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974B1 - 도어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974B1
KR101278974B1 KR1020110131131A KR20110131131A KR101278974B1 KR 101278974 B1 KR101278974 B1 KR 101278974B1 KR 1020110131131 A KR1020110131131 A KR 1020110131131A KR 20110131131 A KR20110131131 A KR 20110131131A KR 101278974 B1 KR101278974 B1 KR 10127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terminal
door
communication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637A (ko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트론
Publication of KR2012006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일측에 제공된 출입문과; 출입문의 일측에 제공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및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에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락 시스템{Door lock system}
본 발명은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도어락은 열쇠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도어락의 단점을 보완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제공되었다.
최근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함으로써 도어락의 키를 도용하여 불법적으로 출입문을 사용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고 보안성과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도어락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의 종류와 가입된 통신사업자에 관계없이 현재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가 있는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락에 전화번호가 등록된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방문자가 있을 때, 원격지에서 단말기로 도어락을 제어할 수가 있는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현재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로 도어락을 제어할 수가 있는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입문 사용을 허용할 사람의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사전에 등록하여 등록된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자가 도어락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하는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입문 사용을 허용할 사람의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사전에 등록하여 등록된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자가 도어락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비밀번호를 사전에 등록하게 함으로써 단말기를 도용하여 불법적으로 출입문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입문을 사용할 수 있는 자의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사전에 등록하여 등록된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자가 도어락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도어락의 네트워크 키를 단말기에 설정하도록 하여 네트워크 키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기는 도어락과 통신하지 못하도록 하고, 비밀번호를 사전에 등록하게 함으로써 단말기를 도용하여 불법적으로 출입문을 사용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하여 보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일측에 제공된 출입문과; 출입문의 일측에 제공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및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에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발신번호표시 서비스(CID : Caller ID)로 제공하는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은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되,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잠김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비밀번호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며 제1 무선랜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를 더 포함하되, 단말기의 제1 무선랜부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를 통해 수신된 비밀번호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잠김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건축물의 다른 일측에 제공된 도어폰을 더 포함하고; 단말기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도어락과 통신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이미 지정된 출입문 열림버튼을 더 포함하고; 도어락은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도어폰과 통신을 수행하되, 방문자가 도어폰을 통해 호출신호로 출입문을 열고자 할 때에 호출신호에 동기 되어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주고,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도어폰을 통해 방문자를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확인받아 방문자의 출입문 사용을 허락받을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이미 지정된 출입문 열림버튼의 선택적인 누름동작에 의해 잠김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건축물의 다른 일측에 제공된 도어폰을 더 포함하고; 단말기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발신번호표시 서비스(CID : Caller ID)로 제공하는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를 더 포함하며; 도어락은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도어폰 및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되, 방문자가 도어폰을 통해 호출신호로 출입문을 열고자 할 때에 호출신호에 동기 되어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주고,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도어폰을 통해 방문자를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확인받아 방문자의 출입문 사용을 허락받을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와 통화종료 후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잠김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제1 무선랜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를 더 포함하되,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단말기의 제1 무선랜부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잠김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과 통신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더 포함하며; 도어락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제1 무선랜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를 더 포함하되,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단말기의 제1 무선랜부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키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와 비밀번호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과 통신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더 포함하며; 도어락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제1 무선랜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를 더 포함하되,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단말기의 제1 무선랜부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키고, 도어락용 앱을 이용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과 통신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갖는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더 포함하며; 도어락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제1 무선랜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를 더 포함하되,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단말기의 제1 무선랜부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키고, 도어락용 앱을 이용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 및 도어락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은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가 단말기의 서버 접속에 의해 서버로부터 통신을 요청받으면, 서버의 중계로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 및 도어락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단말기는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가 방문자가 출입문을 열고자 할때에 동기 되는 도어락의 서버 접속에 의해 서버로부터 통신을 요청받으면, 서버의 중계로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는 도어락과 통신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더 포함하고; 단말기 및 도어락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며; 도어락은 방문자가 출입문을 열고자 할 때에 동기 되어 서버에 의해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단말기의 서버 접속에 의해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키고, 서버의 중계로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는 도어락과 통신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더 포함하고; 단말기 및 도어락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며; 도어락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방문자가 출입문을 열고자 할 때에 동기 되어 서버에 의해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단말기의 서버 접속에 의해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키고, 서버의 중계로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건축물의 다른 일측에 제공된 도어폰을 더 포함하고; 단말기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도어락과 통신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더 포함하고; 단말기 및 도어락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며; 도어락은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단말기 및 도어폰과 통신을 수행하되, 방문자가 도어폰을 통해 호출신호로 출입문을 열고자 할 때에 호출신호에 동기 되어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주고,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킬 때에 동기 되는 단말기의 서버 접속에 의해 서버로부터 통신을 요청받으면, 서버의 중계로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건축물의 다른 일측에 제공된 도어폰을 더 포함하고; 단말기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도어락과 통신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더 포함하고; 단말기 및 도어락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며; 도어락은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며 도어폰과 통신을 수행하되, 방문자가 도어폰을 통해 호출신호로 출입문을 열고자 할 때에 호출신호에 동기 되어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주고,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킬 때에 동기 되는 단말기의 서버 접속에 의해 서버로부터 통신을 요청받고, 서버의 중계로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는 도어락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거나, 도어락에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는 도어락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거나, 도어락에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도어락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되, 도어락과 통신을 더 수행하는 도어폰을 더 포함하고; 도어락용 앱은 도어폰으로부터 도어락용 앱 실행부에 공급된 방문자의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확인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도어락용 앱은 도어폰으로부터 도어락용 앱 실행부에 공급된 방문자의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확인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도어락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를 포함하고, 단말기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키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는 전화기와 원격조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어락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현재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의 종류와 가입된 통신사업자에 관계없이 현재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도어락에 전화번호가 등록된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방문자가 있을 때, 원격지에서 단말기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셋째,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현재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넷째, 출입문 사용을 허용할 사람의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사전에 등록하여 등록된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자가 도어락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다섯째, 출입문 사용을 허용할 사람의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사전에 등록하여 등록된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자가 도어락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비밀번호를 사전에 등록하게 함으로써 단말기를 도용하여 불법적으로 출입문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여섯째, 출입문을 사용할 수 있는 자의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사전에 등록하여 등록된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자가 도어락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도어락의 네트워크 키를 단말기에 설정하도록 하여 네트워크 키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기는 도어락과 통신하지 못하도록 하고, 비밀번호를 사전에 등록하게 함으로써 단말기를 도용하여 불법적으로 출입문을 사용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하여 보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7, 8, 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0, 11, 1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3, 1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5, 1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7, 18, 19, 20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은 출입문(102)과 단말기(104) 및 도어락(106)을 포함한다.
