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106A -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106A
KR20060131106A KR1020050051308A KR20050051308A KR20060131106A KR 20060131106 A KR20060131106 A KR 20060131106A KR 1020050051308 A KR1020050051308 A KR 1020050051308A KR 20050051308 A KR20050051308 A KR 20050051308A KR 20060131106 A KR20060131106 A KR 20060131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tress
hair
cineo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1212B1 (ko
Inventor
박녹현
박원석
전병배
황재성
장이섭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50051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212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네올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스에 의한 성장기 모낭이 퇴행기로 조기 이행되어 일어나는 탈모 현상을 시네올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해시킴으로써 스트레스성 탈모 방지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미녹시딜, 판테놀 유도체, 백자인 및 당약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스트레스, 시네올, 탈모 방지, 화장료 조성물, 미녹시딜, 판테놀 유도체, 백자인, 당약추출물

Description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suppressing skin troubles induced by stress}
도 1은 마우스의 안쪽 피부 명도 측정을 통한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시네올의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스트레스 환경의 마우스에 시네올을 처리한 후 조직학적인 모낭 주기를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시네올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피부 스트레스에 의한 성장기 모낭이 퇴행기로 조기 이행되어 일어나는 탈모 현상을 시네올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해시킴으로써 스트레스성 탈모 방지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미녹시딜, 판테놀 유도체, 백자인 및 당약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할 수 있다.
현대 병의 모든 근원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스트레스는 생체에 미치는 자극이 일정한 정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자극이 생체에 상해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때 생체 내에서 그 자극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서 비특이적인 전신증후군(general adaptative syndrome)을 나타내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Selye,H. :The stress of life, Toronto,Longnans Green and Co., pp.1-50,1958). 이러한 스트레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고 있는데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체적 요인- 과로, 수면부족, 외상, 중독 등
(2) 외부적 요인- 자연환경, 문화상황, 가정이나 직장에서의 인간 관계 등
(3) 내부적 요인- 성격, 현실에서의 심리적 갈등, 유·소아 시기의 정신적 상처 등
이와 같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또한 스트레스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다양하여 긴장성 두통, 편두통, 고혈압, 소화불량, 피로, 통증, 갱년기 장애, 탈모 및 피부 트러블 등을 일으키고,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각종 신경증, 위궤양 등을 유발하기도 하며, 신체의 생리활성, 면역활성 등이 저하되고 신체의 항상성이 약화되어 다른 질병 등이 유발되기 때문에 건강에 상당한 위협을 가하기도 하며, 정신적 활동을 위축시키고 정서가 불안정해져서 비정상적 행동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현대사회에서는 스트레스가 매우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스트레스는 공통적으로 교감신경계인 뇌하수체-부신계(HPA)의 기능을 항진 시켜 호르몬 분비를 유발하여 부신의 기능 항진 및 비장의 기증 저하를 유도함으로써 위의 증상들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스트레스에 관련된 연구와 개발은 부신과 비장의 기능 변화 정상화를 통한 접근으로 이루어져 왔다.
과거 탈모의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현재는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 증상으로 고민하는 젊은 층이 급증하고 있고 여성에게서도 많이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지금까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전통적으로 여러 사람들에게 공감되었던 스트레스성 탈모 기전이 최근 들어 마우스 모델을 중심으로 밝혀지기에 이르렀다.
Arck 등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신경, 면역 및 내분비에 작용하여 모발 성장을 억제한다는 가설을 내세워, 스트레스가 보통 신경내분비 반응 외에도 신경말단에서 기질 P(Substance P)의 분비를 유도하여 기질 P 수용체(NK-1 receptor)를 통하여 대식세포(macrophage), γδT 세포 및 비만세포(mast cell)로 하여금 염증성 신호전달물질(cytokine)을 생산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모낭 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성장을 막고 사멸(apoptosis)을 유도한다고 보고하였다(FASEB J. 2001; 15(13): 2536-2538).
따라서, 효과적으로 스트레스에 의한 모발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서 기질 P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나 스트레스에 따른 일련의 비만세포의 탈과립 (degranulation)을 막는 방법 등이 제기되고 있다(Am J Pathol. 2003; 162(3): 709-712).
