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8048A -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8048A
KR20060128048A KR1020067020901A KR20067020901A KR20060128048A KR 20060128048 A KR20060128048 A KR 20060128048A KR 1020067020901 A KR1020067020901 A KR 1020067020901A KR 20067020901 A KR20067020901 A KR 20067020901A KR 20060128048 A KR20060128048 A KR 20060128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ssion level
level
light emission
pow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919B1 (ko
Inventor
가쯔야 다노우에
겐이찌 이께가미
나오야 야마까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7Power calib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Overwriting
    • G11B7/0062Overwriting strategies, e.g. recording pulse sequences with erasing level used for phase-change med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Epsilon 조정을 적절히 행한다. 제1 및 제2 발광 레벨을 갖는 레이저 펄스에 의해 레이저 소자가 구동되는 경우, 제2 발광 레벨에 대한 제1 발광 레벨의 소정 비율에 따른 제1 및 제2 발광 레벨의 설정을 행하게 하는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로서, 제1 발광 레벨을 기준으로 한, 제2 발광 레벨 설정부에 대하여 제2 발광 레벨의 조정을 행하게 하기 위한 조작량의 비율의 역수와의 관계가, 임의의 제1 발광 레벨의 경우에 반드시 임의의 한 점을 통과하는 직선이고, 또한, 직선의 기울기가 소정의 제1 발광 레벨에 비례한다고 하는 규칙성에 기초하여, 광 디스크에 따른 제1 발광 레벨 및 비율의 역수에 대응지어진 조작량을 산정하고, 제2 발광 레벨 설정부에 대하여 산정한 조작량에 따른 제2 발광 레벨의 설정을 행하도록 한다.
Epsilon 조정, 발광 레벨, 이레이스 파워, 광 디스크, 바이어스 파워

Description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LASER PULSE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재기입 가능한 광 디스크로서, 상 변화 광 디스크(CD-RW, DVD±RW, DVD-RAM 등)가 보급되어 있다. 상 변화 광 디스크에서는, 임의의 일정 이상의 레이저 파워로 되는 레이저광이 기록층에 조사된 후, 급격히 냉각되면 비결정 상태로 된다. 또한, 비결정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의 레이저 파워보다도 낮은 레이저 파워로 되는 레이저광이 기록층에 조사된 후, 서서히 냉각되면 결정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상 변화 광 디스크에서는, 2종류의 레이저 파워를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기록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 변화 광 디스크의 규격상에서는, 비결정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의 레이저 파워를 광 디스크에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 파워(이하, 라이트 파워 PW)로 하고, 결정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의 레이저 파워를 광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소거하기 위한 레이저 파워(이하, 이레이스 파워 PE)로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는, 이레이스 파워 PE보다도 낮은 바이어스 파워 PB을 포함한 3치의 파워 레벨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펄스에 의해 기록이 행해진다.
상 변화 광 디스크에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장치는,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이하, LD(Laser Diode)), 프론트 모니터 다이오드(이하, FMD(Front Monitor Diode)), LD 구동 회로 등을 갖는 광 픽업과, 광 디스크 구동용 아날로그 신호 처리(RF/HF 신호의 증폭, AGC(Automatic Gain Control), APC(Automatic Power Control), 서보 제어 신호의 생성 등)를 행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와, 광 디스크 구동용 디지털 신호 처리(인코드/디코드, 디지털 서보 등)를 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는, 특히, 라이트 파워 PW를 설정하기 위한 전압 제어 신호 VWDC를 생성해서 LD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라이트 파워 설정부, 이레이스 파워 PE를 설정하기 위한 전압 제어 신호 VEDC를 생성해서 LD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이레이스 파워 설정부, 바이어스 파워 PB를 설정하기 위한 전압 제어 신호 VBDC를 생성해서 LD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바이어스 파워 설정부를 갖는다. 따라서, LD 구동 회로는, 전압 제어 신호 VWDC, VEDC, VBDC에 따른 3치의 파워 레벨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펄스에 의해 LD를 구동하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는, 특히, 라이트 파워 설정부 및 이레이스 파워 설정부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를 구성한다.
이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는, 실제의 기록이 개시되기 전에, 라이트 파워 설정부 및 이레이스 파워 설정부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라이트 파워 PW에 대한 이레이스 파워 PE의 비율(PE/PW)인 Epsilon의 조정을 행한다. 또한, 이 Epsilon 조정의 목적은, 라이트 파워 PW 및 이레이스 파워 PE를, 미디어의 재질이나 기록 속도 등의 미디어 고유의 조건이나, 주위의 환경 조건(온도 등)에 맞춘 적절한 파워 레 벨로 설정하는 것에 있다.
도 10은, 종래의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에 의한 Epsilon 조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복수대의 실험용 광 디스크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Epsilon을 설정했을 때의 FMD에서의 적절한 수광 레벨(이하, FMD 목표값)이, 통계적으로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로 한다. 그리고, 종래의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는, 상 변화 광 디스크 상에 설치된 PCA(Power Calibration Area)에 대하여 가기입을 행하는 OPC(Optimum Power Control)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금회의 기록에서 설정할 Epsilon(이하, Epsilon 추천값) 및 이레이스 파워 PE를 결정한다. 또한, 이 때, Epsilon 추천값에 대응하는 FMD 목표값도 더불어 결정된다(S1000). 추장
다음으로, 라이트 파워 PW를 단계적으로 높여감과 함께(S1001), 그 때마다, FMD에서 관측된 소정 기간당의 수광 레벨의 평균값(이하, FMD 관측값)을, LPF(Low Pass Filter) 등을 통하여 취득해 간다(S1002). 이 때, FMD 관측값이 FMD 목표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S1003: 아니오), 라이트 파워 PW의 다음의 단계적인 조정이 행해진다. 한편, FMD 관측값이 FMD 목표값을 최초로 초과하는 경우에 S1003: 예), 그 때의 라이트 파워 PW가, 금회 설정할 Epsilon 추천값 및 이레이스 파워 PE에 대한 라이트 파워 PW로 된다(S1004).
