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8308A -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8308A
KR20060128308A KR1020050049646A KR20050049646A KR20060128308A KR 20060128308 A KR20060128308 A KR 20060128308A KR 1020050049646 A KR1020050049646 A KR 1020050049646A KR 20050049646 A KR20050049646 A KR 20050049646A KR 20060128308 A KR20060128308 A KR 20060128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vex
glass
concave
infrared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959B1 (ko
Inventor
정재철
조용주
박경수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9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95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8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02B9/06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two +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08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glass selectively absorbing radiation of specified wave lengths
    • C03C4/082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glass selectively absorbing radiation of specified wave lengths for infrared absorbing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wo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02B9/1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one + and one - compon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이미지센서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적외선 필터(IR Filter)를 적외선흡수글라스로 성형된 렌즈로 대체하여 후초점거리(Back Focal Length: BFL)를 짧게 설계할 수 있고, 입사각 변화와 상관 없이 컬러특성이 양호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은, 적외선흡수글라스로 형성되고,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및 상기 제2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네거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적외선흡수글라스, 비구면, 글라스, 렌즈, 몰딩

Description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Lens system with a infrared absorbing glass}
도 1은 종래의 적외선 차단 필터를 갖는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적외선 차단 필터에 경사지게 입사된 빛에 의하여 센서면에 붉음 현상이 발생된 상태의 사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a,1b: 제1렌즈 2,2a,2b: 제2렌즈
3,3a,3b: 제3렌즈 4: 개구조리개
5: 센서면
본 발명은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이미지센서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적외선 필터(IR Filter)를 적외선흡수글라스로 성형된 렌즈로 대체하여 후초점거리(Back Focal Length: BFL)를 짧게 설계할 수 있고, 입사각 변화와 상관 없이 컬러특성이 양호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센서 모듈은 크게 렌즈와 센서로 구분되어 진다. 상기 렌즈는 센서에 상을 맺혀주는 기능을 하고, 상기 센서는 빛을 받아 컬러를 만들어 내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컬러 필터로 세 컬러를 합하여 색상을 만들어 내는데, 이때 적색의 경우 인간이 인식하는 파장보다 긴 파장의 빛을 센서는 인식을 하기 때문에 센서는 인간이 인식하는 컬러(color)와 다른 컬러를 만들어 낸다. 따라서, 인간이 인식하는 컬러와 같은 컬러를 만들어 주기 위해서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를 사용해야 한다.
종래의 적외선 차단 필터를 갖는 렌즈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101); 상기 제1렌즈(10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광학계에 입사하는 불필요한 입사광을 방지하는 개구조리개(105); 상기 개구조리개(105)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102); 상기 제2렌즈(102)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네거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103); 및 상기 제3렌즈(103)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광학계로 입사되는 적외선 파장을 필터링하여 센서면(106)을 보호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는 평면 글라스(glass)에 적외선 차단 코팅(IR cut coating)을 실시하며,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은 코팅 설계에 의해서 여러층(약 40층)의 코팅을 실시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에 의하여 적외선이 차단되는 원리는, 평면 글라스에 복수의 층으로 코팅막을 입혀 코팅 윗면에서 반사하는 빛과 코팅 아랫면에서 반사하는 빛을 간섭현상으로 상쇄시켜 적외선을 차단(cutting)한다.
그러나,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104)는 코팅 설계시 코팅막에 수직하게 입사하는 빛을 기준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상기 코팅막에 수직하지 않게 빛이 입사되는 경우에는 다른 투과 특성으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또는 센서면(106)에 중앙에 붉음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104)는 빛의 입사각도에 민감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빛의 입사각도를 가지고 있는 모바일(mobile)용 카메라의 경우 상기 붉음 현상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센서면(106)과 상기 제3렌즈(103) 사이에 적외선 차단 필터(104)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 내에 부유하는 이물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104)의 표면에 부착될 경우에는 이물에 대하여 센서가 민감하게 반응하여 이물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대신하여 렌즈에 적외선 차단 코팅을 실시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적외선 차단 코팅 작업은 고온에서 실시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렌즈에 적외선 차단 코팅을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글라스 렌즈에 대해서 적외선 차단 코팅을 실시할 경우에는 상기 글라스 렌즈가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에 대하여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적외선 차단 코팅이 이루어진 글라스 렌즈는 코팅층의 굴절에 의하여 다른 투과 특성을 나타내게 되어 종래의 적외선 차단 필터(104)를 사용한 경우보다 붉음 현상이 더욱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적외선 차단 필터를 대신하여 글라스 렌즈에 적외선 차단 물질을 함유하여 적외선 차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입사각 