출입문(10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축물(미도시)의 일측에 제공된다.
도어락(106)은 출입문(102)의 일측에 제공되어 출입문(10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어락(106)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를 포함하고, 이후에 진술할 단말기(104)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키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104)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단말기(104)는 도어락(106)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106)에 통신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단말기(104)는 전화기와 원격조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전화기로 제공되는 단말기(104)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기, 유무선 IP전화기,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104)는 전화번호가 부여된 PC와 전화번호가 부여된 이동형 PC 및 전화번호가 부여된 특수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1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STN 전화모듈(미도시), 이동통신 전화모듈(미도시), 유무선 IP전화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104)는 도어락(1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106)에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104)는 도어락(1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106)에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의 출입문(102)과 단말기(104) 및 도어락(106)간의 통신은 유선통신 방식과 무선통신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한 이동전화망 또는 무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유선통신 방식은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의 도어락(106)은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수단인 인터넷 공유기(미도시)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200)은 출입문(202)과 단말기(204) 및 도어락(206)과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208)를 포함한다.
출입문(20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축물(미도시)의 일측에 제공된다.
도어락(206)은 출입문(202)의 일측에 제공되어 출입문(20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어락(206)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를 포함하고, 이후에 진술할 단말기(204)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키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204)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단말기(204)는 도어락(206)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206)에 통신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단말기(204)는 전화기와 원격조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전화기로 제공되는 단말기(204)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기, 유무선 IP전화기,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204)는 전화번호가 부여된 PC와 전화번호가 부여된 이동형 PC 및 전화번호가 부여된 특수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2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STN 전화모듈(미도시), 이동통신 전화모듈(미도시), 유무선 IP전화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204)는 도어락(2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206)에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200)의 단말기(204)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200)은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20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208)는 단말기(204)와 통신을 수행하며, 단말기(204)로부터 발신되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발신번호표시 서비스(CID : Caller ID)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200)의 도어락(206)은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이미 등록된 단말기(204)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208)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200)의 도어락(206)은 단말기(204)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208)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204)의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200)의 출입문(202)과 단말기(204) 및 도어락(206)과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208)간의 통신은 유선통신 방식과 무선통신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한 이동전화망 또는 무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유선통신 방식은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200)의 도어락(206)은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수단인 인터넷 공유기(미도시)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4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300)은 출입문(302)과 단말기(304) 및 도어락(306)을 포함한다.
출입문(30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축물(미도시)의 일측에 제공된다.
도어락(306)은 출입문(302)의 일측에 제공되어 출입문(30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어락(306)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를 포함하고, 이후에 진술할 단말기(304)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키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304)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단말기(304)는 도어락(306)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306)에 통신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단말기(304)는 전화기와 원격조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전화기로 제공되는 단말기(304)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기, 유무선 IP전화기,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304)는 전화번호가 부여된 PC와 전화번호가 부여된 이동형 PC 및 전화번호가 부여된 특수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3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STN 전화모듈(미도시), 이동통신 전화모듈(미도시), 유무선 IP전화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304)는 도어락(3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306)에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300)의 단말기(304)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비밀번호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304a)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300)의 도어락(306)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며 제1 무선랜부(304a)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306a)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300)의 도어락(306)은 단말기(304)의 제1 무선랜부(304a)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306a)를 통해 수신된 비밀번호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300)의 단말기(304)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304a)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300)의 도어락(306)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304)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제1 무선랜부(304a)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306a)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고유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와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300)의 도어락(306)은 단말기(304)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단말기(304)의 제1 무선랜부(304a)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306a)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304)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300)의 출입문(302)과 단말기(304) 및 도어락(306)간의 통신은 유선통신 방식과 무선통신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한 이동전화망 또는 무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유선통신 방식은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300)의 도어락(306)은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수단인 인터넷 공유기(미도시)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5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400)은 출입문(402)과 단말기(404) 및 도어락(406)과 도어폰(410)을 포함한다.
