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478A - 기기의 지지체 상에 부착된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전기기기 - Google Patents

기기의 지지체 상에 부착된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전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478A
KR20060133478A KR1020060054927A KR20060054927A KR20060133478A KR 20060133478 A KR20060133478 A KR 20060133478A KR 1020060054927 A KR1020060054927 A KR 1020060054927A KR 20060054927 A KR20060054927 A KR 20060054927A KR 20060133478 A KR20060133478 A KR 20060133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corative plate
transparent cover
electrical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9000B1 (ko
Inventor
또니 벨레
마르셀 다꼬르
로랑 쟈니꼬
에마뉘엘 마네이롤
쟝-프랑수와 무르고
Original Assignee
레그랑 프랑스
레그랑 에스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그랑 프랑스, 레그랑 에스엔세 filed Critical 레그랑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6013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 기저부의 장착수단을 구비한 지지체(110), 상기 지지체 상에 부착된 장식 플레이트 및 기기의 표면부를 조명하는 조명수단들(200)을 포함하는 전기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명수단들은 상기 지지체 상에 부착되며 상기 장식 플레이트의 측면을 조명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기기의 지지체 상에 부착된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전기기기{ELECTRIC EQUIPMENT INCLUDING ILLUMINATING MEANS ATTACHED ON THE SUPPORT OF THE EQUIPMENT}
본 발명은 예컨대 인터럽터 또는 콘센트 등의 장치를 벽 내에 설치되는 케이스 또는 벽에 돌출되는 형태의 챔버나 배전관 내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전기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기기의 기저부를 장착하는 수단을 구비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상에 부착되는 장식 플레이트 및 기기의 표면부를 조명하는 조명수단들을 포함하는 전기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 예로서는 어두운 곳에서도 자체 기능 상태를 알리는 조명 기능을 구비한 전기 인터럽터의 제작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어두운 장소에서 위치 표시 및/또는 사용자에게 기능(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표시하기 조명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유형의 전기기기가 FR 2 790 865, GB 2 083 708 및 EP 1 467 387에 기술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기기에 있어서, 조명수단들은 사용자가 누르는 제어 스위치를 직,간접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전기기기의 챔버 내부에 배열된 라이트 소스(다이오드 또는 필라멘트 전구)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트 소스는 지지체 상에 장착되며, 전기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기기에 있어서, 조명수단들은 제어 스위치 내에 부착되거나 상기 제어 스위치의 바로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수단 또는 빛 반사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수단 또는 빛 반사 수단은 라이트 소스를 통해 방출된 빛을 가이드하거나, 제어 스위치의 특정 구역 상에서 라이트 소스의 라이트 파워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된 전기기기들은 다수의 단점을 나타낸다.
우선, 상기 전기기기들의 조명 수단들은 기기의 챔버에 장착하는 것이 복잡하며, 상기 조명수단들에 여타 부속품을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기에 있어서, 조명수단의 라이트 소스를 전기기기의 챔버 내에 위치시키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특히, 라이트 소스를 통해 방출된 루머너스 플럭스의 실질적 파트를 제어 스위치까지 가이드 하거나 또는 제어 스위치에 정확한 조명을 부여하기 위해 장식 플레이트까지 가이드 하기 위해 다시 모으는 것이 어렵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명수단들은 상응하는 전기기기 주변부에 후광을 형성하지 못한다.
