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922A -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 스택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 스택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922A
KR20060127922A KR1020067015068A KR20067015068A KR20060127922A KR 20060127922 A KR20060127922 A KR 20060127922A KR 1020067015068 A KR1020067015068 A KR 1020067015068A KR 20067015068 A KR20067015068 A KR 20067015068A KR 20060127922 A KR20060127922 A KR 20060127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fuel
fuel gas
oxyge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060B1 (ko
Inventor
히로키 홈마
마사히코 이즈미
고지 단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01M8/0254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corrugated or undul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characterised by grooves, e.g. their pitch or dep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2Grouping of unit cells of plana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7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3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in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 전지(10)는 전해질 전극 접합체(26) 및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를 끼운 한 쌍의 세퍼레이터(28)를 포함한다. 상기 세퍼레이터(28)의 각각은 단일 플레이트이고, 복수의 원형 디스크(36)를 구비한다. 제1 돌기부(48) 및 제2 돌기부(52)는 원형 디스크(36)의 양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돌기부(48)는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아노드(24)에 접촉하며, 상기 제2 돌기부(52)는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캐소드(22)에 접촉한다. 통로 부재(56)는 캐소드(22)에 대향하는 세퍼레이터(28)의 면에 설치된다. 상기 통로 부재(56)는, 연료 가스를 연료 가스 통로(46)에 공급하기 위해서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과 연료 가스 도입구(54)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 스택{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본 발명은 전해질 전극 접합체 및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를 끼운 한 쌍의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는 아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아노드 및 상기 캐소드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을 포함한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각각은 단일 중심축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연료 전지를 적층하여 형성된 연료 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는 안정화된 지르코니아와 같은 이온 전도성 고체 산화물의 전해질을 이용한다. 아노드과 캐소드 사이에는 전해질이 개재되어 전해질 전극 접합체(단위 전지)를 형성한다. 전해질 전극 접합체는 세퍼레이터(바이폴라 판) 사이에 개재된다. 사용에 있어서, 소정 수의 단위 전지 및 세퍼레이터가 서로 적층되어 연료 전지 스택을 형성한다.
연료 전지에서, 산소-함유가스 또는 공기는 캐소드에 공급된다. 산소-함유 가스의 산소는 캐소드과 전해질 사이의 경계면에서 이온화되며, 산소 이온(O2-)은 전해질을 통해 아노드을 향해 이동한다. 수소-함유 가스와 같은 연료 가스 또는 일산화탄소(CO)는 아노드에 공급된다. 산소 이온은 수소-함유 가스에 있는 수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거나 또는 CO와 반응하여 CO2를 생성한다. 상기 반응에서 방출된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해 캐소드으로 흐르고, 직류(DC) 전기 에너지가 발생된다.
연료 전지에서, 연료 전지의 적층 방향에서의 치수를 줄이기 위해 세퍼레이터의 두께 및 세퍼레이터의 성분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있어 왔다. 예를 들면,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75408호의 기재에 의하면, 연료 전지의 세퍼레이터(1)는 얇은 시트상의 세퍼레이터 본체(2)와, 상기 세퍼레이터 본체(2)의 한 면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제1 미세 돌기(3)와, 상기 세퍼레이터 본체(2)의 다른 면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제2 미세 돌기(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미세 돌기(3)는 세퍼레이터(1) 및 연료 전극(5) 사이에 연료 가스 통로(6)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미세 돌기(4)는 세퍼레이터(1) 및 공기 전극(7) 사이에 산소-함유 가스 통로(8)를 형성한다.
그러나,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75408호의 기재에 의하면, 연료 가스 통로(6)와 산소-함유 가스 통로(8)는 단순히 세퍼레이터(1)의 양면에 형성되며, 연료 가스의 공급 및 산소-함유 가스의 공급은 제한적으로 수행된다. 즉, 연료 가스는 단지 연료 전극(5)의 한쪽 끝으로부터 연료 전극(5)의 다른 쪽 끝에 공급되며, 산소-함유 가스는 단순히 공기 전극(7)의 한쪽 끝으로부터 공기 전극(7)의 다른 쪽 끝에 공급된다. 따라서, 연료 전지는 범용으로 사용될 수 없다. 연료 전극(5) 및 공기 전극(7)의 형상에 따라, 연료 가스 및 산소-함유 가스를 각각, 전극 면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연료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밀봉성 및 산소-함유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밀봉성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밀봉 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원하는 밀봉성을 유지하면서, 연료 전지의 적층 방향에서의 두께를 줄인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효율적인 발전이 달성되는 연료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해질 전극 접합체의 손상이 방지되고, 집전성에 서의 개선이 달성된 연료 전지 스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 전지는 전해질 전극 접합체 및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를 끼운 한 쌍의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는 아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아노드 및 상기 캐소드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세퍼레이터는 단일 중심축선를 포함한다. 제1 돌기부는 세퍼레이터의 한 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돌기부는 아노드의 전극면을 따라 연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가스 통로를 형성한다. 제2 돌기부는 상기 세퍼레이터의 다른 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2 돌기부는 캐소드의 전극면을 따라 산소-함유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함유 가스 통로를 형성한다.
