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357A - 승강기 - Google Patents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357A
KR20060129357A KR1020067015484A KR20067015484A KR20060129357A KR 20060129357 A KR20060129357 A KR 20060129357A KR 1020067015484 A KR1020067015484 A KR 1020067015484A KR 20067015484 A KR20067015484 A KR 20067015484A KR 20060129357 A KR20060129357 A KR 20060129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elevator car
car
ho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065B1 (ko
Inventor
에스코 아울란코
요르마 무스타라티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29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rope or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Magnetic Head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실 없는 승강기와 그 방법을 제공한다.
승강기의 카는 하나 또는 다수의 평행한 로프로 이루어진 호이스팅 로프세트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승강기는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승강기 카를 이동시키는 트랙션 시브를 갖추고 있다. 이 승강기는 승강기 카로부터 위쪽 및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호이스팅 로프부분을 갖추고 있고, 트랙션 시브로부터 승강기 카의 위쪽의 로프부분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로프부분은 제 1 로프장력(T1) 하에 있고, 트랙션 시브로부터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로프부분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로프부분은 제 2 로프장력(T2) 하에 있다. 더욱이, 이 승강기는 호이스팅 로프에 작용하는, 로프장력 및/또는 로프 신장을 보상하는 및/또는 일치시키는, 및/또는 제 1 로프장력과 제 2 로프장력의 비율(T1/T2)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해주는 보상장치를 갖추고 있다. 승강기의 이동은 제 1 로프장력(T1)과 제 2 로프장력(T2)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방지 및/또는 정지된다.
승강기, 승강기 카, 호이스팅 로프, 트랙션 시브, 로프장력, 보상장치

Description

승강기{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의 이동을 정지/방지하기 위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정의된 승강기와 청구항 10의 전제부에 정의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개발 연구의 목적 중 하나는 빌딩의 공간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 이 개발 연구는 그 중에서도 특히, 기계실이 없고 균형추가 없는 다양한 승강기 솔루션을 만들어 왔다. 기계실이 없고 균형추가 없는 승강기의 좋은 예들이 출원 번호, FI 20021959 및 FI 20030153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명세서에 서술된 승강기는 승강기의 승강로를 확장시킬 필요없이 승강기의 승강로에 균형추를 위해 필요한 공간 및 빌딩 내에 승강기의 기계실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 사용에 대해서 매우 효율적이다.
이들 기본적으로 양호한 승강기 솔루션에서, 권상기를 위해 필요한 공간이 승강기의 레이아웃 솔루션의 선택의 자유도를 제한한다. 호이스팅 로프의 통행을 위하여 어느 정도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승강기가 승강기 카의 아래나 위의 승강기 승강로 공간에 설치된 완충장치로 운행되는 상황 또는 승강기 카가 너무 위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야 할 때, 원하는 지점에서 승강기 카의 이동을 멈추기 위 하여 공간을 필요로 한다. 승강기를 현대화함에 있어서, 승강기 승강로에 사용가능한 공간이 종종 기계실 없는 승강기의 개념의 적용 범위를 제한한다. 특히 유압식 승강기가 현대화되거나 교체될 때, 특히 유압식 승강기가 균형추를 갖지 않는 경우, 현대화되거나 교체되어야 할 상황에서 승강기의 승강로 내에 공간 부족으로 인하여 기계실 없는 승강기의 솔루션을 적용하기에 실용적이지 못하다. 또한 승강로 내에 안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 특히 승강기 카의 위쪽에 안전 공간을 확보하는 것과 승강기의 상향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은 균형추 없는 승강기 솔루션 제공과 연관 지어 볼 때 문제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의 목적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는 것이다. 먼저, 이전보다 빌딩과 승강기의 승강로에서 보다 더 효과적인 공간 활용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계실 없는 승강기를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것은 만약 필요하다면 승강기가 상대적으로 좁은 승강기의 승강로에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하나는, 특히 서비스맨이 승강기 카의 최상부에 올라가기 원하는 상황에서, 승강기의 승강로에 필요한 안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원하는 지점에서 승강기의 이동을 방지하고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균형추 없는 승강기를 달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그리고, 승강기에 안전 공간을 확보하는 것과 승강기가 너무 위로 운행되는 것을 막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승강기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개시된 것에 의하여 특징지어지고 , 본 발명의 방법은 청구항 10의 특징부에 개시된 것에 의하여 특징지어지고, 청구항 11에 개시된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용 방법이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다른 청구항에 의하여 개시된 것에 의하여 특징지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나타날 것이다. 본 출원에 개시된 발명 내용들은 첨부된 청구항에 정의된 것과 다른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분명히 또는 함축적으로 기재된 명세서에 비추어서 그리고 달성된 장점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내용은 여러 가지 개별적인 발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아래의 장점들 중 하나 이상의 장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본 발명의 승강기의 이동은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원하는 지점에서 정지될 수 있다.
- 승강기의 상부의 안전공간은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쉽게 확보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승강기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 본 발명의 승강기와 방법은 구현하는데 저렴한 솔루션이다.
- 승강기의 이동이 권상기(hoisting machine)와 가능한 가까운 지점에서 그리핑 엘리먼트에 의하여 정지/방지될 때, 로프의 신장에 의하여 발생하는 딜레이가 가능한 적고, 승강기 카는 짧은 거리에서 정지한다.
- 더욱이, 승강기의 이동이 권상기와 가능한 가까운 지점에서 멈췄을 때, 승강기 카를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로프의 힘은 가능한한 작다.
