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006A - 아연 보존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아연 보존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006A
KR20060135006A KR1020067020132A KR20067020132A KR20060135006A KR 20060135006 A KR20060135006 A KR 20060135006A KR 1020067020132 A KR1020067020132 A KR 1020067020132A KR 20067020132 A KR20067020132 A KR 20067020132A KR 20060135006 A KR20060135006 A KR 20060135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zinc
agent
polymer
zinc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닝 자이아
조우지프 씨. 살라몬
로야 엔. 보라즈자니
Original Assignee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2006013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8Vasodilators for multiple ind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존 유효량의 아연 화합물 및 보존 유효량 미만의 제1 보존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보존 유효량의 아연 화합물을 포함하되 제1 보존제는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으로, 안과용 조성물의 효능 증대 방법,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안과용 조성물, 아연 화합물, 보존 유효량, 제1 보존제.

Description

아연 보존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ZINC PRESERVA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본 발명은 아연 보존제 조성물 및/또는 사용 방법, 특히 점안액 및 콘택트 렌즈 처리액과 같은 안과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눈 조직과 박테리아의 접촉은 다양한 눈 감염증, 예를 들면 미생물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 눈 조직과 박테리아의 접촉은 박테리아로 오염된 안과용 액제가 눈에 직접 점적주입(instillation)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눈에 직접 점적주입되는 상기 안과용 액제의 예로는 점안액 (예를 들어, 건안(dry eye) 치료용) 또는 콘택트 렌즈 점적액 (예를 들어, 착용 중의 콘택트 렌즈의 컨디셔닝용)이 있다. 또한, 박테리아로 오염된 콘택트 렌즈를 눈에 착용함으로써 눈 조직이 박테리아와 접촉될 수 있다. 눈 감염 위험은 콘택트 렌즈에 박테리아가 부착되는 경우에 증가하는데, 이는 박테리아가 오랜 기간 동안 눈 조직과 접촉한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안과용 조성물, 예를 들면 점안액 및 콘택트 렌즈 처리액은, 이들 용액이 박테리아 및/또는 진균 및 다른 감염성 생물로 오염되는 경우, 상기 생물들의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보존제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콘택트 렌 즈 처리액의 경우, 용액을 보존하는데 사용된 보존제는 콘택트 렌즈가 이 용액으로 세정 또는 침윤되는 경우에 렌즈를 살균하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또는, 안과용 조성물은 보존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 경우에 조성물은 용기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특별한 용기 내에 포장되며, 그러한 예로는 용액의 각 투여량이 별도로 포장된 단일 단위-투여 패키지가 있다.
안과용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보존제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보존제는 넓은 범위의 보존 활성을 가지며 눈에 대해 비-자극성이어야 한다. 그러나, 다수의 보존제들은 특히 고농도에서 눈 조직을 자극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눈 자극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가능한 낮은 농도의 보존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미국 특허 제6,323,165호 및 동 제6,274,133호는, 렌즈에 결합하여 단백질 및/또는 지질 침착물이 결합하는 것을 차단하는 폴리쿼터늄 중합체 또는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로 친수성 콘택트 렌즈 상의 단백질 및/또는 지질 침착물을 차단하는 조성물 및 방법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4,443,429호는 머쿼트(Merquat; 상표명) 100 (즉, 약 10,000 내지 약 1,000,000의 분자량을 가짐)으로 상업적으로 공지된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단독중합체의 콘택트 렌즈 살균 용액에서의 용도를 개시한다. 이 문헌에서 바람직한 살균 용액 농도는 0.0004 중량% 내지 약 0.02 중량% (4 ppm 내지 200 ppm)로 인용되었다.
WO 02/34308호는 생체의학 장치,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의 표면에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장치의 표면에 박테리아가 부착하는 것을 억제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10/427,056호 (출원일: 2003년 4월 30일) 및 미국 특허 출원 제10/427,084호 (출원일: 2003년 4월 30일)는 보존제-강화용 첨가제로서 다가양이온, 예를 들면 폴리머(Polymer) JR (폴리쿼터늄-10)의 용도를 개시한다. 폴리머 JR은 전통적인 보존제보다 덜 자극적이었으며 전통적인 보존제의 성능을 증가시켰다. 미국 특허 제5,460,834호는, 누액 중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염 이외에도 아연 화합물을 최소 약 0.005 mmol/L의 농도 및/또는 최대 약 0.015 mmol/L의 농도로 함유할 수 있는 생리학적 누액 조성물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2,230,748호는 직물 또는 다른 유기 물질 중의 부후균 (rot fungus)을 방지하는 함침 용액을 개시한다. 이 함침 용액은 당 또는 당 함유 물질을 포함한다. 아연 및 구리의 가용성 염은 용액 중의 성분으로서 개시되어 있다.
미국 국립 눈 연구소(National Eye Institute)의 연구 (연구의 영문 명칭: NEI Study: Antioxidants and Zinc May Reduce AMD Risk, Review of Optometry, pp. 138-49, volume 6(1) (November 15, 2001)]에서는 높은 수준의 항산화제 및 아연이 진행성 연령 관련 황반 변성의 위험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결론지었다. 이 연구에서 아연은 경구로 투여되었다.
그란(Grahn, B. H.) 등은 문헌 [Zinc and the Ey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vol. 20 (2) pp. 106-118 (April 2001)]에서 정상적인 눈 기능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아연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밝혀냈다. 이 환자 에서 아연은 경구로 투여되었다.
사용상 안전하고,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눈 조직에 대해 비-자극성인, 증대된 보존 효능을 갖는 안과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당업계에 직면한 상기 문제들 및 다른 문제들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보존 유효량의 가용성 아연 화합물 및 보존 유효량 미만의 제1 보존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보존 유효량의 가용성 아연 화합물을 포함하되 제1 보존제는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일부 이상의 전통적인 보존제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 또는 불쾌감과 같은 불리한 생리학적 효과를 나타내지 않으면서 적절하게 보존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과 관련하여 조성물 제조 방법, 조성물 효능 증대 방법 및 조성물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 조성물은 예를 들어 폴리머 JR과 같은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가양이온 물질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 따라, 조성물은 삼투성 조정제, 완충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점도 조절제 및 치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임의로 포함하는 안과용 액제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점안액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콘택트 렌즈 처리액이다. 전형적으로, 조성물은 눈 조직에 대한 자극 없이 눈에 직접 점적주입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보존 유효량의 가용성 아연 화합물 및 보존 유효량 미만의 제1 보존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보존 유효량의 가용성 아연 화합물을 포함하되 제1 보존제는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부 이상의 전통적인 보존제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 또는 불쾌감과 같은 불리한 생리학적 효과를 나타내지 않으면서 적절하게 보존되는 이점을 갖는다. 유사하게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보존 유효량의 아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 안과용 조성물은 보존 유효량 미만의 제1 항-미생물 화합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 보존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보존제"라는 용어 또는 유사한 용어들은 생성물 중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안과용 조성물의 멸균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보존제"라는 용어는 보존 효능을 제공하는 특정 활성제를 의미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조성물은 보존 유효량 미만의 제1 보존제를 갖는다. 제1 보존제는 미생물 유기체와의 화학적 또는 생리화학적 상호작용을 통해 보존 활성을 유도하는 비-아연 함유 화합물로서 정의된다.