따라서, 이상과 같이 결정된 이레이스 파워 PE 및 라이트 파워 PW에 의한 레이저 펄스에 대하여 멀티 펄스 변조가 실시된 후, OPC 처리가 실시되고(S1005), 나 아가서는, 실제의 기록 데이터에 의한 기록이 개시되는 것이다(S1006).
이와 같이, 종래의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는, Epsilon 조정 시에, 예를 들면이하에 도시하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레이저 펄스의 레벨 조정과 같이, FMD 관측값을 이용해서 라이트 파워 PW의 단계적인 조정을 몇회나 반복해서 행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1-34987호 공보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4년 4월 9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2004-115954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본원에 원용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런데, 종래의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Epsilon 추천값에 따른 라이트 파워 PW 및 이레이스 파워 PE의 파워 레벨의 설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FMD 관측값의 취득이나, FMD 관측값에 기초한 라이트 파워 PW의 단계적인 조정을 몇회나 반복해서 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OPC 처리가 개시될 때까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나아가서는, 실제의 기록 개시가 지연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FMD의 정밀도의 영향을 몇회나 받음으로써, 라이트 파워 PW가 기대한 파워 레벨로 설정되지 않아, Epsilon 조정의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된 본 발명은, 광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소거하기 위한 레이저 소자의 제1 발광 레벨을 설정하는 제1 발광 레벨 설정부와, 상기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상기 레이저 소자의 제2 발광 레벨을 설정하는 제2 발광 레벨 설정부를 갖는 제어 유닛과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발광 레벨을 갖는 레이저 펄스에 의해 상기 레이저 소자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발광 레벨에 대한 상기 제1 발광 레벨의 소정의 비율에 따른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발광 레벨의 설정을,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발광 레벨 설정부에 대하여 행하게 하는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로서, 상기 제1 발광 레벨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발광 레벨 설정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발광 레벨의 조정을 행하게 하기 위한 조작량과 상기 비율의 역수와의 관계가, 소정의 상기 제1 발광 레벨의 경우에 반드시 임의의 한 점을 통과하는 직선이며, 또한, 상기 직선과 소정의 기준 직선 사이의 교차각이 상기 소정의 제1 발광 레벨에 비례한다고 하는 규칙성에 기초하여, 상기 광 디스크에 따른 상기 제1 발광 레벨 및 상기 비율의 역수에 대응지어진 상기 조작량을 산정하고, 상기 제2 발광 레벨 설정부에 대하여 상기 산정한 조작량에 따른 상기 제2 발광 레벨의 설정을 행하게 하는 것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Epsilon 조정을 적절히 행하는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1/Epsilon과 APCATT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직선의 취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직선의 취득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점 및 교차각 변화율의 취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점 및 교차각 변화율의 취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에 따른 Epsilon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에 따른 Epsilon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멀티 펄스 조정 방식을 채용한 레이저 펄스의 파형도.
도 10은 종래의 Epsilon 조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부호의 설명>
100 : 광 디스크
200 : 광 픽업
300 :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
30 : CPU
31 : 메모리
32 : 인코더
321 : 부호화 처리부
322 : 라이트 스트래티지부
33 : 디코더
400 :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
40, 43 : 샘플 홀드부
41, 44 : APC 처리부
42 : 바이어스 파워 설정부
45 : 이레이스 파워 설정부
46 : 라이트 파워 설정부
461 : 어테뉴에이터
462 : 증폭기
47 : 스위치
48 : RF 앰프
500 : 호스트 컴퓨터
600 : 광 디스크 장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를 포함한 광 디 스크 장치(6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대상으로 하는 광 디스크(100)는, 재기입 가능한 상 변화 광 디스크(CD-RW, DVD±RW, DVD-RAM 등)로 한다.
광 디스크 장치(600)는, 광 픽업(200),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00),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400)에 의해 주로 구성된다. 또한, 광 디스크 장치(600)는,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5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광 픽업===
광 픽업(200)은, LD(Laser Diode)(20), FMD(Front Monitor Diode)(21), PD(Photo Detector)(23), LD 구동 회로(24), 그 밖에, 광학 렌즈나 서보용 액튜에이터 등(모두 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LD(20)는, LD 구동 회로(24)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류 ILD에 기초하여, 광 디스크(100)에의 기록·재생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이다. 여기서, 광 디스크(100)로서 상 변화 광 디스크를 채용하기 위해, LD(20)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멀티 펄스 변조 방식이 실시된 레이저 펄스(이하, 멀티 펄스 변조 패턴이라고 함)가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멀티 펄스 변조 패턴과 같은 레이저 펄스 패턴은, 라이트 스트래티지로 통칭된다.
여기서, 멀티 펄스 변조 패턴의 일례를, 도 9에 도시한다. 멀티 펄스 변조 패턴은, 광 디스크(100)에 기록된 정보를 소거하기 위한 이레이스 파워 PE(『제1 발광 레벨』), 광 디스크(100)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라이트 파워 PW(『제2 발광 레벨』) 및 바이어스 파워 PB의 3치의 파워 레벨로 이루어진다.
즉, 광 디스크(100) 상에 기록 마크를 형성하지 않는 스페이스 구간에서는, 이레이스 파워 PE의 레이저광이 LD(20)로부터 출사되고, 광 디스크(100) 상에 기록 마크를 형성하는 마크 구간에서는, 라이트 파워 PW(피크 레벨)와 바이어스 파워 PB(보텀 레벨) 사이에서 진폭시킨 펄스열의 레이저광이 LD(20)로부터 출사된다. 이 멀티 펄스 변조 방식에 따르면, 마크 구간 중에서 바이어스 파워 PB로 되는 구간이 냉각 구간으로 되어, 열 분포의 균일화가 도모된다.
