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983A -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및 이러한 핸들을 구비하는 유체제어기구 - Google Patents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및 이러한 핸들을 구비하는 유체제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983A
KR20060134983A KR1020067018991A KR20067018991A KR20060134983A KR 20060134983 A KR20060134983 A KR 20060134983A KR 1020067018991 A KR1020067018991 A KR 1020067018991A KR 20067018991 A KR20067018991 A KR 20067018991A KR 20060134983 A KR20060134983 A KR 20060134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ransmission member
cover
elastic body
press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히코 다이도
히데유키 미야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ublication of KR2006013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26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the seat being formed on a rib perpendicular to the fluid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4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16K7/16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the diaphragm being mechanically actuated, e.g. by screw-spindle or c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잉 토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및 이러한 핸들을 구비하는 유체 제어기구를 제공한다.
핸들이 최하 위치까지 하강되었을 때에 소정의 작용을 하는 최소한의 가압력을 가진 탄성체(7)를 구비하고, 핸들 내에, 탄성체에 의해 가압되는 전달 부재(8), 및 상기 전달 부재의 하면이 압접되는 피전달 부재(10)가 설치되며, 피전달 부재의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 또는 전달 부재의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대향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81, 101)과 수직면(82, 102)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의 경사면은, 상기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다.
유체 제어기구, 밸브 케이싱, 유로, 밸브 본체(다이어프램), 협지 부재, 조작 기구, 핸들부, 덮개, 수용 구멍, 핸들 본체, 탄성체, 전달 부재, 피전달 부재, 경사면, 수직면.

Description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및 이러한 핸들을 구비하는 유체 제어기구{TORQUE-LIMITER-EQUIPPED HANDLE AND FLUID CONTROLLER HAVING THE HANDLE}
본 발명은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및 이러한 핸들을 구비하는 유체 제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잉 토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및 유체 제어기구의 개폐 조작을 행할 때 항상 일정한 조이는 힘(tightening force)을 제공함으로써, 밸브 본체(membrane)가 과도한 조임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복 이용하여도 밸브 본체의 마모나 손상이 적으며,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유량 제어를 할 수 있는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을 구비하는 유체 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식성 유체나 고순도가 요구되는 유체를 취급하는 화학공업 플랜트에서는, 유체의 유량 제어를 위해 다이어프램 밸브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이어프램 밸브로서는,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A-1)를 구비한 밸브 케이싱(A), 이러한 유로(A-1)에 대해 접촉 및 이격되는 다이어프램(B), 이러한 다이어프램(B)의 둘레부를 고정하는 협지 부재(C), 다이어프램(B)의 접촉 및 이격을 조작하는 조작 기구(D), 및 이러한 조작 기구(D)와 연결된 핸들(E)로 구성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다이어프램 밸브에 있어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E)의 내부에 조작 기구(D)의 일부를 형성하는 조작봉(D-1)이 끼워져 부착되어 있고, 핸들(E)의 회전에 따라 조작봉(D-1)이 상하 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핸들(E)을 회전시키면, 이러한 핸들(E)과 연결되어 있는 조작 기구(D)가 상하 이동하고, 이러한 조작 기구(D)의 상하 이동에 의해 다이어프램(B)이 밸브 케이싱(A)의 접촉부(A-2)에 압접 또는 이격되어, 유로(A-1)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이상과 같은 다이어프램 밸브(Z)에 있어서, 다이어프램(B)은 항상 유체와 접해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내식성 및 굴곡성이 뛰어난 연질의 고무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질의 고무재료에 의해 유로(A-1)의 개폐가 행해지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에 큰 저항을 부여하지 않고, 또한 밀봉성이 뛰어나 유체 누설이 없으며, 부식의 우려가 없어, 산(酸) 등의 화학 약품을 차단하는 데에 우수한 특성을 가진 유체 제어기구구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다이어프램 밸브(Z)에서는, 유로(A-1) 폐쇄시에 다이어프램(B)의 손상을 초래하기 쉽고, 반복하여 장기간에 걸쳐 이용함에 따라 다이어프램의 열화나 피로가 현저하게 되어,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된 유량 제어를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다이어프램 밸브(Z)에서는, 핸들(E)의 회전에 의해 조작 기구(D)가 아래로 이동되어, 다이어프램(B)을 접촉부(A-2)에 압접시킴으로써 유로(A-1)가 폐쇄되지만, 이러한 유로 폐쇄시에 있어서의 핸들(E)의 조임이 필요 이상으로 강해지는 경우가 많아, 연질의 고무재료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B)에 과도한 부하를 부여하므로, 장기간의 반복 이용에 따라서 손상이나 마모가 생기기 쉽고,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유량 제어를 행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먼저 일본국 특허 제3358147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을 창출하였다.