- 본 발명의 승강기와 방법이 사용될 때, 완충기를 사용하는 종전 기술의 무겁고 비싼 구조와 비교하여 재료비와 설치비가 절감되며, 승강기 카의 상향 이동의 정지가 용이하고, 승강기의 하향 운행이 시작될 때 그리핑 엘리먼트가 자동적으로 릴리즈될 수 있으며, 승강기가 정상적으로 이동하게 하고 보상 기어가 정상적인 방법으로 기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적용에 최적의 분야는 사람 및/또는 물품을 운반하기 위하여 설계된 승강기이다. 본 발명의 정상적인 적용분야는 속도 범위가 대략 1.0m/s이거나 그 이하인 승강기이다. 그러나, 더 빠를 수도 있다. 예컨대, 0.6m/s의 속도로 운행하는 승강기는 본 발명에 따라서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승객용 승강기 및 화물용 승강기에 있어서, 본 발명이 2~4인승의 승강기에 대하여 많은 장점을 제공하고, 6~8인승(500~630kg)의 승강기에 대하여 많은 장점을 제공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승강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틸 와이어 로프와 같은, 일반적인 승강기 로프가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승강기는 합성 물질의 로프를 사용할 수도 있고, 예컨대 소위 "아라미드"나 케블러 로프와 같은, 최근에 승강기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안된 내하중성의 합성섬유로 구성된 로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스틸 강화 플렛 벨트도 적용 가능한 솔루션이며, 특히 그것은 작은 곡률반경을 허용하기 때문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승강기에 사용하는데 특히 유리한 적용 가능성은 예컨대 라운드 스트롱 와이어로 꼬아진 승강기 호이스팅 로프이다. 라운드 와이어를 사용하여, 그 로프는 같은 직경 또는 다른 직경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꼬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양호하게 적용가능한 로프에서, 그 와이어의 직경은 평균적으로 0.4mm 이하이다. 스트롱 와이어로부터 잘 만들어진 로프의 평균 와이어 직경은 0.3mm이하이거나 0.2mm 이하이다. 예를 들어, 씬 와이어드 앤드 스트롱 4mm 로프는 완성된 로프의 평균 와이어 직경이 0.15mm 내지 0.25mm 인 와이어로부터 비교적으로 유리하게 꼬아질 수 있다. 가장 가는 와이어는 0.1mm 이하의 직경을 가진다. 가는 로프 와이어는 쉽게 매우 강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 2000N/mm2 의 강도를 가진 로프 와이어의 사용이 가능하다. 적절한 로프 와이어의 강도는 2100~2700N/mm2이다. 이론적으로, 3000N/mm2 또는 그 이상의 강도의 와이어의 사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승강기에 있어서, 승강기 카는 하나 또는 다수의 평행한 로프로 이루어진 호이스팅 로프세트에 의하여 지지되고, 승강기는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승강기 카를 이동시키는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를 포함한다. 승강기는 승강기 카로부터 위쪽 및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호이스팅 로프부분을 포함하고, 승강기 카로부터 위쪽의 로프부분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로프부분은 제 1 로프장력(T1) 하에 있고, 승강기 카로부터 아래쪽의 로프부분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로프부분은 제 2 로프장력(T2) 하에 있다. 더불어, 승강기는 호이스팅 로프에 작용하는, 로프장력 및/또는 로프 신장을 보상 및/또는 등가시키는, 및/또는 제 1 및 제 2 로프장력의 비율(T1/T2)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해주는 보상장치를 포함한다. 승강기의 이동은 제 1 로프장력(T1)과 제 2 로프장력(T2)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방지 및/또는 정지된다.
승강기의 이동을 정지/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승강기의 승강기 카는 하나 또는 다수의 평행한 로프로 이루어진 호이스팅 로프세트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승강기는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승강기 카를 이동시키는 트랙션 시브를 포함하고, 승강기 카로부터 위쪽 및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호이스팅 로프부분을 포함한다. 승강기 카로부터 위쪽의 로프부분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로프부분은 제 1 로프장력(T1) 하에 있고, 승강기 카로부터 아래쪽의 로프부분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로프부분은 제 2 로프장력(T2) 하에 있다. 승강기는 호이스팅 로프에 작용하는, 로프장력 및/또는 로프 신장을 보상 및/또는 등가시키는, 및/또는 제 1 및 제 2 로프장력의 비율(T1/T2)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해주는 보상장치를 포함한다. 본 방법에서, 승강기의 이동은 제 1 로프장력(T1)과 제 2 로프장력(T2)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방지 및/또는 정지된다.
전향(diverting) 풀리로써 기능하는 로프 풀리를 사용하여 접촉각을 증가시킴으로써,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그립이 향상될 수 있다. 이것은 카의 무게를 줄이고 카의 크기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승강기의 위치에너지를 절약하는 공간이 증가한다.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180도 이상의 접촉각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전향 풀리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로프의 신장을 보상하는 보상장치는 호이스팅 로프와 트랙션 시브 사이에 승강기의 이동과 안전성을 위하여 충분한 그립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T1/T2 비율을 유지한다. 한편, 승강기의 이동과 안전성을 위하여 균형추 없는 승강기 솔루션에서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로프에 충분한 장력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승강기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영역인 일반 이동 영역으로 승강기 사용을 제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승강기 카에 원하는 오버헤드 안전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하다면 본 발명은 승강기를 위한 다른 기능적 영역를 정의하고 제한을 풀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기가 이 영역을 지나서 상향으로 운행될 수 없는 그러한 승강기 승강로의 상부의 방향에 승강기를 위한 최고 이동 영역을 정의할 수 있고, 이 영역은 승강기 카의 최상부로부터 작업이 수행될 때 필요한 오버헤드 안전 공간보다 크다. 이것과 더불어, 승강기가 최고 이동 영역만큼 멀리 운행될 수 없는 경우에, 예컨대 승강기 카의 최상부로부터 작업이 수행될 때, 안전 공간이 규정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더 큰 오버헤드 안전 공간으로 정의된 영역을 제 2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몇 가지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균형추 없는 트랙션 시브 승강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추 없는 제 2 트랙션 시브 승강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균형추 없는 제 3 트랙션 시브 승강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승강기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실이 없고 승강기의 승강로에 설치된 권상기(4)를 포함하는 승강기이다. 