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598A - 실시간 미디어 사전 - Google Patents

실시간 미디어 사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598A
KR20060135598A KR1020067003774A KR20067003774A KR20060135598A KR 20060135598 A KR20060135598 A KR 20060135598A KR 1020067003774 A KR1020067003774 A KR 1020067003774A KR 20067003774 A KR20067003774 A KR 20067003774A KR 20060135598 A KR20060135598 A KR 20060135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stream
words
dictionary database
displaying
synony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피.피. 브리젠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135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하는 단계; 및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 동안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자가 사전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 동안 사전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하는 단계; 텍스트 기반 자막들이 아닌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단어들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하나 이상의 선택되어 인식된 단어들의 정의, 번역,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간 미디어 사전, 멀티-미디어 스트림, 사전 데이터베이스, 원격 제어 디바이스, 방향 버튼 패드

Description

실시간 미디어 사전{Real-time media dictionary}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스트림들(multi-media streams; MMS), 특히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을 통해 사용하기 위한 실시간 미디어 사전(real-time media dictionary)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그들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본 명세서에는 멀티-미디어 스트림들로 언급됨)를 시청하는 동안 익숙하지 않은 단어들을 우연히 접하게 된다.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은 전형적으로 오디오 및 비디오 부분들을 포함하고, 자막들 및 애플리케이션들(OCAP, MH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은 영화들, 텔레비전 쇼들, 교육적 소재, 직업적 소재 등과 같은 것으로 시청될 수 있는 어떠한 비디오 콘텐츠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 동안 어려운 단어를 우연히 접하게 되는 경우, 그 시청자는 단어의 뜻 또는 동의어를 발견하기 위해 사전 또는 백과 사전을 사용하거나, 또 다른 언어로 그 단어를 조사하기 위해 번역 사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시청되는 동안 디바이스가 (컴퓨터와 같은) 사전을 지원하는 경우, 시청자는 그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재생을 중단하고, 사전 애플리케이션을 열어서 그 사람이 이해하지 못하는 단어를 (철자를 알고 있는 경우) 타 이핑해야 한다.
미국 특허 제 5,543,851 호에서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재생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기반 자막들에서 단어들을 조사할 수 있는 메모리 상에 저장된 사전을 갖는 그 메모리를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시청자에 의해 이해되지 않는 어떠한 단어들도 그 메모리에 포함되어야 하고, 그러므로 생소한 단어들 또는 어떠한 전문 분야들에서 사용되는 전문적인 단어들이 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가능성은 적다. 또한, 미국 특허 제 5,543,851 호의 시스템은 텍스트 기반 자막들의 일부로 디스플레이되는 단어들에 대해서만 유용하다. 따라서, 자막들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이미지 기반 자막들이 사용되는 경우, 시청자는 상술된 바와 같이 단어들을 조사하기 위해 책자에 의지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게 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을 시청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사전 데이터베이스(dictionary database)를 추가하는 단계, 및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 동안,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자가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단어들의 정의들, 번역들, 및 동의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용 단계는 사전 액세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로의 액세스를 개시하는데 전용인 버튼을 누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단어들의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단어들은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데이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디스플레이된 자막들, 및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재생된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단어들은 상기 표시 단계 전에 말해지거나 디스플레이된 미리 결정된 수의 단어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단어들은 표시 단계 전에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선택된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정의, 번역, 또는 동의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는 동안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 동안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하는 단계; 텍스트 기반 자막들이 아닌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단어들을 인식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하나 이상의 선택되어 인식된 단어들의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단어들의 정의들, 번역들, 및 동의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 단계는 이미지 인식을 사용하여 이미지 기반 자막 단어들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 단계는 또한 음성 인식을 사용하여 오디오 단어들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단어들은 상기 표시 단계 전에 말해지거나 디스플레이된 미리 결정된 수의 단어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단어들은 또한 상기 표시 단계 전에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정의, 번역, 또는 동의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가 계속해서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으로서,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그에 포함된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상기 입력 수단;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비디오 부분을 시청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오디오 부분을 재생하는 스피커;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 동안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하는 수단; 및 상기 표시 단계에 대해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하나 이상의 선택되어 인식된 단어들의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가 계속해서 제공되고, 여기서 상기 장치는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비디오 부분을 시청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기 멀티-미디어의 오디오 부분을 재생하는 스피커;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 동안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하는 수단; 텍스트 기반 자막들이 아닌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단어들을 인식하는 인식 수단; 및 상기 표시 단계에 대해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하나 이상의 선택되어 인식된 단어들의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저장을 위한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포함되거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장치 및 방법들의 이러한 특성들 및 양태들과 다른 특성들 및 양태들은 다음에 따르는 기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첨부한 도면들과 관련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추가적인 정보를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추가적인 정보를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을 참조로 하면,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00)으로 언급되어 있다. 