상기 일본국 특허 제3358147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다이어프램에 의한 유로의 개폐 조작을 항상 일정한 조이는 힘으로 행할 수 있고, 반복 이용해도 다이어프램의 마모나 손상이 적으며,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유량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매우 우수한 기술이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허 제3358147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구형(球型) 전달 부재의 하단부를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반구형 오목부에 끼워 넣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유로의 개방을 양호하게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즉, 과잉 조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는, 유로 폐쇄 방향(조이는 방향)으로의 핸들의 회전만 방지하면(즉, 핸들을 공전시킴) 되지만, 상기 개시된 기술의 구성에서는, 핸들을 좌우 어느 쪽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같은 저항력이 작용하므로, 유로 개방 방향으로의 핸들의 회전까지도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한 토크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탄성 부재의 스프링 정수를 바꿀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제한 토크를 세밀하게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부품 수가 많으므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제조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이어프램 등의 밸브 본체에 의한 유로의 개폐 조작을 항상 일정한 조이는 힘으로 행할 수 있고, 반복 이용해도 다이어프램 등의 밸브 본체의 마모나 손상이 적어,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유량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유로의 개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제한 토크의 설정이 용이하며,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유체 제어기구구, 및 상기 유체 제어기구구 등에 적용 가능하고 과잉 토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핸들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조작 기구를 가지는 기기에 이용되는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내측에 설치된 핸들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는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며, 그 하강 거리가 일정 거리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수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상기 조작 기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체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의 선단부에 그 가압력을 상기 핸들 본체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은 상기 핸들부가 최하 위치까지 하강되었을 때에 소정의 작용을 하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핸들 본체는, 그 상부에 상기 전달 부재의 하면이 압접되는 피전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는 상기 조작 기구와 연결되며, 상기 피전달 부재의 상기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 또는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대향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과 수직면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의 경사면은, 상기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핸들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조작 기구를 가지는 기기에 이용되는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내측에 설치된 핸들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부는, 그 하부가 상기 조작 기구와 연결되며, 그 상부에 수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상기 조작 기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체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선단부에 그 가압력을 상기 덮개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은 상기 핸들부가 최하 위치까지 하강되었을 때에 소정의 작용을 하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고, 상기 덮개는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며, 그 하강 거리가 일정 거리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그 하부에 상기 전달 부재의 상면이 압접되는 피전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전달 부재의 상기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 또는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대향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과 수직면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의 경사면은, 상기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유로가 설치된 밸브 케이싱,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상면 쪽에 하단부가 접속된 조작 기구, 및 상기 조작 기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핸들부를 구비하는 유체 제어기구구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내측에 설치된 핸들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는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며, 그 하강 거리가 일정 거리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수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상기 조작 기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체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의 선단부에 그 가압력을 상기 핸들 본체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은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핸들 본체는, 그 상부에 상기 전달 부재의 하면이 압접되는 피전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는 상기 조작 기구와 연결되며, 상기 피전달 부재의 상기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 또는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대향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과 수직면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의 경사면은, 상기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구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유로가 설치된 밸브 케이싱,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상면 쪽에 하단부가 접속된 조작 기구, 및 상기 조작 기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핸들부를 구비하는 유체 제어기구구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내측에 설치된 핸들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 본체는, 그 하부가 상기 조작 기구와 연결되며, 그 상부에 수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상기 조작 기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체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선단부에 그 가압력을 상기 덮개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은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고, 상기 덮개는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며, 그 하강 거리가 일정 거리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그 하부에 상기 전달 부재의 상면이 압접되는 피전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전달 부재의 상기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 또는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대향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과 수직면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의 경사면은, 상기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가,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피전달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과 수직면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된 부재이고, 상기 피전달 부재가, 상기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전달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과 수직면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된 부재로서, 상기 피전달 부재의 각 경사면이 상기 전달 부재의 각 경사면에 대해서 압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가,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피전달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원호형 면을 가진 부재로 구성되고, 1개의 원호형 면이 상기 피전달 부재의 1개의 경사면에 대해서 압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달 부재가, 상기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전달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원호형 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되고, 1개의 원호형 면이 상기 전달 부재의 1개의 경사면에 대해서 압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 또는 상기 피전달 부재가 구형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은,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멍이 환형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체가 상기 환형 홈과 동일한 직경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및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덮개의 하강 거리가 일정 거리로 미리 설정되고, 탄성체의 가압력이 핸들부를 최하 위치까지 하강시켰을 때에 소정의 작용을 하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으므로, 항상 일정한 조이는 힘으로 소정의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피전달 