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731A -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731A
KR20060129731A KR1020050050359A KR20050050359A KR20060129731A KR 20060129731 A KR20060129731 A KR 20060129731A KR 1020050050359 A KR1020050050359 A KR 1020050050359A KR 20050050359 A KR20050050359 A KR 20050050359A KR 20060129731 A KR20060129731 A KR 20060129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speed
dmb
lim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우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9731A/ko
Publication of KR2006012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속도에 따라 DMB 단말기의 수신기능을 자동으로 제한할 수 있는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DMB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수신된 DMB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하는 수신제한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수신기능을 제한하여 사용자에게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MB, 차량, 운전, 수신제한

Description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DMB terminal and method for limiting the receipt of DMB}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설정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DMB 단말기 110 : 무선수신부
120 : 키입력부 130 : 중앙제어부
140 : 수신제한 처리부 150 : 속도감지부
160 : 코덱 170 : 음성출력부
180 : 화상출력부 190 : 저장부
본 발명은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행중인 차량의 속도에 따라 수신기능을 제한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제공할 수 있는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손 안의 TV라 일컫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이동 중에도 개인휴대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CD, DVD 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운전중에 DMB 콘텐츠를 시청하는 행위는 안전운전에 현저한 장애를 가져오는 행위로서 운전중 통화행위보다 더욱 위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같이 운전중의 DMB 콘텐츠를 시청하는 행위는 안전 운전에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교통법규에 위반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부주의로 인하여 운전중에 DMB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시청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운전중에 시청하던 방송수신을 종료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별한 동작을 취하지 않고도 DMB 단말기의 수신을 제한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운전 자의 안전을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의 속도에 따라 DMB 단말기의 수신기능을 자동으로 제한할 수 있는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DMB 단말기로서, 챠량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수신된 DMB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하는 수신제한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제한 처리부는 상기 감지된 속도가 상기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DMB 콘텐츠의 화상출력을 차단하여 음성만 출력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제한 처리부는 상기 감지된 속도가 상기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DMB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속도감지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현재의 속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속도정보는 상기 차량 내의 출력 단자로부터 단말기로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방법은, 차량운행시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 단계와; 상기 감지된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수신된 DMB 콘텐츠 의 시청을 제한하는 수신제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제한 단계는 상기 수신된 DMB 콘텐츠의 화상출력을 차단하여 음성만 출력시키는 음성청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제한 단계는 상기 DMB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강제종료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속도감지 단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현재의 속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DMB 단말기(10)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DMB 콘텐츠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110)와, 사용자가 DMB 콘텐츠를 선택하는 키입력부(120)와, DMB 콘텐츠의 수신 및 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30)와, 차량의 속도에 따라 DMB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하는 수신제한 처리부(140)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150)와, 수신된 DMB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코덱(160)과, 디코딩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70)와, 디코딩된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화상출력부(180)와, 수신제한 처리부(140)의 시청 제한설정을 저장하는 저장부(190)로 구성된다.
무선수신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따라 DMB 위성(미도시) 또는 지상파 송신국으로부터 DMB 콘텐츠를 수신한다.
키입력부(120)는 DMB 콘텐츠의 채널 선택 또는 DMB 콘텐츠의 시청 제한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된다.
중앙제어부(130)는 무선수신부(110)에서 수신한 DMB 콘텐츠를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수신제한 처리부(140)에 따른 시청제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화상출력부(180)를 제어한다.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속도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차량의 현재속도를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190)에 저장된 제한속도와 비교하여 제한속도를 초과하면 수신된 DMB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한다.
