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614A - 소방용 관창 - Google Patents

소방용 관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614A
KR20060131614A KR1020060032070A KR20060032070A KR20060131614A KR 20060131614 A KR20060131614 A KR 20060131614A KR 1020060032070 A KR1020060032070 A KR 1020060032070A KR 20060032070 A KR20060032070 A KR 20060032070A KR 20060131614 A KR20060131614 A KR 20060131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ire
water
pipe
nozz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렬
유홍선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정렬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6013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시 호스 또는 기타 소화용 장비에 연결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관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창의 몸체 일측에는 내측의 스핀들과 결합되어 소화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는 분사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즐이 결합된 헤드부가 형성되며, 중앙부 몸체에는 내부의 스핀들과 결합된 소화수 분배부재가 외면의 분사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다수의 노즐과 연결된 관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렇게 된 본 발명은 종이, 나무, 플라스틱, 단열재 등의 A급화재, 유류 등의 B급화재, 전기, 반도체 등 C급화재의 종류와 화재발생 현장에 따라서 관창의 물 분사 형태를 변화시켜 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복사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소화용 관창에 관한 것이다.
관창, 소화, 노즐, 분사조절부재, 미세분무 노즐, 미세분무 관창

Description

소방용 관창{ A squirt gun for fire fighting}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창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창의 분사노즐을 나타낸 헤드부 구성도.
도3a은 본 발명의 물분배 조절을 위한 고정디스크 및 회전디스크의 분리도.
도3b는 본 발명의 물분배 조절을 위한 고정디스크 및 회전디스크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노즐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소방용 관창 외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의 소방용 관창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관창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관창 2:몸체
3:분사조절부재 4:연결부재
5:관로 6:결합부재
7:고정부재 8:패킹부재
9a,9b,9c:공간부 10:스핀들
11:통로 12:토출공
13:요홈부 20:헤드부
21:노즐 22:직사노즐
23:제1 노즐부 24:제2 노즐부
25:제3 노즐부 30:소화수 분배부재
31:고정디스크 32:회전디스크
33,33':통공 34:돌기
40:건
본 발명은 소화시 호스 또는 기타 소화용 장비에 연결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관창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헤드부의 노즐을 다수 설치하고 분사 조절부재를 360도 회전시켜 노즐의 물 분사형태를 다양하게 함으로서 화재의 종류와 화재발생 현장에 따라서 관창의 물 분사 형태를 변화시켜 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재진압시 발생되는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소화용 관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방용 관창을 살펴보면, 실용신안 공고 제1983-253호의 방수관 내에 수량조절관을 나사식으로 끼우고 수량조절관의 지지편에 직사개폐밸브의 축을 끼워 고정시킨 공지의 관창에 있어서, 지지편 전방의 밸브축부분에 원추형부가 양쪽에 형성된 볼밸브를 삽입시키고, 전방 원추형부에 고무를 포착하여 방수구외주에 고무재질로 형성한 충격방지겸용 분사유도구를 착설하여서 된 소방용 관창과,
실용신안공고 제1994-2950호의 분사노즐이 선단에 설치되고 후단에 소켓관이 결합되게한 통상의 소방용 관창에 있어서, 본체관의 중간위치에 디스크밸브를 별도로 착설하고 이 디스크밸브의 전면에 보조뚜껑에 감착되는 보조나사관을 관접하여 셋트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과,