"보존 유효량"은 5종의 미생물, 즉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에쉬리키아 콜라이(Eschrechia coli),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의 세포 집단을 로그 차수 3 만큼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정의된다. 아연을 함유하는 대상 조성물 중 제1 보존제의 양과 관련되는 "보존 유효량"이라는 구절은, 모든 아연 함유 화합물이 비교 화합물로부터 제거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대상 조성물과 동일한 비교 조성물에서 5종의 미생물, 즉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에쉬리키아 콜라이, 칸디다 알비칸스, 및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의 세포 집단을 로그 차수 3 만큼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제1 보존제의 양으로 정의된다.
아연 화합물과 관련되는 "용해량"이라는 용어는, 조성물 중에 완전히 용해되거나, 또는 조성물이 환자의 눈에 적용되는 경우에 환자가 인식할 수 없는 양만큼 포화 수준을 초과하는 아연 화합물의 양으로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아연 화합물이 완전히 용해된다.
본 발명에 따라, 아연 화합물이 +2 원자가 상태인 한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 당 최소 약 0.001 중량%, 약 0.005 중량%, 약 0.01 중량% 또는 약 0.05 중량%의 아연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의 총 중량 당 최대 약 1 중량%, 약 0.5 중량%, 약 0.1 중량% 또는 약 0.05 중량%의 아연 화합물을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아연 화합물은 시트르산 아연, 염화 아연, 아세트산 아연, 브롬화 아연, 플루오르화 아연, 요오드화 아연, 황산암모늄 아연, 질산 아연 및 황산 아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아연 화합물은 한 실시양태에서 시트르산 아연 및 염화 아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시트르산 아연 및 염화 아연은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에 소재하는 시그마-알드리치 케미컬 컴퍼니(Sigma-Aldrich Chemical Company)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다가양이온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가양이온 물질을 포함한다. "다가양이온" 물질이라는 용어는 동일한 분자 내에 다중 양이온성 부위, 예를 들면 4급 암모늄기를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다수의 다가양이온 물질은 그 자체로는 넓은 범위의 미생물에 대해 안과용 조성물을 적절하게 보존하는 충분한 보존 효능을 갖지 않지만, 가용성 아연 화합물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보존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다가양이온 물질로는 동일 분자 내에 다중 양이온성 분자를 갖는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양이온성 단백질, 양이온성 폴리뉴클레오티드, 양이온성 당단백질, 양이온성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 이오넨(ionene)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쿼터늄 중합체는 잘 알려진 종류의 중합체이며, 그의 다수의 변형물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폴리쿼터늄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안과적으로 적합한 음이온성 유기 또는 무기 카운터이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카운터이온은 플루오라이드 이온, 클로라이드 이온, 브로마이드 이온, 요오다이드 이온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쿼터늄-1 내지 폴리쿼터늄-44 (CTFA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로 지칭된 폴리쿼터늄은 본 발명의 교시내용을 기초로 본 발명에 유용한 다수의 물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의 제조를 위한 중합 기술은 마찬가지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이들 기술에 대한 다수의 변형 기술이 마찬가지로 상업적으로 실시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폴리쿼터늄 중합체는 최소 약 500 달톤, 약 1000 달톤 또는 약 2000 달톤 및/또는 최대 약 5,000,000 달톤, 약 500,000 달톤 또는 약 200,000 달톤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다가양이온 물질의 바람직한 한 종류는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이며, 특히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이다.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의 특정 예로는 N,N-디메틸아미노에틸기 (양성자화 또는 4원화(quaternized)) 및/또는 N,N-디메틸아미노-2-히드록실프로필기 (양성자화 또는 4원화) 함유 셀룰로오스 중합체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는 시판되거나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로서, 4급 질소-함유 에톡실화 글루코시드는 한 실시양태에서 따라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와 트리메틸암모늄-치환된 에폭시드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약 0.001 중량%, 약 0.005 중량%, 약 0.01 중량% 및 0.05 중량% 및/또는 최대 약 0.5 중량% 약 0.1 중량% 또는 약 0.05 중량%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를 갖는다.
다양한 바람직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 예를 들어 CTFA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하에 이용가능하며 폴리쿼터늄-10 (이하, 폴리머 JR로서 정의됨)으로 지칭되는 수용성 중합체가 시판된다. 이러한 중합체는 미국 뉴저지주 에디슨에 소재하는 아머콜 코포레이션(Amerchol Corp.)사에서 상표명 UCARE(등록상표) 폴리머로 시판된다. 이들 중합체는 셀룰로오스 중합체 쇄와 함께 4원화 N,N-디메틸 아미노기를 함유한다. 적합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물질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6070788471-PCT00001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H, C1-C20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C1-C20 알킬기, C1 내지 C3의 1가 및 2가 알칸올, 히드록시에틸기, 히드록시프로필기, 산화에틸렌기, 산화프로필렌기, 페닐기, "Z" 기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R1 R2 및 R3 중 하나 이상은 Z 기이다.
"Z" 기는
Figure 112006070788471-PCT00002
이다.
상기 식에서,
R', R'' 및 R'''은 H, CH3, C2H5, CH2CH20H 및 CH2CH(OH)CH20H이고,
x는 0 내지 5, y는 0 내지 4, z는 0 내지 5이고,
X는 Cl-, Br-, I-, HS04 -, CHS04 -, H2P04 -, N03 -이다.
시판 등급의 다양한 폴리머 JR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JR-125 JR-400 JR-30M
25℃에서의 브룩필드 (Brookfield) 점도, 센티푸아즈, 2.0 중량% (1.7 중량% 내지 2.2 중량%) 110-120 cps 400-440 cps 12,000-13,000 cps
한 실시양태에서, 양이온성 중합체는 폴리머 JR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0.001 중량%, 약 0.005 중량%, 약 0.01 중량% 또는 약 0.05 중량% 및/또는 최대 약 0.5 중량%, 약 0.1 중량% 또는 약 0.05 중량%의 폴리머 JR (JR-125, JR-400 및 JR-30M 등)을 포함한다. 점안액의 경우,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건안의 치료를 위한 활성제로서 보다 효과적인 추가의 이점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 중의 다가양이온 물질에 대한 아연 화합물의 비율은 최소 약 0.001, 약 0.01 또는 약 0.1 및/또는 최대 약 10, 약 5, 약 1 또는 약 0.01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뿐만 아니라 다른 다가양이온 물질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예로는 N-비닐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단량체 기재의 폴리쿼터너리 암모늄 염인 폴리쿼터늄-28 (미국 뉴저지주 웨인에 소재하는 GAP 케미컬스(Chemicals)사에서 상표명 가프쿼트(Gafquat) HS-100으로 시판됨); 트리메틸렌 브로마이드 및 N,N,N',N'-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합체인 헥사디메트린 브로마이드; 구아 검의 4급 암모늄 유도체인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트리암모늄 클로라이드 (미국 매사추세츠주 웨스트버로우에 소재하는 카보머, 인크.(Carbomer, Inc.)사에서 시판됨); 비닐 카프롤락탐/PVP/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미국 뉴저지주 웨인에 소재하는 GAF 케미컬스사에서 상표명 가픽스(Gaffix) VC-713으로 시판되는 것들)를 들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양으로 하전된 질소 원자가 4개의 라디칼 (수소 원자 없음)에 공유 결합되고 클로라이드와 같은 음으로 하전된 카운터이온에 이온 결합된 4급-아민기를 각각 포함하는 반복 단위들로서 정의되는 4급-아민-관능성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가 있다.