장치(100)는 그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비디오 디스플레이(102) 및 스피커(104)를 갖는 셋-탑 박스로서만 예로써 도시된다. 상기 장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셀룰러 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웹-타블렛(web-tablet), 랩탑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텔레비전 모니터와 같은 것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는 어떠한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비디오 디스플레이(102) 및 스피커(104)가 장치(100)로부터 별개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모두 또는 둘 중 하나가 그와 함께 일체화될 수 있다.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106)을 갖는다.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어떠한 비디오 또는 오디오 콘텐츠 일 수 있고, DV, DVD, CD, D-VCR과 같은 저장 매체로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어떠한 수단에 의해 입력될 수 있거나, 방송, 위성, 케이블, 셀룰러 등등에 의해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송신 또는 저장 매체에 의해 입력되든지 그렇지 않든지, 그것은 전형적으로 PVR 상에서 발견되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내부 저장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에서 장치(10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상기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액세스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저장 매체를 판독 및 재생하거나 상기 송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 및 판독하는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오디오 부분에서 단어들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108) 및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이미지 기반 자막들 내 단어들을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 시스템(110)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 및 스피커(104)뿐만 아니라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112)(대안적으로는 "제어기"로 언급됨)의 제어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서(112)는 상술된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제어에 전용될 수 있고, 또한 장치(100)의 다른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100)가 셋-탑 박스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텔레비전 방송 또는 케이블 채널들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튜너를 동작시키는 것과 같은 셋-탑 박스의 다른 표준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100)는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 동안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갖는다. 이하 논의되는 바와 같이,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의들, 번역들, 및/또는 동의어들과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에 대응하는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수단은 원격 제어 디바이스(114)일 수 있다. 원격 제어 디바이스(114)는 장치(100)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RF의 적외선과 같은 무선 매체를 통해 장치(10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원격 제어 디바이스(114)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세서(112)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안테나(116)(수신기)를 포함한다. 원격 제어(114)는 이하 논의되는 바 와 같이 장치(100)의 기능들에 전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다른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장치(100)가 셋-탑 박스인 경우, 원격 제어(114)는 또한 채널들을 변경하고, 볼륨을 제어하며, 다른 표준 특성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원격 제어(114)는 다른 기능들 사이에서 비디오 디스플레이(10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디스플레이된 목록을 트래버싱하는 방향 버튼 패드(directional button pad; 120)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을 위한 복수의 버튼들(118)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방향 버튼 패드(120)는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된 목록에서 강조되는 기능으로 진입하기 위한 "엔터(enter)" 버튼(122)을 갖는다.
장치(100)의 동작은 도 2A, 도 2B,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추가로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단어들에 대한 정의들, 번역들, 및/또는 동의어들과 같은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단어들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형태들의 정보는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단어들 중 하나 이상의 그림 또는 비디오 예와 같은 것으로 사전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특정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선택된 어려운 단어들의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술 및 의학적 단어 엔트리들(entries)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단어 엔트리들을 갖는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마스터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완전한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프로그램/이벤트의 시작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그 스트림으로의 랜덤 액세스가 요구되는 경우 반복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접근 방식은 항상 업데이트되는 스트림에서 관심있는 단어들의 결정된 수(예로써, 최근의 8개의 관심있는 단어들)의 매우 적은 사전 데이터베이스만을 갖는 것이다. 시청자가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할 때, 최근 미리 결정된 수의 단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음성/자막 인식에 대한 필요성이 회피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는 동안, 시청자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114)를 통해 사전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자 하는 희망을 바람직하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시청자는 원격 제어 상의(또는 대안적으로는, 장치(100)상의) 전용 버튼(124)을 눌러 희망되는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로의 액세스를 개시한다. 상기 전용 버튼은 사전 심볼(dictionary symbol), "도움말" 또는 의문 부호 라벨이 붙을 수 있다. 전용 버튼(124)을 누르거나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할 때에, 프로세서(112)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 디스플레이(102) 상의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하나 이상의 선택된 단어들의 정의, 번역, 및/또는 동의어를 디스플레이한다.