특허등록 제0262197호의 차입부와 노즐을 알루미늄 재질로서 단조 및 압출로 성형한 후 그 표면을 산화 처리하되, 스프레이 노즐이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도록 노즐에 결합하는 고무재질의 손잡이를 제작하고, 디스크시트와 스핀들을 노즐방향과 차입부방향에서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하여 스핀들의 체결여부를 노즐의 상측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스핀들이 유동가능한 상태에서 체결되도록 하는 소방관창을 제공하므로서, 소방관창의 무게를 줄이면서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한편, 주물제작에 의한 수작업 공정을 없애면서 동절기에는 동상을 방지하여 그 사용상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종래의 이러한 소방용 관창들은 모두다 물이 분사되는 노즐부가 몸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노즐의 분사홀이 일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관계로 분사 형태를 조절할 수 없도록 된 것입니다.
즉 상기의 관창들은 소화시 화재의 정도에 따라서 분사압력을 세게하거나 또는 약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전기제품 생산현장, 반도체 생산현장, 합성수지제품 생산현장, 목재화재현장 등에 따라서 관창의 물 분사 형태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화재진화 후에는 화재에 의한 피해보다 소화하기 위해 분사한 물에 의한 피해가 더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화재현장은 화염에 의한 열기가 발생하여 관창을 들고 화염에 근접하여 소화하는 사람에게는 복사열이 발생하여 화재진압에 많은 어려움을 격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의 관창들은 물 분사 형태를 조절하기 조절부재가 레버형태로 이루어져 화재 진화시 한 손으로는 관창을 지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레버를 조작하여 물 분사 형태를 조절해야 하나 이때 수압에 의해 전문 소방관이 아니고는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산업현장에서 화재 발생시 초기진화에 실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관창의 해드부에 별도로 조립되는 다수의 노즐을 설치하되 다수의 노즐은, 제1 분사노즐부, 제2 분사노즐부, 제3 분사노즐부 및 직사노즐로 구성하여 화재의 종류와 화재현장의 여건에 알맞는 물 분사 형태로 조절하여 소화할 수 있도록 된 소화용 관창을 제공하고 화염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을 차단하면서 화재를 진화하도록 함을 목적과 또한 물 분사 형태를 조절시 몸체의 분사 조절부재를 360도 회전시켜 물 분사시 수압이 발생되더라도 물 분사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관창의 몸체 일측에는 내측의 스핀들과 결합되어 소화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는 분사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즐이 결합된 헤드부가 형성되며, 중앙부 몸체에는 내부의 스핀들과 결합된 소화수 분배부재가 외면의 분사조절부재의 360도 회전에 따라서 다수의 노즐과 연결된 관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관창을 구성하여 화재의 종류와 화재현장의 상황에 따라서 소화수가 분사되는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진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몸체 일측의 후단에 연결된 호스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아 헤드부에 형성된 노즐을 통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소화용 관창에 있어서,
관창(1)의 일측에는 내측의 스핀들(10)과 결합되어 소화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6)및 고정부재(7)와 결합된 연결부재(4)와;
관창의 다른 일측에는 분사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즐(21)과 직사노즐(23)이 결합된 헤드부(20)와;
관창의 중앙부 몸체(2)에는 내부의 스핀들(10)과 결합된 소화수 분배부재(30)가 외면의 분사조절부재(3)의 360도 회전에 따라 다수의 노즐(21)및 직사노즐과 연결된 관로(5)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20)는 물 분사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직사노즐(22)을 설치하고, 그 외주변에 3개의 노즐로 된 제1 노즐부(23), 8개의 노즐로 된 제2 노즐부(24), 6개의 노즐로 된 제3 노즐부(25)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20)는 몸체(2)와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직사노즐(22)과 제1 노즐부(23), 제2 노즐부(24), 제3 노즐몸체(25)는 각각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화수 분배부재(30)는 고정디스크(31)와 회전디스크(32)로 이루어지고 고정디스크(31)와 회전디스크(32)는 다수의 통공(33)이 형성되어 소화수를 관로(5)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 분사 조절부재(3)는 소화수 분배부재의 회전디스크(32)의 양측 돌기(34)와 연결되어 회전디스크(32)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핀들(10)은 내부일측에 소화수공급 통로(11)가 형성되고 일측 외면에는 토출공(12)을 갖는 요홈부(13)가 형성된다.