본 발명에서 다가양이온 물질로서 유용한 특정 폴리쿼터늄 중합체로는, 4급-아민-관능성 반복 단위가 다음과 같은 종류의 단량체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N,N-디메틸-N-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2-메타크릴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N-(3-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 1-비닐 및 3-메틸-1-비닐이미다졸, N-(3-아크릴아미도-3-메틸부틸)-N,N,N-트리메틸암모늄, N-(3-메타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 디알릴디메틸암모늄, 디알릴디에틸암모늄, 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이들의 할라이드 또는 다른 염 형태, 및 이들의 유도체.
폴리쿼터늄 공중합체의 특정 예는 루비쿼트(Luviquat; 상표명) FC 370 중합체 (CTFA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명칭, 폴리쿼터늄-16,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의 바스프(BASF)에서 시판됨)인데, 이는 70%가 비닐피롤리돈이고 30%가 1-비닐이미다졸륨 메틸 클로라이드인 공단량체 혼합물의 중합 생성물이며, 수중 약 40 중량%의 고체 함량을 갖는 조성물로서 시판된다.
조성물 중 다가양이온 성분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약 0.001 중량%, 약 0.005 중량% 또는 약 0.01 중량%의 양 및/또는 최대 약 1 중량%, 약 0.5 중량% 또는 약 0.1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존 유효량 미만의 제1 보존제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제1 보존제를 갖지 않는다. 제1 보존제로는 소르브산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형적으로, 소르브산은 보존상 효과적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5 중량% 초과의 양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소르브산은 보존 유효량 미만으로 존재한다.
제1 보존제는 공지된 유기 질소-함유 물질, 예를 들면 비구아니드를 포함한다. 비구아니드로는 알렉시딘, 클로르헥시딘의 유리 염기 또는 염, 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및 이들의 중합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들 수 있다. 비구아니드 염은 전형적으로는 글루코네이트, 니트레이트, 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술페이트 및 할라이드 등이다. 바람직한 비구아니드는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에 소재하는 제네카(Zeneca)사에서 상표명 코스모실(Cosmocil; 상표명) CQ로 시판되는 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노프로필 비구아니드 (PAPB)로 지칭되기도 하는 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중합체는 미국 특허 제5,453,435호 및 WO 94/04028호 (이들 문헌의 전체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약 100,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다. 공지된 제1 보존제의 또 다른 예는 폴리쿼터늄-1로서 시판되는 다양한 물질들이다. 다른 제1 보존제로는 미국 특허 제5,453,4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클로르헥시딘; WO 03/006046호 및 미국 공개 2003/009261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펩티드; 미국 특허 제4,899,914호 및 WO 02/4006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퍼옥시드 및 퍼옥시드 생성 화합물; 미국 특허 제5,200,4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이미다졸륨; 미국 특허 제4,529,5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소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조합된 EDTA; 및 WO 01/2483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클로르헥시딘과 조합된 EDTA (상기 모든 특허문헌 및 간행물들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됨)를 들 수 있다.
제1 보존제의 양은 사용되는 특정 물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각 경우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보존 유효량을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해야만 한다. 상기 언급한 유기 질소-함유 물질에 대하여, 전형적으로 이러한 물질들은, 존재하는 경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약 1 ppm, 약 10 ppm, 약 100 ppm 또는 약 0.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제1 보존제는 에스. 아우레우스(S. aureus), 피. 아에루기노사(P. aeruginosa), 이. 콜라이(E. coli), 씨. 알비칸스(C. albicans), 및 에이. 니게르(A. niger) 중 2종 이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소시키는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존제는 에스. 아우레우스, 피. 아에루기노사, 이. 콜라이, 씨. 알비칸스, 및 에이. 니게르 중 1종 이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소시키는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존재하는 경우, 첨가된 제1 보존제는 48 시간 후 미생물 오염도의 로그 차수를 2 이하 만큼, 더 바람직하게는 48 시간 후 상기 로그 차수를 1 이하 만큼 감소시킬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보존제는 조성물 중 최대 약 90%, 약 80%, 약 70%, 약 60%, 약 50%, 약 40%, 약 30% 약 20 %, 약 10%, 약 5%, 약 1% 또는 약 0.5%의 보존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사용된 수용액은 상기 기재된 성분들 이외에도 안과용 액제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성분, 예를 들어, 삼투성 조정제, 완충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점도 조절제, 및 점활제(demulcent) 등을 함유하는데, 이들 성분들은 안과용 조성물이 의도된 용도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하고(하거나) 보다 효과적이게끔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전형적으로는 삼투성 물질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수용액을 표준 누액(normal lacrimal fluid)의 삼투도와 가깝게 조정한다 (대략 0.9 중량% 염화나트륨 용액 또는 2.8 중량% 글리세롤 용액과 등가임). 전형적으로, 용액은 저장성이거나, 또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조정제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생리식염수와 실질적으로 등장성이다. 안과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225 mOsm/kg, 약 240 mOsm/kg 또는 약 280 mOsm/kg 및/또는 최대 약 400 mOsm/kg, 약 360 mOsm/kg, 약 340 mOsm/kg 또는 약 320 mOsm/kg의 삼투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렌즈 및/또는 단백질 침착물과 반응하여 렌즈 상에 축적될 수 있는 금속 이온과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이온과 결합하기 위해 킬레이트제 또는 격절형성제(sequester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바람직한 예로는, 일반적으로 약 0.01 중량% 내지 약 0.2 중량% 범위의 양으로 첨가되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 및 그의 염 (이나트륨 염)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성물, 예를 들면 수용액은 렌즈 컨디셔닝 용액 또는 점안액으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약 1 ml 내지 약 30 ml 크기의 광범위한 소-부피 용기에 넣어 판매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는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점안액의 경우, 통상의 분배 상부(top)를 갖는 가요성 용기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점안액 제제는, 예를 들어 필요로 하는 눈에 약 한(1) 방울 또는 세(3) 방울의 액적을 점적주입하여 사용한다.
콘택트 렌즈 처리액의 경우, 본 발명의 방법 및/또는 조성물은 통상의 콘택트 렌즈 카테고리인 (1)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물질, 예를 들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로부터 형성된 하드 렌즈, (2)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플루오로실리콘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된 단단한 기체 투과성 (RGP) 렌즈, (3) 소프트 히드로겔 렌즈, (4) 실리콘 히드로겔 렌즈 및 (5) 비-히드로겔 엘라스토머 렌즈에 적용될 수 있다.