현존하는 탈모방지 치료제 중에서 미녹시딜은 그 고유한 칼륨 채널 개방제(Potassium channel opener)로서의 혈관확장 기능 외에 본 연구에서와 같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마우스의 퇴행기 모낭 주기 진입을 억제하였다고 보고되었다(Exp. Dermatol. 2003; 12(5): 580-590).
시네올(1,8-Cineol)은 1,3,3-트리메틸-2-옥사바이사이클로[2,2,2]옥탄(1,3,3-trimethyl-2-oxabicyclo[2,2,2]octane)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카제푸톨(cajeputol), 유칼립톨(eucalyptol), 리모넨 옥사이드(limonene oxide)라고 하며 목욕제(Bath Oils, Tablets, and Salts), 일반 화장세정제(Cold Creams, Cleansing Lotions, Liquids and Pads), 구강세정제(Mouthwashes) 및 구취제거제(Breath Fresheners (Liquids and Sprays))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시네올은 거담과 항바이러스 효과가 좋아 호흡기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특허출원 제1994-040906호에는 졸음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PCT 국제특허출원 제 PCT/EP1998/02253호에는 시네올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치료용 화장품 제재가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박테리아 세균군 및 부분적으로 변화된 남성호르몬 대사에 의해 머리의 모상에서 감소된 말초 미소 순환으로 생긴 탈모에 맥동성과 항균성 및 항안드로젠 활성을 갖는 물질을 조합하여 탈모를 방지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시네올의 피부 및 모발에 대한 이용은 단 지 피지루증 억제 및 항균성과 관련된 탈모 치료용으로 여러 화합물을 혼합한 혼합물 중 한 성분으로만 이용되어 왔으며, 본 특허에서처럼 시네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 억제 기술은 보고된 바가 없다.
기존의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제는 스트레스에 의한 부신과 비장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하여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그치고 있어 스트레스성 피부 질환을 회복시키는 효과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로 인해 일어나는 여러 변화 중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과 관련된 측면에서 스트레스성 피부 질환과 관련하여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를 억제하는 물질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시네올이 외부 스트레스 반응에 의해 성장기 모낭이 퇴행기 모낭 주기로 가속화되는 것(일반적인 탈모현상)을 저해함으로써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 현상(퇴행기 이행)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시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를 억제하는 탈모방지제 또는 스트레스에 의한 일반 피부 트러블을 막는 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트레스성 피부 질환 중 하나 인 스트레스성 탈모에서 스트레스에 의한 퇴행기 모낭 주기 이행을 저해하는 시네올을 제공하고, 또한 이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내성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물에 미녹시딜, 판테놀 유도체, 백자인 및 당약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옥사바이사이클로[2,2,2]옥탄, 1,3,3-트리메틸-1,3,3-트리메틸-2-옥사바이사이클로[2,2,2]옥탄(2-Oxabicyclo [2,2,2]Octane, 1,3,3-Trimethyl-1,3,3-trimethyl-2-Oxabicyclo[2,2,2]Octane)으로 알려진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시네올(1,8-cineol)은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의 주 성분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고, 주로 유칼립투스 오일에 포함되어서 거담과 항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어 호흡기 계통의 치료에 이용되는 아로마 오일로 사용되고 있다.
Figure 112005031543511-PAT00001
모발을 비롯한 피부 분야에서는 앞서 기술한 특허에서 백동성, 항균성 및 항 안드로젠 활성을 갖는 물질을 조합하는데 시네올을 혼합물 중 하나로 첨가하여 두피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안드로젠 탈모증을 감소시키는데 적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트레스에 의해 정상 상태보다 모낭이 성장기에서 퇴행기로 가속화되는 것을 시네올이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 현상(퇴행기 이행)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메커니즘을 통해 스트레스성 탈모를 방지하는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시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토닉,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샴푸, 헤어크림, 일반 연고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및 파우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시네올을 스트레스성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의 목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그 목적과 적용 외용 제형에 따라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시네올의 용해도를 감안하여 가용화하거나 제형상의 안정도를 위해서 0.001∼2 중량%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제형내에서 가용화되지 않거나 안정도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결정형으로 응집되거나 변성되어 변색 혹은 변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열거한 바와 같이 시네올은 스트레스성 피부 질환(피부 및 모발) 개선 원료로서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효과를 위해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미녹시딜, 판테놀 유도체, 백자인 및 당약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미녹시딜은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제로서, 칼류 통로 개방체로 잘 알려져 있으며, 처음에는 혈압강하 목적으로 개발된 고혈압 치료제이었지만, 혈관확장기능(Vasodilation)으로 인해 발모 기능이 부작용으로 알려져 유명해졌다. 미녹시딜의 정확한 발모 기전에 대해서는 밝혀져 있지 않지만 혈관확장 효과를 통한 모낭으로의 혈류량 증가로 인해 많은 영양을 공급하게 되어 모발을 성장시키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외국에서는 로게인 혹은 리게인이라는 제품으로 파마시아 회사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국내 제약사에서도 마이녹실, 볼두민 등 많은 제네릭 제제가 판매되고 있다.
