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176A -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176A
KR20060133176A KR1020050052872A KR20050052872A KR20060133176A KR 20060133176 A KR20060133176 A KR 20060133176A KR 1020050052872 A KR1020050052872 A KR 1020050052872A KR 20050052872 A KR20050052872 A KR 20050052872A KR 20060133176 A KR20060133176 A KR 20060133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access
building
management system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3176A/ko
Publication of KR20060133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1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having a variable access c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에 설치된 기지국 및 무선 사설 교환기(WPBX)를 포함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각 건물 내의 무선 사설 교환기 및 각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는 지능망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능망 서버는 사용자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ID를 해당 인증 ID 전송 경로인 건물 내 기지국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 ID를 전송한 이동통신단말 번호 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인증요청정보 수신부와; 상기 인증요청정보 수신부로부터 상기 기지국 식별정보와 인증 ID 및 이동통신단말 번호를 전달받아, 해당 기지국이 설치된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에 대해 출입 가능한 사용자들의 인증 ID 정보 중 해당 인증 ID에 매칭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상기 인증 ID를 전송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값을 출력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인증 처리부의 인증 결과값을 해당 사용자의 인증 ID 정보와 함께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인증 결과 전송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출입 관리 시스템이 해당 인증 결과값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Indoor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통신단말 20 : 구내 무선 네트워크
21 : 건물 내 기지국 22 : 무선 사설 교환기
30 : IP 네트워크 40 : 지능망 서버
41 : 건물 내 기지국 정보 DB 42 : 출입 관리 시스템 DB
43 : 인증 히스토리 DB 44 : 인증요청정보 수신부
45 : 인증 처리부 46 : 인증 결과 전송부
50 : 출입 관리 시스템 51 : 출입 사용자 정보 DB
52 : 출입문 정보 DB 53 : 출입 히스토리 DB
54 : 인증 결과 수신부 55 : 출입문 개폐 제어부
본 발명은 건물 내에 설치된 기지국 및 무선 사설 교환기(WPBX)를 포함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건물 내 설치된 기지국을 경유하여 출입을 위한 인증 ID가 수신되면 해당 기지국 설치 건물에 대한 출입 관리 시스템의 출입 허용 인증 ID 정보를 조회하고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매칭되는지 판단한 후 인증 ID와 인증 결과값을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출입 관리 시스템이 해당 인증 ID에 대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업 내의 사설 교환 시스템(PBX; Private Branch Exchange)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PSTN 기반 구내 교환기 개념의 PBX가 단순 교환기의 개념에서 진일보하여 개발된 IP PBX는 음성 데이터 통합 기술이 구내 전화 시스템에 적용된 것으로, 구내 모든 전화기가 VoIP를 지원하는 IP폰으로 대체되고, 기업과 외부 PSTN의 접점에 VoIP 게이트웨이가 설치되어 통화를 중계하는 방식이며, 이는 국제 전화, 장거리 전화, 본사와 지사 간 통화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최근에는, 이러한 IP PBX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한 WOS(Wireless Office Solution) 기반의 구내 무선 전화 서비스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구내 무선 전화 서비스는 기존 구내 유선 교환망을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과 연동시킨 유무선 복합 서비스로서, 건물이나 단지 내에서 PCS 또는 셀롤러 휴대폰 한 대로 이동 전화와 구내 전화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현재 건물이나 건물 내 사무실 등의 출입 통제는 출입 관리인, 출입 카드 판독, 지문이나 홍채 등의 생체 인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출입 관리인에 의한 출입 통제 방식은 방문자들이 일일이 출입 정보를 기록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우며, 출입 카드 판독을 통한 출입 통제 방식의 경우에는 출입자가 별도의 출입카드를 발급받아 소지하여야 하므로 카드 발급에 대한 추가 비용이 발생되고, 카드 소지에 따르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출입 카드의 분실 및 도난으로 인해 외부인의 출입이 허용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생체 인식 시스템의 설치에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내에서 활용 가능한 구내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통신단말을 활용한 출입자 관리 및 인증을 통해 적은 설치비와 유지 보수가 간편한 출입 통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건물 내에 설치된 기지국 및 무선 사설 교환기(WPBX)를 통해 건물 내에서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구내 전화 및 무선 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IP 네트워크를 통해 각 건물 내의 무선 사설 교환기 및 각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며, 상기 건물 내의 기지국을 통해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 ID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 후 결과 값을 해당 건물에 대한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지능망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능망 서버는, 상기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출입 통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출입 관리 시스템에 대한 건물 내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건물 내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각 출입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출입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인증 ID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출입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ID를 해당 인증 ID 전송 경로인 건물 내 기지국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 ID를 전송한 이동통신단말 번호 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인증요청정보 수신부와; 상기 