FMD(21)는, LD(20)로부터 광 디스크(10)에 대하여 출사된 레이저광을 수광하고, 이 수광 광량에 비례한 수광 전류 IFMD를 생성한다. 이 수광 전류 IFMD는, LD(20)의 발광 파워에 비례한다. 이 때문에, FMD(21)는, LD(20)의 발광 파워를 관측하기 위한 수광 소자라고 할 수 있다. 또한, FMD(21)에서 생성된 수광 전류 IFMD는, I/V 변환기(도시 생략)를 통하여 수광 전압 VFMD로 변환되어, S/H부(40, 43)에 공급되는 것으로 한다.
PD(23)는, 광 디스크(100)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경우에 LD(20)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에 대해, 그 광 디스크(100)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그 수광 광량에 비례한 수광 전류 IPD를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PD(23)에서 생성된 수광 전류 IPD는, I/V 변환기(도시 생략)를 통하여 수광 전압 VFD로 변환되어, RF 앰프(48)에 공급된다.
LD 구동 회로(24)는, 스위치(47)로부터 공급되는 변조 신호 Vmod에 기초하여, 그 변조 신호 Vmod에 따른 구동 전류 ILD를 생성한다. 그리고, LD 구동 회로(24)는, 그 구동 전류 ILD에 의해 LD(20)를 구동하는 것이다.
또한, 광 디스크 재생의 경우, 바이어스 파워 설정부(42)로부터의 제어 신호 VBDC에만 기초한 변조 신호 Vmod가 스위치(47)를 통하여 LD 구동 회로(24)에 공급된다.
또한, 광 디스크 기록의 경우, 바이어스 파워 설정부(4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 VBDC와, 이레이스 파워 설정부(45)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 VEDC와, 라이트 파워 설정부(4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 VWDC가 스위치(47)에서 합성되고, 그 결과,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변조 신호 Vmod가 LD 구동 회로(24)에 공급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00)는, 광 디스크 구동용 디지털 신호 처리(디지털 서보, 인코드/디코드 등)를 행하는 집적 회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00)로서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00)가 갖는 디지털 서보나 인코드/디코드 등의 각 기능을 각각 따로 따로의 1칩으로서 실시하여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를 단독으로 1칩으로서 실시하여도 된다.
CPU(30)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00) 전반, 나아가서는, 광 디스크 장치(600) 전반의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것이다. CPU(30)가 구비하는 각 기능은, 펌웨어(프로그램)로서 실시되고 있고, CPU(30)가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31)에 저장된다. 또한, CPU(30)가 구비하는 각 기능은, 하드웨어(회로)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CPU(30) 이외에도,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채용하여도 된다.
CPU(30)는, 특히, 광 디스크에의 기록 시에 OPC 처리가 개시되기 전에, 광 디스크(100) 고유의 조건(기록 속도, 재질 등)에 맞춘 적절한 Epsilon 조정을 행하기 때문에, APC(Automatic Power Contro1) 처리부(41, 44) 및 어테뉴에이터(461)를, 적절한 타이밍에서 가동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우선, CPU(30)는, Epsilon 조정의 전 처리로서, 광 디스크(100) 상에 미리 기록된 광 디스크(100)의 식별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는, APC 처리부(41)에 대하여, LD(20)의 발광 레벨을, 소정의 리드 파워(바이어스 파워 PB와 마찬가지)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값 B를 지정한다. 또한, CPU(30)가 취급하는 기준값 B는 디지털 값이다. 이 때문에, CPU(30)로부터 APC 처리부(41)에 대하여 기준값 B를 지정할 때에는, CPU(30)로부터의 기준값 B(디지털 값)를 D/A 변환한 아날로그값이, APC 처리부(41)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CPU(30)는, Epsilon 조정 시에, APC 처리부(41)에 대하여, 멀티 펄스 변조 패턴의 마크 구간 중에서의 바이어스 파워 PB를 설정시키기 위한 조작량으로서 기준값 B를 지정한다. 이 경우에도, CPU(30)로부터 APC 처리부(41)에 대하여 기준값 B를 지정할 때에는, CPU(30)로부터의 기준값 B(디지털 값)를 D/A 변환한 아날로그값이, APC 처리부(41)에 공급된다.
또한, CPU(30)는, Epsilon 조정 시에, APC 처리부(44)에 대하여, 멀티 펄스 변조 패턴의 스페이스 구간 중의 이레이스 파워 PE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량으로서, 기준값 E를 지정한다. 이 경우에도, CPU(30)로부터 APC 처리부(44)에 대하여 기준값 E를 지정할 때에는, CPU(30)로부터의 기준값 E(디지털값)를 D/A 변환한 아날로 그값이, APC 처리부(44)에 공급된다.
또한, CPU(30)는, Epsilon 조정 시에, 어테뉴에이터(461)에 대하여, 멀티 펄스변조 패턴의 마크 구간 중의 라이트 파워 PW를 설정시키기 위한 조작량으로서, 감쇠율 ATT를 지정한다. 이 경우에도, CPU(30)로부터 어테뉴에이터(461)에 대하여 감쇠율 ATT를 지정할 때에는, CPU(30)로부터의 감쇠율 ATT(디지털 값)를 D/A 변환한 아날로그값이, 어테뉴에이터(461)에 공급된다.
메모리(31)는, CPU(3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데이터를 항상 기억해 두기 때문에, EEPRO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채용한다.