또한, 당약추출물은 당약(Swertia japonica Makino) 허브 전체에서 추출한 것을 용해시킨 것으로써, 일본에서는 센부리 추출물로 불려지고, 우리나라에서는 약명으로 당약이고, 학명으로는 용담과의 쓴풀이라고 불려진다. 본 추출물은 일본에서 복통, 피부감염, 구충 및 감기 등에 널리 이용되어진 토속 약물이다. 보통 당약추출물에는 2~4%의 스웨티아마린(swertiamarin), 세르티아놀린(sertianolin), 에리트로센타우린(erythrocentaurin), 스웨티아놀(swertianol),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및 젠티아닌(gentianin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약추출물의 주요 성분은 스웨티아마린(swertiamarin)을 포함한 글리코시드(glycoside)로 알려져 있으며, 보통 동식물에서 유도된 성분으로 캔타라이드 (cantharide) 및 고추틴크와 같이 피부온도를 상승시키고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피부 온도 상승의 물리적인 영향이나 콜린성 약물의 혈관팽창에 의해서 일어나며, 이렇게 촉발되면 피부의 기능을 위한 혈류가 촉진될 가능성이 있다. 일본의 Fragrance Journal(1996)에 실린 Shuji Iwao의 “육모제 전망에 관해서” 라는 논문에서는 당약추출물이 혈행촉진제로서 시판 육모제의 주요한 성분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판테놀유도체는 보통 판토테닉산의 유도체를 말하며, 판토테닉산은 효모의 필수적인 성장인자로 발견되었고, 중성용액에서 안정하나 산성이나 알칼리 상태에서는 파괴되며 특히 열에 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더 안정한 구조로 비타민 B5로 전환되는 전구비타민으로 D-판테놀, D-에틸판테놀 혹은 D-판토테네이트 칼슘이나 염이 사용되었다. 비타민 B5의 효과는 보통 D-판테놀에 관한 것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여기서 피부 및 모발에서의 다중적인 효과는 보통 다음 세 가지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 상대적으로 깊숙이 피부와 모발에 침투하는 능력, 2) 수분(water)과 결합하는 능력 및 3) 피부와 모발에서 판토테닉산으로 전환되어 비타민 B5의 효과를 생성하게 하는 작용.
화장품 영역에서 0.1∼5%까지 D-판테놀을 첨가하게 되면 그 높은 투과력으로 인해 진피 깊숙이 전달되어, 그 자체의 함습능력(hygroscopic capacity)으로 인해 진피층의 수분 상태와 분포에 영향을 주어 보습작용을 하게 된다. 1943년 H. Pfaltz는 판테놀이 흡수되어 판토테닉산으로 전환되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으며, 10% D-판테놀을 연고제로 6주간 랫트와 마우스에 각각 처리한 결과, 경구 투 여한 것에 비해서 저색소혈증과 탈모가 보다 더 높게 치료되었다고 보고하였다(Pfaltz H., Vitaminforschung, 1943, 13, 236-249).