변화와 상관 없이 컬러특성이 양호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은, 적외선흡수글라스로 형성되고,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및 상기 제2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네거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렌즈는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렌즈는 적어도 한면이 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는, 광학계에 입사하는 불필요한 입사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개구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렌즈의 전방측에는, 광학계에 입사하는 불필요한 입사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개구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볼록렌즈(bi-convex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렌즈는 한쪽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볼록한 볼록렌즈(plano-convex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오목렌즈(bi-concave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렌즈는 한쪽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오목한 오목렌즈(plano-concave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렌즈는 한쪽면이 볼록하고 다른 면이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meniscus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렌즈는 오목렌즈와 볼록렌즈가 접합되어 형성된 이중렌즈(achromatic doublet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은,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적외선흡수글라스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및 상기 제2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네거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렌즈는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렌즈는 적어도 한면이 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는, 광학계에 입사하는 불필요한 입사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개구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렌즈의 전방측에는, 광학계에 입사하는 불필요한 입사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개구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볼록렌즈(bi-convex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렌즈는 한쪽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볼록한 볼록렌즈(plano-convex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오목렌즈(bi-concave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렌즈는 한쪽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오목한 오목렌즈(plano-concave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렌즈는 한쪽면이 볼록하고 다른 면이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meniscus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렌즈는 오목렌즈와 볼록렌즈가 접합되어 형성된 이중렌즈(achromatic doublet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은, 적외선흡수글라스로 형성되고,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1); 광학계에 입사하는 불필요한 입사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개구조리개(4); 상기 제1렌즈(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2); 및 상기 제2렌즈(2)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네거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렌즈(1)는 몰딩(molding)방법으로 한쪽면이 볼록하고 다른 면이 오목한 평면이고 다른 면이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meniscus lens)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및 제3렌즈(2,3)는 플라스틱을 이용한 사출 성형방법으로 형성 되어 있으며, 글라스의 몰딩방법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든 렌즈는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aspherical)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렌즈를 비구면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렌즈는 구면이기 때문에 빛이 들어온 위치에 따라 초점이 다르며 이로 인하여 구면수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광선이 비축으로 입사될 경우에는 혜성 꼬리모양의 코마(coma)수차가 발생한다. 그리고, 점상의 물체로 초점을 맞추다보면 가끔 나타나는 현상으로 초점을 전후해서 상하로 타원이던 것이 좌우로 타원이 되는 이른바 비점수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수차는 시야 각도가 큰 광각렌즈에서 치명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비구면 렌즈이다. 종래에는 렌즈의 수차를 줄이기 위하여 다량의 렌즈를 복합하여 사용하였으나 비구면 렌즈의 사용으로 렌즈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렌즈의 갯수가 줄어들어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빛이 글라스면에서 반사되는 경우가 줄어들게 되어 빛의 투광도가 크게 개선되고 고스트상을 많이 억제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적외선흡수글라스(infrared absorbing glass)는 글라스의 내부에 철을 혼입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며, 이러한 제조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상기 철은 일반적으로 유리 중에 산화제일철(FeO) 및 산회제이철(Fe2O3)로서 존재한다. 산화제일철(FeO) 및 산화제이철(Fe2O3) 사이의 균형은 유리의 색상 및 투과성에 대해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영향을 미친다. 산화제일철(FeO)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산화제이철(Fe2O3)의 화학적 환원의 결과로서], 적외선 흡수는 증가하고 자외선 흡수는 감소한다. 또한, 산화제이철(Fe2O3)에 비하여 산화제일철(FeO)의 함량이 증가하면 유리의 색상이 황색 또는 황록색에서 암록색 또는 청록색으로 변하게 되어,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가시광선 투과를 손상시키지 않고 적외선 흡수가 보다 큰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산화제이철(Fe2O3)로부터 산화제일철(FeO)로 환원시킨 저철 함량의 유리를 제조하고 있다. 저철 함량 유리는 일반적으로 산화제이철(Fe2O3)로서 계산된 철의 함량이 약 0.70 내지 0.75% 미만인 배치(batch) 조성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산화제일철 및 산화제이철과 같은 적외선차단 물질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1렌즈(1)는 몰딩방법으로 성형된다.