예로서, 소프트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히드로겔 중합성 물질을 소재로 제조되며, 히드로겔은 평형 상태에서 물을 함유하는 가교결합된 중합계로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히드로겔은 우수한 생체적합성 특성, 즉 살아있는 조직에서 독성, 유해성 또는 면역성 반응을 일으키지 않음으로써 생물학적 또는 생화학적으로 적합한 특성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통상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재료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 단량체,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HEMA), 글리세릴 메타크릴레이트, N,N-디메타크릴아미드, 및 N-비닐피롤리돈 (NVP)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실리콘 히드로겔의 경우, 공중합체 제조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은 친수성 단량체 이외에도 실리콘-함유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단량체 혼합물은 가교결합성 단량체, 즉 둘 이상의 중합가능한 라디칼을 갖는 단량체,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옥시에틸 비닐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할 것이다. 또는, 실리콘-함유 단량체 또는 친수성 단량체는 가교결합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의 조성물의 pH는 최소 약 5, 약 6, 약 6.5 또는 약 7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의 조성물의 pH는 최대 약 7.6 또는 약 7.8이다. 적합한 완충제, 예를 들면 보레이트, 시트레이트, 비카르보네이트,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TRIS-Base), 아미노 알콜 및 다양한 혼합 포스페이트 완충제 (Na2HP04, NaH2P04 및 KH2P04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음) 및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할 수 있다. 제1 보존제가 PHMB인 경우, 보레이트 완충제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완충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약 0.05 중량% 또는 0.1 중량% 및/또는 최대 약 1.5 중량%, 2.0 중량% 또는 2.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것이다.
치료제는 치료 유효량으로 투여되는 경우에 원하는 국소 또는 전신의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임의의 물질이다. 안과용 치료제로는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안과용 물질이 포함된다. 이러한 안과용 치료제로는 녹내장 약제, 예를 들면 베타-차단제, 무스카린제(muscarinics) 및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도파민성 아고니스트 및 길항제; 항-감염제; 비-스테로이드성 및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프로스타글란딘; 단백질; 성장 인자 및 항-알러지제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른 치료제는 둘 이상의 안과용 물질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안과용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눈에 적용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눈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의료 장치,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를 처리하기 위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특히, 안과용 조성물은 점안액을 비롯하여 눈에 직접 점적주입하기 위한 조성물, 예를 들면 건안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눈에 직접 점적주입되는 콘택트 렌즈 처리액, 예를 들면 착용 중인 콘택트 렌즈를 재습윤하기 위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안과용 조성물은 눈에 직접 점적주입되는 조성물,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를 눈에 삽입하기에 앞서 상기 렌즈를 처리하기 위한 콘택트 렌즈 처리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은 세정, 살균 또는 컨디셔닝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유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은 콘택트 렌즈용 컨디셔닝 및/또는 세정 용액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보존제, 계면활성제, 독성 조정제, 및 완충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세정 및/또는 살균 용액에 대한 적합한 제제화의 예는 거명을 통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리차드(Richard) 등의 미국 특허 제5,858,937호에 교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목적 용액"으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이는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콘택트 렌즈의 세정, 화학적 살균, 저장 및 세척에 사용됨을 의미한다. 다목적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최소 약 1 cps 및/또는 최대 약 25 cps, 50 cps 또는 75 cps의 점도를 갖는다. 조성물 중 물의 총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약 95 중량%, 97 중량% 또는 98 중량%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그의 수용액 중에서의 해리 상태에 따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분류된다. 이들 중에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분류되는 다양한 계면활성제, 특히 아미노산 유도체로 구성되는 계면활성제, 즉 아미노산 유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으로 살균성 세정제 또는 살균용 조성물로서 제안되어 왔다. 또한, 글리세린이 본 발명의 성분으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미라놀(Miranol)"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 제공되는 유형의 물질들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다른 유용한 종류의 예는 다양한 공급처에서 시판되는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다른 계면활성제는 상기 설명을 고려하여 문헌 [McCutcheon's Detergents and Emulsifiers, North American Edition, McCutcheon Division, MC Publishing Co., Glen Rock, N.J. 07452 and the CTFA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Handbook, Published by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Washington, D.C.]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임의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중합성 또는 비중합성 점활제가 상기 언급된 성분들과 조합될 수 있다. 점활제는 습윤, 보습 및/또는 윤활 효과를 제공하여 쾌적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합성 점활제는 수용성 점도 보조제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수용성 점도 보조제 중에는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N-비닐피롤리돈), 및 폴리(비닐알콜) 등과 같은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가 포함된다. 이러한 점도 보조제 또는 점활제는 약 0.01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의 총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최종 제제의 점도는 약 10 cps 내지 약 50 cps이다.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유익한 물질을 첨가할 수도 있다.
하기 일반적인 절차는 이하에서 병원성 생물로 총칭하여 언급되는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ATCC 6538), 에쉬리키아 콜라이 (ATCC 8739),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ATCC 9027), 칸디다 알비칸스 (ATCC 10231) 및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ATCC 16404)에 대한 다양한 점안액의 보존 효능(PE)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절차는 FDA 시판전 신고(510(k)) 안내 문헌, 및 14일 재투여를 수반하는 ISO/DIS 14730 표준 보존 효능 시험에 적용된다. 평가는 각 병원성 생물에 대하여 각 시험 용액의 세 가지 별도의 로트(lot)로 수행되었다. 각 로트를 각 병원성 생물의 다른 제제로 시험하였다.
박테리아 세포를 18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터 내에서 30 ℃ 내지 35 ℃ 범위의 온도에서 TSA (Tryptic Soy Agar) 슬랜트 상에서 배양하였다. 진균 세포는 2 일 내지 7 일 동안 인큐베이터 내에서 20 ℃ 내지 25 ℃ 범위의 온도에서 SDA (Sabouraud Dextrose Agar) 슬랜트 상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는 염수(USP, 0.9% 염수, 0.1% 트윈(tween)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음) 5 ml 내지 10 ml 중에서 수획되었으며, 이를 각각의 아가 슬랜트에 첨가한 다음, 무균 면봉으로 서서히 진탕하였다. 세포 현탁액을 별도의 멸균 폴리프로필렌 원심분리 튜브에 무균적으로 분배하였다. 3000 rpm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획하고, 1회 세척하고, 염수 TS 중에서 ml 당 2×108 개의 세포 농도로 현탁시켰다.
세포 현탁액 (0.1 ml)을 (시험 용액) 물질 20 ml로 희석시켜 최종 농도가 1.0×105 내지 1.0×106 콜로니-형성 단위 (CFU)에 이르게 하였다.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PBS)는 대조 물질로서 사용되었다. 접종된 시험 및 대조 물질을 정적 배양으로 20 ℃ 내지 25 ℃ 범위의 온도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0 시간의 시점에서, 대조 물질로부터의 PB (포스페이트 완충액, USP, pH 7.2) 1 ml를 PB 9 ml로 희석시키고, 단계적으로 희석된 세포를 박테리아의 경우 TSA 상에, 진균의 경우에는 SDA 상에 3중(triplicate) 플레이팅하였다. 박테리아 플레이트를 2 일 내지 4 일 범위의 기간 동안 30 ℃ 내지 35 ℃ 범위의 온도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진균 플레이트는 2 일 내지 7 일 동안 20 ℃ 내지 25 ℃ 범위의 온도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유사하게, 제7일 및 제14일에, 시험 물질로부터의 1 ml 부피를 데이-엔글레이(Dey-Engley) 중화 브로쓰 (DEB) 9 ml에 가하고, DEB 중에서 단계적으로 희석시키고, 박테리아의 경우 TSA 상에, 진균의 경우에는 SDA 상에 3중 플레이팅하였다. 박테리아 플레이트를 2 일 내지 4 일 범위의 기간 동안 30 ℃ 내지 35 ℃ 범위의 온도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진균 플레이트는 2 일 내지 7 일 범위의 기간 동안 20 ℃ 내지 25 ℃ 범위의 온도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콜로니 발생을 카운팅하였 다.
