 다양한 운동기구 또는 헬스기구가 구비되 어 있으며 사용자는 각각 자신이 원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신체를 단련하거나 보강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 또는 헬스기구는 사용자가 직접 완력을 가하거나 작동시켜 운동하는 수동형 기구와, 전적으로 기구의 작동에 의해 체지방을 분해하거나 근육을 이완 또는 수축시키는 방식으로 운동효과를 제공받는 자동형 기구로 구분된다.
이에 상기 자동형 운동기구 중 최근 실시되고 있는 스텝퍼는 사용자에게 진동 또는 요동을 제공하여 체지방을 분해하거나 근육을 이완시키는 한편,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등의 운동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형태로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스텝퍼는 저급 모터 사용 및 단일 회전 링크를 사용함으로써, 운동기구로써의 장치 수명이 짧고 강력하고 다양한 진동수를 충분히 발생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종래에는 단순한 체지방 분해와 근육단련에 목적을 두고 개발되고 있는 바, 이는 사용자에게 웨이브 진동의 보다 다양한 변화와 함께 개선된 진동 사이클을 충족시키지 못함은 물론 웰빙 시대에 따른 기타 부가적인 추가 기능이 고려되지 못하여 다기능성 및 고효율성을 갖춘 웨이브 진동식 운동장치의 출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전동으로 구동되는 웨이브식 스텝퍼에 있어서 인체의 족부 또는 기타 단련 및 지방분해 부위를 스텝판의 강력한 웨이브 진동 및 개선된 다단계 제어시스템에 의해 유산소 운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인체의 기초 신진 대사율의 증가를 도모함은 물론 체지방분해 및 근력강화에 효과적인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체지방을 분해하거나 진동장치에 의해 근력강화를 도모하도록 형성되는 전동스텝퍼에 있어서, 함체형의 몸체로써 상,하부 면상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부(111)가 형성되는 스탠드(110)와, 상기 스탠드(110)의 상부 일측 면상에 결합되어 세워지되 외주면 일측부에 통기성 수납함(121)이 부설되는 중앙지주(120)와, 상기 중앙지주(120)의 좌,우 양단부에서 돌출 연장되어 스탠드(110)의 상부 면상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도록 손잡이(130)가 구비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스탠드의 공간부(111)에 수납되되 상부 외주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211)와 원적외선램프(212)를 부설한 스텝판(210)과, 상기 스텝판(210)의 저면에 직착되어 고정되고 몸체가 브러시레스 모터(Brushless Motor-BLDC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모터(220)와, 상기 구동모터(220)의 출력축과 연동하도록 형성되는 구동벨트(230)와, 상기 구동벨트(230)의 종동부 측과 연결되는 종동풀리(240)와, 상기 종동풀리(240)로부터 연동되되 종동풀리(240)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분기되는 회전샤프트(250)와, 상기 회전샤프트(250)로부터 연동하도록 일측에 구동링크(261)를 부설한 진동용브라켓(260)이 구비되는 구동장치(200)와; 상기 구동장치(200)에 4단계의 다른 진동을 부여하도록 형성되는 한편 구동장치(200)에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코스설정부(310)와, 상기 스텝판의 원적외선램프(212)에 설정온도, 설정시간을 제어하도록 원적외선조절부(320)가 구비되는 제어부(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은 중앙지주(120) 외주면 어느 일측부에 전원확인램프(140)가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의 손잡이(130)는 열선(131)이 내장되어 제어부(300)에 의해 설정온도로 히팅되거나 온/오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의 스텝판(210)은 원적외선램프(212)의 보호를 위한 가이드홈(213)과 투명창(2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자동절전 조절부(330)와 열선온도 조절부(340)가 더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체지방을 분해하거나 진동장치에 의해 근력강화를 도모하기 위함으로 이는 인체의 족부를 비롯한 단련 또는 지방제거 부위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면에 형성된 스텝판에 웨이브 진동을 일으키도록 형성되는 구동장치(200)와, 상기 구동장치(200)에 설정된 진동값(웨이브 파동값) 또는 단계별 코스조절 및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3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형의 몸체로써 상,하부 면상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부(111)가 형성되는 스탠드(110)와, 상기 스탠드(110)의 상부 일측 면상에 결합되어 세워지되 외주면 일측부에 통기성 수납함(121)이 부설되는 중앙지주(120)와, 상기 중앙지주(120)의 좌,우 양단부에서 돌출 연장되어 스탠드(110)의 상부 면상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도록 손잡이(1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탠드(110)는 납작한 직사각면체 형상의 몸체로써, 사람이 올라설 수 있거나 팔, 다리 등을 올려놓고 맛사지 또는 웨이브에 의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이면 충분하다. 