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608A - 전방 삽입형 유니언 - Google Patents

전방 삽입형 유니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608A
KR20060131608A KR1020060016496A KR20060016496A KR20060131608A KR 20060131608 A KR20060131608 A KR 20060131608A KR 1020060016496 A KR1020060016496 A KR 1020060016496A KR 20060016496 A KR20060016496 A KR 20060016496A KR 20060131608 A KR20060131608 A KR 20060131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on
flange
screw
screw por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5653B1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20060016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653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1/00Conjuring appliances; Auxiliary apparatus for conjurers

Landscapes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언 나사부가 유니언 플랜지부의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유니언 플랜지부의 직경보다 큰 나사부의 경우도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나사부에 수나사 뿐 아니라 암나사도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 전방 삽입형 유니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측에는 제1 파이프와 연결되도록 나사가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상기 후방측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걸림부가 형성되는 유니언 플랜지; 및 일측은 상기 유니언 플랜지의 전방측에 삽입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원주면의 상하부 일부에 상기 유니언 플랜지의 전방측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2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는 유니언 나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니언 플랜지의 전방측으로 상기 유니언 나사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삽입형 유니언을 제공한다.
유니언, 플랜지, 수나사, 암나사, 파이프, 전방삽입

Description

전방 삽입형 유니언{front insert type union}
도 1(a) 및 (b)는 본 발명의 유니언의 제1 실시예로써, 암나사가 형성된 유니언 나사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니언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결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유니언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b)는 본 발명의 유니언의 제2 실시예로써, 수나사가 형성된 유니언 나사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유니언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유니언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a), (b) 및 (c)는 종래 유니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제1 파이프7, 50 : 제2 파이프
10,20: 유니언 플랜지 12,22: 걸림부
15,30: 유니언 나사부16,35: 돌출부
17: 수나사부33: 암나사부
A: 종래 삽입방향B: 본발명의 전방 삽입방향
본 발명은 전방 삽입형 유니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니언 나사부가 유니언 플랜지부의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유니언 플랜지부의 직경보다 큰 나사부의 경우도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나사부에 수나사 뿐 아니라 암나사도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 전방 삽입형 유니언에 관한 것이다.
관 이음용으로 사용되는 유니언의 종래의 구조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서와 같이 종래의 유니언 나사부(110)는 수나사로 형성되고, 유니언 나사부(110)의 내부는 원통형으로 뚫려있고, 외주연에 결합을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니언 나사부(110)는 유니언 플랜지(120)에 삽입되어 나사부의 걸림부(115)가 플랜지의 걸림턱(122)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도 7(b) 및 (c)는 이와 같은 결합방식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결국, 도 7(b)에서와 같은 A방향으로 플랜지(120)와 나사부(110)가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유니언 나사부의 크기가 플랜지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한정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플랜지의 크기는 통상 연결부위의 관의 크기 및 연결부 주변의 공간확보 등의 여러 조건에 의해 정해지는데, 관 연결부의 복잡함과 체결작업의 어려움 때문에 어느정도 크기에 제약이 있게 된다. 따라서 플랜지의 관통부의 크기보다 큰 직경을 갖는 나사부를 형성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유니언 나사부가 수나사가 아닌 암나사로 형성하는 것이 관의 연결을 위해서 보다 유리하게 되나, 종래의 경우 암나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유니언 나사부의 전방부가 너무 크게 되어 유니언 플랜지(120)에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유니언 플랜지의 크기를 크게 하고, 유니언 나사부의 걸림부의 직경을 크게 하면 해결할 수 있으나, 관 이음부의 크기 및 배관 상황을 고려할 때 원하는 관의 이음을 위해서 플랜지를 허용량 이상으로 크게 하기 어려운 문제가 역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유니언 나사부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으면서 유니언 결합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에 대한 연구가 당 기술분야에서 계속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니언 나사부의 크기를 설계에 따라 플랜지부의 관통부 직경보다 크게 할 수 있는 전방 삽입방식을 채용한 유니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니언 나사부를 암나사로 형성하여 관 연결시에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간단한 구조로 유니언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니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후방측에는 제1 파이프와 연결되도록 나사가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상기 후방측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걸림부가 형성되는 유니언 플랜지; 및 일측은 상기 유니언 플랜지의 전방측에 삽입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원주면의 상하부 일부에 상기 유니언 플랜지의 전방측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2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는 유니언 나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니언 플랜지의 전방측으로 상기 유니언 나사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삽입형 유니언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니언 플랜지의 나사는 암나사가 되며, 상기 유니언 나사부의 돌출부는 나사부 일측의 원주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그 중심으로부터의 원주각은 45도 이내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니언 나사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나사부는 유니언 나사부의 일측의 원주면 직경 이상의 외경을 갖는 수나사부가 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유니언 나사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나사부는 유니언 나사부의 일측의 원주면 직경 이상의 외경을 갖는 암나사부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나사부의 외측면은 육면체의 너트형상이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는 연결부위에 나사부가 형성된 파이프 또는 파이프 연결을 위한 조인트가 되며, 상기 유니언 나사부 일측의 전방면에는 패킹이 설치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니언은 유니언 플랜지에 유니언 나사부가 플랜지의 전방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전방 삽입형 결합방식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러한 전방삽입형 구조를 통해 유니언 나사부의 다양한 나사부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 1실시예