부재의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과 수직면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의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의 경사면은,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는 일정 이상의 부하가 가해진 경우에는 공전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는 확실하게 그 힘을 핸들 본체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제한 토크를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3 및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덮개의 하강 거리가 일정 거리로 미리 설정되고, 탄성체의 가압력이, 밸브 본체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으므로, 밸브 본체에 의한 유로의 개폐 조작을 항상 일정한 조이는 힘으로 행할 수 있고, 반복 이용해도 밸브 본체의 마모나 손상이 적으며,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유량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피전달 부재의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과 수직면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의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의 경사면은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져 있으므로,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덮개를 회전시켰을 때에는 일정 이상의 부하가 가해진 경우에는 공전하지만, 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는 그 힘을 확실하게 핸들 본체로 전달하여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제한 토크를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덮개를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일정 이상의 부하가 가해진 경우에 경사면끼리 미끄러지게 하여 공전시킬 수 있고, 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는 수직면끼리 맞닿으므로 그 힘을 확실하게 핸들로 전달하여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저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청구항 6 및 7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덮개를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일정 이상의 부하가 가해진 경우에 원호형 면을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하여 공전시킬 수 있고, 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는 원호형 면이 수직면에 맞닿으므로 그 힘을 확실하게 핸들 본체로 전달하여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피전달 부재 또는 피전달 부재가 구형체로 이루어지므로, 일정 이상의 부하가 가해진 경우에 구면을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하여 공전시킬 수 있고, 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는 구면이 수직면에 맞닿으므로 그 힘을 확실하게 핸들 본체로 전달하여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감소시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을 구비한 유체 제어기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덮개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전달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배면도, (b)는 (a)의 일점 쇄선을 따르는 단면도, (c)는 (a)의 일점 쇄선을 따르는 다른 예의 단면도, (d)는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핸들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걸림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피전달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a) 의 일점 쇄선을 따르는 단면도, (c)는(a)의 일점 쇄선을 따르는 다른 예의 단면도, (d)는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서의 전달 부재와 피전달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서의 전달 부재와 피전달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서의 전달 부재와 피전달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서의 전달 부재와 피전달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서의 전달 부재와 피전달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서의 전달 부재와 피전달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예에서의 전달 부재와 피전달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예에서의 전달 부재와 피전달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8은 전달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종래의 다이어프램 밸브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다이어프램 밸브의 핸들부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C-C'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및 이러한 핸들을 구비한 유체 제어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은, 토크 관리가 필요한(과잉 토크의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음) 임의의 기기에 대해서 적용 가능하며, 그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그 대표적인 적용예인 유체 제어기구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을 구비한 유체 제어기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1)는, 유로(21)가 설치된 밸브 케이싱(2), 상기 유로(2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밸브 본체(3), 이러한 밸브 본체(3)의 둘레부를 밸브 케이싱(2)과의 사이에 협지하여 고정하는 협지 부재(4), 밸브 본체(3)의 상면 측에 하단부가 접속되어 설치된 조작 기구(5), 및 이러한 조작 기구(5)를 상하 이동시키는 핸들부(6)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로서, 밸브 본체(3)가 다이어프램으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 밸브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밸브 본체(3)를 다이어프램(3)이라고 칭한다.
단,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다이어프램 밸브로 한정되지 않고, 과도한 조임에 의한 변형이 우려되는 유체 제어기구 전반에 대해서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다이어프램 밸브 이외에, 디스크 밸브, 니들 밸브, 플러그 밸브, 벨로우즈 밸브 등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밸브 본체(3)에는, 다이어프램 이외에 이들 다른 종류의 유체 제어기구에 이용되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본체도 포함된다.
핸들부(6)는, 덮개(61), 및 이러한 덮개(61)의 내측에 설치된 핸들 본체(62)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61)는,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며, 그 하강 거리는 일정 거리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도 2는 덮개(61)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덮개(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하방으로 개방된 복수개의 수용 구멍(61a)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수용 구멍(61a)의 내부에 각각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체(7)가 수용되어 있다.
이들 탄성체(7)는, 조작 기구(5)를 하방으로 가압하며, 그 가압력(가압 거 리)은, 덮개(61)가 최하 위치까지 하강했을 때에, 다이어프램(3)에 의해 유로(21)를 폐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압력(가압 거리)으로 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탄성체의 수 및 형상, 및 탄성체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의 수 및 형상에 대하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달 부재로부터 피전달 부재를 향해 적당한 탄성력을 가압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임의의 형상 및 수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용 구멍(61a)을 환형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이들 수용 구멍(61a)에 각각 탄성체(7)를 수용하는 구성에 대신하여, 수용 구멍(61a)을 핸들축을 중심으로 하는 1개의 대직경의 환형 홈으로 하고, 이러한 환형 홈에, 상기 환형 홈과 같은 직경을 가진 1개의 대직경 탄성체(스프링)를 수용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변경예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의 탄성체(7) 및 수용 구멍(61a, 62c)에도 채용할 수 있다.
탄성체(7)의 선단부(하단부)에는, 탄성체(7)의 가압력을 핸들 본체(62)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8)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달 부재(8)는, 상기 복수개의 수용 구멍(61a)을 연결하도록 덮개(61)의 하면에 형성된 환형 오목부(61b)에 결합된다.
도 3은 전달 부재(8)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배면(하면)도, (b)는 (a)의 일점 쇄선에 따르는 단면도, (c)는 (a)의 일점 쇄선에 따르는 다른 예의 단면도, (d)는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전달 부재(8)는 환형 부재로서, 그 배면(하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81)과 수직면(82)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의 경사면(81)은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우측 회전 방향)에 따라 상향 경사진다. 또한, 전달 부재(8)의 둘레부의 복수개의 위치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멈춤용 돌기부(83)를 형성해도 된다.
전달 부재(8)의 배면에 상기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에, (b)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판을 절곡시킴으로써 표면 및 이면 양면에 요철을 형성해도 되고,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은 평면으로 배면에만 요철을 형성해도 된다. (d)에서는, 요철은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핸들 본체(62)의 종단면도이다.
핸들 본체(62)는, 그 상면에 환형 오목부(62a)가 형성된다.
핸들 본체(62)의 하방에, 조작 기구(5)와 연결되는 결합부(63)가 형성되어, 핸들 본체(62)와 조작 기구(5)가 연결된다. 중도부, 구체적으로는 덮개(61)의 하부와 대향하는 부분에, 후술하는 걸림편(9)이 결합하는 결합부(62b)가 형성된다.