예컨데, 가로 60~100cm에 세로 30~60cm 내외의 넓이에 높이(두께) 10~20cm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탠드(110)는 상부 면상 중앙 일측부에 상하로 관통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공간부(111)가 형성되는 바, 이는 후술되는 스텝판(210)을 포함한 구동장치(200)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탠드(110)는 저면 바닥면에 충격완화용 완충고무(미도시)가 부설됨으로써, 사용에 따른 자중에 견디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실내에서 사용시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별도의 우레탄 바퀴 및 바퀴 고정핀이 더 부설되어 설치공간의 구애없이 요구하는 공간으로 이동이 간편하되, 설정된 공간에서 지지고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앙지주(120)는 스탠드(110)의 중앙부 어느 일측단에 세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탠드(110)와 내부적으로 연통된 통공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한 편, 몸체 상단면에는 후술되는 제어부(300)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통공은 전기적 배선이 연결되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중앙지주(120)의 몸체 중앙 일측면(예컨데, 사람이 올라 섰을 때 마주보는 측면)에는 별도의 통기성 수납함(121)이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서랍처럼 전후방에 대해 인출되는 수납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운동하면서 아로마, 허브 등의 방향제를 수납하여 자연향 발생으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느끼며 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수납함(121)은 중앙지주에 몸체 내부측으로 형성된 사각박스형태의 성형홈으로부터 전후방향 인출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특히, 외주면 일측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손잡이를 제외한 외주면상에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어 방향 및 자연향기의 배출 즉, 통기가 원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중앙지주(120) 외주면 어느 일측부에 전원확인램프(140)가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원확인램프(140)는 장치의 전원공급 상태를 확인시키도록 보조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전후에 운전 가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확보된 시인성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130)는 스탠드와 중앙지주를 이으며 몸을 지탱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 특히 프레임의 손잡이(130)는 열선(131)이 내장되어 제어부(300)에 의해 설정온도로 히팅되거나 온/오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손잡이(130)의 열선의 제어부(300)에 형성된 열선온도 조절 부(340)에 의해 설정된 온도값 또는 설정시간 동안 히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200)는 도 4 내지 도 7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의 공간부(111)에 수납되되 상부 외주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211)와 원적외선램프(212)를 부설한 스텝판(210)과, 상기 스텝판(210)의 저면에 직착되어 고정되고 몸체가 브러시레스 모터(221:Brushless Motor-BLDC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모터(220)와, 상기 구동모터(220)의 출력축과 연동하도록 형성되는 구동벨트(230)와, 상기 구동벨트(230)의 종동부 측과 연결되는 종동풀리(240)와, 상기 종동풀리(240)로부터 연동되되 종동풀리(240)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분기되는 회전샤프트(250)와, 상기 회전샤프트(250)로부터 연동하도록 일측에 구동링크(261)를 부설한 진동용브라켓(2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텝판(210)은 스탠드(110)의 상부 개구된 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됨으로써, 기본적인 맛사지, 근육운동 또는 지방제거 부위의 대응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텝판(210)은 사람의 발바닥이 올라서거나 특정부위를 대고 자중에 의해 하방향 누르도록 형성되는 바, 보다 효율적인 진동 영향을 받도록 스텝판 상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2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압돌기(211)과 간섭되지 않는 사이 공간부에는 별도의 원적외선램프(212)가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원적외선램프(212)는 스텝판의 저면 어느 일측 또는 타측에 결합되어 제어부(300)로부터 설정된 원적외선조절부(320)의 신호값에 따라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 동안 조절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진대사 및 원활한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의 스텝판(210)은 원적외선램프(212)의 보호를 위한 가이드홈(213)과 투명창(2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텝판(210)은 알루미늄 계열의 재질로써, 무게가 경량인 반면 내구성이 강해 수명이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텝판(210)은 몸체 저면 중앙부에는 중앙힌지(285)를 갖는 지지판(270)이 부설되어 지지가이드(280)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스텝판(210)의 몸체 중앙을 기준으로 시소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판(210)의 저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되 상기 구동모터(220)는 브러시레스 모터(Brushless Motor-BLDC모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러시레스 모터(BLDC모터)는 본 발명 구동장치의 특징적 구성품으로써, 상기 브러시레스 모터(BLDC모터)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종래의 브러시(Brush)가 부착된 DC 모터에서는 정류자와 브러시의 접촉에 의해서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지만 이는 브러시가 단기간에 마모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이에 대해 상기 브러시레스 모터(BLDC모터)는 브러시(Brush)를 사용하지 않고 비접촉의 위치 검출기와 반도체 소자로써 통전 및 전류시키는 기능을 바꾸어 놓 은 모터이다.