일반적으로 글라스 렌즈는 연삭이나 연마 방법과 리히트 프레스(re-heat pressing)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대부분의 구면 글라스 렌즈는 유리소재를 연삭하고 연마해서 광학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연삭이나 연마 방법으로는 비구면 형상의 광학면을 가진 글라스 렌즈를 동일한 정밀도로 대량 생산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비구면 글라스 렌즈는 몰딩에 의한 리히트 프레스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리히드 프레스는 용융된 유리를 일단 한번 냉각시켜 제작한 유리소재(미리 소정의 크기로 분할한 유리소재)를 가열하여 프레스함으로써 몰 드(mold)의 형상을 유리소재에 전사(轉寫)시켜 글라스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프레스성형공정만으로 곡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이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비구면 형상에 대한 몰드가 완성되면 이를 이용하여 비구면 글라스 렌즈를 동일한 정밀도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리히트 프레스공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 렌즈, 즉 제1렌즈(1)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용융된 유리에 적외선 차단물질을 투입하여 교반을 실시하고, 상기 적외선 차단물질이 용해된 유리를 냉각시켜 유리소재를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유리소재를 가열한 후 비구면 형상을 갖는 상하의 몰드 사이에 상기 유리소재를 위치시키고, 몰드의 산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몰드 및 유리소재를 수용하는 성형실 내부를 질소가스와 같은 불활성가스로 치환한 후, 적외선램프(또는 고주파 가열장치 등)를 사용하여 몰드 및 유리소재를 가열한다.
상기 몰드 및 유리소재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상하의 몰드를 사용하여 상기 유리소재를 프레스하고, 마지막으로 냉각된 글라스 렌즈를 뽑아낸다.
본 발명과 같이 몰딩방법으로 글라스 렌즈를 성형하는 방법과 관련된 공지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3-13759호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266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적외선흡수글라스로 이루어진 제1렌즈(1)는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코팅층이 없기 때문에, 종래의 적외선 차단 필터(104) 또는 적외선 차단물질이 코팅된 렌즈의 경우와 같이 코팅층을 투과하는 빛의 입사각에 의한 굴절로 다른 투과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특히, 종래와 같이 코팅층이 있는 경우에는 입사각 차이에 의하여 센서면(106)에 붉은 현상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하게 나타났지만,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적외선 차단 필터(104)를 제거하고,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104)를 대신하여 제1렌즈(1)에 적외선 차단물질을 함유하도록 렌즈를 성형함으로써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게 되어 빛의 입사각도에 관계없이 화면 붉은 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104)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충분한 후초점거리의 확보가 가능하고, 렌즈 시리즈의 구조가 단순해지며, 부품의 점수가 감소됨에 따라 단가의 인하 및 작은 이미지센서 또는 카메라 사이즈의 확보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후초점거리(Back Focal Length: BFL)는 제3렌즈(3)의 종단면에서부터 센서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아울러,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104)가 제거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3렌즈(3)와 상기 센서면(5) 간의 이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와 같이 적외선 차단 필터(104)에 이물이 부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큰 이물에도 센서가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게 되어 이물 관리를 좀더 쉽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이하, 상술된 실시예와 중첩되는 내용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은, 제1렌즈(1a)가 한쪽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볼록한 볼록렌즈(plano-convex lens)로 되어 있고, 개구조리개(4)가 상기 제1렌즈(1a)의 전방측에 설치된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이하, 상술된 실시예와 중첩되는 내용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은, 제1렌즈(1b)가 양면이 볼록한 볼록렌즈(bi-convex lens)로 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실시예 2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광학계에 입사하는 불필요한 입사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개구조리개; 적외선흡수글라스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및 상기 제2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네거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렌즈는 몰딩(molding)방법으로 한쪽면이 볼록하고 다른 면이 오목한 평면이고 다른 면이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meniscus lens)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3렌즈는 플라스틱을 이용한 사출 성형방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글라스의 몰딩방법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은 제1실시예에서의 제1렌즈와 제2렌즈의 위치가 변경되어 설치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렌즈는 제1실시예의 제1렌즈, 즉 적외선흡수글라스로 형성된 렌즈의 경우와 동일한 적외선차단 물질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2렌즈를 한쪽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볼록한 볼록렌즈(plano-convex lens)로 성형하거나 또는 양면이 볼록한 볼록렌즈(bi-convex lens)로 성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에서, 상기 개구조리개를 상기 제1렌즈의 전방측으로 변경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1렌즈 또는 제2실시예에 의한 제2렌즈를 양면이 오목한 오목렌즈(bi-concave lens)로 성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1렌즈 또는 제2실시예에 의한 제2렌즈를 한쪽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오목한 오목렌즈(plano-concave lens)로 성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1렌즈 또는 제2실시예에 의한 제2렌즈를 오목렌즈와 볼록렌즈가 접합되어 형성된 이중렌즈(achromatic doublet lens)로 성형하고, 상기 이중렌즈 중 하나의 렌즈를 적외선흡수글라스로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1렌즈 또는 제2실시예에 의한 제2렌즈를 적어도 한면이 구면이 되도록 성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1렌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제2렌즈가 적외선흡수 물질을 함유한 글라스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실시예에 의한 제1렌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제2렌즈를 플라스틱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도 적외선흡수 물질을 함유하도록 하는 글라스 렌즈의 성형 기술과 동일한 기술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은, 종래와 같이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단가 인하에 기여할 수 있 는 효과가 있고,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두께에 해당하는 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짧은 후초점거리(BFL)를 갖는 렌즈 시스템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적외선흡수글라스 렌즈는 빛의 입사각도와 상관이 없이 적외선을 흡수하고, 양호한 빛의 투과 특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센서의 컬러 특성이 좋아 진다.
