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535A -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Google Patents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31535A KR20060131535A KR1020050052045A KR20050052045A KR20060131535A KR 20060131535 A KR20060131535 A KR 20060131535A KR 1020050052045 A KR1020050052045 A KR 1020050052045A KR 20050052045 A KR20050052045 A KR 20050052045A KR 20060131535 A KR20060131535 A KR 200601315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tiller
- pipe
- steam
- water
-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34—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B01D3/40—Extractive disti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재로부터 주요성분이 물에 추출될 수 있도록 끓여주는 약탕기와, 약탕기로부터 증발된 약재의 주요성분을 포함한 증기를 응축시켜 배출하는 증류기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하부에 히터가 설치된 함체 형상으로 되어 그 내부에 약재와 물을 담아 끓여주는 가열용기와; 연결관을 통해 가열용기와 서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수냉식의 냉각통이 마련되며, 바닥부측에는 배출밸브를 갖는 배출관이 일체로 연결되어 연결관을 통해 유입된 증기를 응축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증류기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가열용기와 증류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그 설치공간을 최소로 차지하면서도 약재를 포함한 물을 끓여주어 약재로부터 주요성분이 추출되는 과정과, 주요성분이 추출된 물을 증발시킨 후 이를 다시 응축하여 증류수로 배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증류기, 약탕기, 가열용기, 압력조절관, 압력조절기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의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의 연결관과 증류기의 연결부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시도로서,
도 3a는 압력조절관이 냉각통을 가로질러 설치된 경우의 상태도.
도 3b는 압력조절관이 냉각통 내부에 나선형으로 설치된 경우의 상태도.
도 3c는 냉각통에 냉각관이 설치된 경우의 상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통과 압력조절관의 설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a는 냉각통 중간에 공간이 형성되어 여기에 다수의 열교환구가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경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용기가 압력용기로 구성될 경우.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열용기 11 : 히터 12 : 가열용기의 뚜껑
13 : 가열용기의 압력조절관 14 : 망통 20 : 증류기
21,25,82 : 배출밸브 22 : 배출관 23 : 증류기의 뚜껑
24 : 청소용 배출관 30 : 연결관 31 : 재유입관
32 : 증기배출구 33 : 회전추 34 : 공급밸브
40 : 냉각통 41 : 급수관 42 : 배수관
43 : 냉각관 44,44' : 공간부 50 : 압력조절관
60 : 압력조절기 61 : 볼밸브 62 : 탄성부재
70 : 열교환구 71 : 안내관 80 : 증기박스
81 : 증류수배출관
본 발명은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재로부터 주요성분이 물에 추출될 수 있도록 끓여주는 약탕기와, 약탕기로부터 증발된 약재의 주요성분을 포함한 증기를 응축시켜 배출하는 증류기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약탕기는 약재와 물을 넣고 입구를 통기가능하게 한지 등으로 막아준 상태에서 오랜 시간 끓여 약재로부터 주요성분이 물에 추출되도록 한 후 거즈를 통해 약재는 걸러내고 약재의 주요성분을 포함한 탕약만을 뽑아내어 음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약재 추출 용기로서, 이러한 재래식의 약탕기는 아무리 잘 걸러내더라도 탕약속에 약재의 찌꺼기가 남게 되므로 최근 대형 건강원 등에서는 약재를 물을 넣고 어느 정도 끓인 후 이를 증류시키고, 다시 응축시킴으로써 찌 꺼기가 없이 약재의 주요성분을 포함한 증류수를 받아 이를 