상기 각 노즐부는 관로(5)와 제1, 2, 3 노즐부(23)(24)(25) 사이에 각각의 공간부(9a)(9b)(9c)가 형성되어 소화수를 각 노즐부로 보내어 분사 또는 분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설명 부호 40은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건(Gun)이고, 6은 결합부재 이며, 7은 고정부재이고, 8은 패킹부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소화수 공급호스와 연결된 건(40)을 관창(1)의 일측 연결부재(4)와 결합한다.
건과 연결된 연결부재(4)는 몸체의 고정부재(7)에 체결된 결합부재(6)와 결합되고 내면은 스핀들(10) 일측단과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화재시 건(40)과 연결된 관창(1)의 헤드부(20)를 발화지점으로 향하도록 한 후 건의 개폐레버(41)를 당기면 호스에 충만된 소화수가 스핀들(10)의 내부 통로(11)와, 토출공(12) 및 요홈부(13)에 채워진다.
이때 스핀들(10)내부 통로(11)에 채워진 소화수는 호수와 연결된 소화수탱크 또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압이 형성된 상태이고 압이 형성된 소화수는 스핀들(10)의 토출공(11)과 소화수 분배부재(30)의 회전디스크(32)와 고정디스크(31)의 일치된 통공(33)을 통하여 다수의 노즐(21)과 연결된 어느 하나의 선택된 관로(5)로 보내지고 관로(5)에 채워진 소화수는 헤드부(20)의 노즐(21)을 통하여 소화수가 직사 또는 분무되도록 한 것이다.
관창(1)의 헤드부(20)에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21)은 다양한 형태로 분무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직사노즐(22)을 설치하고, 그 외주면에 3개의 노즐로된 제1 노즐부(23)가 설치되며, 제1 노즐부(23) 외주면에는 8개의 노즐로 이루어진 제2 노즐부(24)가 설치되고, 제2 노즐부(24) 외주면에는 6개의 노즐로 이루어진 제3 노즐부(25)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1 노즐부(23), 제2 노즐부(24), 제3노즐부(25)는 별도로 형성된 다수의 노즐(21)이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노즐(21)을 통하여 분사되는 소화액은 원형으로 분사되도록한 것이다.
또한, 헤드부(20)에 설치되는 중앙부의 직사노즐(22)은 분사되는 소화수가 물줄기 형태로써 고압으로 직선분사되며, 제1 노즐부(23) 내지 제3 노즐부(25)는 소화수가 미분무 형태로 분사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가 일반적인 건물화재로서 화염이 세게 일어날 경우에는 몸체(2)의 중앙부에 구비된 분사 조절부재(3)를 회전시켜 분사형태를 5단으로 일치시키면 분사조절부재(3)가 회전하는 동시에 내면에 결합된 소화수 분배부재(30)의 회전디스크(32)가 회전되면 회전디스크(32)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3)중 하나가 고정디스크(31)의 직사노즐(22)과 연결된 관로(5)와 일치된 통공(33')과 일치되어 스핀들(10)의 통로(11)와 관로(5)가 연결되므로 소화수를 직사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사 조절부재(3)를 4단으로 일치시키면 소화수 분배부재(30)의 회전디스크(32)가 회전되어 회전디스크(32)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3)과 헤드부(20)의 제1노즐부(23)와 제2 노즐부(24), 제3 노즐부(25)의 관로(5)와 일치되는 고정디스크(31)의 통공(33')들이 일치되어 소화수를 관로(5)를 통하여 노즐(21)로 미분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중앙부의 직사노즐(22)은 관로가 폐쇄된 상태로서 소화수는 방사형태로 미분무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물 분사의 형태를 조절시 몸체 외면에 표기된 숫자에 분사조절부재를 일치시켜 물 분사형태를 바꿀 수도 있지만 분사 조절부재를 360도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분사형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본원 발명의 관창은 화재시 소화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면 수압에 의해 관창을 한손으로 지지하면서 다른 한손으로 분사형태를 조절한다는 것은 숙달된 전문가가 아니고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간단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분사조절부재를 360도 회전시켜 분사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의 관창들은 레버를 기어 변속과 같이 교체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화재시 물 분사 형태를 교체한다는 것은 소방전문가 이외의 일반인들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산업현장에서 화재시 조작 미숙으로 초기진화 하는데 실패하여 대형화재로 발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노즐부(23)와 제2 노즐부(24), 제3 노즐부(25)가 모두 개방되어 소화수가 분무되도록 하면 헤드부(20)에서 소화수가 분사되면서 형성된 방사형의 분무형태가 크게 형성되어 넓은 지역을 소화 할 수 있으며, 특히 전산실, 반도제생산시설 등의 화재시 적합한 소화분무형태가 된다. 