본 도에서 나타난 승강기는 상부에 권상기(4)를 갖춘 균형추 없는 트랙션 시브 승강기이다. 승강기의 호이스팅 로프(3)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호이스팅 로프(3)의 한 끝부가 승강기 카(1)에 움직이지 않도록 레버(15)의 고정지점(16)에 단단히 고정되고, 고정지점(16)은 승강기 카(1)와 레버(15)를 연결하는 피벗(17)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이룬다. 그러므로, 도 1에 도시된 상황에서, 레버(15)는 고정된 지점(17)에 있는 승강기 카(10)에서 피벗되는 보상장치로서 사용된다. 고정지점(16)으로부터, 호이스팅 로프(3)는 위로 움직이고, 승강기 승강로에서 승강기 카(1)의 위쪽, 바람직하게는 승강기 승강로의 상부에 장착된 전향 풀리(14)와 만나고, 로프(3)는 상기 전향 풀리(14)로부터 승강기 카 상의 전향 풀리(13)를 향하여 더 아래로 움직이고, 로프(3)는 상기 전향 풀리(13)로부터 다시 승강기 카의 위쪽에 승강기 승강로의 상부에 장착된 전향 풀리(12)를 향하여 다시 위로 움직인다. 상기 전향 풀리(12)로부터, 로프(3)는 승강기 카 상에 장착된 전향 풀리(11)를 향하여 아래로 더 움직이고, 이 전향 풀리(11)를 돌아 통과하여 승강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된 전향 풀리(10)를 향하여 위로 더 움직이고, 전향 풀리(10)를 돌아 통과하여, 승강기 카 상에 고정된 전향 풀리(9)를 향하여 아래로 다시 움직인다. 전향 풀리(9)를 돌아 통과한 후, 호이스팅 로프(3)는 트랙션 시브(5)와 "탄젠셜 접촉(tangential contact)"을 이루는 전향 풀리(7)를 먼저 통과하여, 승강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권상기(4)의 트랙션 시브(5)를 향하여 위로 더 움직인다. 이것은 로프(3)가 전향 풀리(7)의 로프 홈을 경유하여 통과하고 트랙션 시브(5)로부터 승강기 카(1)를 향하여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하고, 전향 풀리(7)에 의하여 발생하는 로프(3)의 휨이 매우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트랙션 시브(5)가 전향 풀리(7)와 오직 "탄젠셜 접촉"으로 동작되는 것으로부터 로프는 움직이기 시작한다. 그러한 "탄젠셜 접촉" 은 외부로 움직이는 로프의 감쇠 진동의 한 솔루션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다른 로핑 솔루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로프는 트랙션 시브(5)의 로프 홈을 따라서 권상기(4)의 트랙션 시브(5)를 돌아 통과한다. 트랙션 시브(5)로부터, 로프는 전향 풀리(7)를 향하여 아래로 더 움직이고, 전향 풀리(7)의 로프 홈을 따라서 트랙션 시브를 돌아 통과하고 트랙션 시브(5)로 되돌아온다. 트랙션 시브(5)로부터, 로프(3)는 전향 풀리(7)와 "탄젠셜 접촉"으로, 풀리의 로프 홈을 따라서, 승강기 카를 지나 승강기 승강로의 하부에 설치된 전향 풀리(8)를 향하여 아래로 더 움직인다. 승강기 승강로의 하부에 설치된 전향 풀리(8)로부터, 로프(3)는 승강기 카 상의 전향 풀리(18)를 향하여 위로 더 움직인다. 로프(3)는 전향 풀리(18)로부터 승강기 승강로 하부의 전향 풀리(19)를 향하여 더 움직이고, 승강기 카 상의 전향 풀리(20)를 향하여 위로 다시 더 움직이고, 로프(3)는 전향 풀리(21) 로부터 승강기의 전향 풀리(22)를 향하여 더 움직이고, 로프(3)는 전향 풀리(22)로부터 승강기 승강로의 하부의 전향 풀리(23)를 향하여 더 움직인다. 로프(3)는 전향 풀리(23)로부터 레버(15)를 향하여 움직인다. 레버(15)는 지점(17)에서 승강기 카에서 고정적으로 피벗되며, 로프(3)의 다른 끝부는 피벗(17)으로부터 거리 b인 지점(24)에서 레버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경우에, 권상기 및 전향 풀리 모두 승강기 카의 한 동일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승강기의 다른 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솔루션은 룩색(rucksack)형 승강기 솔루션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고, 솔루션의 구성요소는 승강기 뒷쪽의 승강로의 뒷벽과 승강기 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전향 풀리(7)와 트랙션 시브(5) 사이의 로핑은 호이스팅 로프가 트랙션 시브를 두 번 또는 그 이상 돌아 통과하는, 소위 더블랩 로핑(Double Wrap roping)이다. 이런 방법으로 접촉각은 둘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증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션 시브(5)와 호이스팅 로프(3) 사이의 접촉각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180°+ 180°, 즉 360°를 이룬다. 상기 형태로 나타난 더블랩 로핑은 다른 방법, 예를 들어, 트랙션 시브(5)의 측면에 전향 풀리(7)를 설치함으로써 호이스팅 로프가 트랙션 시브를 두 번 돌고, 접촉각은 180°+ 90°, 즉 270°가 되도록 하는 방법, 또는 전향 풀리를 다른 적합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과 같은 방법, 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유리한 솔루션은 전향 풀리(7)가 동시에 호이스팅 로프(3)의 가이드 및 감쇠 풀리로써 기능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트랙션 시브(5)와 전향 풀리(7)를 설치하는 것이다. 권상기(4)의 트랙션 시브(5) 및 전향 풀리(14, 13, 12, 11, 10, 9, 7)는 모두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서스펜션과 동일한 서스펜션 비, 도 1에서 그 서스펜션 비는 7:1로 승강기 카의 위쪽의 서스펜션을 형성한다. 트랙션 시브(5)로부터 승강기 카(1)의 위쪽의 로프부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로프부는 제 1 로프장력(T1) 하에 있다. 전향 풀리(8, 18, 19, 20, 21, 22, 23)는 승강기 카의 아래쪽에 서스펜션과 로프부분을 형성한다. 트랙션 시브로부터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로프부분으로 움직이는 로프부분은 제 2 로프장력(T2) 하에 있다. 승강기의 권상기(4)와 트랙션 시브(5), 및/또는 승강기 승강로의 상부에 있는 전향 풀리(7, 10, 12, 14)는 가이드 레일(2)에 의하여 형성된 프레임 구조에 또는 승강기 승강로의 상부의 빔 구조에, 또는 승강기 승강로와 별개로, 또는 다른 적절한 설치 장치에 설치될 것이다. 승강기 승강로의 하부의 전향 풀리들은 가이드 레일(2)에 의하여 형성된 프레임 구조에, 또는 승상기 승강로의 하부의 빔 구조에, 또는 승강기 승강로의 하부와 별개로, 또는 다른 적절한 설치 장치에 설치될 것이다. 승강기 카 상의 전향 풀리들은 승강기 카(1)의 프레임 구조 상의 위치, 예를 들어 승강기 카 프레임 상에, 또는 빔 구조에, 또는 승강기 카 내부의 빔 구조에 또는 승강기 카 상에 별개로, 또는 다른 적절한 설치장치에 설치될 것이다. 승강기의 승강로의 구조 상의 위치에, 승강기 카의 구조 상에, 및/또는 카 프레임 또는 승강기 승강로 내에, 또는 그것의 근처에, 또는 승강기 카와 결합하여 다른 적절한 위치에 고정된 전향 풀리들은, 예컨대 카세트 타입 구조와 같은 모듈러 구조, 예컨대 전향 풀리가 분리된 모듈러 구조를 이룬다. 승강기 승강로 내에 설치된 전향 풀리 및 권상기 장비 및/또는 승강기 카와 결합된 위치에 설치된 전향 풀리들은 모 두 승강기 카와 승강기 승강로 사이의 공간에 승강기 카의 한 면에 또는 승강기 카의 다른 면에 원하는 방법으로 설치될 것이다. 트랙션 시브(4) 및 전향 풀리(7) 사이의 로핑은 더블랩 로핑과는 다른 방법, 예컨대 싱글랩 로핑, 이 경우에 전향 풀리(7)는 전혀 필요하지 않고, ESW 로핑(Extended Single Wrap roping) 또는 목적에 부합하는 다른 로핑 솔루션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승강기 승강로에 설치된 권상기(4)는 바람직하게는 플렛(flat) 구조이다, 즉, 권상기는 권상기의 넓이 및/또는 높이와 비교하여 작은 두께를 가지거나 적어도 권상기는 승강기 카와 승강기 승강로의 한 벽 사이에 수용되기에 충분히 얇아야 한다. 