위에서 언급된 종래기술의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기기의 기저부를 장착하는 수단을 갖춘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부착되는 장식 플레이트 및 기기의 표면부를 조명하는 조명수단들을 포함하는 전기기기를 제안한다. 상기 조명 수단들은 지지체 상에 부착되며, 상기 장식 플레이트의 측면을 조명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에 있어서, 조명수단들이 기기의 지지체 상에 완전히 부착된다는 사실에 입각하여 볼 때 조명수단들은 단지 부속품의 역할만을 가질 수 있다. 기기의 지지체 상에 조명수단들을 장착하는 것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장식 플레이트의 측면을 조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의 주변에 후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의 비한정적인 또 다른 특징과 장점들은 다음과 같다:
- 조명수단들은 라이트 소스 및 상기 라이트 소스를 통해서 방출된 루머너스 플럭스를 장식 플레이트의 단면까지 가이드하는 옵티칼 가이드를 포함한다. 장식 플레이트의 측면상에 라이트 소스를 끌어오기 위해 라이트 소스를 통해 방출된 빛이 쉽게 발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라이트 소스는 지지체 상에 장착된 기기의 접속단자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인쇄회로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 조명 수단들은 상기 장식 플레이트를 향한 상기 지지체의 전방면 상에 연결된다.
- 조명 수단들은 상기 장식 플레이트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기 지지체의 후방면 상에 연결된다. 이처럼, 조명 수단들은 기기(상기 지지체 상에 일단 장착된)의 접속단자의 측면에 위치되며, 그 결과 상기 단자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해준다. 이러한 장착법을 통해 상기 기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 조명 수단들은 지지체의 두께 내에 놓인다.
- 지지체의 후방면은 인쇄회로 카드 및 상기 인쇄회로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방출된 루머너스 플럭스를 장식 플레이트 쪽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옵티칼 가이드를 형성하는 투명 덮개에 의해 폐쇄된다.
- 장식 플레이트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나타내며, 상기 투명 덮개는 상기 장식 플레이트의 세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데 이는 상기 측면을 조명하기 위함이다.
- 투명 덮개는 표면상에 빛을 확산하기 위해 다수의 홈을 가진다.
- 투명 덮개는 U자 형태로 된 하나의 도관 및 특별한 도관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관은 U자 형태의 도관에서 U자 도관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랫폼으로 구성되며, 상기 특별한 도관들은 플랫폼에서 상기 U자 형태의 도관 브랜치 내부까지 확장된다.
- 투명 덮개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 메틸 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주조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다.
- 투명 덮개는 초음파를 통해 용접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체에 부착된다.
- 투명 덮개의 하부에 전기적 절연 불투명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 지지체는 주조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 장식 플레이트는 불투명 표면 파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식 플레이트의 단면 파트를 형성하는 반투명 후방 파트를 포함한다.
- 반투명 후방 파트는 불투명 표면 파트의 후방면 상에 연결된다.
- 표면 파트는 장식 플레이트의 측면 상에서 확장되며, 상기 반투명 후방 파트는 상기 장식 플레이트의 다른 세 측면을 형성한다.
- 불투명 표면 파트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 후방 파트는 주조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치조형(alveolar) 벽과 같은 벽 내에 장착되는 케이스(도시되지 않음) 상에 또는 벽에 돌출되는 형태의 챔버(chamber) 상에 고정되는 전기기기의 지지체(110)를 포함하는 전기기기(100;100')의 두 변이형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110)는 인터럽터, 콘센트, 전화 콘센트, 자동 차단기 등의 하나 또는 다수의 전기기기 메카니즘을 케이스 또는 챔버에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지지체는 주조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정사각형 형태의 평면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정사각형 형태의 중앙 개방구(111)를 한정하는 내부 가장자리 테두리와 외부 가장자리 테두리 사이에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더욱 상세하게 볼 수 있듯이, 지지체(110)의 중앙 개방구(111)는 전기기기 메카니즘(130)의 하나 또는 다수의 기저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체(110)의 정사각형 중앙 개방구(111)는 2모듈 기저부를 수용하며, 상기 2모듈 기저부의 정사각형 면은 중앙 개방구(111)의 표면부를 채운다. 하지만, 1모듈의 두 기저부 또한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1모듈 두 기저부의 각각의 직사각형 면은 중앙 개방구 표면의 절반을 채운다.