또한, 메모리(31)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Epsilon 조정에서 APCATT 산정용 직선(『직선』)을 결정할 때에 이용하는 데이터로서, 이레이스 파워 PE가 7.0㎽인 경우에서의, 감쇠율 ATT와 1/Epsilon(Epsilon의 역수)을 대응시킨 제1 기준 직선, 또는, 이레이스 파워 PE가 10.0㎽인 경우에서의, 감쇠율 ATT와1/Epsilon(Epsilon의 역수)을 대응시킨 제2 기준 직선 중 어느 한쪽과, 교점(X0, Y0)과, 교차각 변화율 Δθ를 미리 기억해 둔다. 이에 의해, Epsilon 조정이 행해질 때마다, 외부 장치(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500) 등)로부터 이들 데이터를 전송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Epsilon 조정의 고속화가 도모되게 된다.
또한, 메모리(31)는, 광 디스크(100)의 식별 데이터와 대응지어진 Epsilon 추천값이나 이레이스 파워 PE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값 E를 미리 기억해 둔다. 이 에 의해, Epsilon 조정에서 기준으로 되는 Epsilon 및 이레이스 파워 PE를 결정할 때에는, 종래의 경우와 같이, 광 디스크(100) 상에 프리포맷으로서 미리 규정되는 Epsilon 추천값 등의 기록 관리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그 기록 관리 정보 모두에 대하여 소정의 복호화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결과, Epsilon을 결정할 때의 수고를 덜 수 있기 때문에, Epsilon 조정의 고속화가 도모되게 된다.
인코더(32)는, 부호화 처리부(321), 라이트 스트래티지부(322)를 갖는다.
부호화 처리부(321)는, 광 디스크 기록의 경우에, 호스트 컴퓨터(500)로부터 공급되는 기록 데이터(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에 대하여, 광 디스크(100)에 따른 소정의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라이트 스트래티지부(322)는, 부호화 처리부(321)에 의해 소정의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 기록 데이터(이하, 부호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조 스위치 신호 Smod를 생성하고, 이 변조 스위치 신호 Smod를 스위치(47)에 공급한다. 이 결과, 변조 스위치 신호 Smod에 기초하는 스위치(47)의 절환 동작에 의해 변조 신호 Vmod가 생성되어, 멀티 펄스 변조 패턴에 의해 LD(20)가 구동되게 된다.
디코더(33)는, 광 디스크 재생의 경우에, 광 디스크(100)로부터 재생된 RF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이 복호화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이하, 재생 데이터)는, 호스트 컴퓨터(500)에 공급된다. 또한, 디코더(33)는, 광 디스크(100)로부터 재생된 ATIP 정보(CD-RW 미디어의 경우) 혹은 워블링 정보(DVD±RW 미디어의 경우)로부터, 광 디스크(100)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소정의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이 결과, 광 디스크(100)의 식별 데이터가 복호화되어, CPU(30)에 대하여 공급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400)는, RF/HF 신호의 증폭, AGC(Automatic Gain Control), APC(Automatic Power Control), 서보 제어 신호의 생성 등, 광 디스크 구동용 아날로그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400)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의 일 실시예이며,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00)와 접속되어 실시된다.
S/H(sample Hold)부(40)는, 광 디스크 재생의 경우나, 광 디스크 기록의 경우에서, 멀티 펄스 변조 패턴의 마크 구간에서의 바이어스 파워 PB를 설정할 때, 소정의 샘플링 기간분, FMD(21)를 통하여 생성된 수광 전압 VFMD를 샘플 홀드한다. 이 때, 샘플 홀드된 신호를, BSHO 신호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 BSHO 신호는, APC 처리부(41)에 대하여 공급된다.
S/H(Sample Hold)부(43)는, 광 디스크 기록의 경우에서, 멀티 펄스 변조 패턴의 스페이스 구간에서의 이레이스 파워 PE를 설정할 때, 소정의 샘플링 기간, FMD(21)를 통하여 생성된 수광 전압 VFMD를 샘플 홀드한다. 이 때, 샘플 홀드된 신호를, WSHO 신호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 WSHO 신호도 또한, APC 처리부(44)에 대하여 공급된다.
APC 처리부(41)는, S/H부(40)에서 샘플 홀드된 RSHO 신호의 레벨과, CPU(30)로부터 D/A 변환을 통하여 공급된 기준값 B와의 편차에 따른 차분 전압을 구한다. 그리고, APC 처리부(41)는, 이 차분 전압을 감소시키도록 APC를 실행하는 것이다.
APC 처리부(44)도 또한 마찬가지로, S/H부(43)에서 샘플 홀드된 WSHO 신호의 레벨과, CPU(30)로부터 D/A 변환을 통하여 공급된 기준값 E와의 편차에 따른 차분 전압을 구한다. 그리고, APC 처리부(44)는, 이 차분 전압을 감소시키도록 APC를 실행하는 것이다.
바이어스 파워 설정부(42)는, APC 처리부(41)로부터의 APC 출력에 기초하여 바이어스 파워 PB를 기준값 B에 따른 파워 레벨로 설정하기 위한 전압 제어 신호 VBDC를 생성한다. 이 전압 제어 신호 VBDC는, 스위치(47)의 절환 동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LD 구동 회로(24)에 공급된다.
이레이스 파워 설정부(45)는, APC 처리부(44)로부터의 APC 출력에 기초하여 이레이스 파워 PE를 기준값 E에 따른 파워 레벨로 설정하기 위한 전압 제어 신호 VEDC를 생성한다. 이 전압 제어 신호 VEDC는, 스위치(47)의 절환 동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LD 구동 회로(24)에 공급된다.
라이트 파워 설정부(46)는, CPU(30)로부터 D/A 변환을 통하여 공급되는 어테뉴에이터(461)의 감쇠율 ATT와, 증폭기(462)의 미리 정해진 고정 증폭률에 의해 정해지는 레벨 시프트량인 APCATT(㏈)에 기초하여, 이레이스 파워 설정부(45)로부터의 전압 제어 신호 VEDC를 레벨 시프트한다. 이 전압 제어 신호 VEDC를 레벨 시프트시킨 것이, 라이트 파워 PW를 APCATT에 따른 파워 레벨로 설정하기 위한 전압 제어 신호 VWDC로 된다. 이 전압 제어 신호 VWDC는, 스위치(47)의 절환 동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LD 구동 회로(24)에 공급된다.