제14일의 샘플링 직후, 시험 물질을 재접종하여 각 병원성 생물의 최종 농도가 1.0×104 내지 1.0×105에 이르게 하였다. 0 시간의 시점에서, 접종 대조군 1 ml를 PB 9 ml에 가한 다음, 단계적 희석물을 박테리아의 경우 TSA 상에, 진균의 경우에는 SDA 상에 3중 플레이팅하였다. 박테리아 플레이트를 2 일 내지 4 일 범위의 기간 동안 30 ℃ 내지 35 ℃ 범위의 온도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진균 플레이트는 2 일 내지 7 일 범위의 기간 동안 20 ℃ 내지 25 ℃ 범위의 온도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제21일 및 제28일에, 시험 물질 1 ml를 데이-엔글레이 중화 브로쓰 (DEB) 9 ml에 가하고, 또한 단계적 희석물을 TSA 상에 3중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트를 2 일 내지 4 일 범위의 기간 동안 30 ℃ 내지 35 ℃ 범위의 온도에서 인큐베이션하였으며, 콜로니 발생을 카운팅하였다.
박테리아 또는 진균에 대한 허용 기준을 기초로, ml 당 회수된 생존 박테리아 또는 진균의 수가 제14일에 3.0 이상의 로그값 만큼 감소되고, 제14일에서의 재투여 후에 박테리아 또는 진균의 농도가 제28일에 3.0 이상의 로그값 만큼 감소되는 경우, 용액은 허용된다.
시험된 용액에 대한 제14일 및 제28일에서의 결과는 하기 표들에 나타나 있다. "ND"는 "박테리아 수준을 검출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1. PE 에 대한 기본 제제
실시예 1의 조성 및 특성
성분 중량%
염화나트륨 0.220
붕산 0.850
붕산나트륨 0.090
EDTA 0.050
폴리머 JR 0.02
pH 7.2-7.4
삼투압(mOsmo/Kg) 200-240
PE 불합격
실시예 1에 대한 상세한 보존 효능 시험 결과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7일 1.5
14일 2.5
21일 0.6
28일 1.7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7일 ND
14일 ND
21일 ND
28일 ND
에쉬리키아 콜라이 7일 3.6
14일 4.5
21일 2.7
28일 3.6
칸디다 알비칸스 7일 0.6
14일 2.6
21일 0.4
28일 1.5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7일 1.5
14일 2.5
21일 0.0
28일 -0.3
실시예 1은 EDTA, 공지된 보존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폴리머 JR의 조합물이 표 1에 개시된 용액에서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기에 충분한 보존 활성을 갖지 않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2: PE 에 대한 시트르산 아연의 효과
실시예 2의 조성 및 특성
성분 중량%
염화나트륨 0.220
붕산 0.850
붕산나트륨 0.090
EDTA 0.050
폴리머 JR 0.02
시트르산 아연 0.05
pH 7.0-7.4
삼투압(mOsmo/Kg) 200-240
PE 합격
실시예 2에 대한 상세한 보존 효능 시험 결과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7일 4.0
14일 ND
21일 ND
28일 ND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7일 1.8
14일 4.0
21일 2.3
28일 3.3
에쉬리키아 콜라이 7일 4.8
14일 ND
21일 3.8
28일 ND
칸디다 알비칸스 7일 0.6
14일 1.7
21일 0.1
28일 0.7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7일 ND
14일 ND
21일 0.2
28일 0.1
실시예 2는 0.05 중량%의 아세트산 아연이 존재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개시한다. 실시예 2의 조성물은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였다. 따라서, 아세트산 아연의 첨가에 의해 보존 효능이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비해 개선되었다.
실시예 3. PE 에 대한 염화 아연의 효과
실시예 3의 조성 및 특성
성분 중량%
염화나트륨 0.220
붕산 0.850
붕산나트륨 0.090
EDTA 0.050
폴리머 JR 0.02
염화 아연 0.05
pH 7.2-7.6
삼투압(mOsmo/Kg) 260-300
PE 합격
실시예 3에 대한 상세한 보존 효능 시험 결과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7일 ND
14일 ND
21일 ND
28일 ND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7일 ND
14일 ND
21일 ND
28일 ND
에쉬리키아 콜라이 7일 ND
14일 ND
21일 ND
28일 ND
칸디다 알비칸스 7일 0.6
14일 2.6
21일 0.4
28일 1.5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7일 2.2
14일 2.7
21일 0.4
28일 0.2
실시예 3은 0.05 중량%의 염화 아연이 존재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개시한다. 정확한 조성은 상기 표 5에 예시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경우조차도, 실시예 3의 조성물은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였다. 따라서, 염화 아연의 첨가에 의해 보존 효능이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비해 개선되었다. 상세한 결과는 상기 표 6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 4. PE 에 대한 염화 아연의 효과
실시예 4의 조성 및 특성
성분 중량%
염화나트륨 0.450
붕산 0.850
붕산나트륨 0.090
EDTA 0.050
염화 아연 0.050
폴리머 JR 0.02
pH 7.2-7.4
삼투압(mOsmo/Kg) 300-340
PE 합격
실시예 4에 대한 상세한 보존 효능 시험 결과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7일
14일 ND
21일
28일 ND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7일
14일 ND
21일
28일 ND
에쉬리키아 콜라이 7일
14일 ND
21일
28일 ND
칸디다 알비칸스 7일
14일 2.3
21일
28일 1.7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7일
14일 1.6
21일
28일 0.3
실시예 4는, 실시예 4의 조성물 중의 염화나트륨 양이 실시예 3의 조성물 중의 염화나트륨 양의 대략 2배이며 삼투압은 실시예 4의 조성물에서 더 높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3과 동일한 조성물을 개시한다. 실시예 4의 조성물은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였다.
하기 표 9, 표 10 및 표 11에 개시된 비율에 따라 여러 용액들이 제조되었다. 실시예 5는 대조/비교 샘플로서 제조된 용액을 나타낸다. 이 용액은 붕산 나트륨/붕산으로 완충된 염화나트륨 용액을 함유한다. 상기 용액은 PE 시험에 합격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6에 나타낸 용액은, 실시예 6에 나타낸 용액이 0.05 중량% EDTA를 함유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5에 나타낸 용액과 동일하다. EDTA는 공지된 항-미생물 활성을 갖지만, 상기 용액은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7의 용액은, 이 용액이 EDTA 이외에도 폴리머 JR을 함유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6의 용액과 동일하다. 개시된 농도의 폴리머 JR 및 EDTA의 조합물은 실시예 7의 용액에 있어서 특정 농도에서 보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8의 용액은 실시예 6에 아연 (염화 아연)을 첨가한 용액과 동일하다. 아연 및 EDTA의 조합물은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였다.
실시예 9의 용액은 실시예 8의 용액과 동일하며, 추가로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양의 폴리머 JR을 갖는다. 실시예 9의 용액은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였다.
실시예 10의 용액은, 이 용액이 실시예 9에 나타낸 아연 화합물의 절반을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9의 용액과 동일하다. 실시예 10의 용액은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였다.