인증요청정보 수신부로부터 상기 기지국 식별정보와 사용자 인증 ID 및 이동통신단말 번호를 전달받아, 상기 건물 내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전달받은 기지국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출입 관리 시스템을 식별하고, 출입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에 대해 출입 가능한 사용자들의 인증 ID 정보 중 상기 수신한 인증 ID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며, 해당 인증 ID에 매칭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상기 인증 ID를 전송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값을 출력하는 인증 처리부와; 상기 인증 처리부의 인증 결과값을 해당 사용자의 인증 ID 정보와 함께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인증 결과 전송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출입 관리 시스템이 해당 인증 결과값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건물 내에 설치된 기지국 및 무선 사설 교환기(WPBX)를 통해 건물 내에서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구내 전화 및 무선 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출입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은, 각 건물 내의 무선 사설 교환기 및 각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어, 건물 내의 기지국을 통해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 ID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 후 결과 값을 해당 건물에 대한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지능망 서버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출입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인증 ID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출입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해 지능망 서버로부터 인증 ID 및 인증 결과값을 수신하는 인증 결과 수신부와; 상기 인증 결과 수신부로부터 인증 결과값을 전달받아, 인증 결과값에 따라 해당 인증 ID의 출입이 허용되는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건물 내에 설치된 기지국 및 무선 사설 교환기(WPBX)를 통해 건물 내에서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구내 전화 및 무선 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P 네트워크를 통해 각 건물 내의 무선 사설 교환기 및 각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며, 각 건물에 대한 출입 관리 시스템의 출입 허용 사용자 인증 ID를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는 지능망 서버가, 특정 건물 내의 기지국을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인증 ID를 수신하는 제1단계와; 해당 기지국이 설치된 건물에 대한 출입 관리 시스템의 출입 허용 사용자들의 인증 ID 정보 중 상기 수신한 인증 ID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인증 ID에 매칭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상기 인증 ID를 전송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인증 ID와 인증 결과값을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인증 결과값에 따라 해당 인증 ID에 대해 출입 가능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건물 내에 설치된 기지국 및 무선 사설 교환기(WPBX)를 통해 건물 내에서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구내 전화 및 무선 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 법으로서, 각 건물 내의 무선 사설 교환기 및 각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며, 각 건물에 대한 출입 관리 시스템의 출입 허용 사용자 인증 ID를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는 지능망 서버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지능망 서버로부터 인증 ID 및 인증 결과값을 수신하는 제1단계;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지능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값에 따라 해당 인증 ID의 출입이 허용되는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은 건물 내 기지국(21) 및 무선 사설 교환기(22)를 포함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20), 상기 구내 무선 네트워크(20)와 IP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되는 지능망 서버(40), 상기 IP 네트워크(30)를 통해 상기 지능망 서버(40)와 접속되는 출입 관리 시스템(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내 무선 네트워크(20)는 이동통신단말(10)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건물 내 기지국(21)을 통해 구내 전화도 무선 전화로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 사설 교환기(22)는 건물 내에서 사용자 이동통신단말(10)로부터 소정 비트수의 숫자로 이루어진 인증 ID(인증 번호, 예; 00001111)를 수신 번호로 하여 호가 발신되면, 해당 인증 ID를 이동통신단말 번호 및 해당 기지국 식별정보와 함께 IP 네트워크(30)를 통해 지능망 서버(40)로 전달해주고, 발신된 호를 종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능망 서버(40)는 건물 내 설치된 기지국(21)과 그에 매칭되는 출입 관리 시스템(50)의 정보 및 각 출입 관리 시스템의 출입 허용 인증 ID 정보와 그에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 번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무선 사설 교환기(22)로부터 수신한 기지국 식별 정보에 의해 해당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50)을 식별하고,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50)의 출입 허용 인증 ID 중 상기 수신한 인증 ID를 조회하고 그에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 번호가 상기 수신한 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을 처리하며, 인증 ID 및 인증 결과값을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5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하나의 인증 ID로 출입 가능한 출입문이 층별로 존재하고, 하나의 건물 내에 층별로 기지국(21)이 설치된 경우, 상기 지능망 서버(40)는 각 기지국 설치 층의 정보 즉, 각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해당하는 층의 식별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인증 ID 전송시 경유한 기지국의 설치 층 정보를 출입 관리 시스템(50)으로 더 전송함으로써,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50)이 해당 층의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시스템(50)은 상기 지능망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값에 따라 해당 인증 ID로 출입이 가능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며, 상기와 같이 지능망 서버(40)로부터 기지국 설치 층의 정보를 더 수신한 경우에는 해당 층에 대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한다.
