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511A -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511A
KR20060129511A KR1020067019939A KR20067019939A KR20060129511A KR 20060129511 A KR20060129511 A KR 20060129511A KR 1020067019939 A KR1020067019939 A KR 1020067019939A KR 20067019939 A KR20067019939 A KR 20067019939A KR 20060129511 A KR20060129511 A KR 20060129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picture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308B1 (ko
Inventor
쳉 타오
츄 문 창
궝 흥 궉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6012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레코딩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와, 이러한 메뉴를 담고 있는 레코딩 매체에 대한 것으로서, 메뉴는 MPEG 유사 표준에 따라 코딩되고, 메뉴는 메뉴 배경을 위한 I-화상 및 레코딩 썸네일(들)만을 위한 P-화상으로 나뉘어진다. 메뉴는 추가 레코딩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된 블록에 대해서만 변경을 갖는 P-화상을 생성함으로써 레코딩 매체 상의 추가 레코딩과 관련된 정보로 갱신된다.

Description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MENU}
본 발명은 비디오 레코딩 매체를 위한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메뉴는 MPEG 유사 표준에 따라 코딩된다. 이러한 MPEG 유사 표준은 예컨대 MPEG-1, MPEG-2로서 알려져 있으나 기본 화상 및 이러한 기본 화상을 기초로 하는 예측 화상을 사용하는 유사한 인코딩 방법이 존재한다.
비디오 레코딩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공지된 디바이스에서, 메뉴 인코딩은 하드웨어 인코더에 의해 행해진다. 이는 오직 하나의 인코더만이 디바이스에서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인코딩하는 동안에 라이브 화상이 표현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비디오 레코딩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공지된 디바이스에서, 메뉴는 소프트웨어 인코더에 의해 하나의 독립적으로 인코딩된 화상으로서 인코딩된다. 이 경우에, 라이브 화상은 메뉴를 생성하는 동안에 표현될 수 있으나, 로고 및 레코딩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하는 메뉴를 인코딩하는데 적어도 30초가 걸리며, 사용자가 레코딩 매체에 또는 이 시간 동안에 그 매체를 유지하는 트레이에 액세스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레코딩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는 두 가지 화상 즉, 메뉴 배경을 위한 I-화상 즉, 독립적으로 코딩된 화상 및 레코딩 썸네일만을 위한 P-화상 즉, 예측적으로 코딩된 화상으로 나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블록으로 구성되며 인터-코딩된 화상을 생성하는 미리정해진 인트라-코딩된 화상으로 시작하는데, 인터-코딩된 화상은 미리정해진 블록에 대한 어떠한 변경 정보도 포함하지 않는 반면 선택된 블록에 대한 변경 정보는 포함한다. 선택된 블록은 레코딩 매체에 대한 레코딩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포함한다. 인트라-코딩된 화상 및 인터-코딩된 화상 모두가 메뉴 정보로서 취해지며 레코딩 매체에 그에 따라 저장된다.
인트라-코딩된 화상은 종종 I-화상으로 언급되나 인터-코딩된 화상은 보통 P-화상으로 언급된다. 인터-코딩된 화상은 선행하는 인트라-코딩된 화상을 기초로 하며 이들 두 개의 화상 사이의 변경 정보만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장점은 미리정해진 화상을 인코딩하는데 어떠한 시간도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리정해진 화상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회사 로고, 사용자 정의된 화상 등과 같은 메뉴의 배경이다. 사용될 유일한 시간은 레코딩 매체 상의 레코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소수의 선택된 블록을 인코딩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메뉴를 신속하게 완성하게 하고 따라서 사용자로의 부정적인 효과없이 비교적 저속의 또는 낮은 성능의 인코더를 사용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인터-코딩된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서 하나보다 많은 레코딩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가 사용된다. 메뉴가 몇 개의 레코딩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레코딩을 위한 더 작은 블록 영역이 사용된다. 이는 몇 개의 레코딩을 위한 메뉴가 하나 또는 매우 작은 수의 레코딩을 위할 때와 거의 동일한 시간에 생성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 레코딩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된 블록에 대해서만 변경 내용을 구비하는 인터-코딩된 화상을 생성함으로써 레코딩 매체 상의 추가 레코딩에 관련된 정보와 함께 메뉴가 갱신된다. 선택된 블록은 예컨대 레코딩 1, 레코딩 2 등에 대해 선택되는데, 이들은 동일한 메뉴에 디스플레이된다. 메뉴 갱신을 제안하는 레코딩 매체의 컨텐츠에 대한 변경은 레코딩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것 또는 하나의 레코딩을 위한 대표적인 화상 정보를 다른 하나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로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인터-코딩된 화상이 이전의 인터-코딩된 화상에 추가된다. 이전의 인터-코딩된 화상을 새로운 하나로 대체하거나 이전의 인터-코딩된 화상을 새로운 하나와 결합하거나 새로운 하나를 추가 화상으로서 추가할 수 있다.