실시예 11의 용액은, 이 용액이 실시예 10의 용액에 존재하는 아연 화합물의 절반 및 실시예 9의 용액에 존재하는 아연 화합물의 1/4을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0의 용액과 동일하다. 삼투압은 231이었다. 실시예 11의 용액은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12의 용액은, 이 용액이 실시예 11의 용액에 존재하는 아연 화합물의 대략 절반, 실시예 10의 용액에 존재하는 아연 화합물의 대략 1/4 및 실시예 9의 용액에 존재하는 아연 화합물의 대략 1/8을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1의 용액과 동일하다. 삼투압은 224이었다. 실시예 12의 용액은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13의 용액은, 이 용액이 임의의 폴리머 JR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0의 용액과 동일하다. 실시예 13의 용액은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지 못하였다. 폴리머 JR의 존재는 아연 화합물의 보존 효능을 증대시킨다. 이 데이터는 셀룰로오스 중합체를 비롯한 다가양이온 물질이 아연 화합물의 보존 효능을 증대시킬 것임을 시사한다. 실시예 14 및 15는 이들의 용액이 더 적은 양의 아연을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3과 동일한 용액을 개시하며, 마찬가지로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16, 17 및 18의 용액은, 실시예 16, 17 및 18의 용액이 임의의 EDTA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면 각각 실시예 13, 14 및 15의 용액과 동일하다. 놀랍게도, EDTA를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 16, 17 및 18의 용액들은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였지만, 아연 및 EDTA를 갖는 용액은 상기 시험에 합격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19 및 20의 용액은, 실시예 19의 용액이 0.1 중량%의 폴리머 JR을 함유하며 실시예 20의 용액이 아연 화합물 또는 EDTA 없이 0.05 중량%의 폴리머 JR을 함유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5의 대조 용액과 동일하다. 실시예 19 및 20의 용액은 보존 효능 시험에 합격하지 못하였다.
상기 모든 실시예는 아연 화합물이 여러 농도에서 보존 효능을 가짐을 보여준다. 보존 효능은 폴리머 JR의 존재하에 증대된다. 보존 효능은 EDTA 첨가에 의해 증대되지 않는다. 아연 화합물 단독 또는 아연 화합물과 폴리머 JR의 조합물은 보존 효과를 가지며, 공지된 보존제 및/또는 항-미생물제에 비해 적합한 보조제이다.
실시예 5 내지 10의 조성 및 특성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성분(중량%)
붕산 나트륨 0.090 0.090 0.090 0.090 0.090 0.090
붕산 0.850 0.850 0.850 0.850 0.850 0.850
NaCl 0.220 0.220 0.220 0.220 0.220 0.220
EDTA 0.050 0.050 0.050 0.050 0.050
아연 0.050 0.050 0.050
폴리머 JR 0.020 0.020 0.020
pH 7.32 7.22 7.22 6.96 6.97 7.00
삼투압 (mOsmo/Kg) 218 222 223 233 235 230
고압증기멸균 전 관찰 클리어 (clear) 클리어 클리어 클리어 클리어 클리어
PE 결과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실시예 11 내지 15의 조성 및 특성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성분(중량%)
붕산 나트륨 0.090 0.090 0.090 0.090 0.090
붕산 0.850 0.850 0.850 0.850 0.850
NaCl 0.220 0.220 0.220 0.220 0.220
EDTA 0.050 0.050 0.050 0.050 0.050
아연 0.0125 0.0065 0.025 0.0125 0.0065
폴리머 JR 0.020 0.020
pH 7.1 7.19 7.12 7.20 7.22
삼투압 (mOsmo/Kg) 231 224 227 223 223
고압증기멸균 전 관찰 클리어 클리어 클리어 클리어 클리어
PE 결과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실시예 16 내지 20의 조성 및 특성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성분(중량%)
붕산 나트륨 0.090 0.090 0.090 0.090 0.090
붕산 0.850 0.850 0.850 0.850 0.850
NaCl 0.220 0.220 0.220 0.220 0.220
EDTA 0.050 0.050
아연 0.025 0.0125 0.0065
폴리머 JR 0.100 0.050
pH 7.40 7.44 7.43 6.78 6.96
삼투압 (mOsmo/Kg) 221 219 218 227 221
고압증기멸균 전 관찰 클리어 클리어 클리어 클리어 클리어
PE 결과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불합격
상기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상세히 기술 및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 부가 및 치환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부가 및 치환 등은 이하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든다는 사실을 잘 알 것이다.

Claims (78)

  1. 보존 유효량 및 용해량의 아연 화합물을 포함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보존 유효량 미만의 제1 보존제를 갖는 조성물의 보존 효능을 증대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2 원자가 상태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 당 최소 약 0.001 중량%의 아연 화합물 및 최대 약 1 중량%의 아연 화합물을 갖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시트르산 아연, 염화 아연, 아세트산 아연, 브롬화 아연, 플루오르화 아연, 요오드화 아연, 황산암모늄 아연, 질산 아연 및 황산 아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다가양이온 물질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이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약 0.001 중량% 및 최대 약 0.5 중량%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를 갖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이 폴리머(Polymer) JR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0.001 중량% 및 최대 0.5 중량%의 폴리머 JR을 갖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안과용 액제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삼투성 조정제, 완충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점도 조절제 및 치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 다가양이온 물질에 대한 아연의 비율이 최소 약 0.001 및 최대 약 10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녹내장 약제, 무스카린제(muscarinics),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도파민성 아고니스트 및 길항제, 항-감염제, 비-스테로이드성 및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프로스타글란딘, 효소, 성장 인자, 항-알러지제, 베타-차단제 및 혼합물,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 유효량의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물 및 보존 유효량 및 용해량의 아연 화합물, 및 보존 유효량 미만의 암모늄 구아니디늄 또는 4급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2 원자가 상태인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 당 최소 약 0.001 중량% 및 최대 약 1 중량%의 아연 화합물을 갖는 조성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시트르산 아연, 염화 아연, 아세트산 아연, 브롬화 아연, 플루오르화 아연, 요오드화 아연, 황산암모늄 아연, 질산 아연 및 황산 아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8. 제14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이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가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약 0.001 중량% 및 최대 약 0.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조성물.
  22. 제18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이 폴리머 JR인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약 0.001 중량% 및 최대 약 1 중량% 폴리머 JR을 포함하는 조성물.
  24. 제14항에 있어서, 삼투성 조정제, 완충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및 점도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5. 제14항에 있어서, 점안액 형태의 조성물.
  26. 제14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 처리액 형태의 조성물.
  27. 제14항에 있어서, 눈 조직에 대한 자극 없이 눈에 직접 점적주입(instillation)하기에 적합한 조성물.
  28. 제14항에 있어서, 녹내장 약제, 무스카린제,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도파민성 아고니스트 및 길항제, 항-감염제, 비-스테로이드성 및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프로스타글란딘, 효소, 성장 인자, 항-알러지제, 베타-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9. 물, 치료 유효량의 1종 이상의 치료제, 및 보존 유효량 및 용해량의 아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2 원자가 상태인 조성물.
  31. 제29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 당 최소 약 0.001 중량%의 아연 화합물 및 최대 약 1 중량%의 아연 화합물을 갖는 조성물.
  32. 제29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시트르산 아연, 염화 아연, 아세트산 아연, 브롬화 아연, 플루오르화 아연, 요오드화 아연, 황산암모늄 아연, 질산 아연 및 황산 아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33. 제29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34. 제33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이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35. 제34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가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36. 제34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약 0.001 중량% 및 최대 약 0.5 중량%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를 갖는 조성물.