또한, 판테놀 외용의 상처 및 화상 치유에서의 피부 상피세포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 보고도 있다(Gartner F., Dtsch. Zahnarztl. Z, 1955, 10, 813-5, Cortesse J., G.M. de France, 1968, 75, 4171-4). 판테놀을 모발에 적용하였을 때에는 모간(hair shaft)과 모근(hair root)까지 침투하여 내벽으로는 탄성층(elastic film)으로 존재하고, 외벽에서는 박층으로 둘러싸여 모발 자연의 수분을 보유하고 외부 건조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백자인(Thujae semen)은 측백나무(Thuja orientalis(occidentalis) (측백나무과) Curpressaceae)의 종자로서 난원형∼긴 타원형이거나 또는 긴 원주형이고 길이는 3∼5mm이며, 지름은 2∼3mm이다. 바깥 면은 엷은 황색∼황백색이고, 오래된 것은 점차 변하여 황갈색이 되며 기름이 스며 나온다. 종자의 바깥 면은 흔히 얇은 막질의 내종피로 싸여 있고, 끝은 대개 뾰족하며, 원삼릉형으로 진한 갈색의 점이 있다. 아래쪽은 둔한 원형으로 색이 엷다. 이 약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백색∼황백색이고 배유가 많으며 풍부한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다(대한약전외 한약규격집). 달고 평하며 독이 없고 향기롭다. 작용은 정신을 편안하게 하며 피를 돕고 땀을 멎게 한다. 간장과 신장을 윤택하게 하며, 허리가 무겁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백자인은 양심안신(양심안신), 윤장통편(윤장통편)의 효능이 있고(동양학개론), 많은 지방유(fatty oil)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 의 모발편 삼성고(三聖膏) 처방에는 부자, 만형자 및 백자인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효능은 콧수염이나 머리털이 빠진 것을 다시 나오게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처방은 부자(附子), 순비기열매(만형자; 蔓荊子) 및 측백씨(백자인; 柏子仁) 각각 20g씩을 가루내어 뼈검은닭기름(烏鷄脂)에 넣고 버무려서 말린다. 다음 사기그릇에 담고 잘 막아서 백일 동안 두었다가 꺼내어 머리털이 빠진 곳에 3-5일 동안 바르면 새 머리칼이 나온다[동의보감 모발편 『삼성고 』 (남산당)].
또, 백자인은 5α-리덕타아제(5α-reductase) 저해활성도 나타내고, 2가지 동물모델에서 그 육모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안드로젠 변환을 조절하여 탈모증에 유용한 물질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2003) 31, 91-98).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시험예 1> 시네올의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 저해 효과
외부 스트레스에 잘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진 6~8 주령된 휴지기 모낭 주기를 가지는 C57bl/6 암컷 마우스(Samtako Co., Korea)를 구입한 후 휴지기에서 성장기로의 이행을 유도하기 위해서 용해된 비즈 왁스를 이용하여 등 부위에 도포한 다음 왁스가 굳은 후 모발과 함께 벗겨내어 제모(depilation)를 하여 성장기 모낭을 유 도하였다.
제모된 C57bl/6 마우스는 정상환경에서 13일 동안 방치한 다음, 모낭 주기가 성장기 후반부에 접어드는 14일째부터 그룹을 나누어 별도로 분리된 공간에서 72시간동안 초음파 해충퇴치기(Vermin X, Kesta Co., Korea)를 사용하여 300Hz 주파수 영역에서 10초 정도의 시간을 두고 간헐적으로 적용하였다.
제모 후 14일째 되는 날부터 각각 정상환경과 스트레스 환경으로 분리하여 각 6마리의 마우스를 대상으로 정상환경과 스트레스 환경에서 두 대조군으로 운반제(운반제;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에탄올(ethanol):물 = 2:3:5)를 도포하고, 10mM 농도가 되도록 시네올을 운반제(vehicle)에 희석하여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된 마우스군에 도포하였다.
제모 후 17일째 각 그룹의 마우스의 등쪽 피부를 넓게 생검하여 크로마미터(CR-3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안쪽 피부의 명도(L value)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값은 평균값 ± 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표준 T 테스트(Student T test)를 이용하여 두 집단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도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정상환경보다는 운반제(vehicle)만을 도포한 스트레스 환경에서 마우스 등 안쪽 피부의 명도가 높았고(퇴행기성 탈모현상에 따른 모발 멜라닌색소의 감소), 비록 스트레스 환경이라도 10mM의 시네올을 도포한 마우스 군에서는 거의 정상환경 수준의 등 안쪽 피부 명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앞서 피부 안쪽 명도 측정 후 피부를 세절하여 10% 중성완충 포르말린 (neutral buffered formalin)에 고정한 후, 파라핀 절편을 제조한 다음 각 모낭의 주기(quantitative histomorphometry)를 확인하기 위하여 헤마톡시린-에오신(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실시하여 조직학적인 관차로 재차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Scale Bar = 500㎛).