연료 가스 공급부에 연결된 복수의 연료 가스 공급 채널을 형성하는 통로 부재는 상기 세퍼레이터의 상기 한 면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의 다른 면에 설치된다. 상기 연료 가스 공급 채널은 연료 가스 도입구를 통해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의 중심으로부터 연료 가스 통로에 연료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연료 가스 도입구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퍼레이터는 하나의 단일 중심축선를 포함하며, 연료 가스 공급 채널을 형성하는 통로 부재는 세퍼레이터에 설치된다. 간단한 구조로, 세퍼레이터의 적층 방향에서의 치수(두께)는 매우 감소된다. 또한, 통로 부재의 사용으로, 전해질 전극 접합체를 산소-함유 가스 분위기에 두는 것이 가능하다. 산소-함유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산소-함유 가스에 대한 밀봉 부재의 수는 감소된다. 제조 비용의 감소는 달성된다.
연료 가스는 전해질 전극 접합체의 중심으로부터 연료 가스 통로로 흐른다. 특히, 전해질 전극 접합체가 원형인 경우, 연료 가스는 중심부로부터 연료 가스 통로의 외주부로 흐르고, 연료 가스는 아노드의 전극 면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된다. 따라서, 안정한 발전이 신뢰성 높게 수행된다. 원형 전해질 전극 접합체에서, 열팽창은 균일하다. 그러므로, 원형 전해질 전극 접합체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연료 전지는 전해질 전극 접합체에서 반응에 소비된 반응 가스를 배기 가스로서 전해질 전극 접합체 및 세퍼레이터의 적층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가스 채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방향으로 소비 전의 연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가스 공급부를 배기 가스 채널에 기밀하게 설치하고, 적층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연료 가스 공급 채널은 연료 가스 통로와 연료 가스 공급부 사이에 연결되고, 적층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배기 가스 채널을 교차하는 세퍼레이터의 면을 따라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 가스 채널은 세퍼레이터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료 가스 공급부는 배기 가스 채널의 중심 위치에 기밀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료 가스 도입구는 전해질 전극 접합체의 중심 또는 산소-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에서 전해질 전극 접합체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상류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료 전지는 전해질 전극 접합체의 외주부로부터 산소-함유 가스 통로로 소비 전의 산소-함유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함유 가스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 중 하나는 고리형(annular) 돌기이고,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 중 다른 하나는 산형(mountain shaped) 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형 돌기는 상기 고리형 돌기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recess)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조임(tightening) 하중이 효과적으로 전해질 전극 접합체에 전달된다. 또한, 가스 통로의 부피가 과도하게 감소되지 않기 때문에, 압력 손실은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으며, 원하는 발전 반응이 유도된다.
또한, 상기 산형 돌기 및 상기 환형 돌기는 서로 동축(coaxial)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전해질 전극 접합체는 상기 세퍼레이터의 중심에 대해 동심원상으로 배열된다.
또한, 산소-함유 가스 통로에 있는 상기 산소-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들로 상기 산소-함유 가스가 상기 산소-함유 가스 통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해판 부재가 인접한 전해질 전극 접합체들 사이의 공간을 따라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 방향으로 복수의 연료 전지를 적층하여 연료 전지 스택이 형성된다. 각각의 연료 전지는 전해질 전극 접합체 및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를 끼운 한 쌍의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는 아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아노드 및 상기 캐소드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을 포함한다. 각각의 세퍼레이터는 단일 중심축선를 포함한다.
연료 전지 스택은 적층 방향으로 연료 전지에 조임 하중을 부여하기 위한 조임 하중 부여 기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연료 가스 공급부는 적층 방향에서 연료 전지의 중심부를 통해 연장되며, 전해질 전극 접합체는 각 연료 전지의 외부에 설치된다. 조임 하중 부여 기구에 의해 적층 방향에서 연료 전지의 중심부에 부여되는 하중은 조임 하중 부여 기구에 의해 적층 방향에서 연료 전지의 외부에 부여되는 하중보다 크다.
상기 연료 전지 스택에서, 연료 가스 공급부에 대한 원하는 밀봉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조임 하중 부여 기구는 연료 가스 공급부에 큰 조임 하중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조임 하중 부여 기구는 전해질 전극 접합체에 상대적으로 적은 조임 하중을 부여하여, 전해질 전극 접합체의 손상 없이 집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세퍼레이터가 전해질 전극 접합체에 기밀하게 접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시적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연료 전지를 적층하여 형성된 연료 전지 스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연료 전지 스택이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연료 전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연료 전지에서의 가스 흐름을 도시하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세퍼레이터의 한 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세퍼레이터의 다른 한 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세퍼레이터에 형성된 제1 및 제2 돌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연료 전지 스택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연료 전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세퍼레이터에 고정된 통로 부재를 도시하는 부분적으로 확대된 사시 도이다.