음복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약재를 가열용기를 통해 오랜 시간 끓인 후 냉각장치를 갖춘 별도의 증류기에 연결하여 가열용기로부터 증기가 증류기로 유입되게 하고, 증류기를 통해 응축시킨 증류수를 받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가열용기와 증류기가 별도로 구성될 수밖에 설비비가 증가됨은 물론 설치공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약재를 끓이기 위한 가열용기와, 가열용기를 통해 증류화된 증류기를 일체로 구성하되, 가열용기를 통해 증발된 증기가 증류기로 유입되어 응축되었다가 다시 가열용기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다가 어느 시점에서는 증류수 배출밸브를 열어 증류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열용기와 증류기의 설비비를 절감함은 물론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하부에 히터(11)가 설치된 함체 형상으로 되어 그 내부에 약재와 물을 담아 끓여주는 가열용기(10)와; 연결관(30)을 통해 가열용기(10)와 서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수냉식의 냉각통(40)이 마련되며, 바닥부측에는 배출밸브(21)를 갖는 배출관(22)이 일체로 연결되어 연결관(30)을 통해 유입된 증기를 응축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증류기(20)로 구성되어 이러한 가열용기(10)와 증류기(20)가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연결관(30)이 증류기(20)에 연결되는 구조는 도 2와 같이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연결관(30)의 증류기측 배출단부는 적어도 증류기(20)의 바닥부 높이보다는 높게 위치되어 증류기(20)를 통해 응축된 증류수가 그 바닥에 어느 정도 모였다가 연결관(30)으로 다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증류기(20)와 냉각통(40) 사이의 공간부로부터 증류기(20)의 외측으로 연결된 압력조절관(50)이 마련되고, 압력조절관(50)의 상단부에는 이물질 유입을 막아주면서 증류기(2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압력조절기(60)가 구성되는데, 도면상에는 압력조절기(60)로서 압력조절관(50)을 막아주는 볼밸브(61)와, 볼밸브(61)에 척력을 제공하여 볼밸브(61)가 상시 압력조절관(50)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62)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하였으며, 이외에도 증류기(20)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증류기(2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압력조절관(50)을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아울러, 연결관(30)을 통해 유입된 증기가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연결관(30)의 배출단부와 압력조절관(50)의 유입단부는 서로 반대측에 설치하게 되며,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압력조절관(5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증기성분을 응축시켜 다시 증류기(2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압력조절관(50)을 냉각통(4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하거나 냉각통(40) 내부에 나선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냉각통(40)에는 급수관(41)과 배수관(42)을 설치하여 차가운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3c와 같이 냉각통(40) 내부에 별도의 냉매시스템으로부터 순환되는 냉각관(43)을 설치하여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키지 않고도 냉각의 효과를 나타내게 할 수도 있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2는 가열용기(10)의 뚜껑을 나타내고, 13은 가열용기(10)의 압력조절관을 나타내며, 14는 약재를 받쳐주는 망통을 나타내고, 23은 증류기(20)의 뚜껑을 나타내며, 24는 청소용 배출관을 나타내고, 25는 청소용 배출관(24)을 개폐하는 배출밸브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가열용기(10)의 내부에 추출하고자 하는 약재와 물을 붓고, 그 외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11)에 전원을 인가하면 가열용기(10) 내부의 물이 끓으면서 약재로부터 주요성분이 추출된다.