선택된 단어들은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데이터,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디스플레이된 자막들, 및/또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재생된 오디오에 기초하 여 선택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텍스트 기반 자막들(예로써, 클로즈드 캡션들, 텍스트 기반 자막)을 갖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단어들을 직접적으로 인식하여 액세스할 수 있다. 비디오의 일부이거나 DVB 자막들(비트맵들(bitmaps))과 같은 방송인 이미지 기반 자막들에 대해, 이미지 인식 시스템(110)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단어들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된다. 자막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성 인식 시스템(108)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오디오 부분에서 단어들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음성 및 이미지 인식 시스템들 모두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간략화를 위해 생략되었다.
일단 단어들이 멀티-미디어 스트림으로부터 인식되면, 그 단어들은 상기 표시 단계 전에 말해지거나 디스플레이된 미리 결정된 수의 단어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는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여 전용 버튼(124)이 눌려지기 전에 스피커 상에서 재생된(또는 자막들에 대해 디스플레이된) 마지막 단어 또는 최근 10개의 단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선택된 단어들은 상기 표시 단계 전에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는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여 전용 버튼(124)이 눌려지기 전 마지막 10초 동안 상기 스피커 상에서 재생된 단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100)는 미리 결정된 수의 단어들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길이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될 단어들을 선택하는 디폴트 방법을 선택하도록 시청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들은 또한 ("나", "그", 및 "하나"와 같은) 명확한 단어들을 필터링 아웃(filter out)할 수 있다. 사전 데이터베이스가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에 있는 경우,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그러한 명확한 단어들을 배제할 수 있지만, 그 사전 데이터베이스가 장치(100) 내에 저장될 때 필터가 중요시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디스플레이(102) 상에 장치(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1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용 버튼(124)을 누를 때, 영화와 같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중지될 수 있고, 프로세서(112)가 가능한 한 음성 및 이미지 인식 시스템들(108, 110)을 통해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단어들을 인식하며, 제 1 윈도우(200)가 그 중지된 영화 위로 디스플레이된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112)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재생될 때 그 스트림에서 단어들을 인식할 수 있고, 가능한 한 단어들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수에 따라 이전 단어들의 수를 저장한다. 상기 제 1 윈도우는 예들로 이전에 언급된 미리 결정된 기준들에 따라 선택된 단어들의 목록(202)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어는 각각의 단어에 대한 정보의 형태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들(204)을 갖는다. 예를 들면, 목록(202) 내 각각의 단어는 정의에 대해 "D", 번역에 대해 "T", 및 동의어에 대해 "S"를 갖는다. 단어의 비디오 예와 같은 다른 추가적인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추가적인 윈도우(도시되지 않음)는 그 비디오 예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예는 "V"로 카테고리들에 추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시청자는 그 사람이 방향 버튼 패드(120)를 사용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는 단어를 강조할 것이다. 그 시청자는 방향 버튼 패드(120)를 사용하여 강조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유사하게 강조할 것이다. 그 시청자의 선택이 강조된 후에, 그 사람 은 자신의 선택으로 진입하도록 엔터 버튼(122)을 누를 수 있다. 상기 선택으로 진입할 때에, 목록(202)에서 강조되는 단어의 정의, 번역, 또는 동의어들을 갖는 또 다른 윈도우(206)가 디스플레이된다. 번역이 희망되는 경우, 중간 윈도우(interim window; 208)는 도 2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번역에 대한 언어의 선택을 위해 윈도우(206) 앞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디폴트 언어가 상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세팅될 수 있고, 따라서 추가적인 윈도우(208, 310)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상기 선택된 단어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후에, 그에 따라 시청자는 (예를 들어, 원격 제어 디바이스(114) 상의 백 버튼(back button)을 사용하여) 또 다른 단어를 선택할 수 있거나 사전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을 감출 수 있다/정지할 수 있다.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을 감추거나 정지할 때에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정지된 경우, 그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자동적으로 재개될 수 있거나 시청자에 의한 표시를 통해 재개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디스플레이(102) 상에 장치(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전용 버튼(124)을 누를 시에,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정지되고 제 1 윈도우(300)가 정지된 영화 위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제 1 윈도우는 상술된 예들과 같은 미리 결정된 기준들에 따라 선택된 단어들의 목록(302)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 1 윈도우(300)에서 선택된 단어에 대한 정보의 형태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들(204)이 제 2 윈도우(306)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목록(302) 내 각각의 단어는 제 2 윈도우(306)에 디스플레이되는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선택을 갖는다. 시청자는 방향 버튼 패드(120) 및 엔터 버튼(122)을 사용하여 자신이 보다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는 단어를 우선적으로 강조한다. 그에 따라, 제 2 윈도우(306)가 디스플레이되고, 그 시청자는 방향 버튼 패드(120) 및 엔터 버튼(122)을 사용하여 다시 강조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들(304) 중 하나를 유사하게 강조할 것이다. 상기 선택으로 진입할 때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록(302)에서 강조되는 단어의 정의, 번역, 또는 동의어들을 갖는 또 다른 윈도우(308)가 (상기 제 1 예에서의 윈도우(206)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된다. 번역이 희망되는 경우, 중간 윈도우(31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번역에 대한 언어의 선택에 대해 윈도우(306) 앞에 (상기 제 1 예에서의 윈도우(208)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상기 선택된 단어들 및 대응하는 특징들이 윈도우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바와 같이 나타날지라도, 당업자들은 그것들이 디스플레이(102)의 상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바(bar)에 따른 것과 같이 다른 방식들 또는 스크린의 한 측면을 따라 드롭 다운 메뉴(drop-down menu)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욱이, 선택된 단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중지될 수 있을지라도, 그것은 또한 그 선택된 단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계속해서 재생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계속해서 재생되는 경우, 동일한 디스플레이는 그것이 상기 선택된 단어의 디스플레이에 의한 방해 없이 시청될 수 있도록 다시 포맷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들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기에 특히 바람직하며, 그러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방법들의 개별적 단계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집적 칩(integrated chip) 또는 주변 장치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MHP 또는 OCAP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일부일 수 있다. 