도 11은 도 8에서의 ⅩⅠ-ⅩⅠ선에 따른, 연료 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복수의 연료 전지를 적층하여 형성된 연료 전지 스택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연료 전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7에 도시한 제1 및 제2 돌기부와 구별되는 제1 및 제2 돌기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7 및 도 15에 도시한 제1 및 제2 돌기부와 구별되는 제1 및 제2 돌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75408호에 기재된 연료 전지의 세퍼레이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연료 전지(10)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된 연료 전지 스택(12)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연료 전지 스택(12)이 케이싱(14) 내에 설치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16)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연료전지(10)는, 고정용과 이동용을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되는 고 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전지(10)는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를 포함한다. 각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는 캐소드(22), 아노드(24) 및 상기 캐소드(22) 및 상기 아노드(24)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전해질 판)(20)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해질(20)은 안정화 지르코니아 등의 이온 전도성 고체 산화물로 구성된다.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는 원형 디스크 형상을 갖는다.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는 산소-함유 가스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그 외주 단부에 배리어(barrier) 층을 포함한다.
복수의, 예를 들면, 8개의 전해질 전극 접합체(26)가 한 쌍의 세퍼레이터(28) 사이에 개재되어 연료 전지(10)를 형성한다.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는 세퍼레이터(28)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연료 가스 공급부)(30)과 중심이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각 세퍼레이터(28)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된 금속 판 또는 탄소 판을 포함한다. 세퍼레이터(28)는 제1 소경(small diameter) 단부(32)를 갖는다.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은 상기 제1 소경 단부(32)의 중심을 따라서 연장한다. 제1 소경 단부(32)는 복수의 제1 가교부(bridge)(34)를 통해 각각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원형 디스크(36)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가교부(34)는 동일한 각도(간격)로 제1 소경 단부(32)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원형 디스크(36) 및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는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원형 디스크(36)는 슬릿 (38)을 통해 서로 분리된다. 각 원형 디스크(36)는, 각각 양쪽의 인접한 원형 디스크(36)를 향해서 돌출한 연장부(40a, 40b)를 포함한다. 인접한 연장부(40a, 40b) 사이에는 공간부(42)가 형성된다. 방해판 부재(44)는, 화살표 B로 나타낸 흐름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후술하는 산소-함유 가스 통로(50)에 산소-함유 가스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공간부(42)에 설치된다. 방해판 부재(44)는 적층 방향에서 공간부(42)를 따라 연장된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방해판 부재(44)는 V-형상이지만, 방해판 부재(44)는 산소-함유 가스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질 수 있다.
각 원형 디스크(36)는 아노드(24)과 접촉한 면(36a) 상에 제1 돌기부(48)를 갖는다. 제1 돌기부(48)는 아노드(24)의 전극면을 따라 연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가스 통로(46)를 형성한다(도 5 참조). 각 원형 디스크(36)는 캐소드(22)과 접촉한 면(36b) 상에 제2 돌기부(52)를 갖는다. 제2 돌기부(52)는 캐소드(22)의 전극면을 따라 산소-함유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함유 가스 통로(50)를 형성한다(도 6 참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부(48) 및 제2 돌기부(52)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제1 돌기부(48)는 환형(ring shaped) 돌기이고, 제2 돌기부(52)는 산형(mountain shaped) 돌기이다(제2 돌기부(52)는 평평한 정상 면을 가지는 원뿔형을 갖는다). 제2 돌기부(산형 돌기)(52)는 제1 돌기부(환형 돌기)(48)로 둘려쌓여 있다.
제2 돌기부(52)는 제1 돌기부(48)에 대응하는 오목부(53)가 형성된 면 상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2 돌기부(52)는 오목부(53)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진원 환형을 갖는 제1 돌기부(48)의 중심축선(L1)은 제2 돌기부(52)의 중심축선(L2)과 일치한다. 달리 말하면, 제1 돌기부(48)의 중심은 제2 돌기부(52)의 중심과 동축에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및 제2 돌기부(48, 52)가 설치되고, 제1 돌기부(48)의 높이(H1)는 제2 돌기부(52)의 높이(H2)보다 낮다(H1<H2). 그러므로, 산소-함유 가스 통로(50)의 부피는 연료 가스 통로(46)의 부피보다 크다. 이러한 형상의 제1 및 제2 돌기부(48, 52)는 예를 들어, 프레스 형성, 에칭 공정 또는 절단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1 돌기부(48)가 산형 돌기이고, 제2 돌기부(52)가 환형 돌기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환형 돌기의 높이가 산형 돌기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가스 도입구(54)가 각 원형 디스크(36)에 설치된다. 연료 가스는 연료 가스 도입구(54)를 통해서 연료 가스 통로(46) 안으로 흐른다. 연료 가스는 아노드(24)의 중심부로부터 공급된다. 연료 가스 도입구(54)의 위치는 연료 가스의 압력 및 산소-함유 가스의 압력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연료 가스 도입구(54)는 원형 디스크(36)의 중심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연료 가스 도입구(54)는 화살표 B로 나타낸 산소-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에서 원형 디스크(36)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상류 측에 설치될 수 있다.