출입문(40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축물(미도시)의 일측에 제공된다.
도어락(406)은 출입문(402)의 일측에 제공되어 출입문(40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어락(406)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를 포함하고, 이후에 진술할 단말기(404)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키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404)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단말기(404)는 도어락(406)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406)에 통신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단말기(404)는 전화기와 원격조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전화기로 제공되는 단말기(404)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기, 유무선 IP전화기,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404)는 전화번호가 부여된 PC와 전화번호가 부여된 이동형 PC 및 전화번호가 부여된 특수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4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STN 전화모듈(미도시), 이동통신 전화모듈(미도시), 유무선 IP전화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404)는 도어락(4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406)에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400)은 건축물(미도시)의 다른 일측에 제공된 도어폰(410)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400)의 단말기(404)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도어락(406)과 통신하여 도어락(406)을 제어하도록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이미 지정된 출입문 열림버튼(404b)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400)의 도어락(406)은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이미 등록된 단말기(404)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도어폰(410)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400)의 도어락(406)은방문자가 도어폰(410)을 통해 호출신호로 출입문(402)을 열고자 할 때에, 호출신호에 동기 되어 이미 등록된 단말기(404)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404)에 전화를 걸어 주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400)의 도어락(406)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404)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4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폰(410)을 통해 방문자를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확인받아 방문자의 출입문(402) 사용을 허락받을 경우, 단말기(404)의 사용자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단말기(404)의 사용자에 의한 이미 지정된 출입문 열림버튼(404b)의 선택적인 누름동작에 의해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400)의 출입문(402)과 단말기(404) 및 도어락(406)과 도어폰(410)간의 통신은 유선통신 방식과 무선통신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한 이동전화망 또는 무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유선통신 방식은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400)의 도어락(406)은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수단인 인터넷 공유기(미도시)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6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500)은 출입문(502)과 단말기(504) 및 도어락(506)과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508) 및 도어폰(510)을 포함한다.
출입문(50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축물(미도시)의 일측에 제공된다.
도어락(506)은 출입문(502)의 일측에 제공되어 출입문(50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어락(506)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를 포함하고, 이후에 진술할 단말기(504)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키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504)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단말기(504)는 도어락(506)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506)에 통신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단말기(504)는 전화기와 원격조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전화기로 제공되는 단말기(504)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기, 유무선 IP전화기,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504)는 전화번호가 부여된 PC와 전화번호가 부여된 이동형 PC 및 전화번호가 부여된 특수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5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STN 전화모듈(미도시), 이동통신 전화모듈(미도시), 유무선 IP전화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504)는 도어락(5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506)에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500)은 건축물(미도시)의 다른 일측에 제공된 도어폰(510)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500)의 단말기(504)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500)은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50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508)는 단말기(504)와 통신을 수행하고, 단말기(504)로부터 발신되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발신번호표시 서비스(CID : Caller ID)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500)의 도어락(506)은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이미 등록된 단말기(504)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도어폰(510) 및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508)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도어락(506)은 방문자가 도어폰(510)을 통해 호출신호로 출입문(502)을 열고자 할 때에, 호출신호에 동기 되어 이미 등록된 단말기(504)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504)에 전화를 걸어 주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 후, 도어락(506)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504)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5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폰(510)을 통해 방문자를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확인받아 방문자의 출입문(502) 사용을 허락받을 경우, 단말기(504)의 사용자와 통화종료 후 단말기(504)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 후, 도어락(506)은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508)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504)의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500)의 출입문(502)과 단말기(504) 및 도어락(506)과 발신자 전화번호 제공센터(508) 및 도어폰(510)간의 통신은 유선통신 방식과 무선통신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한 이동전화망 또는 무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유선통신 방식은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500)의 도어락(506)은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수단인 인터넷 공유기(미도시)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7, 8, 9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7, 8, 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8, 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은 출입문(602)과 단말기(604) 및 도어락(606)을 포함한다.
출입문(60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축물(미도시)의 일측에 제공된다.