이때 개방되는 제1 노즐부(23)는 3개의 노즐로 이루어지고, 제2 노즐부(24)는 8개의 노즐로 이루어지고, 제3 노즐부(25)는 6개의 노즐로 이루어진 것으로 미분무 될 수 있는 모든 노즐(21)들이 개방되어 소화지역을 넓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즉, 전산실, 반도체생산 현장의 경우에는 물로 소화할 경우에는 감전과 기기의 누전으로 인한 파손이 더 크게 발생되므로 소화수를 안개와 같이 미분부시켜 화재를 진화하게 되며, 분사되는 미분무는 밀도를 높여야만 효율적으로 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서, 제1 노즐부(23)와 제2 노즐부(24), 제3 노즐부(25)를 모두 개방시켜 고밀도의 분무와 분사지역을 넓여 효율적으로 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분사조절부재(3)를 3단으로 일치시키면 제1 노즐부(23)와 제2노즐부(24)만 개방되므로서 분무되는 반경이 상기 4단 보다 작게 형성되며 이 역시 물을 직사로 분사해서는 않되는 화재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분사조절부재(3)를 2단으로 일치시키면 제2 노즐부(24)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8개의 노즐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모두 폐쇄된다. 이 역시 미분무되는 것으로 화재의 형태가 소규모이고 전산실, 반도체생산 현장에 적합하다.
또한, 분사조절부재(3)를 1단으로 일치시키면 직사노즐 외주면에 설치된 제1 노즐부(23)를 구성한 3개의 노즐만이 개방되어 미분무되므로 소규모의 화재지역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직사노즐(22)과 제1 노즐부(23), 제2 노즐부(24), 제3 노즐부(25)를 구성하는 노즐(21)들은 헤드부(20)에 나사결합시켜 분리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필요시 노즐을 교체하여 통상적인 물이 분사되는 분무노즐 또는 안개와 같은 미세분무노즐로 교체하거나 혼합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노즐은 필요에 따라서 교체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소화수의 분무형태 역시 노즐의 형태에 따라서 달라진다.
본 발명의 관창을 구성하는 헤드부(20)는 몸체(2)와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헤드부(20)를 구성하는 직사노즐(22)과 제1 노즐부(23), 제2 노즐부(24), 제3 노즐부(25)도 각각 서로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화수를 노즐로 안내하는 관로는 직사노즐(22)과 제1 노즐부(23), 제2 노즐부(24), 제3 노즐부(25)와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노즐부는 각각의 공간부(9a)(9b)(9c)가 형성되어 1개 또는 2개의 관로와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즉, 제3 노즐부(25)를 예로들면 스핀들(10)의 통로(11)에 충만된 소화수가 토출공(12)을 통하여 토출공 위치의 스핀들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부(13 )에 채워지고, 요홈에 채워진 물은 분사조절부재(3)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디스크(32)의 통공(33)중 일부가 고정디스크(31)의 제3 노즐부와 연결된 관로(5)와 일치된 통공(33')과 연결되므로 소화수는 관로를 통하여 제3 노즐부(25) 저부에 형성된 공간부(9c)에 충만되므로 소화수는 제3 노즐부(25)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된다.
상기 제3 노즐부(25)의 연결구성과 같이 제1 노즐부(23), 제2 노즐부(24)의 관로(5)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제3 노즐부(25)는 헤드부(20)의 가장자리에 위치시켜 각각의 노즐(21)이 결합된 각도가 외주면으로 넓게 방사되도록 설치하여 화재를 소화하는 사람이 화염으로부터 발생되는 복사열이 분무수에 차단되어 소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각 노즐부는 관로(5)와 제1, 2, 3 노즐부(23)(24)(25) 사이에 각각의 공간부(9a)(9b)(9c)가 형성되어 소화수를 각 노즐부로 보내어 분사 또는 분무될 수 있도록 하고 공간부에 충만된 소화수 역시 수압이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노즐이 결합된 부분과 스핀들과 몸체의 연결부에는 오링이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관창에 있어서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 오링이 설치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분사 조절부재(3) 내부에 위치하여 관로를 갖는 몸체(2)와 고정부재(7) 사이에 개재된 패킹부재(8)는 소화수 분배부재(30)의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그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고무제품등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관창의 개폐레버(41)가 형성된 건과 연결되는 