그러므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스트림 내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 및 사전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내용을 사용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방법들 및 장치가 종래 기술의 방법들의 단점들을 제거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의 방법들과는 반대로, 시청자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을 중지하고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필요가 없다. 시청자는 또한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단어들에 대해 수동적으로 타이핑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완전한 키보드가 필요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소비자 전자 제품들 상에 공통인) 방향 키들 및 엔터 키를 갖는 단순한 원격 제어로 충분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들 및 장치는 텍스트 기반 자막들을 갖는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에 제한되지 않지만, 또한 이미지 기반 자막들을 갖거나 자막들이 전혀 없는 콘텐츠를 통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가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은 그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콘텐츠에 명확하게 부합될 수 있다. 이것은 그것들 자신의 어휘를 갖는 교육, 다큐멘터리들, 및 강의들에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에 대해 특히 유용하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가 콘텐츠의 그러한 형태들에 대한 특정 유틸리티를 가질지라도, 그것은 또한 영화들과 같은 일반적 콘텐츠에 대한 추가적 서비스로서 유틸리티 를 갖는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동안, 형태 및 세부적인 것에서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시되고 기술된 정확한 형태들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수정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Claims (24)

  1.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사전 데이터베이스(dictionary database)를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 동안,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자로 하여금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단어들의 정의들, 번역들, 및 동의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단계는 상기 사전 액세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로의 액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전용 버튼(124)을 누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하나 이상의 선택된 단어들의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단어들은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데이터,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디스플레이된 자막들, 및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재생된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단어들은 상기 표시 단계 전에 말해지거나 디스플레이된 미리 결정된 수의 단어들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단어들은 상기 표시 단계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그 선택된 정의, 번역, 또는 동의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는 동안,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11.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 동안, 사전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하는 단계;
    텍스트 기반 자막들이 아닌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단어들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하나 이상의 선택되어 인식된 단어들의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포함되고, 상기 멀티- 미디어 스트림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단어들의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단계는 이미지 인식을 사용하여 이미지 기반 자막 단어들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단계는 음성 인식을 사용하여 오디오 단어들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단어들은 상기 표시 단계 전에 말해지거나 디스플레이된 미리 결정된 수의 단어들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단어들은 상기 표시 단계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그 선택된 정의, 번역, 또는 동의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방법.
  18.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106)으로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그에 포함된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상기 입력 수단(106);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비디오 부분을 시청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02);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오디오 부분을 재생하는 스피커(104);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 동안, 사전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하는 수단(114, 116); 및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하나 이상의 선택되어 인식된 단어들의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디스플레이할 때에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는 제어기(112)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장치(100).
  19. 제 18 항에 있어서,
    텍스트 기반 자막들이 아닌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단어들을 인식하는 인식 수단(108, 110)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장치(100).
  20.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106);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비디오 부분을 시청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02);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오디오 부분을 재생하는 스피커(104);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 동안, 사전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하는 수단(114, 116);
    텍스트 기반 자막들이 아닌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단어들을 인식하는 인식 수단(108, 110); 및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 내 하나 이상의 선택되어 인식된 단어들의 정의, 번역,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디스플레이할 때에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는 제어기(112)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장치(100).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청 장치(100).