통로 부재(56)는 캐소드(22)과 대향하는 면에 납땜이나 레이저 용접에 의해 세퍼레이터(28)에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 부재(56)는 제2 소경 (small diameter) 단부(58)를 포함한다.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은 제2 소경 단부(58)의 중심에 형성된다. 8개의 제2 가교부(60)는 제2 소경 단부(58)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제2 가교부(60)는 세퍼레이터(28)의 원형 디스크(36)로 제1 가교부(34)에 고정되고, 연료 가스 도입구(54)에 이른다.
복수의 슬릿(62)은 통로 부재(56)의 제2 소경 단부(58)에 형성된다. 슬릿(62)은 세퍼레이터(28)에 연결된 제2 소경 단부(58)의 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슬릿(62)은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에 연결된다. 또한, 슬릿(62)은 제2 소경 단부(58)의 외주부에 형성된 오목부(64)에 연결된다. 오목부(64)는 납땜 재료의 흐름을 방지하고, 연료 가스의 균일한 흐름을 달성한다. 복수의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은 제1 및 제2 가교부(34, 60) 사이에 형성된다. 각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은 슬릿(62) 및 오목부(64)를 통해 연료 가스 통로(46)에 연결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교부(60)가 화살표 A로 나타낸 적층 방향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각각의 세퍼레이터(28)에 연결된 통로 부재(56)는 만곡된 단면을 갖는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함유 가스 통로(50)는 산소-함유 가스 공급부(68)에 연결된다. 산소-함유 가스는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에서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외주 가장자리 및 원형 디스크(36)의 외주 가장자리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급된다. 산소-함유 가스 공급부(68)는 각 원형 디스크(36)의 연장부(40a, 40b) 사이에 설치된다. 인접한 연장부(40a, 40b) 사이의 공간부(42)에 설치되는 방해판 부재(44)는 산소-함유 가스 공급부(68) 이외로부터의 산소-함유 가스 의 진입을 방지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을 밀봉하기 위한 절연 시일(69)이 세퍼레이터(28) 사이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절연 시일(69)은 운모 재료, 또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진다. 배기 가스 채널(67)은 각각의 원형 디스크(36)로부터 내부에 위치하고 적층 방향에서 연료 전지(10)를 따라서 연장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12)은 서로 적층된 복수의 연료 전지(10)를 포함하고, 적층 방향의 양끝에 원형의 단부 플레이트(end plate)(70a, 70b)를 설치한다. 연료 전지 스택(12)의 연료 전지(10)는 조임 하중 부여 기구(72)에 의해 적층 방향으로 서로 조여진다.
조임 하중 부여 기구(72)는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 근처의 위치에 제1 조임 하중 T1을 부여하기 위한 제1 조임부(74a) 및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에 제2 조임 하중 T2를 부여하기 위한 제2 조임부(74b)를 포함한다. 제2 조임 하중 T2는 제1 조임 하중 T1보다 작다(T1 > T2).
단부 플레이트(70a)는 케이싱(14)으로부터 절연된다. 연료 가스 공급구(76)는 단부 플레이트(70a)의 중심에 설치된다. 연료 가스 공급구(76)는 각각의 연료 전지(10)에서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에 연결된다. 단부 플레이트(70a)는 두 개의 볼트 삽입구(78a)를 구비한다. 연료 가스 공급구(76)는 두 개의 볼트 삽입구(78a) 사이에 위치한다. 볼트 삽입구(78a)는 연료 전지 스택(12)의 배기 가스 채널(67)에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8개의 원형 개구부(80)는 연료 가스 공급구(76)와 중심이 같은 원형 라인을 따라 설치된다. 즉, 원형 개구부(80)는 각각의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에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원형 개구부(80)는 연료 가스 공급구(76)를 향해 연장된 구형 개구부(82)에 연결된다. 구형 개구부(82)는 배기 가스 채널(67)과 부분적으로 겹친다. 그러므로, 배기 가스는 구형 개구부(82)로부터 배출된다.
단부 플레이트(70b)는 전도성 부재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단자(84)는 단부 플레이트(70b)의 중심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단부 플레이트(70b)는 두 개의 볼트 삽입구(78b)를 구비한다. 접속 단자(84)는 두 개의 볼트 삽입구(78b) 사이에 위치한다. 볼트 삽입구(78a)는 볼트 삽입구(78b)와 동축상에 있다. 두 개의 조임 볼트(조임 부재)(86)는 볼트 삽입구(78a, 78b)에 삽입된다. 조임 볼트(86)는 단부 플레이트(70b)로부터 절연된다. 조임 볼트(86)의 선단은 너트(88)에 돌려 끼워넣어 제1 조임부(74a)를 형성한다. 제1 조임부(74a)는 단부 플레이트(70a, 70b) 사이의 연료 전지(10)를 조이기 위해서 원하는 조임 하중을 부여한다.
접속 단자(84)는 케이싱(14)에 고정된 출력 단자(9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조임부(74b)는 단부 플레이트(70a)의 각 원형 개구부(80)에 설치된다. 제2 조임부(74b)는 단자판(terminal plate)으로서 압착 부재(94)를 포함한다. 압착 부재(94)는 적층 방향에서 연료 전지 스택(12)의 끝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스프링(96)의 한 끝은 압착 부재(94)와 접촉하고, 상기 스프링(96)의 다른 한 끝은 케이싱(14)의 내벽부에 의해 지지된다. 스프링(96)은 제1 조임 하중 T1보다 작은 스 프링 하중을 갖는다. 예를 들면, 발전시에 열의 영향을 방지하고, 절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스프링(96)은 세라믹으로 만들어진다.