즉,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DMB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하기 위하여 저장부(19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수신제한 설정항목을 검색하여 해당 설정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현재의 차량속도와 저장된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차량속도가 제한속도를 초과했다고 판단하면, 수신된 DMB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하도록 화상출력 차단신호를 중앙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이때,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안내메시지, 예를 들면, "현재 DMB 시청 기능이 일부 제한되고 있습니다"라는 시청제한 안내 메시지를 검색하여 차단된 화상신호 대신에 화상출력부(180)로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상기와 같은 DMB 콘텐츠의 수신제한 모드를 실행하는 중에 차량의 속도가 제한속도 이하로 저속 운행한다고 판단하면, 사용자가 DMB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화상출력 차단에 대한 해제 신호를 중앙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속도감지부(150)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 속도계의 정보를 읽어들여 현재의 속도로서 수신제한 처리부(140)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속도감지부(150)는 차량 내의 출력단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속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코덱(160)은 무선수신부(110)에서 수신한 DMB 콘텐츠의 음성 및 화상 신호를 디코딩하여 음성출력부(170) 및 화상출력부(180)로 각각 출력한다.
음성출력부(170)는 코덱(160)에서 디코딩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화상출력부(180)는 코덱(160)에서 디코딩된 화상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DMB 콘텐츠의 수신제한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화상출력부(180)는 수신제한 처리부(140)에 지시에 따라 수신제한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제한 설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제한시 화상출력부(180)에 디스플레이되는 안내메시지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10)는 운전중과 같은 특정한 상황에 DMB 콘텐츠의 수신을 강제 종료하거나 청취만 가능한 청취모드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운전중 법적 규제에 따라 수신제한 모드는 강제 종료가 디폴트 (default)로 설정되지만, 사용자가 저속 운전중 DMB 콘텐츠를 시청하거나 음성만을 청취하기를 원하는 경우 그 제한 속도옵션에 따라 부분적인 수신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속도감지부(150)가 감지한 차량의 속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한속도를 초과하면,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디폴트로 설정된 경우 DMB 단말기(10)의 강제 종료 신호를 중앙제어부(130)로 전송하고, 중앙제어부(130)는 DMB 단말기(10)의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DMB 콘텐츠의 수신이 강제 종료된다.
또한, 수신제한 모드가 청취모드로 설정된 경우,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화상출력을 차단하고 음성출력만을 수행하는 신호를 중앙제어부(130)로 출력하면, 중앙제어부(130)는 화상출력부(180)를 차단하여 DMB 콘텐츠의 화상을 제거하고 해당 음성신호만 음성출력부(170)로 출력시킨다.
이때,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검색하여 수신된 DMB 콘텐츠의 화상신호를 대신하여 화상출력부(180)로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DMB 콘텐츠의 수신이 제한된 상황에서, 속도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속도가 제한속도 이하로 되는 경우,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정상적인 DMB 콘텐츠의 시청을 위해 수신제한 해제 신호를 중앙제어부(130)로 출력하면, 중앙제어부(130)는 수신된 DMB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출력시킨다.
즉, 출력이 차단된 DMB 콘텐츠의 화상신호를 화상출력부(180)로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차량이 제한속도 이하로 운행되면, 다시 정상적으로 DMB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설정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단계 S201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수신제한 설정메뉴를 선택하면,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화상출력부(180)에 디스플레이되는 수신제한 설정메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상태, 제한속도, 수신모드, 알림표시, 알림메시지 등의 설정항목을 포함한다.
단계 S202에서, 사용자가 설정 항목중 현재상태를 운전중으로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위 항목이 활성화 되어 추가적인 설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현재상태를 비운전중을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위 항목은 비활성화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S203에서, DMB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속도를 설정한다.
여기서, 제공되는 제한 속도는 예를 들면, 0㎞/h, 20㎞/h, 40㎞/h, 60㎞/h, 80㎞/h이다.
단계 S204에서, DMB 콘텐츠의 수신을 제한하기 위한 수신모드를 선택한다.
여기서, 수신모드는 강제종료 및 청취모드를 포함하는데, 강제종료 모드는 DMB 단말기(10)의 전원을 강제로 오프시켜 DMB 단말기(10)를 이용한 시청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청취모드는 수신된 DMB 콘텐츠의 화상신호를 차단하고 음성신호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청취모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속도가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로 변경되면 자동으로 사용자가 DMB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수신모드로 복귀된다.