따라서 브러시레스 모터의 토크발생 원리는 DC모터의 경우와 동일한 형태이기는 하나 소음과 진동이 적고 전력소모가 극히 적으며 강한 토크를 제공하는 한편, 고속회전에 따른 전자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브러시레스 모터(BLDC모터)를 구조면에서 분류하면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으로의 통전은 브러시 등 접동요소를 사용하지 않는 고정식으로 하기 때문에 자계를 만드는 마그네트 회전기를 어디에 배치하느냐에 따라서 자로의 구성방법 및 권선의 배치방법에 따라 다양한 실시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컨데, 아웃터로터형(Outer Rotor)은 모터의 외주측으로 회전자를 배치하여 모터의 내부 측면으로 회전자계를 만들도록 형성된다. 이는 회전자의 관성모멘트가 크므로 정속도 주행에 유리하고, 마그네트를 비교적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효율, 고토크화 하기가 용이하며, 권선의 1코일 평균길이가 짧게 되어 손실절감, 고효율화가 가능하다.
또한, 인너로터형(Inner Rotor)은 모터의 내주측으로 회전자를 배치하여 모터의 외주측으로 회전자계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인너로터형 BLDC모터는 본 발명의 구동모터(220)의 핵심적 일 실시예로써 회전자의 관성모멘트가 아웃터로터형에 비하여 작고, 모터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술한 인너로터형 브러시레스 모터(BLDC모터)는 AC모터의 장점과 DC모터의 장점만을 가진 것으로 본원 발명의 제어부에 의해 전자제어시 역동성 있는 일 방향 또는 타방향 변형구동을 보다 강력하게 지원할 수 있는 내구성과 안정성이 보장됨은 물론 전기적 기계적 노이즈가 적고, 고속화에 따른 전자제어가 용이하다.
다시 말해, 브러시레스 모터(BLDC모터)는 드라이브 내부에 트랜스포머 역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은 물론 모터 내부에 브러쉬가 없고, 저속 토크 보상 기능이 형성되어 강력한 파워와 저소음 및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브러시레스 모터는 후술되는 제어부(300)의 4단계별 저속 및 고속 진동을 감당하며 설정코스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변형 웨이브에 강한 내구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한편, 전자식 제어부에 따른 응답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바, 이는 종래의 단순 DC모터 및 AC모터로 구현할 수 없는 장점인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20)의 출력축에는 구동풀리가 부설되어 이와 연동 회전하는 구동벨트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종동풀리(240)는 구동벨트(230)의 종동부 측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샤프트(250)는 종동풀리(240)로부터 연동되되 종동풀리(240)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분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진동용브라켓(260)은 회전샤프트(250)로부터 연동하도록 일측에 구동링크(261)를 부설한 진동용브라켓(2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구동모터(22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벨트(230)는 종동풀리(240)를 회전시키고, 이어서 회전샤프트(250)에 회전력을 부여하되, 상기 회전샤프트(250)는 각 각의 양단부가 구동링크(261)와 결합됨에 있어서, 축방향 선단이 편심 결합되어 진동용브라켓(260)이 상,하 방향으로 오르락 내리락 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스텝판(210)의 몸체 저면 중앙에는 중앙힌지(285)와 지지가이드(280)를 기준으로 시소 운동할 수 있는 상태인 바, 구동링크(261)의 하단부가 회전샤프트(250)에 회전하면 편심에 의해 스텝판(210)의 일측 진동용브라켓(260)을 상향 또는 하향 이송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샤프트(250)는 구동링크(261)와 결합되는 축상에 볼베어링(252)이 결합되고, 그외 선상에는 축베어링(251)이 결합되어 회전구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300)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200)에 4단계의 다른 진동(웨이브)을 부여하도록 형성되는 한편 구동장치(200)에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코스설정부(310)와, 상기 스텝판의 원적외선램프(212)에 설정온도, 설정시간을 제어하도록 원적외선조절부(3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자동절전 조절부(330)와 열선온도 조절부(340)가 더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는 먼저 외부전력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게됨으로써, 전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초기화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다이오드(LED램프)로 이루어진 것으로 원활한 시인성과 뚜렷한 이미지를 확보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사용자는 취사선택에 따라 원하는 웨이브를 찾아 운동코스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취사선택에 따라 스텝판(210)의 원적외선램프를 발광시켜 원적외선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는 취사선택에 따라 손잡이의 열선에 히팅가열을 조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겨울철 등에 활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에는 별도의 자동절전 조절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취사선택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 장치의 운전이 없으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 제어부가 오프(OFF)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코스설정부(3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200)에 4단계의 다른 진동을 부여하도록 형성되는 한편 구동장치(200)에 전원공급을 단속하게 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수순에 의한다.