관상(tubular) 도체(98)는 각 압착 부재(94)의 끝에 연결된다. 관상 도체(98) 및 조임 볼트(86)의 한쪽 끝은 도선(100)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조임 볼트(86)의 다른 쪽 끝(헤드)은 접속 단자(84) 근처에 위치하고, 도선(102)을 통해 출력 단자(9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출력 단자(92a, 92b)는 평형으로 설치되고, 서로 인접하고 있다. 출력 단자(92a, 92b)는 또한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케이싱(14)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싱(14)은 출력 단자(92a, 92b)에 인접한 공기 공급구(104)를 가진다. 배기구(106)는 다른 단부 플레이트(70a) 측에 설치된다. 연료 가스 공급구(108)는 배기구(106)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그러므로, 배기 가스 및 연료 가스 사이에서 열 교환된다. 연료 가스 공급구(108)는 필요에 따라 개질기(110)를 통해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에 연결된다. 열교환기(111)는 개질기(110) 주위에 설치된다.
다음에, 연료 전지 스택(12)의 작동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전지(10)를 조립할 때는, 우선, 세퍼레이터(28)가 캐소드(22)에 접하고 있는 면에서 통로 부재(56)에 접합된다. 그러므로,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에 연결된 각각의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은 세퍼레이터(28) 및 통로 부재(56) 사이에 형성된다. 각각의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은 연료 가스 도입구(54)를 통해서 연료 가스 통로(46)에 접속된다(도 8 참조). 환형 절연 시일(69)은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 주위에서 각각의 세퍼레이터(28)에 설 치된다.
이런 식으로, 세퍼레이터(28)가 구성된다. 8개의 전해질 전극 접합체(26)가 세퍼레이터(28) 사이에 개재되어 연료 전지(10)를 형성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는 한 세퍼레이터(28)의 면(36a) 및 다른 세퍼레이터(28)의 면(36b) 사이에 개재된다. 원형 디스크(36)의 연료 가스 도입구(54)는 각 아노드(24)의 중심에 위치한다.
복수의 연료 전지(10)가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적층되고, 단부 플레이트(70a, 70b)가 적층 방향에서의 양단에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임 볼트(86)가 단부 플레이트(70a, 70b)의 각각의 볼트 삽입구(78a, 78b)에 삽입된다. 조임 볼트(86)의 선단은 너트(88)에 돌려 끼운다. 그리하여, 연료 전지 스택(12)을 제조한다. 연료 전지 스택(12)의 요소들은 적층 방향에서 조임 하중 부여 기구(72)에 의해 서로 조여지고, 연료 전지 스택(12)은 케이싱(14)에 장착된다(도 2 참조).
이어서, 수소-함유 가스 등의 연료 가스는 케이싱(14)의 연료 가스 공급구(108)에 공급되고, 산소-함유 가스(이하에서는, 공기라고도 칭함)는 케이싱(14)의 공기 공급구(104)에 공급된다. 연료 가스는 개질기(110)를 통해 흐르고, 연료 전지 스택(12)의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에 공급된다. 연료 가스는 화살표 A로 나타낸 적층 방향으로 흐르고, 각각의 연료 전지(10)에서 세퍼레이터(28)의 슬릿(62)을 통해 흘러,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로 도입된다(도 8 참조).
제1 및 제2 가교부(34, 60) 사이에서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의 하나를 따 라서 흐르는 연료 가스는 원형 디스크(36)의 연료 가스 도입구(54)를 통해서 연료 가스 통로(46)에 도입된다. 연료 가스 도입구(54)는 각각의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에서 아노드(24)의 대략 중심 위치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연료 가스 도입구(54)는 화살표 B로 나타낸 산소-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에서 아노드(24)의 중심 위치로부터 벗어난 상류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연료 가스는 연료 가스 도입구(54)로부터 아노드(24)의 중심부에 공급된다. 연료 가스는 아노드(24)의 중심부로부터 아노드(24)의 외주부로 흐른다(도 9 참조).
산소-함유 가스는 각각의 연료 전지(10)의 외주부에 있는 산소-함유 가스 공급부(68)에 공급된다. 산소-함유 가스는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에서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외주부 및 원형 디스크(36)의 외주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산소-함유 가스 통로(50)를 향해 흐른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함유 가스 통로(50)에는, 산소-함유 가스가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캐소드(22)의 외주부의 한 쪽 끝(세퍼레이터(28)의 외부)으로부터 외주부의 다른 쪽 끝(세퍼레이터(28)의 중심부)으로 흐른다.
따라서,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에서, 연료 가스는 아노드(24)의 중심부로부터 외주부로 흐르고, 산소-함유 가스는 캐소드(22)의 전극면 상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낸 한 방향으로 흐른다(도 9 및 도 11 참조). 이 때, 산소 이온은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기 위하여 전해질(20)을 통해 아노드(24)을 향해 흐른다.