도어락(606)은 출입문(602)의 일측에 제공되어 출입문(60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어락(606)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를 포함하고, 이후에 진술할 단말기(604)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키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604)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단말기(604)는 도어락(606)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606)에 통신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단말기(604)는 전화기와 원격조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전화기로 제공되는 단말기(604)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기, 유무선 IP전화기,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604)는 전화번호가 부여된 PC와 전화번호가 부여된 이동형 PC 및 전화번호가 부여된 특수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6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STN 전화모듈(미도시), 이동통신 전화모듈(미도시), 유무선 IP전화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604)는 도어락(6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606)에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단말기(604)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604a)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606)과 통신하여 도어락(606)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6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도어락(606)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604)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제1 무선랜부(604a)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606a)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고유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와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도어락(606)은 단말기(604)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단말기(604)의 제1 무선랜부(604a)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606a)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604)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604)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604c)를 실행시키고, 단말기(6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단말기(604)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와 비밀번호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604a)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606)과 통신하여 도어락(606)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6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도어락(606)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604)의 고유정보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제1 무선랜부(604a)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606a)를 더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고유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와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도어락(606)은 단말기(604)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단말기(604)의 제1 무선랜부(604a)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606a)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604)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604)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604c)를 실행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도어락(606)은 도어락용 앱을 이용하는 단말기(604)의 사용자에 의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6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단말기(604)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604a)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606)과 통신하여 도어락(606)을 제어하도록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갖는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6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도어락(606)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604)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제1 무선랜부(604a)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606a)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고유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와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도어락(606)은 단말기(604)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단말기(604)의 제1 무선랜부(604a)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606a)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604)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604)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604c)를 실행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도어락(606)은 도어락용 앱을 이용하는 단말기(604)의 사용자에 의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6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7, 8, 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출입문(602)과 단말기(604) 및 도어락(606)간의 통신은 유선통신 방식과 무선통신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한 이동전화망 또는 무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유선통신 방식은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7, 8, 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600)의 도어락(606)은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수단인 인터넷 공유기(미도시)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0, 11, 1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10, 11, 1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 11, 1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은 출입문(702)과 단말기(704) 및 도어락(706)과 도어폰(710)을 포함한다.
출입문(70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축물(미도시)의 일측에 제공된다.
도어락(706)은 출입문(702)의 일측에 제공되어 출입문(70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어락(706)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를 포함하고, 이후에 진술할 단말기(704)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키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704)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단말기(704)는 도어락(706)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706)에 통신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단말기(704)는 전화기와 원격조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전화기로 제공되는 단말기(704)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기, 유무선 IP전화기,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704)는 전화번호가 부여된 PC와 전화번호가 부여된 이동형 PC 및 전화번호가 부여된 특수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7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STN 전화모듈(미도시), 이동통신 전화모듈(미도시), 유무선 IP전화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704)는 도어락(7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706)에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단말기(704)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704a)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706)과 통신하여 도어락(706)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7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도어락(706)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704)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제1 무선랜부(704a)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706a)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고유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와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도어락(706)은 단말기(704)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단말기(704)의 제1 무선랜부(704a)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706a)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704)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704)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704c)를 실행시키고, 단말기(7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은 도어폰(710)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도어폰(710)은 도어락(706)을 포함하는 건축물(미도시)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되, 도어락(706)과 통신을 더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용 앱은 도어폰(710)으로부터 도어락용 앱 실행부(704c)에 공급된 방문자의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704)의 사용자에 의해 확인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단말기(704)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와 비밀번호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704a)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706)과 통신하여 도어락(706)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7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도어락(706)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704)의 고유정보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제1 무선랜부(704a)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706a)를 더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고유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와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도어락(706)은 단말기(704)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단말기(704)의 제1 무선랜부(704a)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706a)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704)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704)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704c)를 실행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도어락(706)은 도어락용 앱을 이용하는 단말기(704)의 사용자에 의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7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은 도어폰(710)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도어폰(710)은 도어락(706)을 포함하는 건축물(미도시)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되, 도어락(706)과 통신을 더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용 앱은 도어폰(710)으로부터 도어락용 앱 실행부(704c)에 공급된 방문자의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704)의 사용자에 의해 확인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단말기(704)는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704a)를 더 포함하고, 도어락(706)과 통신하여 도어락(706)을 제어하도록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갖는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7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도어락(706)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704)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제1 무선랜부(704a)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706a)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고유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와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도어락(706)은 단말기(704)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단말기(704)의 제1 무선랜부(704a)를 통해 발신되고 제2 무선랜부(706a)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이미 등록된 단말기(704)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704)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704c)를 실행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도어락(706)은 도어락용 앱을 이용하는 단말기(704)의 사용자에 의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7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은 도어폰(710)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도어폰(710)은 도어락(706)을 포함하는 건축물(미도시)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되, 도어락(706)과 통신을 더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용 앱은 도어폰(710)으로부터 도어락용 앱 실행부(704c)에 공급된 방문자의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704)의 사용자에 의해 확인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0, 11, 1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출입문(702)과 단말기(704) 및 도어락(706)과 도어폰(710)간의 통신은 유선통신 방식과 무선통신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한 이동전화망 또는 무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유선통신 방식은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10, 11, 1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700)의 도어락(706)은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수단인 인터넷 공유기(미도시)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3, 1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13, 1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3, 1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800)은 출입문(802)과 단말기(804) 및 도어락(806)과 서버(812)를 포함한다.
출입문(80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축물(미도시)의 일측에 제공된다.