연결부재 내부 역시 패킹이 개재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부에 형성된 제1노즐부(23)의 노즐(21)중 어느 하나의 노즐을 가스가 직사로 분사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 가스가 분무 뿐만 아니라 물이 직사되듯이 가스를 직사시켜 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창은 건물 등에 설치 된 소화호수 또는 소방차에 설치된 소화호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이동식 소화장치 및 물을 사용하여 분무하는 방식의 워터미스트(WATER MIST) 소화설비 시스템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첨부 도면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창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노즐부, 관로, 조절부 연결부재의 결합상태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창의 분사노즐을 나타낸 헤드부 구성도이고, 도3a은 본 발명의 물분배 조절을 위한 고정디스크 및 회전디스크의 분리도 이며,도3b는 본 발명의 물분배 조절을 위한 고정디스크 및 회전디스크의 결합상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소방용 관창 외형도로서 다른 예의 노즐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의 소방용 관창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소방용 관창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관창의 헤드부분에 별도로 형성된 다수의 노즐을 형성 함으로써, 화재의 종류 즉, 종이, 나무, 플라스틱, 단열재 등의 A급화재, 유류 등의 B급화재, 전기, 반도체 등의 C급화재와 화재현장의 상황에 따라 분사형태로 변경하여 소화수를 분사함으로 소화를 효율적이고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에 화재진압 후 소화수에 의한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 효과와 소화수의 분사형태에 따라서 분사건 또는 관창을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몸체 일측의 후단에 연결된 호스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아 헤드부에 형성된 노즐을 통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소화용 관창에 있어서,
    관창(1)의 일측에는 내측의 스핀들(10)과 결합되어 소화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6)및 고정부재(7)와 결합된 연결부재(4)와;
    관창의 다른 일측에는 분사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즐(21)과 직사노즐(23)이 결합된 헤드부(20)와;
    관창의 중앙부 몸체(2)에는 내부의 스핀들(10)과 결합된 소화수 분배부재(30)가 외면의 분사조절부재(3)의 360도 회전에 따라 다수의 노즐(21)및 직사노즐과 연결된 관로(5)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
  2. 제1항에 있어서,
    헤드부(20)는 물 분사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직사노즐(22)을 설치하고, 그 외주변에 3개의 노즐로 된 제1 노즐부(23), 8개의 노즐로 된 제2 노즐부(24), 6개의 노즐로 된 제3 노즐부(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
  3. 제1항에 있어서,
    헤드부(20)는 몸체(2)와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직사노즐(22)과 제1 노즐부(23), 제2 노즐부(24), 제3 노즐몸체(25)는 각각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
  4. 제1항에 있어서,
    소화수 분배부재(30)는 고정디스크(31)와 회전디스크(32)로 이루어지고 고정디스크(31)와 회전디스크(32)는 다수의 통공(33)이 형성되어 소화수를 관로(5)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
  5. 제1항에 있어서,
    물 분사 조절부재(3)는 소화수 분배부재의 회전디스크(32)의 돌기(34)와 연결되어 회전디스크(32)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
  6. 제1항에 있어서,
    스핀들(10)은 내부일측에 소화수공급 통로(11)가 형성되고 일측 외면에는 토출공(12)을 갖는 요홈부(1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
  7. 제1항에 있어서,
    각 노즐부는 관로(5)와 제1, 2, 3 노즐부(23)(24)(25) 사이에 각각의 공간부(9a)(9b)(9c)가 형성되어 소화수를 각 노즐부로 보내어 분무시킬 수 있도록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
KR1020060032070A 2005-06-15 2006-04-07 소방용 관창 KR200601316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1520 2005-06-15
KR1020050051520 2005-06-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614A true KR20060131614A (ko) 2006-12-20