RF 앰프(48)는, PD(23)를 통하여 생성된 수광 전압 VPD를, 소정 증폭률분 증폭함으로써 RF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RF 앰프(48)는 디스크(100)의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ATIP 정보(CD-RW 미디어의 경우) 혹은 워블링 정보(DVD±RW미디 어의 경우)를 생성한다. 또한, RF 신호나 ATIP 정보/워블링 정보는, 디코더(33)에 공급된다.
이상,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40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라이트 파워 설정부(46)는, 제어 전압 신호 VEDC를 레벨 시프트하는 1개의 가변 이득 증폭기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CPU(30)는, 라이트 파워 설정부(46)에 대하여, 상술한 가변 이득 증폭기에서의 레벨 시프트량을 지정하는 것으로 된다.
<Epsilon과 APCATT의 관계>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Epsilon 조정을 고안할 때에 착안한, 이레이스 파워 PE를 기준으로 하는, Epsilon과 APCATT 사이에 성립하는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의 (a)∼(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떠한 이레이스 파워 PE의 경우라도, Epsilon의 역수(라이트 파워 PW/이레이스 파워 PE)가 커짐에 따라, APCATT도 또한 마찬가지로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PCATT란, 라이트 파워 PW를 결정하기 위한 이레이스 파워 PE에 대한 레벨 시프트량이다. 즉, Epsilon의 역수와 APCATT 사이에는 비례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 비례 관계를, Epsilon의 역수와 APCATT를 대응시킨 직선으로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의 (a)∼(d)에 도시한 바와 같이, Epsilon의 역수와 APCATT를 대응시킨 직선은, 어떠한 이레이스 파워 PE의 경우라도, 임의의 한 점 X에서 교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한 점 X는, Epsilon이 1.0, APCATT가 0㏈의 경 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Epsilon이 1.0인 경우, 라이트 파워 PW와 이레이스 파워 PE는 동일한 파워 레벨로 되고, 이 때, APCATT는, 라이트 파워 설정부(46)에서 이레이스 파워 PE를 증폭도 감쇠도 행하지 않는 0㏈로 하여, 이레이스 파워 PE와는 상관없이 일의로 정해지는 것이다. 즉, 교점 X가 나타내는 상태는, 어테뉴에이터(461)나 증폭기(462)의 제어 특성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이다.
또한, 도 2의 (a)∼(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레이스 파워 PE가 증가하는 비율에 따라, Epsilon의 역수와 APCATT를 대응시킨 직선의 기울기도 급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레이스 파워 PE와, Epsilon의 역수와 APCATT를 대응시킨 직선의 기울기와의 사이에는, 비례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다.
<기준 직선, 교점, 교차각 변화율의 취득>
본 발명에 따른 Epsilon 조정은, Epsilon의 역수와 APCATT 사이에 성립하는 비례 관계와, 그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직선이 어떠한 이레이스 파워 PE의 경우라도 반드시 임의의 한 점 X를 통과한다고 하는 관계와, Epsilon의 역수와 APCATT를 대응시킨 직선의 기울기와 이레이스 파워 PE 사이에 성립하는 비례 관계 등의 규칙성을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Epsilon 조정의 과정에서 상술한 규칙성을 분류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임의의 2개의 이레이스 파워 PE를 결정하고, 그들 이레이스 파워 PE를 기준으로 한, Epsilon의 역수와 APCATT 사이의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2개의 기준 직선을 우선 구한다. 그리고, 그 2개의 기준 직선으로부터, 교점 X나, 이레이스 파워 PE와 직선의 기울기와의 비례 계수에 상당하는 교차각 변화율 Δθ를 구하는 것으로 한다.
===기준 직선===
도 3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임의의 2개의 이레이스 파워 PE 각각의 경우에서의, Epsilon의 역수와 APCATT와의 사이의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2개의 기준 직선의 취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4의 플로우차트의 설명에서, 설명의 형편상, 바이어스 파워 PB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논멀티 펄스 변조 방식을 채용한 경우로 한다.
여기서, 임의의 2개의 이레이스 파워 PE로서는, 이레이스 파워 PE로서 규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파워 레벨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CD-RW의 규격(Orange Book)에서는, 이레이스 파워 PE는, 최소값이 7.0㎽, 최대값이 15.0㎽로서 규정된다. 따라서, 임의의 2개의 이레이스 파워 PE로서는, 7.0㎽ 내지 15.0㎽까지의 규정된 범위 내의 파워 레벨로서, 예를 들면 7.0㎽와 10.0㎽를 채용한다. 이와 같이, 이레이스 파워 PE의 규정된 범위 내의 임의의 2개의 파워 레벨을 채용함으로써, Epsilon 조정을 실시하기 위해 적절한 데이터(직선, 교점, 교차각 변화율)를 취득할 수 있다.
우선, LD(20)의 발광 파워를 계측하는 파워 미터(도시 생략)가, LD(20)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을 관측 가능한 위치에 미리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CPU(30)는, APC 처리부(44)에 대하여, 7.0㎽의 이레이스 파워 PE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값 E를 지정한다(S400). 또한, CPU(30)는, 어테뉴에이터(461)에 대하여, 소정의 APCATT(A0)에 따른 감쇠율 ATT를 지정한다(S401). 이 결과, 이레이 스 파워 설정부(45)에서, 이레이스 파워 PE를 7.0㎽로 설정하기 위한 전압 제어 신호 VEDC가 생성됨과 함께, 라이트 파워 설정부(46)에서, 전압 제어 신호 VEDC를 APCATT(A0)분 레벨 시프트한 전압 제어 신호 VWDC가 생성된다.