도어락(806)은 출입문(802)의 일측에 제공되어 출입문(80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어락(806)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를 포함하고, 이후에 진술할 단말기(804)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키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804)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단말기(804)는 도어락(806)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806)에 통신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단말기(804)는 전화기와 원격조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전화기로 제공되는 단말기(804)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기, 유무선 IP전화기,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804)는 전화번호가 부여된 PC와 전화번호가 부여된 이동형 PC 및 전화번호가 부여된 특수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8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STN 전화모듈(미도시), 이동통신 전화모듈(미도시), 유무선 IP전화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13, 1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800)은 서버(81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서버(812)는 단말기(804) 및 도어락(806)간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800)의 도어락(806)은 서버(812)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가 단말기(804)의 서버(812) 접속에 의해 서버(812)로부터 통신을 요청받으면, 서버(812)의 중계로 단말기(804)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800)의 도어락(806)은 서버(812)의 중계로 단말기(804)와 통신을 수행한 이후에, 도어락(806)에 이미 등록된 단말기(804)의 전화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단말기(804)는 도어락(8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단말기(804)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804)는 도어락(8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806)에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804)는 도어락(806)에 단말기(804)의 고유정보를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고유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와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도어락(806)은 단말기(804)로부터 수신된 고유정보가 도어락(806)에 이미 등록된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804)는 도어락(806)에 비밀번호를 송신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806)은 단말기(804)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가 도어락(806)에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말기(804)는 도어락(806)과 통신하는 도어폰(미도시)을 통해 방문자를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806)은 단말기(804)의 사용자에 의해 방문자의 출입문(802) 사용을 허락받을 경우, 단말기(804)의 사용자에 의한 이미 지정된 출입문 열림버튼(미도시)의 선택적인 누름동작에 의해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말기(804)는 도어락(806)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800)의 단말기(804)는 서버(812)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가 방문자가 출입문(802)을 열고자 할 때에 동기 되는 도어락(806)의 서버(812) 접속에 의해 서버(812)로부터 통신을 요청받으면, 서버(812)의 중계로 도어락(806)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800)의 단말기(804)는 서버(812)의 중계로 도어락(806)과 통신을 수행한 이후에, 도어락(806)에 이미 등록된 단말기(804)의 전화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단말기(804)는 도어락(8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단말기(804)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804)는 도어락(8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806)에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804)는 도어락(806)에 단말기(804)의 고유정보를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고유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와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도어락(806)은 단말기(804)로부터 수신된 고유정보가 도어락(806)에 이미 등록된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804)는 도어락(806)에 비밀번호를 송신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806)은 단말기(804)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가 도어락(806)에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말기(804)는 도어락(806)과 통신하는 도어폰(미도시)을 통해 방문자를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806)은 단말기(804)의 사용자에 의해 방문자의 출입문(802) 사용을 허락받을 경우, 단말기(804)의 사용자에 의한 이미 지정된 출입문 열림버튼(미도시)의 선택적인 누름동작에 의해 잠김상태가 해제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말기(804)는 도어락(806)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3, 1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800)의 출입문(802)과 단말기(804) 및 도어락(806)과 서버(812)간의 통신은 유선통신 방식과 무선통신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한 이동전화망 또는 무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유선통신 방식은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13, 14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800)의 도어락(806)은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수단인 인터넷 공유기(미도시)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5, 16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15, 1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5, 1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900)은 출입문(902)과 단말기(904) 및 도어락(906)과 서버(912)를 포함한다.
출입문(90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축물(미도시)의 일측에 제공된다.
도어락(906)은 출입문(902)의 일측에 제공되어 출입문(90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어락(906)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를 포함하고, 이후에 진술할 단말기(904)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키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904)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단말기(904)는 도어락(906)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906)에 통신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단말기(904)는 전화기와 원격조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전화기로 제공되는 단말기(904)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기, 유무선 IP전화기,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904)는 전화번호가 부여된 PC와 전화번호가 부여된 이동형 PC 및 전화번호가 부여된 특수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9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STN 전화모듈(미도시), 이동통신 전화모듈(미도시), 유무선 IP전화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904)는 도어락(9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906)에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900)의 단말기(904)는 도어락(906)과 통신하여 도어락(906)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9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900)은 서버(91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서버(912)는 단말기(904) 및 도어락(906)간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906)은 방문자가 출입문(902)을 열고자 할 때에 동기 되어 서버(912)에 의해 단말기(904)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단말기(904)의 서버(912) 접속에 의해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904c)를 실행시키고, 서버(912)의 중계로 단말기(9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900)의 단말기(904)는 도어락(906)과 통신하여 도어락(906)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9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900)은 서버(91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서버(912)는 단말기(904) 및 도어락(906)간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906)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방문자가 출입문(902)을 열고자 할 때에 동기 되어 서버(912)에 의해 단말기(904)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단말기(904)의 서버(912) 접속에 의해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904c)를 실행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 후, 도어락(906)은 서버(912)의 중계로 단말기(9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9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5, 1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900)의 출입문(902)과 단말기(904) 및 도어락(906)과 서버(912)간의 통신은 유선통신 방식과 무선통신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한 이동전화망 또는 무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유선통신 방식은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15, 16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900)의 도어락(906)은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수단인 인터넷 공유기(미도시)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7, 18, 19, 20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7, 18, 19, 20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7, 18, 19, 20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은 출입문(1002)과 단말기(1004) 및 도어락(1006)과 도어폰(1010) 및 서버(1012)를 포함한다.
출입문(100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축물(미도시)의 일측에 제공된다.