Family

ID=3781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070A KR20060131614A (ko) 2005-06-15 2006-04-07 소방용 관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161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72Y1 (ko) * 2011-10-28 2013-02-26 박찬규 소방용 관창
KR101311343B1 (ko) * 2013-04-22 2013-09-25 케이앤케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세분무용 소화장비
KR101353445B1 (ko) * 2013-08-01 2014-01-20 주식회사 파이어스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KR101585877B1 (ko) * 2015-07-08 2016-01-22 주식회사 파이어스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CN106693250A (zh) * 2016-09-27 2017-05-24 何先庆 直流细水雾多功能水枪
CN109893806A (zh) * 2019-04-09 2019-06-18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消防水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72Y1 (ko) * 2011-10-28 2013-02-26 박찬규 소방용 관창
KR101311343B1 (ko) * 2013-04-22 2013-09-25 케이앤케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세분무용 소화장비
KR101353445B1 (ko) * 2013-08-01 2014-01-20 주식회사 파이어스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KR101585877B1 (ko) * 2015-07-08 2016-01-22 주식회사 파이어스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CN106693250A (zh) * 2016-09-27 2017-05-24 何先庆 直流细水雾多功能水枪
CN109893806A (zh) * 2019-04-09 2019-06-18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消防水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1614A (ko) 소방용 관창
KR101658935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US6109361A (en) Exterior fire protection system for buildings
CN102256667B (zh) 喷头
AU655026B2 (en) Fire fighting equipment
KR101185109B1 (ko) 화재진압용 노즐장치
KR101662590B1 (ko)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US20200206755A1 (en) Showers
JP6426990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CN1759904B (zh) 消防设备
KR101585877B1 (ko)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KR101507356B1 (ko) 화재 진압용 노즐 장치
US9327151B2 (en) Fire-fighting extinguisher nozzle; a method for fabricating such nozz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spray of fine-droplet mist
KR20080002852U (ko) 소방용 소화액 관창
CA2784230A1 (en) Fire extinguishing assembly for transforming a liquid to a liquid mist
KR100810750B1 (ko) 건축물의 실내소방설비
KR101771035B1 (ko) 소방용 관창
KR102398607B1 (ko) 소방설비용 델류즈 밸브 및 이를 이용한 개방형 스프링클러 설비
JP2006255110A (ja) ノズル組立体
KR200375684Y1 (ko) 소방장치
TWI508758B (zh) Water sprinkler head
KR20210144435A (ko)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538477B1 (ko) 소방용 관창
US626596A (en) Fire-hose nozzle
KR102672301B1 (ko) 소방배관의 수압시험용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205

Effective date: 200811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0094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205

Effective date: 200811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1014452;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31

Effective date: 2009082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1014452;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31

Effective date: 20090821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301003480;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17

Effective date: 2009122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301003480;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17

Effective date: 2009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