스위치(47)에서는, 라이트 스트래티지부(322)로부터의 스위치 변조 신호 Smod에 기초하여, 이레이스 파워 설정부(45)에서 생성된 전압 제어 신호 VEDC와, 라이트 파워 설정부(46)에서 생성된 전압 제어 신호 VWDC가 합성되어, 변조 신호 Vmod가 생성된다. 이 변조 신호 Vmod는, LD 구동 회로(22)에 공급되며, 이 결과, LD(20)가 구동된다(S402).
이 때, 파워 미터는, LD(20)의 발광 파워로서, 특히, 마크 구간에서의 라이트 파워 PW의 첫번째의 계측 데이터로서, W0(7.0㎽)을 취득한다(S403). 따라서, W0(7.0㎽)에 대한 7.0㎽의 비율(7.0㎽/W0(7.0㎽))을 산정함으로써, Epsilon의 첫번째의 샘플 데이터 E0(7.0㎽)이 추출된다(S404).
여기서, Epsilon의 샘플 데이터가 2개분 추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S405: 아니오), CPU(30)는, 이레이스 파워 PE의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어테뉴에이터(461)에 대하여, 소정의 APCATT(A1)에 따른 감쇠율 ATT를 새롭게 지정한다(S401). 그리고, 이레이스 파워 PE 및 라이트 파워 PW가 설정되어 LD(20)가 구동되는 결과(S402), 파워 미터에서는, 마크 구간에서의 라이트 파워 PW의 두번째의 계측 데이터로서, W1(7.0㎽)이 취득된다(S403). 따라서, W1(7.0㎽)에 대한 7.0㎽의 비율(7.0㎽/W1(7.0㎽))을 산정함으로써, Epsilon의 두번째의 샘플 데이터 E1(7.0㎽)이 추출된다.
여기서, Epsilon으로서, 2개의 샘플 데이터 E0(7.0㎽) 및 E1(7.0㎽)이 추출 되었을 때(S405: 예), APCATT 대 (1/Epsilon)의 좌표축에서 정해지는 서로 다른 2개의 좌표 데이터 (E0(7.0㎽), APCATT(A0))과 (E1(7.0㎽), APCATT(A1))이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2개의 좌표 데이터를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1개째의 기준직선(이하, 제1 기준 직선)이 얻어진다(S406).
또한, 이레이스 파워 PE가 10.0㎽인 경우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Epsilon의 2개의 샘플 데이터, 즉, 2개의 좌표 데이터로서, (E0(10.0㎽), APCATT(A0))과 (E1(10.0㎽), APCATT(A1))이 추출된다. 그리고, 이 2개의 좌표 데이를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2개째의 기준 직선(이하, 제2 기준 직선)이 얻어진다(S406).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기준 직선은, 소정의 이레이스 파워 PE 하에서 2개의 좌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준 직선을 결정함으로써, 교점 및 교차각 변화율은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와 같이, 복수대의 실험용 광 디스크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방대한 실험 데이터의 통계를 취해, 실험식을 얻는 등의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해져, 본 발명에 따른 Epsilon 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준 직선의 한층 더한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기준 직선을, 2개를 초과한 복수의 좌표 데이터를 이용한 직선근사에 의해 결정하여도 된다.
===교점, 교차각 변화율===
도 5를 적절히 참조하면서,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교점 및 교차각 변화율의 취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6의 플로우차트에 도시하는 동작의 주체는, 예를 들면 파워 미터 등의 외부 장치가 탑재되는 CPU(도시 생략)이다.
우선, 1/Epsilon을 X축, APCATT를 Y축으로 한 경우, 제1 및 제2 기준 직선을 각각 다음의 수학식 1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Figure 112006072676727-PCT00001
여기서, (x0, y0)을 제1 및 제2 기준 직선의 교점으로 한다. 또한, y1은, 제1 기준 직선에서의 1/Epsilon이 x1일 때의 APCATT로 하고, y2는, 제2 기준 직선에서의 1/Epsilon이 x1일 때의 APCATT로 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기준 직선의 교점(x0, y0)은, 다음 수학식 2에 의해 산정된다(S600).
Figure 112006072676727-PCT00002
또한, 제1 및 제2 기준 직선의 교차각 θ1은, 다음 수학식 3에 의해 산정된다(S601).
Figure 112006072676727-PCT00003
수학식 3에 의해 산정되는 θ1은, 3.0㎽(10.0㎽-7.0㎽)분의 이레이스 파워 PE에 상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레이스 파워 PE와 기준 직선의 기울기와의 비례 상수에 상당하는 교차각 변화율 Δθ를, 수학식 3에 의해 산정되는 θ1을 이레이스 파워 PE의 소정 단위로 제산함으로써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이레이스 파워 PE의 소정 단위로서는, 이레이스 파워 PE를 조정 가능한 최소 단위(예를 들면 0.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레이스 파워 PE의 조정 감도에 따른 세밀한 Epsilon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이레이스 파워 PE가 0.1㎽ 단위인 교차각 변화율 Δθ는, 다음 수학식 4에 의해 산정된다(S602).
Figure 112006072676727-PCT00004
이상,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교점(x0, y0), 교차각 변화율 Δθ가, 제1 또는 제2 기준 직선 중 어느 한쪽과 아울러,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00)에 공급되어, 메모리(31)에 기억되게 된다.
<Epsilon 조정>
도 7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00)의 Epsilon 조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8의 플로우차트에 도시하는 동작의 주체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CPU(30)로 한다. 또한, 메모리(31)에 미리 기억되는 기준 직선은, 제1 기준 직선으로 한다. 또한, 도 8의 플로우차트의 설명에서, 설명의 형편상, 바이어스 파워 PB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논멀티 펄스 변조 방식을 채용한 경우로 한다.