전기기기 메카니즘(130)의 각 기저부의 장착을 위해, 지지체(110)의 중앙 개방구(111)는 예를 들어 잠금 수단과 같은 장착 수단에 의해 네 측면 상이 둘러진다. 상기 장착 수단들은 지지체(110)의 전방면(110A)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연결 리브(111A)를 포함한다.
전기기기 메카니즘(130)의 기저부와 상반되는 두 정면의 돌출부에 제공된 락킹 톱니(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연결 리브(111A) 상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지지체(110)는 기기의 케이스 또는 챔버의 고정 나사(도시되지 않음)를 받아들이는 강남콩 형태의 관통 개방구(113)를 두 평행 측면 상에서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지지체(110)는, 또 다른 두 개의 다른 평행 측면 상에, 전방면(110A)으로 드러나 장식 플레이트(120)의 상기 지지체(110) 상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잠금 수단(112)을 포함한다.
사실상, 도시된 두 변이형에 따르면, 전기기기(100;100')는 상기 지지체(110) 상에 연결된 장식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는 측면을 형성하는 테두리(120A)에 의해 외부로 둘러져 있는 정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로 나타난다.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는 중앙 개방구(121)를 가지며, 상기 개방구를 통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전기기기 메카니즘 제어 스위치가 드러난다. 여기서는 상응하는 전기기기 메카니즘(130)의 기저부 상에 연결되는 제어 스위치(131)가 제공된다.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는 불투명 표면 파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식 플레이트(120)의 측면 파트(120A)를 형성하는 반투명 후방 파트(도시되지 않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투명 후방 파트는 체결 또는 나사 고정 또는 용접을 통해 불투명 표면 파트의 후방면 상에 연결된다.
표면 파트는 장식 플레이트(120)의 일 측면 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반투명 후방 파트는 상기 장식 플레이트의 또 다른 세 측면을 형성한다. 물론, 변이형에 있어서, 반투명 후방 파트는 장식 플레이트의 네 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불투명 표면 파트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방 파트는 주조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기기(100;100')는 어두운 곳에서도 볼 수 있는 조명 기능 및/또는 사용자에게 기능 상태를 알릴 수 있는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목적으로, 전기기기는 상기 기기의 표면부를 조명하는 조명 수단(200;20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들(200')은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를 향하는 상기 지지체(110)의 전방면(110A) 상에 부속품으로 연결된다. 조명 수단들은 전기 전도체(12,13)를 통해 지지체(110)에 연결된 기기 메카니즘(130)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들(200)은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의 반대편을 향하는 상기 지지체(110)의 후방면(110B) 상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 수단들(200)은 지지체(110) 상에 장착된 기기 메카니즘(130)의 접속단자의 측면에 놓이게 되며, 전기 전도체(12,13) 수단, 즉 전도체(10,11)에 의해 전기 공급망에 연결되는 상기 접속단자에 쉽게 접속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더욱 상세히 볼 수 있듯이, 상기 조명 수단들(200)은 라이트 소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라이트 소스를 통해 방출된 루머너스 플럭스를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의 측면(120A)까지 가이드 해주는 옵티칼 가이드(2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트 소스는 지지체(110) 상에 장착된 기기 메카니즘의 접속단자를 통해 전도체(12,13)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는 인쇄회로에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도 4 및 도 5 상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들(200)은 지지체(110)의 두께 내에 놓인다. 이처럼, 전기기기(100)의 전체적 크기는 최적화된다.
이를 위해,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지체(110)의 후방면(110B)은 상기 인쇄회로에 연결된 다이오드와 함께 인쇄회로 카드(220)를 수령하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보강재(110C)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방출된 루머너스 플럭스를 장식 플레이트(120)의 측면(120A) 쪽으로 가이드 해주는 옵티칼 가이드를 형성하는 투명 덮개(210)에 의해 폐쇄된다.
여기서, 정사각형의 장식 플레이트(120) 및 지지체(110), 지지체(110)의 보강재(110C) 및 연결된 투명 덮개(210)는 지지체(110)의 세 측면을 따라 즉, 상기 측면을 조명하기 위해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의 세 측면을 따라 확장된다.