  22.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시청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서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판독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 및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 동안,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시청자가 상기 사전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포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67003774A 2003-08-25 2004-08-23 실시간 미디어 사전 KR200601355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766203P 2003-08-25 2003-08-25
US60/497,662 2003-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598A true KR20060135598A (ko) 2006-12-29

Family

ID=3421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774A KR20060135598A (ko) 2003-08-25 2004-08-23 실시간 미디어 사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005338A1 (ko)
EP (1) EP1661403B1 (ko)
JP (1) JP2007503747A (ko)
KR (1) KR20060135598A (ko)
CN (1) CN1843036A (ko)
AT (1) ATE395788T1 (ko)
DE (1) DE602004013799D1 (ko)
ES (1) ES2307029T3 (ko)
WO (1) WO2005020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91B1 (ko) * 2006-05-04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자사전을 이용한 단어검색 방법 및장치
KR101382748B1 (ko) * 2008-01-25 201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US20090240667A1 (en) * 2008-02-22 2009-09-24 Edward Baker System and method for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of context-driven defintions
CN101609600A (zh) * 2008-06-19 2009-12-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遥控器
US8510317B2 (en) * 2008-12-04 2013-08-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oviding search results based on keyword detection in media content
US8332206B1 (en) 2011-08-31 2012-12-11 Google Inc. Dictionary and translation lookup
CN103838715A (zh) * 2012-11-26 2014-06-04 英业达科技有限公司 具翻译提示功能的输入系统及其方法
CN103853704A (zh) * 2012-11-28 2014-06-11 上海能感物联网有限公司 计算机外语有声影像资料自动加注中外文字幕的方法
KR102354582B1 (ko) * 2014-08-12 2022-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US10002543B2 (en) * 2014-11-04 2018-06-19 Knotbird LLC System and methods for transforming language into interactive elements
WO2021091526A1 (en) * 2019-11-04 2021-05-14 Google Llc Using video clips as dictionary usage exampl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599A (en) * 1994-01-26 1998-09-22 E-Systems, Inc. Interactive audio-visual foreign language skills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JPH07231309A (ja) * 1994-02-17 1995-08-29 Hitachi Ltd 情報配信システム
US5758257A (en) * 1994-11-29 1998-05-26 Herz; Frederick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broadcast of and access to video programs and other data using customer profiles
US5543851A (en) * 1995-03-13 1996-08-06 Chang; Wen F.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closed caption data
US5790753A (en) * 1996-01-22 1998-08-04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System for downloading computer software programs
US6141488A (en) * 1997-09-05 2000-10-3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for recording television programs
US20010032070A1 (en) * 2000-01-10 2001-10-18 Mordechai Teicher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lating visual text
TW518890B (en) * 2000-03-21 2003-01-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tent enhancement of multimedia output device
JP2004505563A (ja) * 2000-07-27 2004-02-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ビデオ強調用のトランスクリプト・トリガー情報
DE10122597A1 (de) * 2001-05-10 2002-11-14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Anzeige weiterführender Informationen zu in einem Multimediagerät vorkommenden Informationselementen
US20030065503A1 (en) * 2001-09-28 2003-04-0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Multi-lingual transcription system
ATE441284T1 (de) * 2001-12-07 2009-09-15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zeige von definitionen von ausgewählte begriffe in einem fernsehprogram
US20040152055A1 (en) * 2003-01-30 2004-08-05 Gliessner Michael J.G. Video based language lear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03747A (ja) 2007-02-22
EP1661403B1 (en) 2008-05-14
ATE395788T1 (de) 2008-05-15
EP1661403A1 (en) 2006-05-31
CN1843036A (zh) 2006-10-04
US20070005338A1 (en) 2007-01-04
ES2307029T3 (es) 2008-11-16
DE602004013799D1 (de) 2008-06-26
WO2005020579A1 (en)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3886B2 (ja) 字幕抽出装置
US2012027876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nu screen displaying method
US201000833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an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JP524210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20060135598A (ko) 실시간 미디어 사전
JP440681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7000323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US11748059B2 (en) Selecting options by uttered speech
US20050168640A1 (en) Caption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same
JP512134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200907716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US8589983B2 (en) Navig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US20040193592A1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KR100481539B1 (ko) 캡션정보를 이용한 원 클릭 정보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09670A (ko) 네트워크 기반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JP2006317548A (ja) 教育用コンテンツ生成装置
JP201317608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557519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201305903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2014207619A (ja) 録画再生装置、及び録画再生装置の制御方法
JP7229906B2 (ja) コマンド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3018534A (ja) 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30047472A (ko) 수화 표시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및 그 제어방법
KR101592944B1 (ko) 자막 단어 검색 장치 및 방법
US9386254B2 (en) Broadcast method and broadcas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