한편, 하나의 사용자가 복수의 층별 출입문에 대해 출입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층별 기지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출입 관리 시스템(50)이 하나의 사용자에 대해 각 출입문별로 복수의 인증 ID를 할당함으로써, 수신된 인증 ID에 대한 출입문 식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의 지능망 서버(40) 및 출입 관리 시스템(50)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능망 서버(40)는 건물 내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41), 출입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2), 인증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3), 인증요청정보 수신부(44), 인증 처리부(45), 인증 결과 전송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물 내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41)에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출입 통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출입 관리 시스템에 대한 건물 내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출입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2)는 각 출입 관리 시스템별로 출입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인증 ID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만약, 하나의 건물에서 하나의 사용자에 대해 복수의 층에 대한 출입 권한이 있고, 건물의 각 층마다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다면,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2)는 각 기지국의 설치 층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한다.
인증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3)는 사용자 이동통신단말(10)로부터 수신한 인증 ID에 대한 인증 처리 후 그 결과값을 포함하는 인증 결과를 저장한다.
인증요청정보 수신부(44)는 사용자 이동통신단말(10)로부터 전송된 인증 ID를 해당 인증 ID 전송 경로인 건물 내 기지국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 ID를 전송한 이동통신단말 번호 정보와 함께 수신하고, 기지국 식별 정보, 인증 ID, 이동통신단말 번호 정보를 인증 처리부(45)로 전달하여 인증을 요청한다.
인증 처리부(45)는 상기 인증요청정보 수신부(44)로부터 상기 기지국 식별정보와 사용자 인증 ID 및 이동통신단말 번호를 전달받아, 건물 내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41)를 참조하여 상기 전달받은 기지국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출입 관리 시스템(50)을 식별하고, 출입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2)를 참조하여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에 대해 출입 가능한 사용자들의 인증 ID 정보 중 상기 수신한 인증 ID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며, 해당 인증 ID에 매칭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상기 인증 ID를 전송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값을 출력한다. 여기서 인증 결과값은 인증 성공에 해당하는 값(예; OK)과 인증 실패에 해당하는 값(예; NOK)을 말한다.
상기 인증 처리부(45)는 사용자 인증 ID를 상기 인증 결과값과 함께 인증 결과 전송부(46)로 전달한다. 만약, 사용자가 하나의 인증 ID로 건물 내 복수의 층의 출입 권한을 갖는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45)는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2)를 참조하여 기지국 식별 정보에 따르는 층 정보를 인증 결과 전송부(46)로 더 전달하여야 한다.