투명 덮개(210)의 형태는 보강재(110C)의 형태에 적합하다.
여기서, 상기 투명 덮개(210)는 전체적으로 U자 형태의 평면 형태를 띤다.
더욱 특별하게, 상기 투명 덮개(210)는 지지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장식 플레이트를 조명하는 측면을 형성하는 장식 플레이트(120) 테두리(120A)의 세 측면과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U자 형태의 도관(210A)을 포함하고 있다.
U자 형태의 상기 도관(210A)은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의 측면(120A)의 조명할 세 측면을 따라 라이트 소스를 통해 방출된 빛을 가이드한다.
투명 덮개는 상기 도관(210A)에 입각하여 베이스 및 U자 내부에서 확장되는 한 개의 중앙 플랫폼(211) 및 두 개의 측면 플랫폼(211)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들(211)은 다이오드가 연결되는 인쇄회로 카드(220)가 지지체(110)의 후방면(110B)과 상기 플랫폼(211) 사이에서 샌드위치 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지지체(110)의 후방면(110B) 내에 홈이 파여진 하우징(110C)을 폐쇄한다.
투명 덮개(210)는 측면 플랫폼(211)에 입각하여 U자 도관(210A)의 브랜치까지 확장되는 특정 도관들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상기 브랜치의 단부 파트 내에서 방출된 루머너스 플럭스 파트를 가이드 하기 위함이다.
다이오드를 구비한 인쇄회로(220) 카드가 지지체(110)의 후방면(110B)과 상기 투명 덮개(210)의 플랫폼(211) 사이에 위치될 경우, 투명 덮개(210)의 각각의 특정 도관(212)의 인풋은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의 정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투명 덮개(210)는 베이스 및 상기 U자 도관(210A)의 브랜치 내로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방출된 빛을 가이드 해주는 다이오드의 정면에 있는 상기 플랫폼(211) 상에 배치된 삼각형의 파트(213)도 포함한다.
상기 파트(213) 및 상기 투명 덮개(210)의 특별한 도관(212)들은 다이오드를 통해 방출된 빛을 수렴하며, 장식 플레이트(120)의 반투명 단면(120A)을 따라 빛을 확산하는 상기 U자 도관(210A) 내로 다이오드를 이끈다.
빛의 확산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투명 덮개(210)는 U자 도관(210A)의 단면 상에 홈(210B)을 가진다.
투명 덮개(210)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 메틸 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주조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다.
투명 덮개(210)는 초음파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인쇄회로에 연결된 다이오드와 함께 인쇄회로 카드(220)를 꼭 끼이게 잡아주는 지지체(210)의 후방면(210A) 상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용접을 통해 견고성을 가지는 지지체(110)와 함께 투명 덮개(210)의 조합이 실현된다.
전기적 절연 규범을 준수하기 위해 상기 투명 덮개(210)의 하부에 전기적 절연 불투명 플레이트(230)가 제공된다.
상기 조명 수단들(200;200')은 전기기기(100;100')의 장식 플레이트(120)의 주변부에 빛을 확산시키는 후광을 실현하도록 한다. 그 결과 전기기기는 어두운 곳에서도 볼 수 있으며 및/또는 사용자에게 기능 상태를 알릴 수 있는 표시 기능을 보장한다.