비디오 레코딩 매체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미리정해진 인트라-코딩된 화상 메모리와, 대표적인 화상 메모리와, 기본으로서의 인트라-코딩된 화상 메모리의 출력 및 코딩될 변경 정보로서의 대표적인 화상 메모리의 출력을 사용해서 인트라-코딩된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인코더를 포함한다. 이는 미리정해진 기본 화상이 이미 인코딩되어 있고 차이점만이 인코딩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간 절약의 장점을 갖는다. 이 때문에 많은 인코딩 용량이 요구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는 고속 인코더 및 저속 인코더가 제공되는데, 저속 인코더는 메뉴 생성을 위해 사용되고 고속 인코더는 동영상 비디오 시퀀스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된다. 저속 인코더는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로 나타나나 고속 인코더는 바람직하게는 하드웨어로서 나타난다. 하나의 이점은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또는 레코딩 디바이스에 인코딩된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고속 인코더가 메뉴 생성에 의해 중단되지 않으면서 동작하는 것이 인에이블되나 저속 인코더는 동시에 그러나 독립적으로 메뉴 생성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간 절약 덕분에, 저속 인코더에 의한 메뉴 생성조차 사용자에게 저속의 성능이라는 기분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레코딩 매체는 이 매체 위에 비디오, 정지 화상, 오디오 시퀀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수 개의 레코딩과, 적어도 하나의 레코딩에 대한 정보를 위한 메뉴 레코딩을 레코딩했다. 메뉴 레코딩은 동일한 레코딩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모든 레코딩 매체에 대해 동일한 미리정해진 인트라-코딩된 화상과, 선택된 영역에 대해서만 차이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코딩된 화상을 포함하는데, 차이 정보는 레코딩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와 관련된다. 이는 인터-코딩된 화상이 일정 영역 예컨대, 일정 블록 범위에 대해서만 변경 정보를 포함하며 차이점이 거기에만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차이점은 레코딩 매체 상의 레코딩을 나타내는 하나 또는 수개의 화상 정보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더 많은 세부사항 및 장점이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메뉴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화상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코딩 매체를 도시하는 도면.
공지된 시스템에서, 배경 및 레코딩 썸네일을 포함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를 인코딩하기 위해 MPEG 인코더가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은 하드웨어 인코딩으로 불리는데, 그 이유는 MPEG 인코더 하드웨어를 사용해서 행해지기 때문이다. 하드웨어 인코딩은 하나의 정지 화상을 인코딩하기 위해 MPEG 인코더를 사용해서 라이브 화상을 인코딩하는 것의 정지와, 라이브 화상을 인코딩하는 것의 재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인코딩의 단점은, MPEG 인코더가 정지될 때, 라이브 화상이 멈출 것이며, 사용자가 라이브 비디오를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때때로 인코더가 적절하게 정지되지 못하고, 정지 화상이 인코딩되지 못하며, 사용자가 타이틀 목록 내의 레코딩의 타이틀을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메뉴 내에서 이 레코딩을 보지 못한다. 또한, 정지 화상이 성공적으로 인코딩되는 경우조차, 수 초의 라이브 화상이 유실되며, 사용자는 이 수 초 동안 스토리의 끝부분이 나타나는 경우 고통스러워할 것이다.