걸림편(9)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핸들 본체(62)의 결합부(62b)와 결합하는 개구부(9a)가 설치된 링형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걸림핀(도시하지 않음)을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는 삽입공(92)이 형성된다. 또한, 선단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나사(91)와 나사 결합하는 구멍부(91a)가 형성된다.
핸들 본체(62)의 오목부(62a)에, 상기 전달 부재(8)의 하면이 압접되는 피전달 부재(10)가 결합된다.
도 6은 피전달 부재(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상면)도, (b)는 (a)의 일점 쇄선에 따르는 단면도, (c)는 (a)의 일점 쇄선에 따르는 다른예 의 단면도, (d)는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피전달 부재(10)는 전달 부재(8)와 같은 직경의 환형 부재로서, 그 표면(상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101)과 수직면(102)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의 요철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의 경사면(101)은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우측 회전 방향)에 따라 상향 경사진다. 또한, 피전달 부재(10)의 둘레부의 복수개 위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멈춤의 돌기부(83)를 형성해도 된다.
피전달 부재(10)의 표면에 상기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에, (b)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판을 절곡함으로써 표면 및 이면 양면에 요철을 형성해도 되고,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은 평면으로 하고 표면에만 요철을 형성해도 된다. (d)의 도에서는, 요철은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
피전달 부재(10)와 전달 부재(8)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요철의 형상이 합치하면, 다른 부분(예를 들면 두께 등)을 상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달 부재(8) 및 피전달 부재(10)의 요철의 수나 형상에 대하여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요철의 수를 증감시키거나, 경사면의 경사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전달 부재(8)와 피전달 부재(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도, 도 3의 (d) 및 도 6의 (d)와 마찬가지로 요철은 일부만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8)와 피전달 부재(10)는, 정상 상태에서는, 경사면끼리 상하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요철끼리 서로 맞물린 상태로 된다.
전달 부재(8)는 상방에 장착된 탄성체(7)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피전달 부재(10)에 대해 압접된다.
이하,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로(21)를 폐쇄하는 경우에, 먼저 핸들부(6)의 덮개(61)를 조이는 방향(우측 회전)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러한 회전에 따라서 덮개(61)가 하강하고, 이러한 하강에 따라 핸들 본체(62) 및 조작 기구(5)가 각각 하강하지만, 덮개(61)의 하강은 일정거리에 정지되어, 그 이상은 하강하지 않는다.
이 덮개(61)의 하강이 정지한 상태에서, 덮개(61)를 조이는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달 부재(8)의 경사면(81)이 피전달 부재(10)의 경사면(101)을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전달 부재(8)가 피전달 부재(10) 상에서 공전(空轉)한다. 따라서, 덮개(61)가 공전하여, 덮개(61)를 회전시켜도, 핸들 본체(62)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한편, 덮개(61)를 반대 방향(이완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는, 전달 부재(8)의 수직면(82)이 피전달 부재(10)의 수직면(102)에 맞닿으므로, 전달 부재(8)의 회전에 따라 피전달 부재(10)도 회전한다. 따라서, 덮개(61)의 회전에 의해 핸들 본체(62)를 상승시켜 유로(21)를 개방할 수 있다.
덮개(61)의 하강이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는, 수용 구멍(61a) 내에 수용되어 있는 탄성체(7)의 하방으로의 가압력이 전달 부재(8)로부터 피전달 부재(10)를 통하여 핸들 본체(62) 및 조작 기구(5)로 전달되어, 다이어프램(3)이 유로(21)의 밀봉 시트(22)에 맞닿아, 유로(21)가 폐쇄된다.
이때, 탄성체(7)의 가압력은, 다이어프램(3)에 의해 유로(21)를 폐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으므로, 다이어프램(3)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덮개(61)의 하강 거리가 미리 일정 거리로 설정되고, 탄성체(7)의 가압력이, 다이어프램(3)에 의해 유로(21)를 폐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됨으로써, 항상 일정한 조이는 힘으로 다이어프램에 의해 유로를 폐쇄시킬 수 있어, 반복 이용해도 다이어프램의 마모나 손상이 적으며,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유량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의 유체 제어기구의 기본 형태는 제1 실시예와 공통되므로, 이하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유체 제어기구가 제1 실시예의 것과 상이한 점은, 전달 부재(8)와 피전달 부재(10)의 배치가 제1 실시예의 것과 반대로 되어 있는 점이며, 이하 이러한 상이점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유체 제어기구의 덮개(61)는, 그 내부에 하방으로 개방된 환형 오목부(61b)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오목부(61b)의 내부에는 피전달 부재(10)가 결합된다. 그리고, 피전달 부재(10)의 구성에 대하여는, 표면 및 이면이 반대인(즉, 요철면이 하면으로 되도록 배치됨)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핸들 본체(62)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수용 구멍(62c)이 둘레 방향으로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수용 구멍(62c)에, 각각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체(7)의 아래쪽 부분이 수용된다.
이들 탄성체(7)는, 조작 기구(5)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그 가압력(가압 거리)은, 덮개(61)가 최하 위치까지 하강했을 때에, 다이어프램(3)에 의해 유로(21)를 폐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압력(가압 거리)으로 된다.