도 1(a) 및 (b)는 본 발명의 전방 삽입형 유니언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유니언이 파이프와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유니언 플랜지(10)를 포함한다. 유니언 플랜지(10)는 전체적으로 육각면을 가진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은 관통되어 있는 원형 홀 형상이고, 외측은 육각의 너트 형상이다. 내측 관통홀의 직경중 작은쪽 직경을 갖는 부분을 전방으로 한다. 이때 후방측에 도 2에서와 같은 제1 파이프(5)가 연결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의 나사부는 수나사, 암나사가 다양한 설계조건에 따라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암나사(25)를 형성하였다.
유니언 플랜지(10)는 전방측에 상기 후방측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걸림부(12)가 형성된다. 걸림부(12)는 후술하는 유니언 나사부의 돌출부(16)가 걸려 전방측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걸림부(12)의 직경은 플랜지 후방측의 나사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유니언 플랜지의 전방측으로 결합이 가능한 유니언 나사부(15)를 포함한다. 유니언 나사부는 유니언 플랜지에 삽입되는 일측과 그 반대편의 타측으로 형성된다. 유니언 나사부는 연결되는 파이프와 비슷한 내경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유니언 나사부(15)의 일측은 유니언 플랜지(10)의 전방측에 삽입가능한 직경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유니언 나사부(15) 일측의 원주면에는 상하부에 각각 플랜지(10)의 걸림부(12)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6)가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유니언 나사부(15)를 일직선 상으로 유니언 플랜지(10)에 삽입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도 1(b)에서와 같이 유니언 나사부(15)를 일정각도 기울인 상태에서는 유니언 플랜지(10)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제 사용상태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직선상의 배열을 이루게 되므로 전방 결합(B방향)이 이탈될 우려는 없게 된다.
한편, 유니언 나사부(15)의 돌출부(16)는 나사부 일측의 원주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그 중심으로부터의 원주각은 45도 이내가 되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도 1(b)에서와 같이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경우 원주면에 돌출부(16)가 너무 넓게 퍼져 원주각(부채꼴의 중심각)이 크게 되면 기울이더라도 삽입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삽입이 가능한 최대한의 원주각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A방향으로 결합하는 경우 유니언 나사부의 외경은 플랜지의 관통홀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의 유니언은 전방 결합방식(B방향)이기 때문에 플랜지의 직경과 무관한 유니언 나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유니언 나사부(15)의 타측에는 제2 파이프(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1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니언 나사부(15)에 암나사(17)가 형성된다. 즉, 유니언 나사부(15)의 타측에는 암나사(17)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유니언은 유니언 플랜지(10)의 전방측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암나사(17)는 유니언 나사부의 일측의 원주면 직경 이상의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암나사(17)의 외측면은 육면체의 너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니언 나사부(15)의 타측에 암나사를 형성하게 되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제2 파이프(50)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제2 파이프(50)가 수나사를 갖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유니언의 나사부가 암나사로 형성되면 별도의 결합용 플랜지 없이도 연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제공한다. 종래에는 암나사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플랜지 자체의 직경을 크게하여 전체적인 유니언의 크기를 크게 하는 방법밖에는 없었지만, 본 발명에 의해 전방 결합을 하게 되면 플랜지의 크기와 상관없이 암나사를 설계에 따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암나사부의 외면이 육각의 너트 형상이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체결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만약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니언 나사부가 수나사가 되면 수나사와 결합용 플랜지 모두를 잡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작업의 어려움 및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니언과 제1 및 제2 파이프의 연결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제1 파이프(5)는 T형 조인트이며, 제2 파이프(50)는 직선형 파이프가 된다. 여기서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는 연결부위에 나사부가 형성된 파이프 또는 파이프 연결을 위한 조인트가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나사로 연결되는 방식의 관 이음부재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유니언과 각 파이프들과의 연결은, 먼저 유니언 플랜지(10)를 T형 조인트(5)에 연결한 후, 유니언 나사부(15)의 돌출부(16)가 걸림부(12)에 걸릴 수 있도록 비스듬하게 삽입한다. 그 후 유니언 플랜지(10)를 조여서 조인트(5)의 전방면과 유니언 나사부(15)의 일측 끝면이 서로 맞닿도록 하여 자연적으로 직선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유니언 나사부의 수나사(17)를 제2 파이프(50)와 연결한다. 이와 같이 연결한 후에 각 연결부위를 확실하게 조여주는 것으로 연결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유니언 나사부(15) 일측의 끝면, 즉 전방면에는 패킹이 부착되어 연결부위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
도 4(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니언 결합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유니언이 제1 및 제2 파이프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연결된 후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유니언 플랜지(20), 유니언 나사부(30)의 돌출부(35)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제2 실시예에서는 유니언 나사부(30)에 수나사(33)가 형성되는 것이 다르다. 이때 유니언 나사부(30)는 앞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니언 플랜지(20)의 전방측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수나사(33)는 유니언 나사부(30) 일측 원주면의 직경 이상, 즉 유니언 플랜지(20)의 전방면의 관통홀의 내경 이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서와 같이 제2 파이프(7)와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수나사부(33)는 양측에 모두 암나사가 형성된 직선 연결용 플랜지(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면에는 각각 고무 패킹이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한다.
도면에서 도시하였으나 미설명된 부호 중, 37은 내부 관통홀을 도시한 것이며, 22는 유니언 플랜지의 걸림부, 5는 제1 파이프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5에서 제1 파이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면이 아닌 정면도로 일부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유니언 나사부의 크기를 설계에 따라 플랜지부의 관통부 직경보다 크게 할 수 있는 전방 삽입방식을 채용하여, 유니언 나사부의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유니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니언 나사부를 암나사로 형성하여 관 연결시에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간단한 구조로 유니언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8)