연료 전지(10)는 화살표 A로 나타낸 적층 방향에서 직렬로 접속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 중 하나는 도선(90)을 통해 도전성 단부 플레이트(70b)의 접속 단자(84)로부터 출력 단자(92a)에 접속된다. 다른 전극은 도선(102)을 통해 조임 볼트(86)로부터 출력 단자(92b)에 접속된다. 따라서, 출력 단자(92a, 92b)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집할 수 있다.
반응에서 연료 가스 및 산소-함유 가스가 소비된 후, 연료 가스 및 산소-함유 가스는, 각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에서, 각각 아노드(24) 및 캐소드(22)의 외주부를 향해 흐르고, 함께 혼합된다. 혼합된 가스는 배기 가스로서 세퍼레이터(28)를 통해 연장된 배기 가스 채널(67)로 유입하고, 적층 방향으로 흐른다. 이어서, 배기 가스는 배기구(106)로부터 케이싱(14)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세퍼레이터(28)는 단일 플레이트이고, 제1 및 제2 돌기부(48, 52)는 세퍼레이터(28)의 각 원형 디스크(36)의 양 면(36a, 36b)에 설치된다. 제1 돌기부(48)는 아노드(24)에 접촉하고, 제2 돌기부(52)는 캐소드(22)에 접촉한다. 통로 부재(56)는 세퍼레이터(28)에 고정된다. 통로 부재(56)는 연료 가스 도입구(54)를 통해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 및 연료 가스 통로(46)를 연결하는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산소-함유 가스는 화살표 B로 나타낸 한 방향으로 연료 전지(10)의 외부로부터 중심부로 흐르고, 연료 가스는 아노드(24)의 중심부로부터 아노드(24)의 외주부로 흐른다. 따라서, 세퍼레이터(28)의 적층 방향에서의 치수(두께)가 상당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연료 가스가 아노드(24)의 전체 전극 면에 균일하게 분배(제공)된다. 세퍼레이터의 콤팩트한 구조로, 발전 반응은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전체 전극 면에서 균일하게 발생한다. 그러므로, 발전은 안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통로 부재(56)는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을 기밀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각각의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는 산소-함유 분위기에 둘 수 있다. 산소-함유 가스 공급부(68)를 밀봉하는 밀봉 재료는 필요하지 않다. 밀봉 부재의 수는 감소되어 밀봉 구조를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의 감소는 손쉽게 달성된다.
각 원형 디스크(36)는 각각, 양면에 인접한 원형 디스크(36)를 향해 돌출한 연장부(40a, 40b)를 포함한다. 공간부(42)가 인접한 연장부(40a, 40b) 사이에 형성된다. 방해판 부재(44)는 산소-함유 가스가 공간부(42)으로부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에 진입하는 것을 안정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공간부(42)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산소-함유 가스는 산소-함유 가스 통로(50)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낸 한 방향으로 유연하게 흐른다. 그러므로, 반응에서 소비되지 않고, 산소-함유 가스 통로(50)를 통해 흐르는 산소-함유 가스의 양은 감소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산소-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에서 원형 디스크(36)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상류 위치에 설치된 연료 가스 도입구(54)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소-함유 가스 공급부(68)에서의 산소-함유 가스의 압력과 비교했을 때 배기 가스 채널(67)에서 산소-함유 가스의 압력이 더 낮다. 산소-함유 가스의 압력에 의한 영향 때문에, 연료 가스는 세퍼레이터(28)의 중심부로 되돌아오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연료 가스 도입구(54)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아노드(24)의 전체 면에 대해 연료 가스를 균일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원하는 발전 반응이 쉽게 유발된다.
또한, 각 원형 디스크(36)에서는, 제1 돌기부(48)의 높이(H1)는 제2 돌기부(52)의 높이(H2)보다 낮다. 그 이유는 제1 돌기부(48)에 의해 형성된 연료 가스 통로(46)를 통해 흐르는 연료 가스의 유량(부피) 및 압력이 제2 돌기부(52)에 의해 형성된 산소-함유 가스 통로(50)를 통해 흐르는 산소-함유 가스의 유량(부피) 및 압력보다 작기 때문이다. 제1 돌기부(48)의 높이(H1) 및 제2 돌기부(52)의 높이(H2)는, 예를 들면, 연료 전지(10)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 및 산소-함유 가스의 압력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가교부(34, 60)는 배기 가스 채널(67)에 설치된다. 제1 및 제2 가교부(34, 60) 사이에 형성된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은 적층 방향으로 연장한 배기 가스 채널(67)을 교차하는 세퍼레이터(28)의 면을 따라서 연장한다. 그러므로,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을 통해 흐르는 연료 가스는 폐열에 의해 효과적으로 가열되고, 열 효율에서의 개선이 유리하게 달성된다.