도어락(1006)은 출입문(1002)의 일측에 제공되어 출입문(1002)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어락(1006)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를 포함하고, 이후에 진술할 단말기(1004)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키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와 일치할 경우에, 단말기(1004)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단말기(1004)는 도어락(1006)과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1006)에 통신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단말기(1004)는 전화기와 원격조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전화기로 제공되는 단말기(1004)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기, 유무선 IP전화기,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1004)는 전화번호가 부여된 PC와 전화번호가 부여된 이동형 PC 및 전화번호가 부여된 특수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원격조작장치로 제공되는 단말기(10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STN 전화모듈(미도시), 이동통신 전화모듈(미도시), 유무선 IP전화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1004)는 도어락(10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1006)에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단말기(1004)는 도어락(1006)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어락(1006)에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의 단말기(1004)는 도어락(1006)과 통신하여 도어락(1006)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10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은 서버(101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서버(1012)는 단말기(1004) 및 도어락(1006)간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1006)은 방문자가 출입문(1002)을 열고자 할 때에 동기 되어 서버(1012)에 의해 단말기(1004)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단말기(1004)의 서버(1012) 접속에 의해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1004c)를 실행시키고, 서버(1012)의 중계로 단말기(10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은 도어폰(1010)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도어폰(1010)은 도어락(1006)을 포함하는 건축물(미도시)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되, 도어락(1006)과 통신을 더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용 앱은 도어폰(1010)으로부터 도어락용 앱 실행부(1004c)에 공급된 방문자의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704)의 사용자에 의해 확인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의 단말기(1004)는 도어락(1006)과 통신하여 도어락(1006)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10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은 서버(101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서버(1012)는 단말기(1004) 및 도어락(1006)간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1006)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방문자가 출입문(1002)을 열고자 할 때에 동기 되어 서버(1012)에 의해 단말기(1004)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단말기(1004)의 서버(1012) 접속에 의해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1004c)를 실행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 후, 도어락(1006)은 서버(1012)의 중계로 단말기(10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10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은 도어폰(1010)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도어폰(1010)은 도어락(1006)을 포함하는 건축물(미도시)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되, 도어락(1006)과 통신을 더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용 앱은 도어폰(1010)으로부터 도어락용 앱 실행부(1004c)에 공급된 방문자의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704)의 사용자에 의해 확인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은 건축물(미도시)의 다른 일측에 제공된 도어폰(1010)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의 단말기(1004)는 도어락(1006)과 통신하여 도어락(1006)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10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은 서버(101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서버(1012)는 단말기(1004) 및 도어락(1006)간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의 도어락(1006)은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이미 등록된 단말기(1004)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단말기(1004) 및 도어폰(1010)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도어락(1006)은 방문자가 도어폰(1010)을 통해 호출신호로 출입문(1002)을 열고자 할 때에, 호출신호에 동기 되어 이미 등록된 단말기(1004)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1004)에 전화를 걸어 주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 후, 도어락(1006)은 서버(1012)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가, 단말기(1004)의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1004)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1004c)를 실행시킬 때에 동기 되는 단말기(1004)의 서버(1012) 접속에 의해 서버(1012)로부터 통신을 요청받으면, 서버(1012)의 중계로 단말기(10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용 앱은 도어폰(1010)으로부터 도어락용 앱 실행부(1004c)에 공급된 방문자의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704)의 사용자에 의해 확인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은 건축물(미도시)의 다른 일측에 제공된 도어폰(1010)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의 단말기(1004)는 도어락(1006)과 통신하여 도어락(1006)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1004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은 서버(101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서버(1012)는 단말기(1004) 및 도어락(1006)간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1006)은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며 도어폰(1010)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도어락(1006)은 방문자가 도어폰(1010)을 통해 호출신호로 출입문(1002)을 열고자 할 때에, 호출신호에 동기 되어 이미 등록된 단말기(1004)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1004)에 전화를 걸어 주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 후, 도어락(1006)은 서버(1012)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가, 단말기(1004)의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1004)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도어락용 앱 실행부(1004c)를 실행시킬 때에 동기 되는 단말기(1004)의 서버(1012) 접속에 의해 서버(1012)로부터 통신을 요청받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 후, 도어락(1006)은 서버(1012)의 중계로 단말기(10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1004)의 사용자로부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어락용 앱은 도어폰(1010)으로부터 도어락용 앱 실행부(1004c)에 공급된 방문자의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704)의 사용자에 의해 확인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7, 18, 19, 20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의 출입문(1002)과 단말기(1004) 및 도어락(1006)과 도어폰(1010) 및 서버(1012)간의 통신은 유선통신 방식과 무선통신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한 이동전화망 또는 무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유선통신 방식은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17, 18, 19, 20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00)의 도어락(1006)은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수단인 인터넷 공유기(미도시)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건축물의 일측에 제공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및
    상기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락에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과 통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랜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무선랜부를 통해 발신되고 상기 제2 무선랜부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상기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상기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키고,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8. 건축물의 일측에 제공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및