또한 권상기는, 예컨대 얇은 권상기를 승강기 카와 승강로 벽의 가상의 확장선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배치함으로서 달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승강기에서, 설치를 위한 공간에 적합한 대부분의 타입 및 디자인의 권상기(4)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로 구동되는 권상기 또는 기어를 사용하지 않는 권상기를 사용할 수 있다. 권상기는 컴팩트 및/또는 플렛 사이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솔루션에서, 로프 속도가 종종 승강기의 속도와 비교하여 빠르므로, 기본 권상기 솔루션과 같은 정교하지 않는 타입의 권상기를 사용할 수 있다. 승강기 승강로에 트랙션 시브(5)를 구동하는 모터에 동력 공급에 필요한 장치 뿐만 아니라 승강기 제어를 위한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두 장치는 일반 장치 패널(6)에 설치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되어, 또는 권상기(4)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결합되어 설치된다. 바람직한 솔루션은 영구자석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를 사용하지 않는 권상기이다. 권상기는 승강기의 벽에, 승강기 의 천창에, 가이드 레일에, 또는 빔이나 프레임과 같은 다른 구조에 설치된다. 승강기의 하부에 권상기가 있는 경우, 승강기 승강로의 바닥에 권상기를 설치할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승강기 카의 위쪽의 전향 풀리와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전향 풀리의 서스펜션 비가 7:1로 동일한 서스펜션 솔루션을 도시한다. 실제로 이 비를 시각화하기 위하여, 이것은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운행되는 거리와 승강기 카에 의하여 운행되는 거리의 비율을 의미한다. 승강기 카(1)의 위쪽의 서스펜션 배치는 전향 풀리(14, 13, 12, 11, 10, 9)에 의하여 구현되고 승강기 카(1)의 아래쪽의 서스펜션 배치는 전향 풀리(23, 22, 21, 20, 19, 18, 8)에 의하여 구현된다. 또한, 다른 서스펜션 솔루션이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기는 기계실, 또는 승강기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권상기를 포함하는 솔루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버(15)의 기능은 도 1의 지점(17)에서 승강기 카(1)에서 피벗되는 것이고, 로프장력 및/또는 로프 신장을 보상 및/또는 등가시키는, 및/또는 제 1 및 제 2 로프장력의 비율(T1/T2)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해주는 보상장치로서 역할이다.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호이스팅 로프부분, 소위 하부 로프부분에 충분한 장력을 유지하는 것이 승강기의 이동과 안전에 필수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레버(15)의 배치에 의하여, 트랙션 시브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는 로프장력(T1)과 로프장력(T2)사이의 비율(T1/T2)이 원하는 상수값, 예컨대 2로 유지되는 그러한 방법으로 호이스팅 로프의 탠션닝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수값으로 유지되는 이 비율은 T1/T2=b/a 이므로, 거리(a)와 거리(b)의 변화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 홀수 서스펜션 비가 승강기의 서스펜션에 사용되었을 때, 레버(15)는 승강기 카 상에서 피벗되고, 짝수 서스펜션 비가 승강기의 서스펜션에 사용되었을 때, 승강기 승강로 상에서 피벗되는 등가화장치로써 사용된다. 도 1은 승강기가 너무 위로 이동하는 것을 정지/방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로프장력(T2)의 감소 또는 사라짐에 따라, 뒤이어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마찰력이 사라지고, 승강기 카(1)를 호이스팅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1에서 보상장치로써 사용된 레버(15)와 만나도록 설치된 스토퍼 엘리먼트(25)는 스토퍼 엘리먼트에 의하여 승강기 카와 승강기 승강로의 천장 사이에 원하는 오버헤드 공간이 확보되고, 승강기가 승강기 승강로 내에 원하는 지점을 지나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도록 지점(26)에 승강기 승강로 내에 설치된다. 승강기 카(1)가 위로 이동하고, 승강기 카의 운행이 금지된 지점에 도달하였을 때, 승강기의 보상장치로써 사용된 레버(15)는 스토퍼 엘리먼트(25)와 만나고, 스토퍼 엘리먼트는 레버(15)를 아래로 내리고, 그로 인하여 승강기 카(1)의 아래쪽의 로프부분을 느슨하게 한다. 그 결과 제 2 로프장력(T2)이 사라지고, 제 1 및 제 2 로프장력 사이의 비율(T1/T2)은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승강기 카(1)의 이동은 정지된다. 스토퍼 엘리먼트(25)와 더불어, 본 발명의 승강기는, 예를 들어 보수 작업 동안에, 승강기 카의 위쪽에 충분한 안전 공간을 보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제 2 스토퍼 엘리먼트가 승강기 승강로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스토퍼 엘리먼트는 안전한 위치, 즉, 수동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예컨대, 승강기 카의 최상부에 설치된 서비스 박스를 통하여 기동되는 보상장치(15)를 만날 위치에 놓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비스맨이 승강기 카의 최상부를 떠나고, 보수작업을 종료했을 때, 상기 스토퍼는 수동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보상장치(15)와 만나지 않는 최종 위치로 되돌아 간다. 제 2 스토퍼 엘리먼트에는 스토퍼가 안전 위치에 있을 때, 승강기의 일반적인 이동을 방지하는 안전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카가 승강기 승강로에서 너무 위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균형추 없는 트랙션 시브 승강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의 승강기는 도 1의 승강기와 동일하지만, 도 2에서는 서스펜션 비가 8:1인 점 및 다른 보상장치(224)가 설치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승강기는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이동하는 승강기 카를 가진, 균형추 없는 트랙션 시브 승강기이다. 높은 호이스팅 높이를 가진 승강기에서, 호이스팅 로프의 신장에 대한, 어떤 허용된 제한된 값에 따라서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는 보상의 필요성이 있다. 승강기의 이동과 안전성을 위하여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로프부분에 충분한 장력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도 2에 도시된 로프장력 보상장치(224)에서, 로프 신장의 보상을 위하여 매우 긴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매우 큰 신장에 대한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보상장치(224)는 트랙션 시브에 작용하는 로프장력(T1)과 로프장력(T2) 사이의 비율(T1/T2)을 일정하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경우는, 비율(T1/T2)이 약 2/1이다. 승강기 카의 위쪽 및 아래쪽의 짝수 서스펜 션 비일 때, 보상장치(224)는 승강기 승강로 내부에 또는 승강기 카와 결합되지 않은 다른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고, 승강기 카의 위쪽 및 아래쪽의 홀수 서스펜션 비일 때, 보상장치(224)는 승강기 카(1)와 결합되어 설치된다.