인증 결과 전송부(46)는 상기 인증 처리부(45)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값, 인증 ID 정보를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5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인증 처리부(45)로부터 층 정보를 더 수신한 경우에는 층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인증 결과 전송부(46) 또는 인증 처리부(45)는 인증 결과가 전송된 또는 인증 처리된 정보를 상기 인증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관리 시스템(50)은 출입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1), 출입문 정보 데이터베이스(52), 출입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53), 인증 결과 수신부(54), 출입문 개폐 제어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입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1)는 출입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인증 ID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출입문 정보 데이터베이스(52)는 건물 내 각 출입문에 대한 출입 허용 인증 ID를 저장한다. 즉, 만약 하나의 인증 ID로 복수의 출입문에 대한 출입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출입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1)는 각 인증 ID에 대해 허용되는 출입문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50)이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출입문이 오직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입문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불필요할 것이다.
출입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53)는 지능망 서버(4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및 해당 인증 결과값에 따라 출입문 개폐를 제어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인증 결과 수신부(54)는 IP 네트워크(30)를 통해 지능망 서버(40)로부터 인증 ID 및 인증 결과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출입문 개폐 제어부(55)로 전달한다. 만약, 지능망 서버(40)로부터 건물의 층 정보를 더 수신한 경우 층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출입문 개폐 제어부(55)는 상기 인증 결과 수신부(54)로부터 전달받은 인증 결과값에 따라 해당 인증 ID의 출입이 허용되는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한다. 만약, 하나의 인증 ID로 건물 내 복수의 층별 출입문의 출입이 허용되는 경우라면, 상기 인증 결과 수신부(54)로부터 층 정보를 더 전달받게 되며, 출입문 개폐 제어부(55)는 해당 인증 ID의 출입 허용 출입문 중 해당 층의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면 된다.
또한, 출입문 개폐 제어부(55)가 제어하는 출입문이 하나인 경우에는 무관하나, 복수의 출입문이 존재하고, 인증 ID별로 출입문의 제어를 수행하여야 한다면,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부(55)는 인증 ID와 출입문의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출입문 정보 데이터베이스(52)를 참조하여 해당 인증 ID에 따르는 출입문을 식별하고 그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부(55)는 인증 결과 수신부(54)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해당 인증 결과값에 따라 출입문 개폐를 제어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출입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53)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건물 내의 출입문 출입을 위하여 사용자가 자신에게 할당된 인증 ID를 이동통신단말(10)에 입력하여 발신하면, 건물 내 설치된 기지국(21)을 통해 구내 무선 사설 교환기(22)로 해당 발신 정보(인증 ID, 이동통신단말 번호, 기지국 식별 정보)가 전송된다(S101).
무선 사설 교환기(22)는 해당 인증 ID가 호 발신을 위한 정보가 아닌 출입을 위한 정보임을 인식하고, 기지국 식별 정보(ID), 이동통신단말 번호, 인증 ID를 IP 네트워크(30)를 통해 지능망 서버(40)로 전송한 후(S102) 호를 종료시킨다.
지능망 서버(40)는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기지국(21)이 설치된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50)을 식별하고,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50)에 대한 출입 허용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수신한 인증 ID에 대한 이동통신단말 번호가 데이터베이스 내의 해당 인증 ID에 매칭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고(S103), 그 인증 결과값과 인증 ID를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50)으로 전송한다(S104).
만약, 하나의 인증 ID에 대해 하나의 건물에서 복수의 층별 출입문의 출입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지능망 서버(40)는 해당 기지국(21)이 설치된 층의 정보를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50)으로 더 전송하여야 한다.