    상기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락에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와 비밀번호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과 통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랜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무선랜부를 통해 발신되고 상기 제2 무선랜부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상기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상기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키고, 상기 도어락용 앱을 이용하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9. 건축물의 일측에 제공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및
    상기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락에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통신신호에 해당하는 고유정보를 발신하도록 제1 무선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과 통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갖는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은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랜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랜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통신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무선랜부를 통해 발신되고 상기 제2 무선랜부를 통해 수신된 고유정보가 상기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상기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키고, 상기 도어락용 앱을 이용하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10. 건축물의 일측에 제공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및
    상기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락에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및 상기 도어락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가 상기 단말기의 상기 서버 접속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통신을 요청받으면,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11. 건축물의 일측에 제공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및
    상기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락에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및 상기 도어락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가 방문자가 상기 출입문을 열고자 할때에 동기 되는 상기 도어락의 상기 서버 접속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통신을 요청받으면,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12. 건축물의 일측에 제공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및
    상기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락에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과 통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도어락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은 방문자가 상기 출입문을 열고자 할 때에 동기 되어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상기 서버 접속에 의해 공급하여 상기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키고,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13. 건축물의 일측에 제공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및
    상기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락에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과 통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도어락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방문자가 상기 출입문을 열고자 할 때에 동기 되어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상기 서버 접속에 의해 공급하여 상기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키고,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상기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14. 건축물의 일측에 제공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및
    상기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락에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물의 다른 일측에 제공된 도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과 통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도어락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은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및 상기 도어폰과 통신을 수행하되, 방문자가 상기 도어폰을 통해 호출신호로 상기 출입문을 열고자 할 때에 상기 호출신호에 동기 되어 상기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갖는 상기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주고, 상기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의해 상기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킬 때에 동기 되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서버 접속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통신을 요청받으면,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15. 건축물의 일측에 제공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 및
    상기 도어락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락에 통신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물의 다른 일측에 제공된 도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과 통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도어락용 앱(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도어락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은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폰과 통신을 수행하되, 방문자가 상기 도어폰을 통해 호출신호로 상기 출입문을 열고자 할 때에 상기 호출신호에 동기 되어 상기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갖는 상기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주고, 상기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단말기에 도어락용 앱 실행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도어락용 앱 실행부를 실행시킬 때에 동기 되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서버 접속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통신을 요청받고,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상기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어락용 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16. 제 7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거나, 상기 도어락에 이미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17. 제 7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을 원격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거나,
    상기 도어락에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를 확인과 변경 및 삭제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18. 제 7항 또는 제 8항 또는 제 9항 또는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을 포함하는 상기 건축물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되, 상기 도어락과 통신을 더 수행하는 도어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용 앱은,
    상기 도어폰으로부터 상기 도어락용 앱 실행부에 공급된 방문자의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확인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19.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용 앱은,
    상기 도어폰으로부터 상기 도어락용 앱 실행부에 공급된 방문자의 음성과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확인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20. 제 7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키가 상기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 키와 일치할 경우에,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시스템.
  21. 제 7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전화기와 원격조작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어락 시스템.
KR1020110131131A 2010-12-09 2011-12-08 도어락 시스템 KR101278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5635 2010-12-09
KR1020100125635 2010-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637A KR20120064637A (ko) 2012-06-19
KR101278974B1 true KR101278974B1 (ko) 2013-07-02

Family

ID=4620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131A KR101278974B1 (ko) 2010-12-09 2011-12-08 도어락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249670A1 (ko)
KR (1) KR101278974B1 (ko)
WO (1) WO2012077993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206A (ko) * 2014-08-25 2016-03-04 양수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875520A (zh) * 2016-12-19 2017-06-20 深圳可信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锁、电子钥匙及智能锁系统
KR20220139276A (ko) * 2017-11-06 2022-10-14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US11887417B2 (en) 2017-11-06 2024-01-30 Moca System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13424T3 (es) * 2012-08-21 2019-05-21 Onity Inc Sistemas y métodos para la gestión de acceso a cerraduras utilizando señales inalámbricas