도 1에서, 호이스팅 로프는 아래 설명과 같이 움직인다. 호이스팅 로프(3)의 한 끝부는 전향 풀리(216)로부터 아래쪽으로 가는 로프부분에 매달리도록 설치된 전향 풀리(225)에 설치된다. 전향 풀리(216) 및 전향 풀리(225)는 호이스팅 로프의 다른 끝부의 고정지점(226)과 함께 로프장력 등가장치(224)를 구성한다. 이 보상장치(224)는 승강기 승강로 내의 위치에 설치된다. 호이스팅 로프(203)는 전향 풀리(225)로부터 위로 움직이고, 승강기 승강로에 승강기 카의 위쪽, 바람직하게는 승강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전향 풀리(216)와 만나고, 전향 풀리(216)에 나있는 로프 홈을 따라서 전향 풀리(216)를 돌아 통과한다. 로프는 전향 풀리(216)로부터 승강기 카 상에 설치된 전향 풀리(215)를 향하여 아래로 더 움직이고, 승강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전향 풀리(214)를 향하여 위로 더 움직인다. 전향 풀리(214)를 돌아 통과한 후, 로프는 승강기 카 상에 설치된 전향 풀리(213)를 향하여 아래로 다시 움직이고, 전향 풀리(213)를 돌아 통과한 후 승강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전향 풀리(212)를 향하여 위로 더 움직이고, 전향 풀리(212)를 돌아 통과한 후 호이스팅 로프(203)는 승강기 카 상에 설치된 전향 풀리(211)를 향하여 아래로 더 움직인다. 전향 풀리(211)를 돌아 통과한 후, 호이스팅 로프(203)는 승강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전향 풀리(210)를 향하여 위로 더 움직이고, 전향 풀리(210)를 돌아 통과한 후 호이스팅 로프(203)는 승강기 카 상에 설치된 전향 풀리(209)를 향하여 아래로 더 움직이고, 전향 풀리(209)를 돌아 통과한 후 호이스팅 로프(203)는 전향 풀리(207)와 탄젠셜 접촉을 이루는 트랙션 시브(205)를 향하여 위로 더 움직이고, 전향 풀리(207)는 바람직하게는 권상기(204)의 근처에 및/또는 권상기(204)와 결합되어 설치된다. 전향 풀리(207)와 권상기(204)의 트랙션 시브(205) 사이에, 도 2는 도 1과 관련된 더블랩(DW) 로핑을 도시한다. 전향 풀리(216, 214, 213, 212, 211, 210, 209, 207)와 권상기(204)의 트랙션 시브(205)는,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서스펜션과 동일한 서스펜션 비, 도 2에서 서스펜션 비는 8:1로 승강기 카의 위쪽에 서스펜션을 형성한다. 승강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움직이는 승강기 카의 위쪽의 서스펜션의 방향의 로프부분은 제 1 로프장력(T1) 하에 있다. 트랙션 시브(205)로부터, 로프(203)는 전향 풀리(207)와 탄젠셜 접촉을 이루고, 바람직하게는 승강기 승강로의 하부에, 설치된 전향 풀리(208)를 향하여 더 움직인다. 전향 풀리(208)를 돌아 통과한 후, 로프(203)는 승강기 카 상에 설치된 전향 풀리(218)를 향하여 위로 더 움직이고, 전향 풀리(218)를 돌아 통과한 후 로프(203)는 승강기 승강로의 하부에 전향 풀리(219)를 향하여 아래로 더 움직이고, 전향 풀리(219)를 돌아 통과한 후, 승강기 카 상에 설치된 전향 풀리(220)를 향하여 되돌아 간다. 전향 풀리(220)를 돌아 통과한 후, 호이스팅 로프(203)는 승강기 승강로의 하부에 설치된 전향 풀리(221)를 향하여 아래로 더 움직이고, 전향 풀리(221)를 돌아 통과하고 승강기 카 상의 전향 풀리(222)를 향하여 위로 더 움직인다. 전향 풀리(222)를 돌아 통과한 후, 호이스팅 로프(203)는 승강기 승강로의 하 부에 설치된 전향 풀리(223)를 향하여 아래로 더 움직이고, 전향 풀리(223)를 돌아 통과하고 승강기 카의 전향 풀리(228)를 향하여 위로 더 움직이고, 호이스팅 로프(203)는 승강기 승강로 하부에 설치된 전향 풀리(227)를 향하여 아래로 더 움직이고, 전향 풀리(227)를 돌아 통과한 후 호이스팅 로프(203)는 보상장치의 전향 풀리(225)를 향하여 위로 더 움직이고, 전향 풀리(225)를 돌아 통과하고 로프의 다른 끝부의, 승강기 승강로 내에 적절한 위치에 위치한, 고정지점(226)으로 더 움직인다. 전향 풀리(208, 218, 219, 220, 221, 222, 223, 228, 227)는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로프부분과 서스펜션을 형성하고, 상기 로프부분은 제 2 로프장력(T2) 하에 있다.