  1. 후방측에는 제1 파이프와 연결되도록 나사가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상기 후방측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걸림부가 형성되는 유니언 플랜지; 및
    일측은 상기 유니언 플랜지의 전방측에 삽입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원주면의 상하부 일부에 상기 유니언 플랜지의 전방측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2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는 유니언 나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니언 플랜지의 전방측으로 상기 유니언 나사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삽입형 유니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언 플랜지의 나사는 암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삽입형 유니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언 나사부의 돌출부는 나사부 일측의 원주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그 중심으로부터의 원주각은 45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삽입형 유니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언 나사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나사부는 유니언 나사부의 일측의 원주면 직경 이상의 외경을 갖는 암나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삽입형 유니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의 외측면은 육면체의 너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삽입형 유니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언 나사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나사부는 유니언 나사부의 일측의 원주면 직경 이상의 외경을 갖는 수나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삽입형 유니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는 연결부위에 나사부가 형성된 파이프 또는 파이프 연결을 위한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삽입형 유니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언 나사부 일측의 전방면에는 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1020060016496A 2006-02-21 2006-02-21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10074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496A KR100745653B1 (ko) 2006-02-21 2006-02-21 전방 삽입형 유니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496A KR100745653B1 (ko) 2006-02-21 2006-02-21 전방 삽입형 유니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608A true KR20060131608A (ko) 2006-12-20
KR100745653B1 KR100745653B1 (ko) 2007-08-02

Family

ID=3781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496A KR100745653B1 (ko) 2006-02-21 2006-02-21 전방 삽입형 유니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6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54B1 (ko) * 2011-09-21 2012-05-09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관 연결구
KR101143552B1 (ko) * 2011-09-21 2012-05-09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관 연결구
CN104343174A (zh) * 2013-07-24 2015-02-11 科勒诺维达株式会社 温水洁身器的分支接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910U (ko) * 1989-06-23 1991-02-13
JPH05346192A (ja) * 1992-06-10 1993-12-27 Teikoku Kinzoku Kk 管継手
JPH11336962A (ja) 1998-05-28 1999-12-07 Yazaki Corp ユニオン継手
JP4300466B2 (ja) 2003-09-30 2009-07-22 ニッタ・ムアー株式会社 管継手
KR200489136Y1 (ko) * 2017-10-11 2019-05-07 (주)현대텍 다기능부를 갖는 고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54B1 (ko) * 2011-09-21 2012-05-09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관 연결구
KR101143552B1 (ko) * 2011-09-21 2012-05-09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관 연결구
CN104343174A (zh) * 2013-07-24 2015-02-11 科勒诺维达株式会社 温水洁身器的分支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653B1 (ko)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0473B2 (ja) 管継手ロック装置
JP5941643B2 (ja) 継手
KR100745653B1 (ko)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20170002509U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배관밸브용 결합체
JP2007247855A (ja) 管継手
US20150091296A1 (en) Retention and anti-roatation for bulkhead fittings
KR20090060254A (ko) 슬라이드 조임식 파이프 연결 소켓
JP5584583B2 (ja) 樹脂管用継手及び樹脂管用継手を用いた連結方法
TWM530891U (zh) 鏈扣裝置
JP5490506B2 (ja) 管体接続金具
JP2020176665A (ja) 管継手
KR20080081777A (ko) 고압 가스배관용 연결구.
KR20200123920A (ko)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JPH11336965A (ja) 流体管の接続装置
KR200373381Y1 (ko) 파이프 조인트
JP6872421B2 (ja) 継手および変形低減部材
KR200231636Y1 (ko) 관연결구
JP4810267B2 (ja) 管継手
JP2011256945A (ja) 拡管式管継手
JP7340851B2 (ja) 絶縁継手
JPH0488288A (ja) 分岐パイプ継手
KR200405211Y1 (ko) 배수관의 슬리브 연결용 유니온
JP3924459B2 (ja) 管接続具
JP4567648B2 (ja) 配管接続用アダプタ及び耐震継手への仮設配管の接続方法
KR200220138Y1 (ko) 배관 연결용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