우선, 광 디스크 기록을 개시하기 위해, 광 디스크 장치(600)가 구비하는 디스크 수납부(도시 생략)에 광 디스크(100)가 수납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바이어스 파워 설정부(42)에서 설정된 바이어스 파워 PB에 기초하여LD(20)가 구동되어, 광 디스크(100)의 재생이 개시된다. 이 결과, 광 디스크(100)로부터 재생된 ATIP 정보(CD-RW 미디어의 경우) 혹은 워블링 정보(DVD±RW 미디어 의 경우)로부터, 광 디스크(100)의 식별 데이터가 복호화되어 CPU(30)에 대하여 공급된다.
이 때, CPU(30)는, 메모리(31)로부터, 광 디스크(100)의 식별 데이터에 대응지어진 이레이스 파워 PE의 기준값 E 및 Epsilon 추천값을 판독함으로써, 금회의 Epsilon 조정에서의 이레이스 파워 PE(이하, 금회의 이레이스 파워 Pe) 및 Epsilon(이하, 금회의 Epsilon)을 결정한다(S800).
또한, CPU(30)는, 계속해서, 메모리(31)로부터, 제1 기준 직선, 교점(x0, y0), 교차각 변화율 Δθ를 판독한다. 그리고, CPU(30)는, 메모리(31)로부터 판독한, 제1 기준 직선, 교점(x0, y0), 교차각 변화율 Δθ에 기초하여, 금회의 이레이스 파워 Pe를 기준으로 한 APCATT 대 1/Epsilon의 직선(이하, APCATT 산정용 직선이라고 함)을 산정한다(S801).
여기서, 도 7을 이용하여, APCATT 산정용 직선의 산정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1/Epsilon을 X축, APCATT를 Y축으로 한다.
우선, APCATT 산정용 직선과 제1 기준 직선 사이의 교차각 θ2는, 다음 수학식 5에 의해 산정된다.
Figure 112006072676727-PCT00005
여기서, y1은, 제1 기준 직선에서의 임의의 1/Epsilon인 x1일 때의 APCATT로 하고, y2는, APCATT 산정용 직선에서의 1/Epsilon이 상술한 x1일 때의 APCATT로 한다. 따라서, 금회의 이레이스 파워 Pe를 기준으로 한 APCATT 산정용 직선은, 다음 수학식 6에 의해 산정된다.
Figure 112006072676727-PCT00006
따라서, 수학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APCATT 산정용 직선에서, x1에는, 금회의 Epsilon의 역수를 대입하고, 또한, y1, y2에는 그 x1에 따른 값을 각각 대입함으로써, 원하는 APCATT(이하, 금회의 APCATT) y2가 산정된다(S802).
이 결과, 이레이스 파워 설정부(45)에서, 금회의 이레이스 피워 Pe를 설정하기 위한 전압 제어 신호 VEDC가 생성됨과 함께, 라이트 파워 설정부(46)에서, 전압 제어 신호 VEDC를 금회의 APCATT분 레벨 시프트한 전압 제어 신호 VWDC가 생성된다(S803).
그리고, 스위치(47)에서는, 라이트 스트래티지부(322)로부터 OPC의 라이트 스트래티지에 따른 스위치 변조 신호 Smod에 기초하여, 이레이스 파워 설정부(45)에서 생성된 전압 제어 신호 VEDC와, 라이트 파워 설정부(46)에서 생성된 전압 제어 신호 VWDC가 합성되어, 변조 신호 Vmod가 생성된다. 이 변조 신호 Vmod는, LD 구동 회로(22)에 공급되고, 이 결과, LD(20)가 구동되어 OPC 처리가 실시된다(S804). 그리고, OPC 처리의 종료 후, 실제의 기록 데이터에 의한 기록이 개시되는 것이다(S805).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00), 즉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는, 종래의 Epsilon 조정의 경우와 같이 FMD 관측값에 기초하여 몇회나 반복해서 조정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Epsilon의 역수와 APCATT 사이에 성립하는 비례 관계와, 그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직선이 어떠한 이레이스 파워 PE의 경우라도 반드시 임의의 한 점 X를 통과한다고 하는 관계와, Epsilon의 역수와 APCATT를 대응시킨 직선의 기울기와 이레이스 파워 PE 사이에 성립하는 비례 관계 등의 규칙성에 기초하여, 소정의 Epsilon에 따른 이레이스 파워 PE 및 APCATT(즉 라이트 파워 PW)를 계산에 의해 신속히 결정한다. 이 결과, 신속히 기록 개시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경우와 같이 라이트 파워 PW의 조정 시에 FMD(21)가 개재하지 않기 때문에, FMD(21)의 정밀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완료되어, Epsilon 조정의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한, Epsilon 조정에서, 제1 기준 직선 또는 제2 기준 직선 중 어느 한쪽과, 교점(x0, y0)과, 교차각 변화율 Δθ를 사용함으로써, APCATT 산정용 직선이 1회의 연산 처리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상술한 규칙성을 신속히 동정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Epsilon 조정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그리고 현 시점에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여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부속의 청구 범위는 선행 기술에 의해 한정되는 것과는 별도로, 다양한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6)

  1. 광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소거하기 위한 레이저 소자의 제1 발광 레벨을 설정하는 제1 발광 레벨 설정부와, 상기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상기 레이저 소자의 제2 발광 레벨을 설정하는 제2 발광 레벨 설정부를 갖는 제어 유닛과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발광 레벨을 갖는 레이저 펄스에 의해 상기 레이저 소자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발광 레벨에 대한 상기 제1 발광 레벨의 소정의 비율에 따른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발광 레벨의 설정을,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발광 레벨 설정부에 대하여 행하게 하는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로서,
    상기 제1 발광 레벨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발광 레벨 설정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발광 레벨의 조정을 행하게 하기 위한 조작량과 상기 비율의 역수와의 관계가, 소정의 상기 제1 발광 레벨의 경우에 반드시 임의의 한 점을 통과하는 직선이며, 또한, 상기 직선과 소정의 기준 직선 사이의 교차각이 상기 소정의 제1 발광 레벨에 비례한다고 하는 규칙성에 기초하여,
    상기 광 디스크에 따른 상기 제1 발광 레벨 및 상기 비율의 역수에 대응지어진 상기 조작량을 산정하고,
    상기 제2 발광 레벨 설정부에 대하여 상기 산정한 조작량에 따른 상기 제2 발광 레벨의 설정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을 동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고 있고,
    상기 조작량을 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규칙성을 동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을 동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임의의 1개의 상기 직선과, 상기 임의의 한 점과, 상기 직선의 기울기와 상기 제1 발광 레벨 사이의 비례 계수로 하고,
    상기 조작량을 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 디스크에 따른 상기 제1 발광 레벨 및 상기 비율의 역수에 대응하는 상기 직선을, 상기 규칙성을 동정하기 위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을 동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소정의 상기 제1 발광 레벨 하에서 추출되는, 상기 조작량 대 상기 비율의 역수의 좌표축에서 정해지는 서로 다른 2개의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의 식별 데이터마다 대응지어진 상기 제1 발광 레벨 및 상기비율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고 있고,