조직학적으로도 정상환경보다는 운반제만을 도포한 스트레스 환경에서의 마우스가 퇴행기 진입이 보다 더 촉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록 스트레스 환경이라도 10mM의 시네올을 도포한 마우스 군에서는 거의 정상환경 수준의 많은 성장기 모낭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 모발 영양화장수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의 모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밀납 4.0 4.0 4.0 4.0 4.0 4.0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1.5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7 0.7 0.7 0.7 0.7 0.7
유동파라핀 5.0 5.0 5.0 5.0 5.0 5.0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5.0 5.0 5.0 5.0
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부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0.1 0.1 0.1 0.1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2 0.2 0.2
시네올 0.5 0.5 0.5 0.5 0.5 -
미녹시놀 - 0.5 - - - -
백자인 - - 0.5 - - -
판테놀에틸에테르 - - - 0.5 - -
당약추출물 - - - - 0.5 -
방부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향료 및 색소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량 (to 100) 잔량 (to 100) 잔량 (to 100) 잔량 (to 100) 잔량 (to 100) 잔량 (to 100)
<시험예 2> 피부과산화지질 억제 효과
기니아피그의 등 부위를 제모한 후,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유연화장수를 각각 120㎕씩 24시간동안 첩포한 다음 UVB 50 mJ/㎠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18시간 후, 피부를 생검하고 20배 용량의 인산나트륨완충용액(pH 7.4)를 가하여 균질화하였다. 얻어진 조직액을 15,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해 실험에 사용하였다. 과산화지질의 정량은 조직상등액을 1%의 티오바르비투린산(thiobarbituric acid; TBA)와 반응시킨 다음, 형광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여기 515㎚, 흡수 553㎚에서 형광도를 측정하였고, 표준물질로는 1,1,3,3-테트라에톡시 프로판(TEP)을 사용하여 표준 곡선을 작성, 과산화지질을 비교 정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S. Gonalez, M.A. Pathak : Inhibition of ultraviolet-induced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lipid peroxidation, erythema and skin photosensitization by polypodium leucotomos,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12, 45-56 (1996) 및 Y. Shido, E. Witt, D. Han : Recovery of antioxidants and reduction in lipid hydroperoxides in murine epidermis and dermis after acute ultraviolet radiation exposure,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10, 183-191 (1994) 참조).
성분 과산화지질양 (nmol/㎎ protein)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율(%)
비교예 1 50 0 (기준)
실시예 1(시네올) 40 36%
실시예 2(시네올+미녹시딜) 32 24%
실시예 3(시네올+백자인) 36 28%
실시예 4(시네올+판테놀에틸에테르) 37 26%
실시예 5(시네올+당약추출물) 34 32%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시네올이 자외선 조사시 생성되는 자유라디칼에 의한 피부과산화 지질의 생성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이 효과가 그 이외에 미녹시딜, 백자인, 판테놀에틸에테르 또는 당약추출물과의 혼합 사용에 의하여 더욱 상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동물실험을 통한 초음파 스트레스에 의한 장벽손상에서의 보호효과
외부 스트레스에 잘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진 6~8 주령된 휴지기 모낭 주기를 가지는 C57bl/6 암컷 마우스(Samtako Co., Korea)를 구입한 후 휴지기에서 성장기로의 이행을 유도하기 위해서 용해된 비즈 왁스를 이용하여 등 부위에 도포한 다음 왁스가 굳은 후 모발과 함께 벗겨내어 제모(depilation)를 하여 성장기 모낭을 유도하였다.