또한, 배기 가스 채널(67)이 세퍼레이터(28)의 중심부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연료 가스는 중심부로부터 열 전달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된다. 따라서, 발전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이 배기 가스 채널(67)의 중심 위치에 기밀하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배기 가스의 폐열은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에 공급된 연료 가스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발전 효율이 향상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12)의 연료 전지(10)는 적층 방향으로 조임 하중 부여 기구(72)에 의해 서로 조여진다. 조임 하중 부여 기구(72)는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 근처의 위치에 제1 조임 하중 T1을 부여하기 위한 제1 조임부(74a), 및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에 제2 조임 하중 T2를 부여하기 위한 제2 조임부(74b)를 포함한다. 제2 조임 하중 T2는 제1 조임 하중 T1보다 작다.
특히,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에 대한 원하는 밀봉성을 유지하기 위해 큰 조임 하중(제1 조임 하중 T1)이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 근처의 부분에 부여된다. 상대적으로 작은 조임 하중(제2 조임 하중 T2)은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를 끼우는 부분에 부여되어,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어떠한 손상 등도 없이, 집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세퍼레이터(28)가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에 단단하게 접촉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12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복수의 연료 전지(120)를 적층하여 형성된 연료 전지 스택(122)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연료 전지(12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10)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로 부재(124)는, 아노드(24)에 대향하는 면에서, 연료 전지(120)의 각 세퍼레이터(28)에 고정된다. 통로 부재(124)는 세퍼레이터(28)의 제1 가교부(34)에 고정된 제2 가교부(126)를 포함한다. 복수의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이 제1 및 제2 가교부(34, 126) 사이에 형성된다. 각 제2 가교부(126)의 선단은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아노드(24)의 중심 근처의 위치에서 종단한다. 복수의 연료 가스 도입 구(128)는 제2 가교부(126)의 선단에 형성된다. 연료 가스는 연료 가스 도입구(128)를 통해 아노드(24)을 향해 흐른다. 세퍼레이터(28)의 원형 디스크(36)는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가스 도입구(54)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가스 공급 연통구멍(30)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는 세퍼레이터(28) 및 통로 부재(124) 사이에 있는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을 따라 흐른다. 이어서, 연료 가스는 통로 부재(124)의 선단에 형성된 연료 가스 도입구(128)를 통해 아노드(24)을 향해 흐른다.
그러므로, 연료 가스는 아노드(24)의 중심부로부터 아노드(24)의 외주부로 안정하고 균일하게 공급되고, 발전 효율에서의 개선이 유리하게 달성된다. 또한, 각 세퍼레이터(28)에서 원형 디스크(36)에 연료 가스 도입구(54)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세퍼레이터(28)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 비용의 감소가 손쉽게 달성된다.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부(48)는 진원의 환형(고리 형상)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부(48)(오목부(53))는 타원 환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장경 "a"과 단경 "b"의 교점이 제1 돌기부(48)의 중심이고, 만약 상기 중심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축선이 제2 돌기부(52)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면, "제1 및 제2 돌기부(48, 52)는 동축이다" 라고 한다.
도 7에 도시한 예시에서, 제2 돌기부(52)는 원뿔 형상을 가지며, 그 정상 면은 평평하다. 수평 방향에서(예를 들어, 정상 면) 제2 돌기부(52)의 단면은 진원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산형 돌기"는 이러한 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형 돌기는 수직 단면(돌기의 높이에 따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산형 돌기는 수평 방향의 단면(예를 들어, 정상 면)이 타원 형상인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제1 및 제2 돌기부(48, 52)는 동축에 있으며, 즉, 환형 제1 돌기부(48)의 중심축선(L1)은 제2 돌기부(52)의 중심축선(L2)과 일치한다. 그러나, 제1 돌기부(48)의 중심축선(L1)이 제2 돌기부(52)의 중심축선(L2)과 일치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즉, 제1 및 제2 돌기부(48, 52)가 반드시 서로 동축에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돌기부(52)의 중심축선(L2)은 제1 돌기부(48)의 중심축선(L1)으로부터 벗어나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돌기부(48)는 타원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돌기부(52)는 수평 단면이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로 특별하게 도시되고 기술되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기술분야에서의 당업자에 의해 각종 변화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0)

  1. 전해질 전극 접합체(26) 및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를 끼운 한 쌍의 세퍼레이터(28)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10)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는 아노드(24), 캐소드(22), 및 상기 아노드(24) 및 상기 캐소드(22)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20)을 포함하며, 상기 세퍼레이터(28)의 각각은 단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돌기부(48)가 상기 세퍼레이터(28)의 한 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돌기부(48)는 상기 아노드(24)의 전극면을 따라 연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가스 통로(46)를 형성하고;
    제2 돌기부(52)가 상기 세퍼레이터(28)의 다른 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돌기부(52)는 상기 캐소드(22)의 전극면을 따라 산소-함유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함유 가스 통로(50)를 형성하고;
    연료 가스 공급부(30)에 연결된 복수의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을 형성하는 통로 부재(56)가 상기 세퍼레이터(28)의 상기 한 면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28)의 상기 다른 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은 연료 가스 도입구(54)를 통해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연료 가스 통로(46)에 상기 연료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상기 연료 가스 도입구(54)에 연결되는 연료 전지(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10)는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에서 반응에 소비된 반응 가스를, 배기 가스로서,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 및 상기 세퍼레이터(28)의 적층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가스 채널(67)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료 가스 공급부(30)가 상기 적층 방향으로 소비 전의 상기 연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배기 가스 채널(67)에 기밀하게 설치되고;또한