1. 전원공급(메인 파워 온)이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원확인램프가 점등된다.
2.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방향키(버튼) 중 일 버튼을 눌러 모드선택 코너로 화면을 변환시킨다.
3. 이때, 4단계의 다른 진동코스를 나타내는 설정된 문자(예컨데 A,B,C,D)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취사선택에 따라 원하는 진동코스로 설정하여 운동하게 된다.
4. 이때, 코스설정부에 형성된 진동 코스들은 각각 설정 시간에 따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머가 종료되면 스텝퍼의 웨이브 진동 이 멈추도록 형성된다.
5. 이후, 자동절전 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장치가 동작을 안하면 자동으로 제어부를 포함한 장치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코스설정부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파형을 4단계로 조절가능한 것으로 특히 진동의 강약 또한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된다.
1) 1차 계단파형 코스 - 먼저 일 실시예로써 도시된 A타입 코스를 따라 운동시간은 10분간으로 세팅된다. 이때, 처음 또는 마지막 15초 구간은 저속이며 약한 진동을 일으키며 스텝판(210)이 중앙힌지를 기준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후 처음 구간이 지나면 기본적으로 설정된 속도단계(예컨데, 35단계로 설정된 단계중 15단계-도 11 속도조절계 참조)로 진입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1차코스는 처음구간부터 마지막구간을 포함한 모든 구간에는 운동중에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속도 증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방향키 중 속도조절에 해당하는 키를 눌러 자유로운 속도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본 1차 계단파형 코스에서는 균일한 속도로 안정적인 운동을 유도하게 된다.
2) 2차 계단파형 코스 - 일 실시예로써, 도시된 B타입 코스를 따라 운동시간 은 10분간으로 세팅된다. 이때, 처음 또는 마지막 15초 구간은 저속이며 약한 진동을 일으키며 스텝판(210)이 중앙힌지를 기준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후 처음 구간이 지나면 기본적으로 설정된 속도단계(예컨데, 35단계로 설정된 단계 중 점증적으로 속도가 빨라져 기 설정된 최고단계를 지나면 다시 최초 구간 상태로 속도가 저감되는 단계)로 진입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즉, 운동시간 10분 중 4~6분간이 설정된 최고속도 구간이 될 경우 이를 기준으로 전,후 시간 각각 2분간은 점차 빨라지도록 형성되거나 점차 느려지도록 형성되어 그래프는 최고속도 구간을 기준으로 처음과 마지막으로 향한 모양이 서로 대칭된다. 이는 최초 운동구간에서 설정된 최고속도 구간까지 점차 고속화되다가 마지막 구간을 향해 저속화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2차코스는 처음구간부터 마지막구간을 포함한 모든 구간에는 운동중에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속도 증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방향키 중 속도조절에 해당하는 키를 눌러 자유로운 속도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본 2차 계단파형 코스에서는 중저속(10단계)에서 2분간 진동, 중속(20단계)에서 다시 2분간 진동, 고속(30단계)에서 다시 4분간 진동 후 상술한 중속단계->중저속단계 싸이클을 반대로 진행하여 속도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3) 3차 웨이브파형 코스 - 일 실시예로써, 도시된 C타입 코스를 따라 운동시간은 10분간으로 세팅된다. 이때, 속도 제로(0단계)에서 시작한 저속의 약한 웨이브는 설정된 고속지점(예컨데, 속도 35단계 중 30단계)을 향해 설정된 시간(시작 후 2분 이내) 동안 도달하도록 형성된 후 다시 반대로 설정된 저속지점(예컨데, 속도 35단계 중 5단계)을 향해 설정된 시간(시작 후 4분 이내) 동안 도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싸이클이 운동시간 10분 중에 여러번 등간격 반복되며 강약이 지속적으로 강해졌다 약해졌다 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웨이브 진동은 스텝판이 중앙힌지를 기준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처음구간부터 마지막구간을 포함한 모든 구간에는 운동중에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속도 증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방향키 중 속도조절에 해당하는 키를 눌러 자유로운 속도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본 3차 웨이브파형 코스에서는 강도가 지속적으로 빨라졌다가 느려지는 형태가 운동시간 10분 중에 여러번 반복되면 운동되도록 형성된다.