    상기 조작량을 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상기 식별 데이터에 대응지어진 상기 제1 발광 레벨 및 상기 비율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레이저 소자의 상기 제1 발광 레벨에 대한 관측 레벨과 지정 레벨의 편차를 감소시키는 APC(Automatic Power Control)를 실행하는 APC 처리부와,
    상기 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레벨을 상기 지정 레벨로 설정하는 상기 제1 발광 레벨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제1 발광 레벨을, 상기 제2 발광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조작량인 지정 레벨 시프트량에 의해 레벨 시프트한 레벨로, 상기 제2 발광 레벨을 설정하는 상기 제2 발광 레벨 설정부를 갖고 있고,
    상기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발광 레벨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APC 처리부에 대하여 상기 지정 레벨을 지정하고,
    상기 제2 발광 레벨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제2 발광 레벨 설정부에 대하여 상기 지정 레벨 시프트량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
KR1020067020901A 2004-04-09 2005-04-01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 KR100777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15954A JP2005302136A (ja) 2004-04-09 2004-04-09 レーザパルス制御回路
JPJP-P-2004-00115954 2004-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048A true KR20060128048A (ko) 2006-12-13
KR100777919B1 KR100777919B1 (ko) 2007-11-21

Family

ID=3512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901A KR100777919B1 (ko) 2004-04-09 2005-04-01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12057B2 (ko)
JP (1) JP2005302136A (ko)
KR (1) KR100777919B1 (ko)
CN (1) CN1930618A (ko)
TW (1) TWI260006B (ko)
WO (1) WO20050988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5064A1 (en) * 2006-08-30 2008-03-27 Microsoft Corporation Device to PC authentication for real time communications
US8130609B1 (en) * 2007-05-22 2012-03-06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 and method of bias control
JP4279338B1 (ja) * 2008-03-28 2009-06-17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パワーの補正方法
US9159355B1 (en) 2010-01-21 2015-10-13 Marvell International Ltd. DVD-RAM header or land/groove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6592A (ja) * 1990-11-28 1992-07-16 Kawasaki Steel Corp レーザ駆動装置
US5703855A (en) * 1993-04-06 1997-12-30 Hitachi, Ltd. Optical disk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ading method for an optical disk using the same
JP3734647B2 (ja) * 1999-07-23 2006-01-11 株式会社リコー 光情報記録装置
JP2001229561A (ja) * 2000-02-09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ーザ制御装置
JP3969958B2 (ja) * 2001-02-14 2007-09-05 株式会社リコー 光情報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60006B (en) 2006-08-11
CN1930618A (zh) 2007-03-14
KR100777919B1 (ko) 2007-11-21
JP2005302136A (ja) 2005-10-27
TW200605047A (en) 2006-02-01
US7512057B2 (en) 2009-03-31
WO2005098836A1 (ja) 2005-10-20
US20070274191A1 (en)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4825B2 (en)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APC and ACC processes
US66782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information in which the average power of a pulse is adjusted according to control data
US5712839A (en) Laser light power control system having reflected light detector
KR100777919B1 (ko) 레이저 펄스 제어 회로
EP1338007B1 (en) Methods, optical recording apparatus using such methods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for use by the methods and the apparatus
US20110317532A1 (en) Power Adjustment Method, Information Write Method And Information Write Medium
EP1341163A2 (en) Optical recording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optimum focus offset value for the device
US7420906B2 (en) Automatic power calibration apparatus for optical recording device and automatic power calibration method therefor
US20080084805A1 (en) Writing power calibrat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60003108A (ko) 방사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방사선 발생원 구동장치
EP1341164A3 (en) Optical power level-controlling device for stable oscillation of laser diode
KR100688590B1 (ko) 광 기록 장치 및 광 기록 장치의 기록 파워 설정 방법
JP3463293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505640B1 (ko) 디스크 구동기에 있어서 최적의 기록 파워 결정 장치 및방법
US7787335B2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
KR20070090746A (ko) 광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기록 파워 조정 방법
US20090262611A1 (en) Optical drive with improved laser power control (lpc)
KR100820738B1 (ko) 광기록재생장치 및 그 기준신호 조정방법
JP2002288851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のフォーカスオフセット設定方法
JP2001184689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4162473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9087399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記録パワー制御方法
JP2002050056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5353246A (ja) 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光ディスク装置
JP2009015883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