가열용기(10) 내부의 물이 끓으면서 자연적으로 증기가 발생되며, 이러한 증기는 연결관(30)을 따라 상승하여 증류기(20) 내부로 유입되고, 증류기(20) 내부에는 냉각통(40)이 구비되어 그 내부에 냉각수가 채워져 있으므로 상기 유입된 증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통(40)과 접촉되면서 자연스럽게 응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응축된 증류수는 증류기(20)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냉각통(40)으로는 급수관(41)을 통해 지속적으로 차가운 물이 유입되고 배수관(42)으로는 물이 배출되면서 지속적으로 냉각수가 순환되게 할 수도 있고, 냉각통(40) 내부에 냉매시스템의 냉각관(43)을 설치하고 물을 채워 물이 냉각관(43)과 열교환하면서 차갑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증류기(30) 바닥으로 떨어진 증류수는 모이면서 바닥으로부터 차오르게 되고, 가열용기(10)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증류기(20)로 유입시키는 연결관(30)의 배출단부가 적어도 증류기(20)의 바닥면보다는 높이 위치되므로 증류수가 증류기(20)의 바닥으로부터 차오르다가 연결관(30)으로 흘러들어가 다시 가열용기(10)로 유입되고, 가열용기(10)에서는 다시 가열이 이루어져 증기상태로 증발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여 약재로부터 주요성분이 충분히 추출된 후에는 이를 증류수의 형태로 받아주게 되는데, 증류기(20)의 바닥에 연결된 배출관(22)의 배출밸브(21)를 열어주면 증류기(20)의 바닥부와 연결관(30)의 배출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증류수가 배출될 수 있고, 배출밸브(21)를 계속 열어놓게 되면 가열용기(10)로부터 지속적으로 증발되는 증기가 냉각통(40)과의 접촉을 통해 증류수로 응축되어 배출관(22)을 따라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는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약재를 끓여주는 과정과, 주요성분이 추출된 물을 증발시키고 이를 다시 증류수로 응축시켜 배출시켜주는 과정이 하나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증기가 증류기(20)로 유입됨에 따라 증류기(20) 내부의 압력은 점차 높아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배출관(22)의 배출밸브(21)를 열어주지 않는다면 증류기(20) 내부의 압력은 더욱 높아지게 되므로 증류기(20)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증류기(2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관(50)이 마련되는데, 압력조절관(50)의 유입단부는 연결관(30)의 배출단부와는 반대측에 이격설치되므로 연결 관(30)을 통해 유입되는 증기가 곧바로 압력조절관(50)의 유입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는 것이며, 증류기(20)의 압력이 압력조절관(50) 상단부의 볼밸브(61)를 밀어주는 탄성부재(62)의 척력보다 커지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해 압력조절관(50) 상단부의 볼밸브(61)를 밀어주어 증류기(20) 내부의 압력이 빠져나가고, 탄성부재(62)의 척력이 더 강해지면 볼밸브(61)는 다시 압력조절관(50)을 막아주는 과정을 반복수행하면서 증류기(20) 내부의 압력을 적정하게 유지해주게 된다.
또한, 압력조절관(50)이 냉각통(4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압력조절관(50)을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어 이러한 응축된 증류수가 다시 증류기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냉각통(40)의 중간부에 공간부(44)를 형성하여 이 부위로 연결관(30)의 배출단부가 연결되게 하되, 연결관(30)의 압력조절관 반대측으로 유입밸브(31a)를 갖는 재유입관(31)을 인출하여 구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면 연결관(30)을 통해 유입된 증기가 최초 압력조절관(50)측과는 격리된 상태에서 공간부(44)를 통해 냉각통(40)의 내측과 접촉되면서 상승하고, 냉각통(40) 상부측으로 빠져나와 다시 냉각통(40)의 외측과 접촉되는 과정에서 응축이 대부분 일어나게 되므로 압력조절관(50)으로 곧바로 빠져나가는 증기가 최소화될 수 있어 보다 고농도의 약재 추출물을 포함한 증류수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되며, 가열과정에 있을 때에는 재유입관(31)의 유입밸브(31a)를 열어주어 증류수를 다시 가열용기(10)로 재유입시키고, 증류과정에서는 재유입관(31)이 유입밸브(31a)를 잠가주어 증기가 전량 증류되도록 하면된다.