출입 관리 시스템(50)은 상기 지능망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값에 따라 해당 인증 ID로 출입이 허용되는 출입문의 개폐를 처리한다(S105). 만약, 지능망 서버(40)로부터 층의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한 경우,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50)은 해당 인증 ID에 대해 허용되는 복수의 층의 출입문 중 수신한 층 식별 정보에 따라 해당 층의 출입문 개폐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인증ID를 입력하여 호 발신함에 따라 출입 통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인증 ID의 전송 경로인 구내 기지국 정보가 인증 ID와 함께 지능망 서버로 전달되면, 본 발명의 출입 통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인증 ID의 전송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 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건물 내에서 활용 가능한 구내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통신단말을 활용함으로써, 적은 설치비와 간단한 유지 보수만으로 출입 관리 시스템의 출입자 관리 및 인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건물 내에 설치된 기지국 및 무선 사설 교환기(WPBX)를 통해 건물 내에서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구내 전화 및 무선 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IP 네트워크를 통해 각 건물 내의 무선 사설 교환기 및 각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며, 상기 건물 내의 기지국을 통해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 ID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 후 결과 값을 해당 건물에 대한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지능망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능망 서버는,
    상기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출입 통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출입 관리 시스템에 대한 건물 내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건물 내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각 출입 관리 시스템별로 출입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인증 ID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번호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 ID를 해당 인증 ID 전송 경로인 건물 내 기지국의 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 ID를 전송한 이동통신단말 번호 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인증요청정보 수신부와;
    상기 인증요청정보 수신부로부터 상기 기지국 식별정보와 사용자 인증 ID 및 이동통신단말 번호를 전달받아, 상기 건물 내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전달받은 기지국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출입 관리 시스템을 식별하고, 출입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에 대해 출입 가능한 사용자들의 인증 ID 정보 중 상기 수신한 인증 ID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며, 해당 인증 ID에 매칭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상기 인증 ID를 전송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값을 출력하는 인증 처리부와;
    상기 인증 처리부의 인증 결과값을 해당 사용자의 인증 ID 정보와 함께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인증 결과 전송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출입 관리 시스템이 해당 인증 결과값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ID는 일정 비트수의 번호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은,
    건물 내에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인증 ID를 수신 번호로 호가 발신되면,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인증 ID 및 호 발신 시 경유한 기지국 정보를 상기 지능망 서버로 전송한 후 해당 호를 종료시키는 무선 사설 교환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 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건물 내에 층별로 복수의 기지국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복수의 층에 대한 출입 권한을 가지는 경우,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는 건물 내 설치된 각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해당하는 층 식별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인증 결과 전송부는,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 해당 인증 ID를 전송한 기지국이 설치된 층의 식별 정보를 더 전송하여, 출입 관리 시스템이 해당 층의 출입문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4. 건물 내에 설치된 기지국 및 무선 사설 교환기(WPBX)를 통해 건물 내에서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구내 전화 및 무선 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출입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은,
    각 건물 내의 무선 사설 교환기 및 각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어, 건물 내의 기지국을 통해 출입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 ID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 자 인증 후 결과 값을 해당 건물에 대한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지능망 서버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출입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인증 ID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출입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해 지능망 서버로부터 인증 ID 및 인증 결과값을 수신하는 인증 결과 수신부와;
    상기 인증 결과 수신부로부터 인증 결과값을 전달받아, 인증 결과값에 따라 해당 인증 ID의 출입이 허용되는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과 수신부는, 상기 지능망 서버로부터 기지국이 설치된 층의 식별 정보가 더 수신되면, 인증 ID와, 인증 결과값 및 기지국 설치 층의 식별 정보를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부는, 상기 인증 결과값에 따라 인증 ID에 대해 출입이 허용되는 복수의 출입문 중 상기 기지국이 설치된 층의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은,
    건물 내 각 출입문에 대한 출입 허용 인증 ID를 저장하는 출입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부는, 상기 출입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인증 결과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인증 ID에 대해 허용되는 출입문을 식별하여 해당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7. 건물 내에 설치된 기지국 및 무선 사설 교환기(WPBX)를 통해 건물 내에서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구내 전화 및 무선 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P 네트워크를 통해 각 건물 내의 무선 사설 교환기 및 각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며, 각 건물에 대한 출입 관리 시스템의 출입 허용 사용자 인증 ID를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는 지능망 서버가, 특정 건물 내의 기지국을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인증 ID를 수신하는 제1단계와;