  37. 제33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이 폴리머 JR인 조성물.
  38. 제37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0.001 중량% 및 최대 0.5 중량%의 폴리머 JR을 포함하는 조성물.
  39. 제29항에 있어서, 삼투성 조정제, 완충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및 점도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0. 제29항에 있어서, 점안액 형태의 조성물.
  41. 제29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 처리액 형태의 조성물.
  42. 제29항에 있어서, 눈 조직에 대한 자극 없이 눈에 직접 점적주입하기에 적합한 조성물.
  43. 제29항에 있어서, 치료제가 녹내장 약제, 무스카린제,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도파민성 아고니스트 및 길항제, 항-감염제, 비-스테로이드성 및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프로스타글란딘, 효소, 성장 인자, 항-알러지제, 베타-차단제 및 혼합물,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44. 물, 치료 유효량의 치료제, 및 보존 유효량 및 용해량의 아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과 증상의 치료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2 원자가 상태인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 당 최소 약 0.001 중량%의 아연 화합물 및 조성물의 총 중량 당 최대 약 1 중량%의 아연 화합물을 갖는 방법.
  47. 제44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시트르산 아연, 염화 아연, 아세트산 아연, 브롬화 아연, 플루오르화 아연, 요오드화 아연, 황산암모늄 아연, 질산 아연 및 황산 아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8. 제44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다가양이온 물질을 포함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이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인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약 0.001 중량% 및 최대 약 0.5 중량%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를 갖는 방법.
  51. 제48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이 폴리머 JR인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0.001 중량% 및 최대 0.5 중량%의 폴리머 JR을 포함하는 방법.
  53. 제44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삼투성 조정제, 완충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점도 조절제 및 치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4. 제44항에 있어서, 치료제가 녹내장 약제, 무스카린제,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도파민성 아고니스트 및 길항제, 항-감염제, 비-스테로이드성 및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프로스타글란딘, 효소, 성장 인자, 항-알러지제, 베타-차단제 및 이들의 혼 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5. 물,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 및 용해량의 아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56. 제55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2 원자가 상태인 조성물.
  57. 제55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 당 최소 약 0.001 중량%의 아연 화합물 및 최대 약 1 중량%의 아연 화합물을 갖는 조성물.
  58. 제55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시트르산 아연, 염화 아연, 아세트산 아연, 브롬화 아연, 플루오르화 아연, 요오드화 아연, 황산암모늄 아연, 질산 아연 및 황산 아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59. 제55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약 0.001 중량% 및 최대 약 0.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조성물.
  60. 제55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물질이 폴리머 JR인 조성물.
  61. 제55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0.001 중량% 및 최대 0.5 중량%의 폴리머 JR을 포함하는 조성물.
  62. 제55항에 있어서, 삼투성 조정제, 완충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및 점도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63. 제55항에 있어서, 점안액 형태의 조성물.
  64. 제55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 처리액 형태의 조성물.
  65. 제55항에 있어서, 눈 조직에 대한 자극 없이 눈에 직접 점적주입하기에 적합한 조성물.
  66. 제55항에 있어서, 녹내장 약제, 무스카린제,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도파민성 아고니스트 및 길항제, 항-감염제, 비-스테로이드성 및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프로스타글란딘, 효소, 성장 인자, 항-알러지제, 베타-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 유효량의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67. 보존 유효량 및 용해량의 아연 화합물을 포함하되 보존 유효량의 제1 보존제는 함유하지 않는 보존제를 수성 용매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의 제조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2 원자가 상태인 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 당 최소 약 0.001 중량%의 아연 화합물 및 최대 약 0.001 중량%의 아연 화합물을 갖는 방법.
  70. 제67항에 있어서, 아연 화합물이 시트르산 아연, 염화 아연, 아세트산 아연, 브롬화 아연, 플루오르화 아연, 요오드화 아연, 황산암모늄 아연, 질산 아연 및 황산 아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1. 제67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이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중합체인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약 0.001 중량% 및 최대 약 0.5 중량%를 갖는 방법.
  74. 제71항에 있어서, 다가양이온 물질이 폴리머 JR인 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0.001 중량% 및 최대 0.5 중량%의 폴리머 JR을 포함하는 방법.
  76. 제71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 다가양이온 물질에 대한 아연 화합물의 비율이 최소 약 0.001 및 최대 약 10인 방법.
  77. 제44항에 있어서, 삼투성 조정제, 완충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점도 조절제 및 치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첨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8. 제44항에 있어서, 녹내장 약제, 무스카린제,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도파민성 아고니스트 및 길항제, 항-감염제, 비-스테로이드성 및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프로스타글란딘, 효소, 성장 인자, 항-알러지제, 베타-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 유효량의 치료제를 첨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067020132A 2004-03-29 2005-03-24 아연 보존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KR20060135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12,543 US20050214382A1 (en) 2004-03-29 2004-03-29 Zinc preserva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US10/812,543 2004-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006A true KR20060135006A (ko) 2006-12-28

Family

ID=3496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132A KR20060135006A (ko) 2004-03-29 2005-03-24 아연 보존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50214382A1 (ko)
EP (2) EP1734923B1 (ko)
JP (1) JP2007530685A (ko)
KR (1) KR20060135006A (ko)
CN (1) CN1938003A (ko)
AT (1) ATE550013T1 (ko)
AU (1) AU2005231147A1 (ko)
BR (1) BRPI0509363A (ko)
CA (1) CA2560724A1 (ko)
ES (1) ES2381269T3 (ko)
WO (1) WO20050970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9221A1 (en) * 2003-12-01 2005-06-02 Erning Xia Use of a cationic polysaccharide to enhance biocidal efficacies
EP1942735A2 (en) * 2005-10-25 2008-07-1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 and method
US20070212420A1 (en) * 2006-03-10 2007-09-13 Bausch & Lomb Incorporate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omprising polyanionic materials and zinc-based preservatives
US20070297990A1 (en) * 2006-06-27 2007-12-27 Shah Mandar V Self-preserving composition
WO2008036855A2 (en) * 2006-09-21 2008-03-27 Alcon Research, Ltd. Self-preserved aqueou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WI394564B (zh) * 2006-09-21 2013-05-01 Alcon Res Ltd 自行保存型水性藥學組成物
ZA200901164B (en) * 2006-09-21 2010-06-30 Alcon Res Ltd Self preserved aqueou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N101522171A (zh) * 2006-09-28 2009-09-02 爱尔康研究有限公司 自身防腐的水性药物组合物
US20080095863A1 (en) * 2006-10-24 2008-04-24 Alcon Manufacturing Ltd. 2-pyrrolidone derivatives for preservation of ophthalmic, otic and nasal compositions
DK2254549T4 (da) * 2008-03-17 2019-07-22 Alcon Res Ltd Vandige farmaceutiske sammensætninger, indeholdende borat-polyolkomplekser
CN102405063B (zh) 2009-02-18 2015-12-09 奎克-麦德技术公司 含有过氧化物的超吸收材料
TWI489997B (zh) * 2009-06-19 2015-07-01 Alcon Res Ltd 含有硼酸-多元醇錯合物之水性藥學組成物
US11723852B2 (en) 2011-10-31 2023-08-15 Kane Biotech Inc. Antimicrobial-antibiofilm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personal care products
CA2869716A1 (en) * 2012-04-10 2013-10-17 Rohto Pharmaceutical Co., Ltd. Ophthalmic composition
RU2675813C2 (ru) * 2013-02-15 2018-12-25 Сэндзю Фармацевтикал Ко., Лтд. Эмульсион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ифлупредната, содержащая цинк
DK3160234T3 (da) 2014-06-27 2021-11-08 Kane Biotech Inc Sammensætning til anvendelse til forebyggelse og behandling af oftalmisk-, hånd- eller fodbiofilmvækst
TW202320815A (zh) * 2021-09-30 2023-06-01 日商樂敦製藥股份有限公司 眼科組成物
WO2023227282A1 (en) * 2022-05-25 2023-11-30 Unilever Ip Holdings B.V. Oral car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0748A (en) * 1937-08-21 1941-02-04 Bolideno Gruvaktiebolag Impregnating solution for textiles or other organic materials
US4443429A (en) * 1980-11-28 1984-04-17 Bausch & Lomb Incorporated Contact lens disinfecting and preserving solution (polymeric)
CA1197785A (en) * 1981-09-14 1985-12-10 David A. Glover Anti-dandruff cream rinse conditioner
US4529535A (en) * 1982-06-01 1985-07-16 Sherman Laboratories, Inc. Soft contact lens wetting solution containing preservative system and method
US5141665A (en) 1987-03-31 1992-08-25 Sherman Laboratories, Inc. Cleaning, conditioning, storing and wetting system and method for rigid gas permeable contact lenses and other contact lenses
US4899914A (en) 1988-11-04 1990-02-13 Ciba-Geigy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 sterile preservative-free aerosol saline solution
US5130298A (en) * 1989-05-16 1992-07-14 Ethicon, Inc. Stabilized compositions containing epidermal growth factor
GB8921072D0 (en) * 1989-09-18 1989-11-01 Iolab Corp Preservative for ophthalmic solutions
ATE103182T1 (de) * 1989-09-21 1994-04-15 Ciba Vision Ag Antimikrobielle zusammensetzungen.