다른 공지된 시스템에서, 배경 및 레코딩 썸네일을 포함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를 인코딩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인코딩이 사용된다. 메뉴가 단일 I-화상으로서 인코딩되며 새로운 레코딩이 행해진 후 매번 인코딩은 DCT와 양자화를모든 비디오 블록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일 I-프레임 소프트웨어 인코딩의 단점은, 다수의 계산이 관련되고 시스템의 호스트 CPU가 그다지 빠르지 않으면, 메뉴를 인코딩하는 속도가 하드웨어 인코딩에 비해 명백하게 느리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메뉴가 배경 및 레코딩 썸네일을 포함하나, 새로운 레코딩이 행해질 때 썸네일만이 인코딩되는 방식으로 메뉴를 인코딩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인코딩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은 "배경"으로 나타나는 미리정해진 인트라-코딩된 화상(I1)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선택된 블록(REC1 및 REC2)내에서만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코딩된 화상(P1)을 도시한다. 이는 나아가 가능한 선택된 블록(REC3, REC4)을 나타낸다. 선택된 블록(REC1 및 REC2)은 레코딩 매체 상의 두 개의 레코딩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된 블록(REC3, REC4)은 레코딩 매체 상의 장래 레코딩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3은 레코딩 매체 상의 두 개의 레코딩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된 블록(REC1, REC2) 및 메뉴 배경을 포함하는 메뉴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P-화상 소프트웨어 인코딩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즉, 배경 화상이 메뉴 내에서 I-화상으로서 고려되어, 그것을 인코딩하는데 시간이 전혀 들지 않는다. 배경 화상이 MPEG 포맷의 정지 화상이기 때문에, 보통 정적 메모리에 저장된다. 새로운 레코딩의 썸네일이 P-화상으로서 고려된다. 썸네일(들)인, 메뉴와 배경 사이의 차이점을 인코딩하기 위한 시간만이 든다. 따라서, 새로운 레코딩이 행해질 때 DCT 및 양자화가 썸네일(들)의 비디오 블록에만 사용된다.
이점은 다음과 같다. 정지 화상을 인코딩하기 위해 하드웨어 MPEG 인코더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새로운 레코딩이 행해진 후 라이브 화상이 여전히 거기에 있고, 이 방법이 일반적인 단일의 I-프레임 소프트웨어 인코딩보다 더 빠르며, 레코더가 "라이브" 모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메뉴를 생성하는 동안 라이브 화상을 볼 수 있으나 공지된 디바이스는 메뉴를 생성하는 동안 라이브 화상을 나타내지 못하고, I-프레임(배경)이 모든 메뉴에서 항상 동일하며 새로운 인코딩이 행해진 후 오직 P-프레임만이 소프트웨어 인코딩되기 때문에 메뉴를 소프트웨어 인코딩하는데 시간이 덜 든다.
유리하게는, 새로운 레코딩의 썸네일(REC3)의 생성을 위해, 새로운 디코딩을 하는 동안, 인코더 기준 메모리 내의 제1 완전한 화상이 특수한, 전용의 여분의 메모리 영역에 복사되는 경우, 그리고, 새로운 레코딩 후에, 여분의 메모리 영역 내의 화상이 썸네일 크기로 서브샘플링되는 경우, 임의의 여분의 화상 디코딩이 회피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중요한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하나 또는 수 개의 인트라-코딩된 화상(I1)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M1)가 제공되는 한편 레코딩 매체 상의 하나 또는 수 개의 레코딩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M2)가 제공된다. 인코더(E1)가 인터-코딩된 화상(P1)을 계산하기 위해 메모리(M1)로부터 인트라-코딩된 화상을 사용하고 메모리(M2)로부터 대표적인 화상 정보를 사용한다. 이러한 계산은 단지 두 개의 레코딩의 예를 위해 도 2에 REC1 및 REC2로서 도시된 선택된 블록에 관련된다. 계산된 인터-코딩된 화상(P1)은 라인(P)을 통해 레코더(R1)로 송신되는데, 이 레코더는 또한 양자를 레코딩 매체 상에 메뉴 정보로서 레코딩하기 위해 라인(I)를 통해 인트라-코딩된 화상(I1)을 수신한다.
인코더(E1)는 저속 인코더 예컨대 소프트웨어 인코더인 반면, 또 하나의 인코더(E2)는 고속 인코더, 바람직하게는 인코딩될 동영상 비디오 입력(MVin)을 수신하고 인코딩된 동영상 비디오 정보(MVout)를 출력하는 전용 인코더(IC)이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양 인코더(E1, E2)는 동시에 그리고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도 5는 레코딩된 메뉴(M), 제1 레코딩(R1) 및 제2 레코딩(R2)를 도시하는 줌 영역(Z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레코딩을 포함하는 트랙(2)을 구비하는 광 디스크(D1)를 레코딩 매체로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가능한 장래 레코딩(R3, R4)이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제2 줌 영역(Z2)은 메뉴에 인트라-코딩된 화상(I1) 및 인터-코딩된 화상(P1)이 제공된다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개략적인 도면은 본 발명과 관련있는 극히 적은 세부사항만을 도시하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레코딩 매체를 위한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서, 메뉴는 MPEG 유사 표준에 따라 코딩된다. 이러한 MPEG 유사 표준은 예컨대 MPEG-1, MPEG-2로서 알려져 있으나 기본 화상 및 이러한 기본 화상을 기초로 하는 예측 화상을 사용하는 유사한 인코딩 방법이 존재한다.