    해당 기지국이 설치된 건물에 대한 출입 관리 시스템의 출입 허용 사용자들의 인증 ID 정보 중 상기 수신한 인증 ID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인증 ID에 매칭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상기 인증 ID를 전송한 이동통신단말 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인증 ID와 인증 결과값을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3단 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당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인증 결과값에 따라 해당 인증 ID에 대해 출입 가능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ID는 일정 비트수의 번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단계 이전에,
    건물 내에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인증 ID를 수신 번호로 호가 발신되면, 상기 무선 사설 교환기가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인증 ID 및 호 발신 시 경유한 기지국 정보를 상기 지능망 서버로 전송한 후 해당 호를 종료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건물 내에 층별로 복수의 기지국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복수의 층에 대한 출입 권한을 가지는 경우,
    상기 지능망 서버는, 건물 내 설치된 각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해당하는 층 식별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지능망 서버는,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 해당 인증 ID를 전송한 기지국이 설치된 층의 식별 정보를 더 전송하여, 출입 관리 시스템이 해당 층의 출입문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
  10. 건물 내에 설치된 기지국 및 무선 사설 교환기(WPBX)를 통해 건물 내에서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구내 전화 및 무선 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건물 내의 무선 사설 교환기 및 각 건물의 출입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며, 각 건물에 대한 출입 관리 시스템의 출입 허용 사용자 인증 ID를 이동통신단말 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는 지능망 서버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지능망 서버로부터 인증 ID 및 인증 결과값을 수신하는 제1단계;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지능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값에 따라 해당 인증 ID의 출입이 허용되는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
  11. 상기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은 상기 지능망 서버로부터 기지국이 설치된 층의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출입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인증 결과값에 따라 해당 인증 ID에 대해 출입이 허용되는 출입문 중 상기 기지국이 설치된 층의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
KR1020050052872A 2005-06-20 2005-06-20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60133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872A KR20060133176A (ko) 2005-06-20 2005-06-20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872A KR20060133176A (ko) 2005-06-20 2005-06-20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176A true KR20060133176A (ko) 2006-12-26

Family

ID=3781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872A KR20060133176A (ko) 2005-06-20 2005-06-20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31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845B1 (ko) * 2007-07-31 2009-0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댁내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0558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8222A (ko) * 2020-10-30 2022-05-09 인비즈넷 주식회사 콜을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및 시스템
US11373468B2 (en) 2015-11-23 2022-06-28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845B1 (ko) * 2007-07-31 2009-0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댁내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0553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60556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60554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60551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60550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60558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3655A (ko) * 2015-11-23 2022-06-20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3656A (ko) * 2015-11-23 2022-06-20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7417A (ko) * 2015-11-23 2022-06-24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8667A (ko) * 2015-11-23 2022-06-28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373468B2 (en) 2015-11-23 2022-06-28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US11804086B2 (en) 2015-11-23 2023-10-31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KR20220058222A (ko) * 2020-10-30 2022-05-09 인비즈넷 주식회사 콜을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0281B2 (ja) 無許可のユーザへのアクセスまたはサービスを拒絶するためのユーザ識別装置及び方法
US6134431A (en) Personal statio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US7466978B1 (en) Telephone network node device
CN103118306B (zh) 楼宇对讲系统及其梯口机使用语音开门的方法
KR100690762B1 (ko) 다수의 번호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방법 및시스템
KR101278974B1 (ko) 도어락 시스템
CN104967811A (zh) 一种基于互联网智能小区手机可视电话访客机及系统
CN101335798B (zh) 远程管理与订户账户关联的多个安全系统的方法和网络运行中心
JP2001285476A (ja) Ip端末収容方法及びその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ゲートキーパー装置及びip端末
US8374581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for use with telephone network edge node providing privacy
CN105118114A (zh) 智能访客系统及方法
CN101095336A (zh) 在计算机电话集成环境中注册电话/计算机的关联
US20090051484A1 (en) Interface System for Wirelessly Actuating a Relay Associated with a Moveable Structure and Method for Use of Same
JPH11164374A (ja) 移動端末及び家庭内基地局間の接続を初期化する方法
KR20060133176A (ko) 구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US6704567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US6690933B1 (en) Sharing of wirelines using a network node device
US7116971B2 (en) Configuring and maintaining network node device
JP2002057802A (ja) 副電話番号利用装置及び方法並びに副電話番号利用サーバ
US6983042B1 (en) Business method for hybrid wireline wireless network service
KR20120052505A (ko) 공동현관 출입제어를 위한 통신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196647A (zh) 电信系统控制
KR101388657B1 (ko)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및 그 방법
RU2790079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KR1006019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