상기 조명 수단들(200;200')은 지지체(110)의 두께 내에 부착되기 때문에 기기의 챔버 내에서 여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그 결과 기기의 크기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투명 덮개(210)는 장식 플레이트의 측면(120A)을 통해서 라이트 소스를 확산시키기 위해 라이트 소스를 통해 방출된 루머너스 플럭스 전체를 쉽게 다시 모은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는, 조명수단들이 기기의 지지체 상에 완전히 부착된다는 사실에 입각하여 볼 때 조명수단들은 단지 부속품의 역할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기의 지지체 상에 조명수단들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장식 플레이트의 측면을 조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의 주변에 후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코 위에서 기술되고 도시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는 모든 유형의 변이형을 상기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 도 3은 도 2의 전기기기가 부분적으로 조립된 도면,
- 도 4는 도 1의 전기기기의 지지체 및 조명 수단들에 대한 분해 사시도,
- 도 5는 도 4의 저면도이다.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 기저부의 장착수단을 갖춘 지지체(110), 상기 지지체 상에 부착된 장식 플레이트(120) 및 기기의 표면부를 조명하는 조명수단들(200;200')을 포함하는 전기기기(100;100')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들(200;200')은 상기 지지체(110) 상에 부착되며,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의 측면(120A)을 조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들(200)은 라이트 소스 및 상기 라이트 소스를 통해서 방출된 루머너스 플럭스를 장식 플레이트(120)의 측면(120A)까지 가이드하는 옵티칼 가이드(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소스는 인쇄회로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들(200')은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 쪽으로 놓인 상기 지지체(110)의 전방면(110A)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들(200)은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의 반대에 놓인 상기 지지체(110)의 후방면(110B)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들(200)은 지지체의 두께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10)의 후방면(110B)은 인쇄회로 카드(220) 및 상기 인쇄회로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보강재(110C)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방출되는 루머너스 플럭스를 장식 플레이트의 측면(120A) 쪽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옵티칼 가이드를 형성하는 투명 덮개(21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상기 투명 덮개(210)는 측면들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장식 플레이트의 세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덮개(210)는 표면상에 빛을 확산하기 위한 홈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덮개는 U자 형태의 도관(210A), U자 도관(210A)에서 U자 내부 쪽으로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211), 그리고 브랜치의 단부 파트 내에서 방출된 루머너스 플럭스 파트를 가이드 하기 위해 플랫폼(211)에서 상기 U자형 도관(210A) 브랜치까지 확장되는 특정 도관들(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덮개(210)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 메틸 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주조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덮개(210)는 상기 지지체(110)에 초음파 용접되거나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덮개(210)의 아래쪽 부분에 전기 절연 불투명 플레이트(23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10)는 주조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는 불투명 표면부 및 장식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파트를 형성하는 반투명 후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 후방부는 상기 불투명 표면부의 후방면 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는 상기 장식 플레이트(120)의 측면 상으로 확장되며, 상기 반투명 후방부는 상기 장식 플레이트의 다른 세 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표면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는 주조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KR1020060054927A 2005-06-20 2006-06-19 기기의 지지체 상에 부착된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전기기기 KR101169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6210 2005-06-20
FR0506210A FR2887366B1 (fr) 2005-06-20 2005-06-20 Appareillage electtrique comprenant des moyens d'eclairement embarques sur le support d'appareil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478A true KR20060133478A (ko) 2006-12-26
KR101169000B1 KR101169000B1 (ko) 2012-07-27

Family

ID=3554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927A KR101169000B1 (ko) 2005-06-20 2006-06-19 기기의 지지체 상에 부착된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전기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737008B1 (ko)
KR (1) KR101169000B1 (ko)
CN (1) CN1929059B (ko)
ES (1) ES2408257T3 (ko)
FR (1) FR2887366B1 (ko)
PL (1) PL1737008T3 (ko)
PT (1) PT1737008E (ko)
RU (1) RU241313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9164B1 (fr) 2006-03-31 2009-04-17 Valeo Vision Sa Dispositif d'eclairage pour allume-cigare ou prise electrique multi-fonction
US8393747B2 (en) 2010-03-17 2013-03-12 Leviton Manufacturing Company, Inc. Faceplate guidelight system
EP2518848B1 (de) * 2011-04-27 2014-04-16 Hager Industrie AG Rahmen für elektrisches Installationsgerät.