도 2에 도시된 승강기는 로프장력 및/또는 로프 신장을, 보상 및/또는 등가시키는, 및/또는 제 1 및 제 2 로프장력의 비율(T1/T2)을 대체로 일정하게 하도록 설계된 보상장치를 포함하고, 전향 풀리(225)의 이동에 의하여 보상장치의 동작이 발생한다. 전향 풀리(225)는 제한된 거리에서 이동하며, 그로 인하여 호이스팅 로프(303)의 신장을 보상한다. 더불어, 이러한 배치는 트랙션 시브(205)에 적용되는 로프장력을 일정한 레벨, 도 2에 도시된 경우에서 로프장력 사이의 비율(T1/T2)은 약 2/1로 유지된다. 보상장치(224)는 본 실시예에 서술된 것과 다른 방법, 예를 들어, 보상장치에 더 복잡한 서스펜션 및 더 많은 수의 전향 풀리를 사용함으로써 보상장치의 전향 풀리들 사이에 다른 서스펜션 비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균형추 없는 승강기에서, 승강기 카의 최상부에서 작업할 설치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승강기는 승강기에 손상을 막기 위하여 승강기가 승강기의 천장까지 운행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종전 기술의 완충기를 사용한다면, 무겁고 비싼 솔루션 및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일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의 천장까지 승강기가 운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설치는, 호이스팅 로프(203)의 신장에 의하여 발생하는 딜레이를 가능한 작게 하고, 제동 거리를 가능한 짧게 하도록, 가능한 권상기(24)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이러한 설치는 호이스팅 로프에의 보자력(coercivity)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승강기 카(21)가 상행하여 최종의 정지될 영역에 도달되었을 때, 로프에 작용하는 그리핑 엘리먼트(229)는 호이스팅 로프(203)를 그립하고 로프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승강기 카에 장착된 가드(230), 바람직하게는 완충기에 의하여 그리핑 엘리먼트가 타격되었을 때, 그리핑 엘리먼트(229)는 닫히고, 그 결과 그리핑 엘리먼트(229)가 로프의 이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보상장치(224)는 더 이상 동작하지 않는다. 더불어, 트랙션 시브가 제 2 로프장력(T2)의 측면의 호이스팅 로프부분으로 로프를 더 공급함에 따라, 로프를 그립하고 있는 그리핑 엘리먼트는 로프의 내부강도에 의하여,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마찰력이 사라지도록 승강기 카의 위쪽의 로프부분에 제 2 로프장력(T2)이 많이 감소하고, 트랙션 시브가 미끄러지기 시작하고, 동시에 승강기의 이동이 멈춰지는 결과를 가져 온다. 도 2에 도시된 그리핑 엘리먼트(229)는 승강기 카가 아래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 그리핑 엘리먼트가 로프를 릴리즈함으로써 보 상장치(224) 및 승강기가 다시 정상적인 상태로 동작하도록 설치된다. 그리핑 엘리먼트(229)의 구조에 관하여, 예를 들어 승강기 카의 완충기(230)와 만나도록 설계된, 완충기와 만나면 그리핑 엘리먼트의 제 2 파트에 대응하여 눌러지는,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파트를 포함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호이스팅 로프세트는 그리핑 엘리먼트 제 1 파트와 제 2 파트 사이에서 잡혀지고, 로프의 이동이 정지되고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로프부분은 즉시 느슨해진다. 그리핑 엘리먼트는, 예를 들어 승강기 승강로 내부 위치에 적절하게 설치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승강기와 서스펜션 비가 6:1인 차이점을 가진 승강기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상장치와 일치하는 보상장치 및 동일한 방법으로 구현된 호이스팅 로프의 통과를 도시한다. 도 2에 대하여 도 3의 차이점은 승강기의 이동을 정지 및/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효과가 적용된 부분에 있다. 도 3에 도시된 균형추 없는 승강기에서, 승강기는 보상장치(324), 바람직하게는 승강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전향 풀리(314)에 작용하는 동작을 행하는 그리핑 엘리먼트(333)에 의하여 천장까지 운행되는 것이 방지되고, 호이스팅 로프는 전향 풀리(314)를 돌아 통과한 후, 보상장치의 전향 풀리(325)를 향하여 더 움직인다. 승강기 카(1)가 상행하여 승강기 카의 이동이 최종적으로 정지되어야 하는 영역에 도달했을 때, 그리핑 엘리먼트(333)는 로프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그리핑 엘리먼트는 다른 끝부가 보상장치(324)의 전향 풀리(325)에 연결된 로프를 정지시킨다. 그리핑 엘리먼트(333)의 그리핑 동작 후에, 보상장치(324)는 더 이상 동작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트랙션 시브에 작용하는 제 1 로프장력(T1)은 증가하고 제 2 로프장력(T2)은 감소하며, 그 결과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호이스팅 로프부분은 즉시 느슨해지므로 권상기에 필요한 권상기(304)와 트랙션 시브(305) 사이의 마찰력이 사라지고 트랙션 시브(305)는 미끄러지기 시작한다. 승강기 카(301)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을 취할 때, 그리핑 엘리먼트(333)는 로프를 릴리즈하고, 승강기의 보상장치가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그리핑 엘리먼트(333)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적으로 동작한다. 도 3에서, 그리핑 엘리먼트(333)는 승강기 승강로의 천장에 바람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스토퍼(330), 바람직하게는 승강기 카 상에 설치된 완충기를 만나도록 설계된 제 1 파트(334)를 포함한다. 제 1 파트는 승강기 카의 충격의 제동력을 제한하고 그리핑 엘리먼트(333)의 제동 속도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장치(327)를 포함하고, 그리핑 엘리먼트(333)의 제동 동작 및 그립핑 엘리먼트의 동작 후에 승강기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을 취할 때 로프를 놓는 동작의 속도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제 2 제동 스프링(332)이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그리핑 엘리먼트는 제 1 파트에 대응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파트(331)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파트는 전향 풀리(314)가 설치된 매개 빔을 포함한다. 승강기의 완충기(330)가 그리핑 엘리먼트(333)와 만났을 때, 제 1 파트의 이동은 그리핑 엘리먼트의 제 2 파트(331)에 대하여 호이스팅 로프를 누르는 전향 풀리(314)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그 결과 로프의 이동이 정지되고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승강기가 정지한다.