도 5a와 같이 냉각통(40)의 중앙에는 관형상의 공간부(44')를 형성하여 이 부위로 연결관(30)의 배출단부가 연결되게 하되, 공간부(44)에는 깔때기 형상의 열교환구(70)를 서로 상하 연결되게 설치하고, 열교환구(70) 중 최상부측 열교환구(70)에는 냉각통(40) 외측으로 증기를 안내하는 안내관(71)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하면 증기가 깔때기 형상의 다수의 열교환구(70)를 지나면서 각각의 열교환구(7) 저면과 접촉되고, 열교환구(70)는 냉각통(40)과 접촉되어 있어 타부위보다 온도가 저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증기의 일부가 열교환구(70)를 통해 응축되어 다시 가열용기(10)로 유입될 수 있고, 열교환구(70)를 빠져나간 증기는 냉각통(40)의 외측과 접촉되면서 응축될 수 있어 압력배출관(50)을 통해 빠져나가는 증기의 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냉각통(4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41)과 물을 배출해주는 배수관(42)은 냉각통(40)의 위쪽으로 연결하거나 물속에 침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급수관(41) 또는 배수관(42)을 냉각통(40)의 저부 측벽의 접선방향으로 설치할 경우 물이 냉각통(40)으로 공급되면서 물을 회전시킬 수 있고 배수관(42)의 경우 물이 회전되면서 배출될 수 있어 정적인 구조에 비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상에는 급수관(41)을 냉각통(40) 저부 측벽의 접선방향으로 설치하고 배수관은 냉각통(40)의 상부에 침수되게 구성한 것을 예로 하였으나 급수관(41)과 배수관(42)의 역할을 바꾸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용기(10)는 무압력용기로 구성할 수도 있고, 압력용기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압력용기로 구성될 경우에는 도 5b와 같이 연결관(30) 상에는 증기박스(80)가 개재하되, 증기박스(80)의 하부에는 연결관(30)의 관경을 좁게 하여서 된 증기배출구(32)를 적어도 증기박스(80)의 바닥면 높이보다는 높게 연결하고, 증기배출구(32)의 상단부에는 증기배출구(32)를 막아주면서 증기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증기를 빼내주는 회전추(33)를 얹어 구성하며, 증기박스(80)의 하부 측방에는 증기박스(80)에서 응축된 증류수를 외부로 배출해주는 증류수배출관(81)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열용기(10)의 뚜껑은 그 내부 압력에 대해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열용기(10) 본체와의 결합력이 우수하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4는 증기배출구(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주는 공급밸브를 나타내고, 82는 증류수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밸브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면, 가열용기(10)를 이루는 압력용기 내부를 고압상태로 만들어주면서도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밸브의 역할을 해주게 되어 가열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신 압력용기를 빠져나간 증기는 전량 증류수로 응축시켜 배출시켜주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용기와 증류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그 설치공간을 최소로 차지하면서도 약재를 포함한 물을 끓여주어 약재로부터 주요성분이 추출되는 과정과, 주요성분이 추출된 물을 증발시킨 후 이를 다시 응축하여 증류수로 배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증발기에 구비된 압력조절관의 상단부에 압력조절기가 구비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증류기 내부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증류기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해줄 수 있고, 이러한 압력조절관이 냉각통을 통과하여 설치되는 경우 압력조절관을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중에 포함된 증기까지 응축시킬 수 있어 증류수의 생산량을 크게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 외하부에 히터(11)가 설치된 함체 형상으로 되어 그 내부에 약재와 물을 담아 끓여주는 가열용기(10); 및연결관(30)을 통해 상기 가열용기(10)와 서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수냉식의 냉각통(40)이 마련되며, 바닥부측에는 배출밸브(21)를 갖는 배출관(22)이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30)을 통해 유입된 증기를 응축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증류기(2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관(30)의 증류기측 배출단부는 적어도 상기 증류기(20)의 바닥부 높이보다는 높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증류기(20)와 상기 냉각통(40) 사이의 공간부로부터 상기 증류기(20)의 외측으로 연결된 압력조절관(50)이 마련되고, 상기 압력조절관(50)의 상단부에는 이물질 유입을 막아주면서 상기 증류기(2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압력조절기(6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관(30)의 배출단부와 