FR2665635A1 (fr) * 1990-08-10 1992-02-14 Merck Sharp & Dohme Composition pharmaceutique fluide a base d'un complexe metalliqu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EP0546728A3 (en) * 1991-12-13 1993-09-08 Alcon Laboratories Inc Physiological tea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5460834A (en) * 1991-12-13 1995-10-24 Alcon Laboratories, Inc. Combinations of polymers for use in physiological tear compositions
EP0690728B1 (en) * 1993-01-07 1998-11-25 Polymer Technology Corporation Preservative system for contact lens solutions
US5401327A (en) * 1993-06-18 1995-03-28 Wilmington Partners L.P. Method of treating contact lenses
TW274516B (ko) * 1993-11-12 1996-04-21 Ciba Geigy Ag
CA2134376C (en) * 1993-12-20 2001-10-23 Haresh G. Bhagat Combinations of polymers for use in physiological tear compositions
ES2079320B1 (es) * 1994-05-17 1996-10-16 Cusi Lab Disolucion oftalmica a base de un diclofenaco y tobramicina y sus aplicaciones.
US5607678A (en) * 1994-08-24 1997-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ld shower gel composition comprising unique thickener system which imparts improved lathering properties and modified rinse feel
US5858937A (en) 1996-02-28 1999-01-12 Bausch & Lomb Incorporated Treatment of contact lenses with aqueous solution including phosphonic compounds
US6096138A (en) * 1997-04-30 2000-08-0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inhibiting the deposition of protein on contact lens
US6194457B1 (en) * 1997-01-29 2001-02-27 A. Glenn Braswell Liquid eye drop composition
ES2227331T3 (es) * 1997-07-29 2005-04-01 Alcon Laboratories, Inc. Soluciones de acondicionamiento para el cuidado de las lentes de contacto duras.
US6274133B1 (en) * 1998-12-22 2001-08-14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treating extended-wear contact lenses in the eyes
WO2001024837A1 (en) 1999-10-06 2001-04-12 Vista Scientific Llc Preservative system for ophthalmic solutions
CN1292806C (zh) 2000-10-24 2007-01-03 博士伦公司 通过阳离子多糖防止细菌对生物材料的附着
CA2434961C (en) 2000-11-08 2010-05-25 Bio-Concept Laboratories L-histidine in ophthalmic solutions
AR035509A1 (es) * 2000-12-21 2004-06-02 Alcon Inc Solucion de lagrimas artificiales mejorada que contiene una combinacion de tres emolientes y el uso de dicha solucion para la fabricacion de un medicamento
US6872705B2 (en) 2001-07-13 2005-03-29 Allergan, Inc. Use of antimicrobial peptides as preservatives in ophthalmic preparations, including solutions, emulsions, and suspensions
JP4863589B2 (ja) * 2001-09-28 2012-01-25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水性組成物
US6828356B2 (en) * 2002-07-29 2004-12-07 Ast Products, Inc. Preparation of ophthalmic compositions
JP2004339104A (ja) * 2003-05-14 2004-12-02 Rohto Pharmaceut Co Ltd 溶液の安定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30685A (ja) 2007-11-01
ES2381269T3 (es) 2012-05-24
WO2005097067A1 (en) 2005-10-20
EP1734923A1 (en) 2006-12-27
US20050214382A1 (en) 2005-09-29
EP1734923B1 (en) 2012-03-21
ATE550013T1 (de) 2012-04-15
CA2560724A1 (en) 2005-10-20
EP2269573A1 (en) 2011-01-05
BRPI0509363A (pt) 2007-09-11
AU2005231147A1 (en) 2005-10-20
CN1938003A (zh)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4923B1 (en) Zinc preserva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KR100675720B1 (ko) 아칸트아메바에 대해 증진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조성물
US5380303A (en) Method for using an antimicrobial agent for ophthalmic formulations
JP2008510568A (ja) トリアルカノールアミン・アルコキシレートバッファー剤を含む組成物
US7067479B2 (en) Compositions with enhanced antimicrobial efficacy against E. coli
KR20010031987A (ko) 폴리콰터니움 및 중합체 비구아니드에 의한 콘택트 렌즈의소독
JPH0649642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消毒保存用溶液
JP2008510809A (ja) N,n,n’,n’−テトラキス(ヒドロキシアルキル)ジアミンバッファー剤、又はn,n,n’,n’−テトラキス(ヒドロキシアルコキシ)ジアミンバッファー剤を含む組成物
TW201136621A (en) Multipurpose lens care solution with benefits to corneal epithelial barrier function
US20080161266A1 (en) Ophthalmic Alginate Composition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Methods of Use
EP1976571A1 (en) Improving disinfection efficacy of lens care regimen for rigid gas permeable contact lenses
KR101605145B1 (ko) 콘택트렌즈의 미생물 및 가시아메바 제거용 조성물
US20060067981A1 (en) Contact lens with improved biocidal activity and related methods and materials
US9040510B2 (en) Interaction control of cationic biocides using labile anionic polyelectrolytes
EP1852133A2 (en) Compositions with enhanced antimicrobial efficacy against acanthamoebae
MXPA06006128A (en) Gentle preservative compositions for self-preserving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