탄성체(7)의 상단부에는 각각 전달 부재(8)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전달 부재(8)는, 탄성체(7)의 위쪽 부분이 덮개(61)의 오목부(61b)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오목부(61b)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전달 부재(8)의 구성에 대하여는, 표면 및 이면이 반대인(즉, 요철면이 상면으로 되도록 배치됨)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전달 부재(8)와 피전달 부재(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도 요철은 일부만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8)와 피전달 부재(10)는, 위치 관계가 제1 실시예의 것과 반대이지만,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경사면끼리 상하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요철끼리 서로 맞물린 상태로 된다.
전달 부재(8)는 하방에 장착된 탄성체(7)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피전달 부재(10)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압접된다.
이하,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로(21)를 폐쇄할 경우, 먼저 핸들부(6)의 덮개(61)를 조이는 방향(우측 회전)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러한 회전에 따라서 덮개(61)가 하강하고, 이러한 하강에 따라 핸들 본체(62) 및 조작 기구(5)가 각각 하강하지만, 덮개(61)의 하강은 일정 거리에서 정지되어, 그 이상은 하강하지 않는다.
이러한 덮개(61)의 하강이 정지한 상태에서, 덮개(61)를 조이는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전달 부재(10)의 경사면(101)이 전달 부재(8)의 경사면(81)을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피전달 부재(10)가 전달 부재(8) 상에서 공전한다. 따라서, 덮개(61)가 공전하여, 덮개(61)를 회전시켜도, 핸들 본체(62)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한편, 덮개(61)를 반대 방향(이완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는, 피전달 부재(10)의 수직면(102)이 전달 부재(8)의 수직면(82)에 맞닿으므로, 피전달 부재(10)의 회전에 따라 전달 부재(8)도 회전한다. 따라서, 덮개(61)의 회전에 의해 핸들 본체(62)를 상승시켜 유로(21)를 개방할 수 있다.
덮개(61)의 하강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탄성체(7)의 상방으로의 가압력의 반력이 핸들 본체(62) 및 조작 기구(5)로 전달되어, 다이어프램(3)이 유로(21)의 밀봉 시트(22)에 맞닿아, 유로(21)가 폐쇄된다.
이때, 탄성체(7)의 가압력은, 다이어프램(3)에 의해 유로(21)를 폐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으므로, 다이어프램(3)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 다.
제3 실시예의 유체 제어기구의 기본 형태는 제1 실시예와 공통되므로, 이하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의 유체 제어기구가 제1 실시예의 것과 상이한 점은, 전달 부재(8)가 구형체로 되어 있다는 점이며, 이하 이러한 상이점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덮개(61)는, 그 내부에 하방으로 개방된 복수개의 수용 구멍(61a)을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구비하고 있고, 이들 수용 구멍(61a)의 내부에는 각각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체(7)가 수용되고, 이들 탄성체(7)의 선단부(하단부)에, 탄성체(7)의 가압력을 핸들 본체(62)에 전달하는 구형체로 이루어진 전달 부재(8)가 형성된다. 그리고, 구형체의 반경은, 피전달 부재(10)의 수직면(102)의 높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탄성체(7)는 조작 기구(5)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그 가압력(가압 거리)은, 덮개(61)가 최하 위치까지 하강했을 때에, 다이어프램(3)에 의해 유로(21)를 폐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압력(가압 거리)으로 된다.
도 13은 전달 부재(8)와 피전달 부재(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전달 부재(8)는 1개만 도시하고, 피전달 부재(10)의 요철은 일부만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체로 이루어진 전달 부재(8)는, 정상 상태에서, 피전달 부재(10)의 경사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전달 부재(8)는 상방에 장착된 탄성체(7)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피전달 부재(10)의 경사면(101)에 대해서 윗쪽으로부터 압접된다.
이하,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로(21)를 폐쇄하는 경우, 먼저 핸들부(6)의 덮개(61)를 조이는 방향(우측 회전)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에 따라 덮개(61)가 하강하고, 이러한 하강에 따라 핸들 본체(62) 및 조작 기구(5)가 각각 하강하지만, 덮개(61)의 하강은 일정 거리에서 정지되어, 그 이상은 하강하지 않는다.
이러한 덮개(61)의 하강이 정지한 상태에서, 덮개(61)를 조이는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달 부재(8)가 피전달 부재(10)의 경사면(101)을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전달 부재(8)가 피전달 부재(10) 상에서 공전한다. 따라서, 덮개(61)가 공전하여, 덮개(61)를 회전시켜도 핸들 본체(62)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한편, 덮개(61)를 반대 방향(이완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전달 부재(8)의 측부가 피전달 부재(10)의 수직면(102)에 맞닿기 때문에, 전달 부재(8)의 회전에 따라 피전달 부재(10)도 회전한다. 따라서, 덮개(61)를 회전시킴으로써 핸들 본체(62)를 상승시켜 유로(21)를 개방할 수 있다.
덮개(61)의 하강이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체(7)의 하방으로의 가압력이, 전달 부재(8)로부터 피전달 부재(10)를 통하여 핸들 본체(62) 및 조작 기구(5) 로 전달되어, 다이어프램(3)이 유로(21)의 밀봉 시트(22)에 맞닿아, 유로(21)가 폐쇄된다.