제모된 C57bl/6 마우스는 정상환경과 분리된 공간에서 7일 동안 초음파 해충퇴치기(Vermin X, Kesta Co., Korea)를 사용하여 300Hz 주파수 영역에서 10초 정도의 시간을 두고 간헐적으로 적용하였다. 표피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을 TEWAMETER(TM 300, Courage & Khazaka, Germany)로 측정하여 기준값으로 삼았고, 시료 도포군과 스트레스군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의 화장수를 5㎠ 면적에 도포하여 표피수분손실양을 측정하여 감소되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장벽기능이 보호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각각 7일이 경과한 후에 측정하였고,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경피수분손실량(g/h/㎡)
초기치 7일 경과
비교예 1 7.9±1.7 26.5±2.7
실시예 1 18.7±1.6
실시예 2 16.5±2.5
실시예 3 13.2±2.3
실시예 4 10.6±1.5
실시예 5 17.9±2.8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시네올에 의해 장벽기능 보호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네올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경우보다, 미녹시딜, 판테놀유도체, 백자인 또는 당약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경우에 효과가 상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하, 상기한 시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여러 가지 제형의 화장료 조성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제형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제형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제형예 1> 헤어 토닉
성분 중량비(%)
에탄올 55
피마자유 5
글리세린 3
피록톤올아민 0.1
실시예 1 1.0
향료 및 색소 적당량
정제수 잔액 (to 100)
<제형예 2> 헤어 로션
성분 중량비(%)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5
피록톤올아민 0.1
실시예2 1.0
향료 및 색소 적당량
정제수 잔액 (to 100)
<제형예 3> 모발 영양화장수
성분 중량비(%)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7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실시예3 0.5
방부제 적당량
향료 및 색소 적당량
정제수 잔액 (to 100)
<제형예 4>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액 (To 100)
실시예4 0.1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제형예 5> 영양화장수(밀크로션)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액 (To 100)
실시예5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제형예 6> 영양크림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액 (To 100)
실시예1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푸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제형예 7> 마사지크림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액 (To 100)
실시예1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제형예 8> 팩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액 (To 100)
실시예1 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시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스트레스 억제를 통하여 탈모를 억제하는 탈모 방지제 또는 스트레스에 의한 일반 피부 트러블을 막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시네올과 함께 미녹시딜, 판테놀유도체, 백자인 및 당약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시켜 제조 함으로써 피부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

Claims (7)

  1. 시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녹시딜, 판테놀유도체, 백자인 및 당약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과산화지질 억제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장벽 손상 억제용 또는 피부 수분 손실 억제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시네올을 유효성분으로 0.0001∼10 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녹시딜, 판테놀유도체, 백자인 및 당약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50051308A 2005-06-15 2005-06-15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221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308A KR101221212B1 (ko) 2005-06-15 2005-06-15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308A KR101221212B1 (ko) 2005-06-15 2005-06-15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106A true KR20060131106A (ko) 2006-12-20
KR101221212B1 KR101221212B1 (ko) 2013-01-11

Family

ID=3781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308A KR101221212B1 (ko) 2005-06-15 2005-06-15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2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434B1 (ko) * 2005-09-13 2007-07-12 (주)아모레퍼시픽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US8771765B1 (en) * 2009-12-22 2014-07-08 Ailin Fernandez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hair loss
KR20220138066A (ko) * 2021-04-02 2022-10-12 정원희 잔토휴몰을 주 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6155A1 (de) * 1999-07-13 2001-01-18 Pharmasol Gmbh Mittel mit UV-Strahlung absorbierender und/oder reflektierender Wirkung zum Schutz vor gesundheitsschädlicher UV-Strahlung und Stärkung der natürlichen Hautbarriere
JP2001233723A (ja) * 2000-02-25 2001-08-28 Pola Chem Ind Inc 心と体の化粧料セット
JP4018032B2 (ja) 2003-06-17 2007-12-05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毛髪及び身体洗浄剤組成物
JP2005041830A (ja) 2003-07-24 2005-02-17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434B1 (ko) * 2005-09-13 2007-07-12 (주)아모레퍼시픽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US8771765B1 (en) * 2009-12-22 2014-07-08 Ailin Fernandez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hair loss
KR20220138066A (ko) * 2021-04-02 2022-10-12 정원희 잔토휴몰을 주 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212B1 (ko)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CA2485403C (en) Use of purslane to treat facial wrinkles
US9149665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ducing appearance of wrinkles
KR101111132B1 (ko)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WO2008139182A2 (en) Skin care composition
US20040126351A1 (en) Topical composition having natural skin anti-irritant ingredient and method of use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US20040101577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cne vulgaris and fabrication method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2541B1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US6159450A (en) Use of Ginkgo biloba flavonoidic extract substantially devoid of terpenes for oral hygiene and composition containing such extract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221212B1 (ko)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558185B1 (ko)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114709A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01161A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RU2759897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волос, содержащая миноксидил и гуминовые кислоты
KR20130091406A (ko) 싸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10070130A (ko) 피부의 보습효과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39182A (ko) 주름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3039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46326A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