단계 S205에서, 알림설정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알림설정을 선택하면, 단계 S206으로 진행하여 알림메시지를 입력하고, 알림설정을 선택하지 않으면, 단계 S207로 진행한다.
단계 S206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20)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 창(window)에 안내메시지를 입력한다.
이와 같은 안내메시지는 사용자에게 현재 DMB 단말기(10)의 일부 기능이 제한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것이며, 또한, 수신된 DMB 콘텐츠의 화상신호를 대신하여 화상출력부(18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S207에서, 저장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장버튼을 선택하면, 도 203내지 도 206의 설정내용이 저장부(190)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전버튼을 선택하면, 단계 S202로 복귀하여 수신제한 설정 메뉴의 초기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설정 방법이 종료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 다.
먼저, 단계 S301에서, DMB 단말기(10)의 전원이 온되면, DMB 단말기의 수신 방법이 개시된다.
단계 S302에서,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저장부(190)에 검색된 설정내용을 검색하여 현재의 모드가 운전중인지를 판단하여, 운전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303으로 진행하여 속도감지부(150)로부터 감지된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속도감지부(150)는 차량 내의 출력단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속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303의 판단결과, 수신제한 처리부(140)가 현재 차량의 속도가 제한속도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304로 진행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수신제한 모드를 실행하고 단계 S305로 진행한다.
단계 S302의 판단결과, 수신제한 처리부(140)가 현재의 설정된 모드가 운전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S305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S303의 판단결과, 수신제한 처리부(140)가 현재 차량의 속도가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도 단계 S305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정상적인 DMB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즉, 단계 S305에서, 중앙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정상적인 DMB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무선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DMB 콘텐츠를 코덱(160)을 통하여 음성출력부(170) 및 화상출력부(180)로 출력시킨다.
이때, 시청수신제한 처리부(140)는 DMB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하기 위한 어떠 한 신호도 중앙제어부(130)로 제공하지 않는다.
단계 S306에서, 중앙제어부(130)는 DMB 콘텐츠의 시청을 종료할지를 판단하여, 시청을 종료한다고 판단한 경우, 즉, 사용자가 키입력부(120)를 통하여 전원을 오프시킨 경우 종료되고, 시청을 종료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즉,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입력도 없는 경우, 단계 S303으로 진행하여 현재의 차량속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면서, 이전 단계인 단계 S305의 DMB 콘테츠의 수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DMB 단말기의 수신 방법이 종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3의 단계 S303에서 수신제한 처리부(140)가 차량의 속도가 제한속도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방법이 개시된다.
단계 S401에서,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저장부(190)에서 수신제한 설정을 검색하여 수신제한된 모드가 청취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청취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402로 진행한다.
단계 S402에서,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사용자가 DMB 콘텐츠의 음성만을 청취하도록 수신된 DMB 콘텐츠의 화상출력을 차단하고 음성만 출력시키도록 중앙제어부(130)로 화상출력 차단신호를 출력하고, 중앙제어부(130)는 화상출력부(180)의 출력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DMB 콘텐츠를 시청하지 못하도록 그 화상출력을 제한한다.
단계 S403에서,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알림설정의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 표시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계 S404로 진행하여 저장부(190)로부터 알림메시지를 검색하여 화상출력부(180)로 출력시킨다.
단계 S403의 판단결과, 수신제한 처리부(140)가 알림표시가 설정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405로 진행하여 현재의 차량속도가 제한속도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속도감지부(150)는 차량 내의 출력단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속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수신제한 처리부(140)가 현재의 차량속도가 제한속도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즉, 차량속도가 여전히 제한속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차량의 속도를 감지한다.
이때, DMB 단말기(10)는 현재의 수신상태, 즉, 단계 S402 내지 단계 S404의 청취모드로 동작한다.