이때, 탄성체(7)의 가압력은, 다이어프램(3)에 의해 유로(21)를 폐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어프램(3)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의 유체 제어기구의 기본 형태는 제2 실시예와 공통되므로, 이하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의 유체 제어기구가 제2 실시예의 것과 상이한 점은, 전달 부재(8)가 구형체로 되어 있다는 점이며, 이하 이러한 상이점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 실시예의 유체 제어기구의 덮개(61)는, 그 내부에 하방으로 개방된 환형 오목부(61b)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오목부(61b)의 내부에는 피전달 부재(10)가 결합된다. 피전달 부재(10)의 구성에 대하여는, 제2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핸들 본체(62)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수용 구멍(62c)이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수용 구멍(62c)에는, 각각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체(7)의 아래쪽 부분이 수용된다.
이들 탄성체(7)는, 조작 기구(5)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그 가압력(가압 거리)은, 덮개(61)가 최하 위치까지 하강했을 때에, 다이어프램(3)에 의해 유로(21)를 폐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압력(가압 거리)으로 된다.
탄성체(7)의 상단부에는 각각 구형체로 이루어진 전달 부재(8)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전달 부재(8)는, 탄성체(7)의 윗쪽 부분이 덮개(61)의 오목부(61b)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오목부(61b) 내에 위치된다.
도 16은 전달 부재(8)와 피전달 부재(1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전달 부재(8)는 1개만 도시하고, 피전달 부재(10)의 요철은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체로 이루어진 전달 부재(8)는,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피전달 부재(10)의 경사면 아래에 위치된다.
전달 부재(8)는 하방에 장착된 탄성체(7)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피전달 부재(10)의 경사면(101)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압접된다.
이하,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로(21)를 폐쇄할 경우, 먼저 핸들부(6)의 덮개(61)를 조이는 방향(우측 회전)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에 따라 덮개(61)가 하강하고, 이러한 하강에 따라 핸들 본체(62) 및 조작 기구(5)가 각각 하강하지만, 덮개(61)의 하강은 일정 거리에서 정지되어, 그 이상은 하강하지 않는다.
이러한 덮개(61)의 하강이 정지한 상태에서, 덮개(61)를 조이는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달 부재(8)가 피전달 부재(10)의 상 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피전달 부재(10)가 전달 부재(8) 상에서 공전한다. 따라서, 덮개(61)가 공전하여, 덮개(61)를 회전시켜도, 핸들 본체(62)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한편, 덮개(61)를 반대 방향(이완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는, 피전달 부재(10)의 측부가 전달 부재(8)의 수직면(82)에 맞닿기 때문에, 피전달 부재(10)의 회전에 따라 전달 부재(8)도 회전한다. 따라서, 덮개(61)의 회전에 의해 핸들 본체(62)를 상승시켜 유로(21)를 개방할 수 있다.
덮개(61)의 하강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탄성체(7)의 상방으로 가압력의 반력이, 핸들 본체(62) 및 조작 기구(5)로 전달되어, 다이어프램(3)이 유로(21)의 밀봉 시트(22)에 맞닿아, 유로(21)가 폐쇄된다.
이때, 탄성체(7)의 가압력은, 다이어프램(3)에 의해 유로(21)를 폐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어프램(3)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상기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서의 전달 부재(8)는 구형체에 한정되지 않고, 피전달 부재(10)와의 대향면에 상기 피전달 부재(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호형 면을 가지는 부재이면 된다.
전달 부재(8)의 다른 예로서는, 원통체나 반구체를 들 수 있고, 이들을 구형체에 대신하여 탄성체(7)에 장착하여도 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 평판의 한쪽 면(피전달 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반구형 돌기(84)가 형성된 전달 부재(8)로 할 수도 있다. (a)는 평면도, (b)는 (a)의 일점 쇄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경우, 전달 부재(8)는 환형 오목부 내에 결합된다.