Claims (9)

  1. 메뉴(M)가 MPEG 유사 표준에 따라 코딩되는, 비디오 레코딩 매체(D1)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블록으로 구성되는 미리정해진 인트라-코딩된 화상(I1)으로 시작하는 단계,
    - 미리정해진 블록에 대한 어떠한 변경 정보도 구비하지 않으며, 레코딩 매체(D1) 상의 레코딩(R1, R2)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된 블록(REC1, REC2)에 대한 변경 정보는 구비하는 인터-코딩된 화상(P1)을 생성하는 단계, 및
    인트라-코딩된 화상(I1) 및 인터-코딩된 화상(P1) 모두를 메뉴 정보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레코딩 매체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하나 보다 많은 레코딩(R1, R2)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가 인터-코딩된 화상(P1)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비디오 레코딩 매체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코딩(R3, R4)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된 블록(REC3, REC4)에 대해서만 변경 내용을 구비하는 인터-코딩된 화상(P1)을 생성함으로써 레 코딩 매체(D1) 상의 또 하나의 레코딩(R3, R4)에 관련된 정보와 함께 메뉴(M)가 갱신되는, 비디오 레코딩 매체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터-코딩된 화상(P1')이 이전의 인터-코딩된 화상(P1)에 추가되는, 비디오 레코딩 매체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새로운 레코딩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REC3)를 생성하기 위해, 새로운 레코딩을 하는 동안에, 화상이 인코더 디스플레이 버퍼로부터 여분의 메모리 영역에 복사되고, 새로운 레코딩이 종료된 후에, 여분의 메모리 영역내의 화상이 서브샘플링되는, 비디오 레코딩 매체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6. 메뉴(M)가 MPEG 유사 표준에 따라 코딩되는, 비디오 레코딩 매체(D1)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미리정해진 인트라-코딩된 화상 메모리(M1),
    대표적인 화상 메모리(M2),
    기본으로서의 인트라-코딩된 화상 메모리(M1)의 출력 및 레코딩될 변경 정보로서의 대표적인 화상 메모리(M2)의 출력을 사용해서 인터-코딩된 화상(P1)을 생성하기 위한 인코더(E1), 및
    레코딩 유닛(R1)
    을 포함하는, 비디오 레코딩 매체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는 고속 인코더(E2) 및 저속 인코더(E1)가 제공되는데, 저속 인코더(E1)는 메뉴 생성을 위해 사용되고 고속 인코더(E2)는 동영상 비디오 시퀀스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비디오 레코딩 매체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고속 인코더(E2)가 디스플레이 버퍼를 구비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추가적으로, 여분의 메모리 영역을 구비하고 레코딩하는 동안에 화상을 디스플레이 버퍼로부터 여분의 메모리 영역에 복사하도록, 그리고 레코딩 후에 여분의 메모리 영역 내의 화상을 새로운 레코딩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REC3)로 서브샘플링하도록, 장착 및 배열되는, 비디오 레코딩 매체용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9. 하나 또는 수 개의 레코딩(R1, R2, R3, R4) 및 적어도 하나의 레코딩(R1, R2 ...)에 관한 정보용 메뉴(M)를 위에 레코딩된 채로 구비하는 레코딩 매체(D1)에 있어서,
    메뉴(M)는 미리 정해진 인트라-코딩된 화상(I1)과, 선택된 영역(REC1, REC2 ...)에 대해서만 차이 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코딩된 화상(P1)을 포함하는데, 차이 정보는 레코딩(R1, R2 ...)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REC1, REC2)와 관련되어 있는, 레코딩 매체.