4) 4차 웨이브파형 코스 - 일 실시예로써, 도시된 D타입 코스를 따라 운동시간은 10분간으로 세팅된다. 이러한 4차 웨이브파형 코스는 상술한 3차 웨이브파형 코스의 운동싸이클 그래프를 속도 축에 대해 압축시켜 놓은 개념으로 지속적으로 빨라졌다가 느려지는 구간이 보다 짧아져 속도의 변화가 보다 신속하게 느껴지도록 설정된다.
이때, 속도 제로(0단계)에서 시작한 저속의 약한 웨이브는 설정된 고속지점(예컨데, 속도 35단계 중 30단계)을 향해 설정된 시간(시작 후 1분 이내) 동안 도달하도록 형성된 후 다시 반대로 설정된 저속지점(예컨데, 속도 35단계 중 5단계)을 향해 설정된 시간(시작 후 2분 이내) 동안 도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반복 싸이클이 운동시간 10분 중에 여러번 등간격 반복되며 강약이 지속적으로 강해졌다 약해졌다 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웨이브 진동은 스텝판이 중앙힌지를 기준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처음구간부터 마지막구간을 포함한 모든 구간에는 운동중에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속도 증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방향키 중 속도조절에 해당하는 키를 눌러 자유로운 속도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다양한 체중(중량)에 대응하며 여러 변형 진동 코스를 제공하는 본원발명은 제어부와 연동되는 구동모터를 BLDC모터로 형성함으로서, 강력한 구동력과 내구성을 보장하고, 고속화에 따른 정회전 역회전에 따른 구동 신뢰성을 갖으며 전력소모와 소음 진동이 적은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 중에 별도 제어기능인 원적외선조절부(320)는 스텝판의 원적외선램프(212)에 설정온도, 설정시간을 제어하도록 원적외선조절부(3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사용자의 보다 나은 운동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으로 설정온도와 설정시간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별도의 조작 버튼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열선온도 조절부(340)가 더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130) 내부에 형성된 히터용 전열선에 일정한 온도를 부여하여 겨울철에 사용이 편리하도록 형성되는 바, 이러한 열선온도 조절부(340)는 별도의 서머스텝을 형성하여 열선 과열시 자동으로 전기공급이 차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짧은 시간에 비해 유산소 운동 효과가 탁월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요부를 집중해서 운동할 수 있어서 기초 대사율의 증가를 통한 비만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체지방을 분해하거나 진동장치에 의해 근력강화를 도모하도록 형성되는 전동스텝퍼에 있어서,
    함체형의 몸체로써 상,하부 면상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부(111)가 형성되는 스탠드(110)와, 상기 스탠드(110)의 상부 일측 면상에 결합되어 세워지되 외주면 일측부에 통기성 수납함(121)이 부설되는 중앙지주(120)와, 상기 중앙지주(120)의 좌,우 양단부에서 돌출 연장되어 스탠드(110)의 상부 면상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도록 손잡이(130)가 구비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스탠드의 공간부(111)에 수납되되 상부 외주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211)와 원적외선램프(212)를 부설한 스텝판(210)과, 상기 스텝판(210)의 저면에 직착되어 고정되고 몸체가 브러시레스 모터(Brushless Motor-BLDC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모터(220)와, 상기 구동모터(220)의 출력축과 연동하도록 형성되는 구동벨트(230)와, 상기 구동벨트(230)의 종동부 측과 연결되는 종동풀리(240)와, 상기 종동풀리(240)로부터 연동되되 종동풀리(240)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분기되는 회전샤프트(250)와, 상기 회전샤프트(250)로부터 연동하도록 일측에 구동링크(261)를 부설한 진동용브라켓(260)이 구비되는 구동장치(200)와;
    상기 구동장치(200)에 4단계의 다른 진동을 부여하도록 형성되는 한편 구동장치(200)에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코스설정부(310)와, 상기 스텝판의 원적외선램프(212)에 설정온도, 설정시간을 제어하도록 원적외선조절부(320)가 구비되는 제어 부(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중앙지주(120) 외주면 어느 일측부에 전원확인램프(140)가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손잡이(130)는
    열선(131)이 내장되어 제어부(300)에 의해 설정온도로 히팅되거나 온/오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의 스텝판(210)은