상기 변경예에 있어서, 원호형 면의 반경(가상 원의 반경)은 피전달 부재(10)의 수직면(102)의 높이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달 부재(8) 측에만 탄성체(7)를 배치하는 구성을 나타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달 부재(8)와 피전달 부재(10)의 양쪽 측에 탄성체(7)를 배치하여, 각각 탄성체(7)에 의해 서로 역방향(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피전달 부재(10)를, 전달 부재(8)와의 대향면에 상기 전달 부재(8)의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호형 면을 가지는 부재, 예를 들면 구형체 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재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제어기구에 있어서, 덮개(61)가 공전하면, 도 5에 나타낸 걸림편(9)이 핸들 본체(62)의 결합부(62b)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덮개(61)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걸림편(9)을 핸들 본체(62)에 결합 시킴으로써, 구멍부(91a)에 나사(91)를 나사 결합시켜 상방(덮개 내부)으로 돌출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핀을 삽입공(92)에 삽입하면, 덮개(61)와 핸들 본체(62)가 연결되어, 다이어프램(3)에 의한 유로의 개폐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장기간의 반복 이용에 의한 그리스의 열화나 나사면의 그리스 감소에 의해, 마찰이 증가하여 조임 토크가 증가되는 경우에도, 덮개가 공전하여 유로를 개폐시킬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및 이러한 핸들을 구비하는 유체 제어기구는, 토크 관리가 요구되는 기기, 예를 들면 화학공업 플랜트 등에 있어서 유체의 유량 제어를 행하기 위한 유체 제어기구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Claims (9)

  1. 핸들부(6)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조작 기구(5)를 가지는 기기에 이용되는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덮개(61), 및 상기 덮개의 내측에 설치된 핸들 본체(62)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는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며, 그 하강 거리가 일정 거리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수용 구멍(6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상기 조작 기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체(7)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의 선단부에 그 가압력을 상기 핸들 본체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은 상기 핸들부가 최하 위치까지 하강되었을 때에 의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핸들 본체는, 그 상면에 환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전달 부재의 하면이 압접되는 피전달 부재(10)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핸들 본체의 하부는 상기 조작 기구와 연결되며,
    상기 피전달 부재의 상기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 또는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대향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81, 101)과 수직면(82, 102)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의 경사면은, 상기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2. 핸들부(6)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조작 기구(5)를 가지는 기기에 이용되는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덮개(61), 및 상기 덮개의 내측에 설치된 핸들 본체(62)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부는, 그 하부가 상기 조작 기구와 연결되며, 그 상부에 수용 구멍(6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상기 조작 기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체(7)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선단부에 그 가압력을 상기 덮개(61)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은 상기 핸들부가 최하 위치까지 하강되었을 때에 원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고,
    상기 덮개는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며, 그 하강 거리가 일정 거리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환형 오목부(61b)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달 부재의 상면이 압접되는 피전달 부재(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전달 부재의 상기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 또는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대향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81, 101)과 수 직면(82, 102)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의 경사면은, 상기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3. 유로(21)가 설치된 밸브 케이싱(2),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본체(3), 상기 밸브 본체의 상면 쪽에 하단부가 접속된 조작 기구(5), 및 상기 조작 기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핸들부(6)를 구비하는 유체 제어기구(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덮개(61), 및 상기 덮개의 내측에 설치된 핸들 본체(62)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는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며, 그 하강 거리가 일정 거리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수용 구멍(6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상기 조작 기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체(7)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의 선단부에 그 가압력을 상기 핸들 본체(62)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은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핸들 본체는, 그 상면에 환형 오목부(62b)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전달 부재의 하면이 압접되는 피전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들 본체의 하부는 상기 조작 기구와 연결되며,
    상기 피전달 부재의 상기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 또는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대향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81, 101)과 수직면(82, 102)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의 경사면은, 상기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
  4. 유로(21)가 설치된 밸브 케이싱(2),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본체(3), 상기 밸브 본체의 상면 쪽에 하단부가 접속된 조작 기구(5), 및 상기 조작 기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핸들부(6)를 구비하는 유체 제어기구(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덮개(61), 및 상기 덮개의 내측에 설치된 핸들 본체(62)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 본체는, 그 하부가 상기 조작 기구와 연결되며, 그 상부에 수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구멍 내에 상기 조작 기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체(7)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선단부에 그 가압력을 상기 덮개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은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최소한의 가압력으로 되어 있고,
    상기 덮개는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며, 그 하강 거리가 일정 거리로 미 리 설정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환형 오목부(61b)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달 부재의 상면이 압접되는 피전달 부재(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전달 부재의 상기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 또는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대향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81, 101)과 수직면(82, 102)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의 경사면은, 상기 덮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가,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피전달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81)과 수직면(82)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된 부재이고, 상기 피전달 부재가, 상기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전달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경사면(101)과 수직면(102)이 교대로 나타나는 톱니형 요철이 형성된 부재로서, 상기 피전달 부재의 각 경사면이 상기 전달 부재의 각 경사면에 대해서 압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가, 상기 피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피전달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원호형 면을 가진 부재로 구성되고, 1개의 원호형 면이 상기 피전달 부재의 1개의 경사면에 대해서 압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달 부재가, 상기 전달 부재와의 대향면에 상기 전달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원호형 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되고, 1개의 원호형 면이 상기 전달 부재의 1개의 경사면에 대해서 압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 또는 상기 피전달 부재가 구형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멍이 환형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체가 상기 환형 홈과 동일한 직경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기구.