KR1020067019939A 2004-04-02 2005-03-19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와, 레코딩 매체 KR101103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300178.3 2004-04-02
EP04300178 2004-04-02
PCT/EP2005/002965 WO2005099254A1 (en) 2004-04-02 2005-03-19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men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511A true KR20060129511A (ko) 2006-12-15
KR101103308B1 KR101103308B1 (ko) 2012-01-11

Family

ID=3496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939A KR101103308B1 (ko) 2004-04-02 2005-03-19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와, 레코딩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01828A1 (ko)
EP (1) EP1730956B1 (ko)
JP (1) JP4891894B2 (ko)
KR (1) KR101103308B1 (ko)
CN (1) CN1957608A (ko)
WO (1) WO2005099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7108345A1 (ja) * 2006-03-17 2009-08-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KR101365575B1 (ko) * 2007-02-05 201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11078029A (ja) * 2009-10-01 2011-04-14 Sony Corp 電子機器、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64039A1 (en) * 2014-08-26 2016-03-03 Microsoft Corporation Thumbnail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7397A (en) 1993-02-23 1995-12-19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Digital high definition television receiver with features that facilitate trick-play modes on a digital VCR
JP2000515692A (ja) * 1995-12-12 2000-11-21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イリノイ 性質限定システム上でリアルタイムの動画及び音声情報を伝送し読み出す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H09284760A (ja) * 1996-04-12 1997-10-31 Toshiba Corp 符号・復号化装置
US6340971B1 (en) 1997-02-03 2002-01-22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keyframe-based video displaying using a video cursor frame in a multikeyframe screen
US6078328A (en) * 1998-06-08 2000-06-20 Digital Video Express, Lp Compressed video graphics system and methodology
MXPA02004690A (es) * 1999-11-10 2002-09-02 Thomson Licensing Sa Procesamiento de menu de tres etapas para grabadora de disco digital.
JP4051841B2 (ja) * 1999-12-01 2008-02-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2001231014A (ja) * 2000-02-16 2001-08-24 Hitachi Ltd 映像情報再生装置
KR100448452B1 (ko) * 2000-06-09 2004-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 기록매체의 메뉴 지원방법
WO2002050837A1 (en) * 2000-12-20 2002-06-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nu generating method and recording device for a record carrier
JP2003101925A (ja) * 2001-09-26 2003-04-04 Alpine Electronics Inc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3111010A (ja) * 2001-09-28 2003-04-11 Toshiba Corp 録画装置
JP2003153140A (ja) * 2001-11-08 2003-05-23 Hitachi Ltd 情報記録装置
US7558318B2 (en) * 2002-06-11 2009-07-07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mages, and television receiver utilizing the same
US7194701B2 (en) * 2002-11-19 2007-03-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deo thumbn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0956B1 (en) 2016-01-06
US20070201828A1 (en) 2007-08-30
JP2007531435A (ja) 2007-11-01
EP1730956A1 (en) 2006-12-13
WO2005099254A1 (en) 2005-10-20
KR101103308B1 (ko) 2012-01-11
CN1957608A (zh) 2007-05-02
JP4891894B2 (ja)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1612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multimedia file
US20070286280A1 (en) Image coding/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coding/recording method
US7716259B2 (en) File splitting apparatus, file splitting method and file splitting program
JP2010219983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8165455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0041354A (ja) 動画像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プログラム
JP2010022003A (ja) 動画ファイル再生装置、動画ファイル再生方法、プログラム
KR100301007B1 (ko) 썸네일 데이터와 이를 위한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기록 매체 및 기록 재생방법과 장치
KR101103308B1 (ko)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와, 레코딩 매체
JP2006211415A (ja) 車載用映像記録装置
KR20000069436A (ko) 인코드된 비디오 신호의 포맷화
JP200632484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WO2005088964A1 (ja) 録画再生編集装置
US8300701B2 (en) Offspeed playback in a video editing system of video data compressed using long groups of pictures
JP2007184791A (ja) 動画像符号化データ再生装置
JP4548226B2 (ja) データ処理方法、その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74391A (ja) ファイル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2008193345A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JP3258673B2 (ja) 動画像記録装置および動画像再生装置
JP2005005810A (ja) メディアデータ管理方法、ディスク録画装置、ディスク再生装置、メディアデータ管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20069724A (ko)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영상 데이터 관리방법
KR20000029339A (ko) 정보 기억 매체, 동화(動畵) 음성 기록 재생 장치, 및동화 음성 기록 재생 방법
KR102557384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008168A (ja) 画像記録再生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4217545B2 (ja) デー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