본 발명의 승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기계실이 없고, 코팅된 트랙션 시브를 가진 권상기를 장착하고, 가늘고 강한 대체적으로 둥근 단면의 호이스팅 로프를 장착한 승강기이다. 승강기의 트랙션 시브에 호이스팅 로프의 접촉각은 180°이상이고, 트랙션 시브 및 전향 풀리를 장착한 권상기에 더블랩 로핑을 이용하여 구현되어 진다. 권상기에서 상기 트랙션 시브 및 전향 풀리는 서로에 대한 정확한 각도로 미리 피팅된다. 권상기는 승강기의 가이드 레일 상의 위치에 설치된다. 승강기는 승강기 카의 위쪽의 서스펜션 비와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서스펜션 비를 모두 8:1로, 균형추 없이 구현되고, 로프는 승강기 카의 한쪽 벽과 승강기 승강로의 벽 사이에서 움직인다. 승강기는 로프장력의 비율(T1/T2)을 약 2:1의 비율로 유지하는 보상장치를 포함한다. 승강기의 보상장치는 호이스팅 로프의 제어되지 못한 처짐을 막기 위한 및/또는 보상장치의 제어되지 못한 동작을 막기 위한 하나 이상의 로프 처짐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 처짐 방지 장치는 보다 바람직하게 완충기가 될 수 있다. 승강기의 이동은 제 1 로프장력(T1)과 제 2 로프장력(T2)의 비율이 증가함에 의하여 정지 및/또는 방지되고, 그 결과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마찰력이 제거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속하는 많은 다양한 실시예의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강기 승강로 상부의 전향 풀리와 승강기 승강로 하부의 전향 풀리 사이를 호이스팅 로프가 여러 번 통과하고, 승강기 카 상의 전향 풀리는 승강기 카의 위쪽 및 아래쪽에서 모두 원하는 서스펜션 비를 이루기 위하여 변형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승강기 카의 위쪽의 서스펜션과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서스펜션이 동일한 서스펜션 비를 가지도록, 로프가 위쪽로부터 승강기 카로, 아래쪽로부터 승강기 카로, 가능한 많은 횟수를 움직여 구현된다. 상기 서술된 실시예에 따라서, 트랙션 시브 및 전향 풀리로써, 코팅된 금속 풀리를 대신하여, 코팅되지 않은 금속 풀리 또는 목적에 부합하는 다른 물질로 만든 코팅되지 않은 풀리를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다.
당업자들에게 적어도 트랙션 시브의 홈 부분에 비금속 물질을 코팅한, 금속의 트랙션 시브와 본 발명에서 전향 풀리로써 사용된 로프 휠은 예컨대, 고무, 폴리우레탄 또는 목적에 부합하는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코팅 물질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이 또한 명백하다.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승강기는 임의의 유연한 호이스팅 수단, 예컨대, 하나 이상의 가닥의 유연한 로프, 플렛 벨트, 톱니 벨트, 트라페조이달(trapezoidal) 벨트 또는 목적에 부합하는 다른 어떤 타입의 벨트를 호이스팅 로프로써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당업자들에게 필러를 포함한 로프를 사용하는 대신에, 윤활처리가 되었든 되지 않았든, 필러 없는 로프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더불어, 당업자들에게 로프는 많은 다양한 방법으로 꼬아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당업자들에게 예로써 상기 서술된 로핑 배치보다 접촉각(α)을 더 증 가시키기 위하여 트랙션 시브와 전향 풀리/전향 풀리들 사이에 다른 타입의 로핑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승강기가 구현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예를 들어, 예로든 로핑과 다른 방법으로 전향 풀리/전향 풀리들, 트랙션 시브 및 호이스팅 로프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승강기가 균형추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균형추가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지지되고 균형추 및 균형추의 로핑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승강기 카의 아래쪽에 추를 가지며 분리된 로프들에 매달려 제공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Claims (11)

  1. 기계실 없는 승강기로서, 상기 승강기 카는 하나 또는 다수의 평행한 로프들로 이루어진 호이스팅 로프세트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상기 승강기를 이동시키는 트랙션 시브를 갖추고 있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승강기 카로부터 위쪽 및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부분을 갖추고 있고, 상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상기 승강기 카의 위쪽의 로프부분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기 로프부분은 제 1 로프장력(T1) 하에 있고 상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상기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로프부분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기 로프부분은 제 2 로프장력(T2) 하에 있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로프장력 및/또는 로프 신장을 보상 및/또는 등가시키는 및/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프장력의 비율(T1/T2)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하기 위한 보상장치를 갖추고, 그리고 상기 승강기의 이동은 상기 제 1 로프장력(T1)과 상기 제 2 로프장력(T2)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정지 및/또는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승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이동은 상기 보상장치에 대한 작용에 의하여 정지 및/또는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이동은 하나 이상의 그리핑 엘리먼트가 로프에 작용함으로써 정지 및/또는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프에 작용하는 상기 그리핑 엘리먼트가 상기 승강기의 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핑 엘리먼트가 그립한 후에 상기 승강기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 상기 그리핑 엘리먼트가 호이스팅 로프에 대한 작용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핑 엘리먼트는 상기 승강기 카에 장착된 스토퍼와 만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제 1 파트 및 상기 제 1 파트가 이동 가능하게 피벗되는 제 2 파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그리핑 엘리먼트에서 상기 제 1 파트의 이동이 상기 그리핑 엘리먼트가 상기 승강기의 호이스팅 로프를 그립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상기 보상장치는 하나 및/또는 그 이상의 전향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카의 위쪽의 서스펜션 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전향 풀리로부터 상기 호이스팅 로프가 위쪽으로 움직이는 상기 승강기 카 상의 전향 풀리의 갯수 및 상기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서스펜션 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전향 풀리로부터 상기 호이스팅 로프가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상기 승강기 카 상의 전향 풀리의 갯수는 1 개, 2 개, 3 개, 4 개, 5 개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균형추 없는 승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0. 승강기의 이동을 정지/방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승강기 카는 하나 또는 다수의 평행한 로프들로 이루어진 호이스팅 로프세트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상기 승강기를 이동시키는 트랙션 시브를 갖추고 있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승강기 카로부터 위쪽 및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부분을 갖추고 있고, 상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상기 승강기 카의 위쪽의 로프부분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기 로프부분은 제 1 로프장력(T1) 하에 있고 상기 트랙션 시브로부터 상기 승강기 카의 아래쪽의 로프부분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기 로프부분은 제 2 로프장력(T2) 하에 있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로프장력 및/또는 로프 신장을 보상 및/또는 등가시키는 및/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프장 력의 비율(T1/T2)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하기 위한 보상장치를 갖추고, 그리고 상기 승강기의 이동은 상기 제 1 로프장력(T1)과 상기 제 2 로프장력(T2)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정지 및/또는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이동을 정지/방지시키는 방법
  11. 승강기에서 승강기 카의 이동을 정지 및/또는 방지하는 장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제 1 로프장력(T1)과 제 2 로프장력(T2)의 비율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사용 방법.