KR1020067018991A 2004-03-26 2004-12-22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및 이러한 핸들을 구비하는 유체제어기구 KR200601349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93499 2004-03-26
JP2004093499A JP2005282603A (ja) 2004-03-26 2004-03-26 トルクリミッター付きハンドル及びこのハンドルを備えた流体制御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983A true KR20060134983A (ko) 2006-12-28

Family

ID=35056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991A KR20060134983A (ko) 2004-03-26 2004-12-22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및 이러한 핸들을 구비하는 유체제어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157015A1 (ko)
EP (1) EP1729047A1 (ko)
JP (1) JP2005282603A (ko)
KR (1) KR20060134983A (ko)
CN (1) CN1902420A (ko)
CA (1) CA2552412A1 (ko)
IL (1) IL176052A0 (ko)
TW (1) TW200532131A (ko)
WO (1) WO20050933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445B1 (ko) * 2007-07-20 2010-10-06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제어밸브
KR101479740B1 (ko) * 2013-11-21 2015-01-06 고려전자주식회사 복합형 열동식 구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9103A (ja) 2006-10-03 2008-04-17 Smc Corp 手動切換弁
KR100994527B1 (ko) * 2007-07-20 2010-11-16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수동밸브
ATE474167T1 (de) * 2007-08-03 2010-07-15 Georg Fischer Wavin Ag Ventilanordnung mit drehmomentbegrenzer
JP4993225B2 (ja) * 2009-06-10 2012-08-08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操作ハンドルのトルク解放機構
JP5769452B2 (ja) * 2011-03-09 2015-08-26 株式会社平和 弾球遊技機
CN103307307A (zh) * 2013-05-09 2013-09-18 浙江日特科技有限公司 一种隔膜阀
US11236846B1 (en) * 2019-07-11 2022-02-01 Facebook Technologies, Llc Fluidic control: using exhaust as a control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8377A (en) * 1947-02-01 1952-08-26 George B Scarlett Valve operating device
FR1324977A (fr) * 1962-03-13 1963-04-26 Outiperret Limiteur de couple
US3441115A (en) * 1967-11-20 1969-04-29 Duriron Co Valve handle with torque limit adjustment means
DE2226272A1 (de) * 1971-06-21 1972-12-28 Adriano Gardella S.p.A., Genua (Italien); vtr: Baur, E., Dipl.-Ing., Pat.-Anw., 5000 Köln Schaltkupplung für Streckwerke an Spinn- bzw. Zwirnmaschinen
US3827670A (en) * 1972-12-11 1974-08-06 Richdel Valve assembly
JPS5510689Y2 (ko) * 1972-12-26 1980-03-08
US4119310A (en) * 1976-03-26 1978-10-10 Patterson-Williams Manufacturing Company Playground turntable
US4619437A (en) * 1984-02-17 1986-10-28 Williams William J Adjustable torque limiting valve handle
CA2001101A1 (en) * 1988-10-28 1990-04-28 Dante Cavalli Transmission coupling with limitation of the transmissible torque
JP2802385B2 (ja) * 1989-03-22 1998-09-24 清原 まさ子 制御器
LU87572A1 (fr) * 1989-08-31 1990-01-08 Ceodeux Sa Robinet pour bouteilles de gaz comprime ou liquefie
US5295907A (en) * 1990-05-04 1994-03-22 Ava International Corporation Rorque limiting device
JP3140136B2 (ja) * 1992-02-20 2001-03-05 清原 まさ子 バルブ操作用ハンドル
JPH0712246A (ja) * 1993-06-24 1995-01-17 Kiyohara Masako 流体制御器
JP3358147B2 (ja) * 1994-09-16 2002-12-16 株式会社フジキン 流体制御器
JPH1151216A (ja) * 1997-07-30 1999-02-26 Fujikin:Kk 流体制御器
JP3915193B2 (ja) * 1997-10-01 2007-05-1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動力伝達装置
DE10011506A1 (de) * 2000-03-09 2001-09-13 Wuerth Adolf Gmbh & Co Kg Werkzeug zum Übertragen eines Drehmomentes
JP2002070981A (ja) * 2000-08-30 2002-03-08 Canon Inc 回転力伝達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A2496001C (en) * 2001-08-23 2009-08-18 Synthes (U.S.A.) Device for limiting a torque to be transferre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445B1 (ko) * 2007-07-20 2010-10-06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제어밸브
KR101479740B1 (ko) * 2013-11-21 2015-01-06 고려전자주식회사 복합형 열동식 구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2420A (zh) 2007-01-24
IL176052A0 (en) 2006-10-05
TW200532131A (en) 2005-10-01
US20080157015A1 (en) 2008-07-03
JP2005282603A (ja) 2005-10-13
EP1729047A1 (en) 2006-12-06
WO2005093306A1 (ja) 2005-10-06
CA2552412A1 (en)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72530A1 (en) Butterfly Valve
US5129625A (en) Live load packing system
KR20060134983A (ko) 토크 리미터 부착 핸들 및 이러한 핸들을 구비하는 유체제어기구
KR20000070604A (ko) 다이어프램 밸브
CN101680559A (zh) 压力调节阀
US5386967A (en) Ball valve coupling
KR20190016038A (ko) 자체-정렬 스템 팁을 구비한 밸브
US5398725A (en) Flow control device
JP5467066B2 (ja) 手動弁
KR100571565B1 (ko) 볼 밸브
JP3358147B2 (ja) 流体制御器
US20210199210A1 (en) Actuator, valve device, and fluid control apparatus
KR20140123412A (ko) 볼 밸브
KR200235304Y1 (ko) 밸브 개폐장치
WO1991002914A1 (en) Closure
CN216306914U (zh) 角式截止阀的填料密封结构
CN220488319U (zh) 真空蝶阀内密封组件和真空蝶阀
JPH1151216A (ja) 流体制御器
JP7320836B2 (ja) ボール弁
JP4295199B2 (ja) トルクリミッター付きハンドル及びこのハンドルを備えた流体制御器
US20240093791A1 (en) Diaphragm Bead Configuration
JP7016465B2 (ja) 流体制御装置
CN111542714B (zh) 蝶形阀
JP4501022B2 (ja) 流体継手
KR200369125Y1 (ko) 유체 공급용 볼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