단계 S405의 판단결과, 수신제한 처리부(140)가 현재의 차량속도가 제한속도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DMB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수신된 DMB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도 3의 단계 S305로 진행하여 DMB 콘텐츠를 수신한다.
단계 S401의 판단결과, 수신제한 처리부(140)가 설정된 수신모드가 청취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즉, 강제종료 모드인 경우에는 단계 S406으로 진행하여 수신제한 처리부(140)는 중앙제어부(130)로 강제종료 신호를 출력하면, 중앙제어부(130)는 DMB 단말기(1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방법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은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를 초과하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수신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수신기능을 제한하여 사용자에게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DMB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수신된 DMB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하는 수신제한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한 처리부는 상기 감지된 속도가 상기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DMB 콘텐츠의 화상출력을 차단하여 음성만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한 처리부는 상기 감지된 속도가 상기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DMB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감지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현재의 속도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정보는 상기 차량 내의 출력 단자로부터 단말기로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6. 차량운행시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 단계와;
    상기 감지된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수신된 DMB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하는 수신제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한 단계는,
    상기 수신된 DMB 콘텐츠의 화상출력을 차단하여 음성만 출력시키는 음성청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한 단계는,
    상기 DMB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강제종료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감지 단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현재의 속도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의 수신제한 방법.
KR1020050050359A 2005-06-13 2005-06-13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129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359A KR20060129731A (ko) 2005-06-13 2005-06-13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359A KR20060129731A (ko) 2005-06-13 2005-06-13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731A true KR20060129731A (ko) 2006-12-18

Family

ID=3781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359A KR20060129731A (ko) 2005-06-13 2005-06-13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973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43B1 (ko) * 2004-09-14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속도 제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76415B1 (ko) * 2006-07-18 2007-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재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38465B1 (ko) * 2008-05-02 2010-01-25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용 dmb 신호차단장치
WO2010126746A2 (en) * 2009-04-29 2010-11-04 Boulder Cellular Labs, Inc. System for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designated environments
KR20130079900A (ko)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행 중 it 단말기 사용 규제 방법 및 장치
KR101327646B1 (ko) * 2006-12-26 2013-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의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43B1 (ko) * 2004-09-14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속도 제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76415B1 (ko) * 2006-07-18 2007-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재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27646B1 (ko) * 2006-12-26 2013-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의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38465B1 (ko) * 2008-05-02 2010-01-25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용 dmb 신호차단장치
WO2010126746A2 (en) * 2009-04-29 2010-11-04 Boulder Cellular Labs, Inc. System for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designated environments
WO2010126746A3 (en) * 2009-04-29 2011-01-20 Boulder Cellular Labs, Inc. System for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designated environments
KR20130079900A (ko)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행 중 it 단말기 사용 규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88302B (zh) 切换音频输出的方法、回放设备及回放系统
EP1489818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060129731A (ko) 수신제한 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07023955A1 (ja) 音声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4882437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4393167B2 (ja) 放送受信装置
JP2011103539A (ja) 制御装置、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94136A (ja) Tv受信機能付き携帯電話機及びそれのtv視聴制御方法
JP2007110391A (ja) 放送受信機
JP6800052B2 (ja) 映像表示装置
EP1730952A1 (en) Audiovisu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88729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processing method
JP2004336330A (ja) 携帯端末装置
JP2007336313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
KR100549600B1 (ko) 졸음 방지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4314869A (ja) 情報提供装置
JP4922011B2 (ja) 受信装置
KR20110041907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방송 시청 제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56028B1 (ko) 차량 모드에 따라 avn 시스템의 화면 및 오디오를 변경하는 제어장치
KR10065159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및 장치
KR101412325B1 (ko)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출력 장치 및 방법
JP4142555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17225022A (ja) 電子装置、システム、通知方法および通知プログラム
JP4517755B2 (ja) 携帯端末
JP2006060709A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