종래에는 적외선 흡수 필터가 센서면에 가까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에 이물이 부착되어 센서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외선 흡수 필터가 제거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이물 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종래와 같이 적외선 차단 필터에 이물이 부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큰 이물에도 센서가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게 되어 이물 관리를 좀더 쉽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리즈는 구조가 단순해지며, 부품의 점수가 감소됨에 따라 단가의 인하 및 작은 이미지센서 또는 카메라 사이즈의 확보가 가능하다.

Claims (20)

  1. 적외선흡수글라스로 형성되고,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및
    상기 제2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네거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를 포함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2.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적외선흡수글라스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포지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및
    상기 제2렌즈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네거티브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를 포함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적어도 한면이 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적어도 한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적어도 한면이 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는,
    광학계에 입사하는 불필요한 입사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개구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전방측에는,
    광학계에 입사하는 불필요한 입사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개구조리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볼록렌즈(bi-convex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볼록렌즈(bi-convex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한쪽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볼록한 볼록렌즈(plano-convex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한쪽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볼록한 볼록렌즈(plano-convex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오목렌즈(bi-concave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오목렌즈(bi-concave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한쪽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오목한 오목렌즈(plano-concave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한쪽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오목한 오목렌즈(plano-concave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한쪽면이 볼록하고 다른 면이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meniscus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한쪽면이 볼록하고 다른 면이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 (meniscus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오목렌즈와 볼록렌즈가 접합되어 형성된 이중렌즈(achromatic doublet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오목렌즈와 볼록렌즈가 접합되어 형성된 이중렌즈(achromatic doublet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시스템.
KR1020050049646A 2005-06-10 2005-06-10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조립체 KR100706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646A KR100706959B1 (ko) 2005-06-10 2005-06-10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646A KR100706959B1 (ko) 2005-06-10 2005-06-10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308A true KR20060128308A (ko) 2006-12-14
KR100706959B1 KR100706959B1 (ko) 2007-04-11

Family

ID=3773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646A KR100706959B1 (ko) 2005-06-10 2005-06-10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9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98B1 (ko) 2016-05-19 2016-10-18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차량의 카메라용 광각 렌즈 시스템
WO2017200306A1 (ko) * 2016-05-19 2017-11-23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카메라
KR20180126159A (ko) 2017-05-17 2018-11-2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2324A (ja) 1998-06-10 1999-12-24 Sony Corp 赤外カット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98B1 (ko) 2016-05-19 2016-10-18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차량의 카메라용 광각 렌즈 시스템
WO2017200278A1 (ko) * 2016-05-19 2017-11-23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광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카메라
WO2017200306A1 (ko) * 2016-05-19 2017-11-23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카메라
KR20180126159A (ko) 2017-05-17 2018-11-2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959B1 (ko)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642B1 (ko) 촬상렌즈
US7508601B2 (en) Imaging lens
TWI710793B (zh) 光學攝影系統及電子裝置
JP2007033819A (ja) 撮像光学系、撮像レンズ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TWI751898B (zh) 光學成像鏡頭、取像裝置及電子裝置
WO2007069364A1 (ja) 撮像レンズ
CN210323553U (zh) 成像镜头、摄像模组及电子装置
CN111522186B (zh) 镜头
WO2016145590A1 (en) Camera module comprising a nir-cut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0873914A (zh) 光学滤波器及其制造方法、固体摄像装置及相机模块
US8861100B2 (en) Imaging lens
CN112147766A (zh) 成像镜头、摄像模组及电子装置
CN109188657A (zh) 一种超大通光量的黑光广角定焦镜头
TW201930950A (zh) 鏡頭及其製造方法
KR100916502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US20130155495A1 (en) Lens for absorbing infrared light and lens module having same
KR100706959B1 (ko) 적외선흡수글라스를 갖는 렌즈 조립체
TWI742307B (zh) 取像鏡頭及其製造方法
KR100332018B1 (ko) 이미지 센싱 모듈
CN103513398B (zh) 一种光学成像镜头
JP2011090018A (ja) 撮像レンズ、撮像モジュール、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TWI807478B (zh) 光學成像系統、取像裝置及電子設備
TWI670515B (zh) 利用不同折射率的材料所組成的鏡片結構(一)
CN103513401B (zh) 一种光学镜头组件
JP2021096283A (ja) レンズ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