KR1020067015484A 2004-03-26 2005-03-17 승강기 KR101107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40461A FI118079B (fi) 2004-03-26 2004-03-26 Hissi, menetelmä hissin liikkeen estämiseksi ja/tai pysäyttämiseksi ja hissikorin liikkeen estävän ja/tai pysäyttävän laitteen käyttö hississä
FI20040461 2004-03-26
PCT/FI2005/000154 WO2005092770A2 (en) 2004-03-26 2005-03-17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357A true KR20060129357A (ko) 2006-12-15
KR101107065B1 KR101107065B1 (ko) 2012-01-20

Family

ID=3203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484A KR101107065B1 (ko) 2004-03-26 2005-03-17 승강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650972B2 (ko)
EP (1) EP1727760B1 (ko)
JP (1) JP5161563B2 (ko)
KR (1) KR101107065B1 (ko)
CN (1) CN1938213B (ko)
AT (1) ATE469093T1 (ko)
DE (1) DE602005021467D1 (ko)
DK (1) DK1727760T3 (ko)
EA (1) EA008634B1 (ko)
ES (1) ES2343014T3 (ko)
FI (1) FI118079B (ko)
HK (1) HK1101907A1 (ko)
PL (1) PL1727760T3 (ko)
WO (1) WO200509277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9769B (fi) * 2003-11-17 2009-03-13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FI116562B (fi) * 2003-11-17 2005-12-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FI119056B (fi) * 2004-03-22 2008-07-15 Kone Corp Hissi, menetelmä hissin muodostamiseksi ja hissin tasauslaitteessa aikaansaadun lisävoiman käyttö
FI118335B (fi) * 2004-07-30 2007-10-15 Kone Corp Hissi
US8162110B2 (en) * 2008-06-19 2012-04-24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Rope tension equalizer and load monitor
WO2010059167A1 (en) * 2008-11-24 2010-05-27 Otis Elevator Company Tension arrangement for elevator system without a counterweight
WO2010121944A1 (de) * 2009-04-20 2010-10-28 Inventio Ag Betriebszustandsüberwachung von tragmitteln in einer aufzugsanlage
JP2012525309A (ja) * 2009-04-29 2012-10-2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単一の昇降路内に複数のかごを含むエレベータシステム
CZ22746U1 (cs) * 2010-07-02 2011-10-03 VVS - Ceské výtahy s. r. o. Výtah pro dopravu osob a nákladu
US9764925B2 (en) 2011-12-21 2017-09-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including a car stop for maintaining overhead clearance
JP6293078B2 (ja) * 2015-03-02 2018-03-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装置
JP6294252B2 (ja) * 2015-03-02 2018-03-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装置
WO2016174298A1 (en) * 2015-04-27 2016-11-03 Kone Corporation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tautness of a traction member of an elevator
CN105858391A (zh) * 2016-06-03 2016-08-17 苏州铃木电梯有限公司 一种夹绳装置以及利用夹绳装置更换电梯组件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568A (en) * 1879-06-17 Improvement in dumb-waiters
GB1442584A (en) * 1974-04-05 1976-07-14 Johns & Waygood Ltd Drive systems for lifts and hoists
FI119237B (fi) 2003-01-31 2008-09-15 Kone Corp Hissi, menetelmä hissin muodostamiseksi ja tasauslaitteiston käyttö
FI20021959A (fi) 2002-11-04 2004-05-05 Kone Corp Hissi
DE9201374U1 (ko) * 1992-02-05 1992-04-02 C. Haushahn Gmbh & Co, 7000 Stuttgart, De
US5307904A (en) * 1992-09-08 1994-05-03 Yoo Young S Stopping of elevators in the up direction
FI101373B1 (fi) * 1993-04-05 1998-06-15 Kone Oy Järjestely ripustus- ja kompensaatioköysien venymän kompensoimiseksi
DE19632850C2 (de) * 1996-08-14 1998-09-10 Regina Koester Treibscheibenaufzug ohne Gegengewicht
US6131017A (en) * 1998-03-27 2000-10-10 Motorola, Inc. Dual system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or
JPWO2002038481A1 (ja) * 2000-11-08 2004-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主索伸び補償装置
JP4673574B2 (ja) * 2003-05-07 2011-04-20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一時的保護スペース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を用いたエレベータ設備、該装置の実装方法、および一時的保護スペース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43014T3 (es) 2010-07-21
PL1727760T3 (pl) 2010-08-31
EP1727760A2 (en) 2006-12-06
DE602005021467D1 (de) 2010-07-08
FI20040461A (fi) 2005-09-27
WO2005092770A3 (en) 2006-01-26
KR101107065B1 (ko) 2012-01-20
CN1938213A (zh) 2007-03-28
ATE469093T1 (de) 2010-06-15
EA200601319A1 (ru) 2007-04-27
JP2007530384A (ja) 2007-11-01
JP5161563B2 (ja) 2013-03-13
US20060289246A1 (en) 2006-12-28
US7650972B2 (en) 2010-01-26
WO2005092770A2 (en) 2005-10-06
FI20040461A0 (fi) 2004-03-26
DK1727760T3 (da) 2010-07-19
HK1101907A1 (en) 2007-11-02
FI118079B (fi) 2007-06-29
EA008634B1 (ru) 2007-06-29
CN1938213B (zh) 2011-08-03
EP1727760B1 (en)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065B1 (ko) 승강기
JP5122953B2 (ja) エレベータ
US8235179B2 (en) Elevator without a counterweight
US7481299B2 (en) Elevator with compensating device
JP5873884B2 (ja) エレベータ
US7207421B2 (en) Elevator
US20060196730A1 (en) Elevator and arrangement
KR101045224B1 (ko) 엘리베이터
US20060243540A1 (en) Elevator
WO2006053934A1 (e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