CN103021699A (zh) * 2012-12-04 2013-04-03 江苏惠通集团有限责任公司 墙面开关光晕装置
US9148005B2 (en) 2013-03-14 2015-09-29 Liberty Hardware Mfg. Corp. Wall mounted electrical device cover plate assembly
CN207394389U (zh) * 2017-09-14 2018-05-22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灯光组件、灯光结构和充电桩
DE102022124494A1 (de) * 2022-09-23 2024-03-28 Harting Ag Geräteanschlusssteckverbinder mit Leuchtanzeig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01951A (en) * 1960-04-05 1965-08-18 Mk Electric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an illuminating device
DE7515626U (de) * 1975-05-16 1979-02-15 Fa. Albrecht Jung, 5885 Schalksmuehle Beleuchtetes elektrisches Installationsgerät
US4038582A (en) * 1975-08-28 1977-07-26 Product Concepts, Inc. Internally illuminated switch plate
GB2251060B (en) * 1990-12-17 1994-02-16 Andreas Charalambous Georgiou An illuminating electric light switch
WO1992011650A1 (en) * 1990-12-20 1992-07-09 Desmond Charles Drummond Light fittings
US6883927B2 (en) * 2000-01-31 2005-04-26 Cube Investments Limited Frame assembly and light for an electrical wall conduit
US6350039B1 (en) * 2000-10-06 2002-02-26 Lee Chien-Yu Wall switch and lamp assembly
DE50301142D1 (de) * 2003-04-07 2005-10-13 Feller Ag Beleuchteter Schalter
KR100527369B1 (ko) * 2003-07-11 2005-11-09 윤흥식 스위치커버의 비상조명장치
CN2648578Y (zh) * 2003-10-10 2004-10-13 董春红 具有夜灯功能的开关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13130C2 (ru) 2011-02-27
ES2408257T3 (es) 2013-06-19
FR2887366B1 (fr) 2007-08-24
PT1737008E (pt) 2013-04-23
EP1737008A2 (fr) 2006-12-27
KR101169000B1 (ko) 2012-07-27
CN1929059A (zh) 2007-03-14
RU2006121540A (ru) 2007-12-27
FR2887366A1 (fr) 2006-12-22
PL1737008T3 (pl) 2013-08-30
EP1737008A3 (fr) 2007-04-25
EP1737008B1 (fr) 2013-03-20
CN1929059B (zh)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371B1 (ko) 조명 기능을 갖춘 장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
KR101169000B1 (ko) 기기의 지지체 상에 부착된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전기기기
US10352544B2 (en) Field-serviceable flat panel lighting device
RU2387921C2 (ru) Переключатель с подсветкой
US6623152B1 (en) Display element capable of being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6050708A (en) Under cabinet light fixture adapted for connection to wire raceway
KR20150031484A (ko) 스위치
JP6788149B1 (ja) 照明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
KR20060121761A (ko) 조명 기능을 갖춘 전기 기기
US7726850B2 (en) Light-reflecting and light-shielding apparatus of computer panel
KR100517051B1 (ko) 조명등용 전원 공급장치
KR200465943Y1 (ko) 리미트 스위치 일체형 엘이디 조명장치
GB2284711A (en) Electric switch
TWI552186B (zh) 開關
EP1727171B1 (fr) Appareillage électrique comprenant une touche de commande lumineuse
JP5861097B2 (ja) 照明器具
CN210624250U (zh) 组合灯具
FR2935191A1 (fr) Appareillage electrique comprenant des moyens d'eclairement embarques sur le support d'appareillage
KR101591977B1 (ko) 배선분기박스 일체형 등기구 시스템
JP3275262B2 (ja) 表示装置
JP3080789U (ja) 照明付きコンセント及びテーブルタップ
KR200145611Y1 (ko) 건반커버에 조명장치가 설치된 피아노
KR101244987B1 (ko) 리미트스위치 결합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455380B1 (ko) 엘이디 조명장치
JPH0877822A (ja) 誘導灯装置のモニタランプ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