상기 압력조절관(50)의 유입단부가 서로 반대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압력조절관(50)은 상기 냉각통(40)의 내부를 통과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냉각통(40)의 중간부에 공간부(44)를 형성하여 이 부위로 상기 연결관(30)의 배출단부가 연결되게 하되, 상기 연결관(30)의 압력조절관 반대측에는 유입밸브(31a)를 갖는 재유입관(31)을 인출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냉각통(40)의 중앙에는 관형상의 공간부(44')를 형성하여 이 부위로 상기 연결관(30)의 배출단부가 연결되게 하되, 상기 공간부(44)에는 깔때기 형상의 열교환구(70)를 서로 상하 연결되게 설치하고, 상기 열교환구(70) 중 최상부측 열교환구(70)에는 냉각통(40) 외측으로 증기를 안내하는 안내관(71)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열용기(10)가 압력용기로 구성될 경우 상기 연결관(30) 상에는 증기박스(80)를 개재하되, 상기 증기박스(80)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관(30)의 관경을 좁게 하여서 된 증기배출구(32)를 적어도 상기 증기박스(80)의 바닥면 높이보다는 높게 연결하고, 상기 증기배출구(32)의 상단부에는 상기 증기배출구(32)를 막아주면서 증기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증기를 빼내주는 회전추(33)를 얹어 구성하며, 상기 증기박스(80)의 하부 측방에는 상기 증기박스(80)에서 응축된 증류수를 외부로 배출해주는 증류수배출관(81)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냉각통(40)에 물을 공급해주거나 배출하는 급수관(41) 또는 배수관(42)을 상기 냉각통(40)의 저부 측벽의 접선방향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2045A KR20060131535A (ko) | 2005-06-16 | 2005-06-16 |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2045A KR20060131535A (ko) | 2005-06-16 | 2005-06-16 |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7428U Division KR200405098Y1 (ko) | 2005-06-17 | 2005-06-17 |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1535A true KR20060131535A (ko) | 2006-12-20 |
Family
ID=3781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2045A KR20060131535A (ko) | 2005-06-16 | 2005-06-16 |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13153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8168A (ko) | 2019-10-23 | 2021-05-03 | 승 리 스튜어트 | 멀티 캐비테이션 장치 |
-
2005
- 2005-06-16 KR KR1020050052045A patent/KR20060131535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8168A (ko) | 2019-10-23 | 2021-05-03 | 승 리 스튜어트 | 멀티 캐비테이션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283220C (zh) | 药草蒸汽装置 | |
FI112781B (fi) | Menetelmä ja laitteisto puhtaan höyryn tuottamiseksi | |
RU2470104C2 (ru) | Парогенератор с секцией для подогрева воды | |
RU2567707C2 (ru) | Электробытовой кухонный прибор с двумя резервуарами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на основе горячей воды | |
NL9001631A (nl) | Toestel voor het leveren van kokend water. | |
KR200405098Y1 (ko) |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
KR20060131535A (ko) | 증류기 일체형 약탕기 | |
CN110170486A (zh) | 一种药材加工装置 | |
KR102181232B1 (ko) | 진공증발농축장치 | |
JP3841373B2 (ja) | 非沸騰式蒸留精製装置 | |
US2750999A (en) | Multiple effect evaporator tower | |
WO2010024727A1 (ru) | Теплогенерирующая установка (варианты) | |
EA003624B1 (ru) | Устройство испаритель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 |
JP5898733B2 (ja) | 水蒸気蒸留装置 | |
KR100691343B1 (ko) | 한약재의 증숙액 추출기 | |
CN208493258U (zh) | 一种用于黄芪提取物浓缩的蒸发装置 | |
CN209484564U (zh) | 一种电加热蒸汽发生器 | |
US1756673A (en) | Vacuum pan | |
KR200422232Y1 (ko) | 냉각증류기 | |
US6080273A (en) |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liquids by partial evaporation | |
JP4155871B2 (ja) | 減圧蒸発濃縮装置 | |
KR200169251Y1 (ko) | 중탕기의 낙수받이장치 | |
KR200254683Y1 (ko) | 약탕기의 대류식 수증기 냉각장치 | |
EP1086046A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JP2740790B2 (ja) | 食品用ピュアースチーム発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