    원적외선램프(212)의 보호를 위한 가이드홈(213)과 투명창(2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자동절전 조절부(330)와 열선온도 조절부(340)가 더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
KR2020070001259U 2007-01-11 2007-01-24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 KR200437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259U KR200437264Y1 (ko) 2007-01-11 2007-01-24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
US11/689,069 US20080171639A1 (en) 2007-01-11 2007-03-21 Stepper with wave type vibrator
JP2007174513A JP2008168109A (ja) 2007-01-11 2007-07-02 ウェーブ振動式の電動ステッ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522 2007-01-11
KR2020070001259U KR200437264Y1 (ko) 2007-01-11 2007-01-24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192U true KR20070000192U (ko) 2007-02-13
KR200437264Y1 KR200437264Y1 (ko) 2007-11-29

Family

ID=4163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259U KR200437264Y1 (ko) 2007-01-11 2007-01-24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2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12B1 (ko) * 2007-02-27 2008-01-02 우리헬스뱅크 주식회사 수직 진동형 운동 장치의 절전 구동 방법 및 절전 구동장치
WO2008105599A1 (en) * 2007-02-27 2008-09-04 Woori Health Bank Co., Ltd. Vertical vibration training machine having position sensor
WO2008105601A1 (en) * 2007-02-27 2008-09-04 Woori Health Bank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vertical vibration training machine
KR100944809B1 (ko) * 2007-10-22 2010-02-26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운동부하 제어성능이 향상된 운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12B1 (ko) * 2007-02-27 2008-01-02 우리헬스뱅크 주식회사 수직 진동형 운동 장치의 절전 구동 방법 및 절전 구동장치
WO2008105599A1 (en) * 2007-02-27 2008-09-04 Woori Health Bank Co., Ltd. Vertical vibration training machine having position sensor
WO2008105601A1 (en) * 2007-02-27 2008-09-04 Woori Health Bank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vertical vibration training machine
KR100944809B1 (ko) * 2007-10-22 2010-02-26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운동부하 제어성능이 향상된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264Y1 (ko)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68109A (ja) ウェーブ振動式の電動ステッパ
US7563235B2 (en) Body vibration apparatus
CA2203703C (en) Massaging apparatus with vibrator
GB2368790A (en) Foot spa with water heater and foot massaging facilities
KR20060110740A (ko) 마사지벨트
KR200437264Y1 (ko) 웨이브 진동식 전동스텝퍼
WO2003017909A2 (en) Leg massage and exercise device
US6695796B1 (en) Chiropractic massage device
CN109172276A (zh) 一种脚部按摩器
CN210751087U (zh) 一种足底按摩走步机
CN108354781A (zh) 一种家用手臂锻炼康复设备
US7033329B2 (en) Human body massager with magnetic field generator
US20140058298A1 (en) Enhanced biomechanical stimulation device
WO2002096341A2 (en) Back-mountable massage device
KR100414154B1 (ko) 다기능 물리치료기의 제어장치
JP2001000496A (ja) マッサージ器
CN205586470U (zh) 一种瑜伽柱
JP2009195591A (ja) 振動マシン
KR20120052563A (ko) 온열 및 지압 기능을 구비한 벨트형 진동운동기구
KR200252232Y1 (ko) 안마기
CN200973938Y (zh) 一种可迅速恢复运动疲劳的跑步机
JP2006020651A (ja) 健康促進装置
KR100658595B1 (ko) 벨트형 회전진동 운동기구
KR200224778Y1 (ko) 발 마사지 장치
US20030045817A1 (en) Leg massage and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