KR101583658B1 (ko) * 2013-10-28 2016-01-11 (주)정직한기술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KR101600526B1 (ko) * 2014-07-31 2016-03-08 주식회사 지트론 절전기능을 가진 도어락 충전시스템
KR101652181B1 (ko) * 2014-12-10 2016-08-30 승 열 권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공동 현관 출입문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NO20161472A1 (en) * 2016-09-15 2017-12-11 Den4Dogs As Intelligent animal cage
US11527120B2 (en) * 2017-01-09 2022-12-13 Yunding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offline verification code generation based on smart door lock system
US10726696B1 (en) * 2019-03-13 2020-07-28 Rade Security Solu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s and securing a premises
KR102460292B1 (ko) * 2022-03-02 2022-10-27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집합건물 VoC 처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651A (ko) * 2001-06-04 2001-11-08 이상문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
KR20020087911A (ko) * 2002-10-17 2002-11-23 이운영 콜러아이디를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70033859A (ko) * 2005-09-22 2007-03-27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발신자 표시를 활용한 공동주택의 출입자관리시스템과 그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9800C (zh) * 1999-11-30 2006-02-01 博丁数字有限公司 电子钥匙装置、管理电子钥匙信息的系统和方法
US20040205350A1 (en) * 2000-08-28 2004-10-14 Paul Waterhouse Low cost secure ID card and system
JP4507166B2 (ja) * 2003-11-26 2010-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れによるセキュリティ遠隔制御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遠隔制御方法
KR100518737B1 (ko) * 2004-05-12 2005-10-04 이노에이스(주)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KR20060027558A (ko) * 2004-09-23 2006-03-28 (주)인포빌 록킹 시스템, 록킹 유닛, 록킹 유닛의 제어방법 및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060170533A1 (en) * 2005-02-03 2006-08-03 France Telecom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networked wireless locks
CA2597217C (en) * 2005-02-04 2015-05-19 Edmonds H. Chandler, Jr. Method and apparatus for a merged power-communication cable in door security environment
SE530279C8 (sv) * 2005-03-18 2008-06-03 Phoniro Ab Metod för upplåsning av ett lås med en låsanordning kapabel till trådlös kortdistansdatakommunikation i enlighet med en kommunikationsstandard, samt en tillhörande låsanordning
US9165416B2 (en) * 2006-03-15 2015-10-20 Omnitracs, Llc Digital over-the-air keying system
US8063734B2 (en) * 2006-11-06 2011-11-22 Harrow Products Llc Access control system wherein the remote device is automatically updated with a central user list from the central station upon use of the remote device
US8754744B2 (en) * 2008-02-28 2014-06-17 Showingtime.Com, Inc. Integrated real estate showing scheduling and key dispensing system
US8145352B2 (en) * 2008-02-28 2012-03-27 Showingtime.Com, Inc. Showing management system to automatically match and control electronic lockboxes
US8035480B2 (en) * 2008-02-28 2011-10-11 Showingtime.Com, Inc. Showing management system to automatically match and control electronic lockboxes
JP2010088053A (ja) * 2008-10-02 2010-04-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携帯端末、セキュリティドアロック解除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ドアロック解除方法
US8791790B2 (en) * 2009-02-10 2014-07-29 Yik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ructure using a mobile device
US20100269553A1 (en) * 2009-04-24 2010-10-28 Min Zhong Double lock system
SE534135C2 (sv) * 2009-09-17 2011-05-10 Phoniro Ab Distribution av låsåtkomstdata för elektromekaniska lås i ett åtkomstkontrollsystem
US8614622B2 (en) * 2010-03-08 2013-1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n authorized vehicle driveaway
US20110215899A1 (en) * 2010-03-08 2011-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 vehicle driveaway
CN103548060B (zh) * 2011-02-28 2016-06-22 跃动有限公司 用于对电子锁的访问进行控制的系统和方法
EP2710562A1 (en) * 2011-05-02 2014-03-26 Api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locking mechanis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2012271443B2 (en) * 2011-06-17 2016-05-12 Yik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ructure using directional antennas and a wireless tok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651A (ko) * 2001-06-04 2001-11-08 이상문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
KR20020087911A (ko) * 2002-10-17 2002-11-23 이운영 콜러아이디를 이용한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70033859A (ko) * 2005-09-22 2007-03-27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발신자 표시를 활용한 공동주택의 출입자관리시스템과 그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206A (ko) * 2014-08-25 2016-03-04 양수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40927B1 (ko) * 2014-08-25 2016-07-19 양수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875520A (zh) * 2016-12-19 2017-06-20 深圳可信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锁、电子钥匙及智能锁系统
KR20220139276A (ko) * 2017-11-06 2022-10-14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KR102571165B1 (ko) 2017-11-06 2023-08-25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US11887417B2 (en) 2017-11-06 2024-01-30 Moca System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49670A1 (en) 2013-09-26
WO2012077993A2 (ko) 2012-06-14
KR20120064637A (ko) 2012-06-19
WO2012077993A3 (ko)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974B1 (ko) 도어락 시스템
US9262460B2 (en) Method for entering identification data of a vehicle into a user database of an internet server device
KR100591495B1 (ko) 서비스 검증 시스템, 인증 요구 단말, 서비스 이용 단말및 서비스 제공 방법
CN101930631B (zh) 手机遥控电锁系统和相应方法
CN104157029A (zh) 基于移动终端的门禁系统控制方法、控制系统及移动终端
CN105813071B (zh) 流量共享方法及装置、终端
KR100969594B1 (ko)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447938A (zh) 门禁可视对讲服务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093232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门禁验证方法及系统
CN101719291A (zh) 一种使用家庭信息终端设备实现门控的方法及系统
US2012025868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artially Locking Functions of Terminal
FR2869190A1 (fr) Procede permettant a l&#39;usager d&#39;un terminal telephonique sans fil d&#39;etablir une connexion d&#39;urgence dans un reseau local; terminal et serveur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CN105516977B (zh) 基于双通道无线路由器或AP的免密码WiFi鉴权认证方法
CN110211278A (zh) 基于人脸抓拍的远程确认访客身份的门禁系统及通行方法
JP2006050523A (ja) 認証ベクトル生成装置、加入者認証モジュール、移動通信システム、認証ベクトル生成方法、演算方法及び加入者認証方法
CN107134026A (zh) 一种门禁控制方法及系统
CN205193906U (zh) 基于云平台的手机开门系统
CN107317943B (zh) 设定呼叫转移的方法及系统
US2005019577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up connections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data and/or communication networks having wireless transmission links, such as, for exampl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and/or mobile telephone networks, and a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and a corresponding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6355701A (zh) 一种智能门锁及开锁的方法
CN111946163A (zh) 一种可视智能锁远程开门的方法和系统
CN105160744A (zh) 基于云平台的手机开门系统和方法
KR101893224B1 (ko) 모바일 기기의 인증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과 모바일 기기의 통신 방법
CN100583762C (zh) 线上认证方法及系统
CN107592426A (zh) 电话接通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