    상기 연료 가스 공급 채널(66)이 상기 연료 가스 통로(46)와 상기 연료 가스 공급부(30) 사이에 연결되고, 적층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배기 가스 채널(67)을 교차하는 상기 세퍼레이터(28)의 면을 따라 연장되는 연료 전지(1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채널(67)은 상기 세퍼레이터(28)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연료 전지(10).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료 가스 공급부(30)는 상기 배기 가스 채널(67)의 중심 위치에 기밀하게 설치되는 연료 전지(10).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가스 도입구(54)는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중심 또는 상기 산소-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에서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상류 측에 설치되는 연료 전지(10).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산소-함유 가스 통로(50)로 소비 전의 상기 산소-함유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함유 가스 공급부(68)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료 전지(10).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48, 52) 중 하나는 고리형(annular) 돌기이고,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48, 52) 중 다른 하나는 산형(mountain shaped) 돌기인 연료 전지(10).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산형 돌기는 상기 고리형 돌기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recess)(53)에 설치되는 연료 전지(10).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산형 돌기 및 상기 고리형 돌기는 서로 동축(coaxial)에 있는 연료 전지(10).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해질 전극 접합체(26)가 상기 세퍼레이터(28)의 중심에 대해 동심원상으로 배열되는 연료 전지(10).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산소-함유 가스 통로(50) 내의 상기 산소-함유 가스의 흐름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들로 상기 산소-함유 가스가 상기 산소-함유 가스 통로(50)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해판 부재(44)가 인접한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들 사이의 공간을 따라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료 전지(10).
  12.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1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53)는 진원 형상을 가지는 연료 전지(10).
  13.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1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53)는 타원 형상을 가지는 연료 전지(10).
  14.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형 돌기의 수직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연료 전지(10).
  15. 적층 방향으로 복수의 연료 전지(10)를 적층하여 형성된 연료 전지 스택(12)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10)는 각각 전해질 전극 접합체(26) 및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를 끼운 한 쌍의 세퍼레이터(28)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는 아노드(24), 캐소드(22), 및 상기 아노드(24) 및 상기 캐소드(22)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20)을 포함하며, 상기 세퍼레이터(28)는 각각 단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전지 스택(12)은 적층 방향에서 상기 연료 전지(10)에 조임 하중을 부여하기 위한 조임 하중 부여 기구(72)를 추가로 포함하며;
    연료 가스 공급부(30)가 적층 방향에서 상기 연료 전지(10)의 중심부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는 각각의 상기 연료 전지(10)의 외부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조임 하중 부여 기구(72)에 의해 적층 방향에서 상기 연료 전지(10)의 상기 중심부에 부여되는 하중은 상기 조임 하중 부여 기구(72)에 의해 적층 방향에 서 상기 연료 전지(10)의 상기 외부에 부여되는 하중보다 큰 연료 전지 스택(12).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제1 돌기부(48)가 상기 세퍼레이터(28)의 한 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돌기부(48)는 상기 아노드(24)의 전극면을 따라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26)의 중심부로부터 외주부로 연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가스 통로(46)를 형성하고; 또한
    제2 돌기부(52)가 상기 세퍼레이터(28)의 다른 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돌기부(52)는 상기 캐소드(22)의 전극면을 따라 상기 전해질 전극 접합체의 외주부로부터 한 방향으로 산소-함유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함유 가스 통로(50)를 형성하는 연료 전지 스택(12).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48, 52) 중 하나는 고리형 돌기이고,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48, 52) 중 다른 하나는 산형 돌기인 연료 전지 스택(12).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산형 돌기는 상기 고리형 돌기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53)에 설치되는 연료 전지 스택(12).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산형 돌기 및 상기 고리형 돌기는 서로 동축에 있는 연료 전지 스택(12).
  20.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19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형 돌기의 수직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연료 전지 스택(12).
KR1020067015068A 2003-12-26 2004-12-24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 스택 KR100758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31975 2003-12-26
JP2003431975 2003-12-26
PCT/JP2004/019735 WO2005064718A2 (en) 2003-12-26 2004-12-24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922A true KR20060127922A (ko) 2006-12-13
KR100758060B1 KR100758060B1 (ko) 2007-09-11

Family

ID=3469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068A KR100758060B1 (ko) 2003-12-26 2004-12-24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 스택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44432B2 (ko)
EP (1) EP1698008B1 (ko)
JP (1) JP4351619B2 (ko)
KR (1) KR100758060B1 (ko)
CN (1) CN1898825A (ko)
AT (1) ATE488878T1 (ko)
AU (1) AU2004310027B2 (ko)
CA (1) CA2550965C (ko)
DE (1) DE602004030152D1 (ko)
WO (1) WO200506471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2359B2 (ja) * 2003-12-26 2009-1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JP4555051B2 (ja) * 2004-11-02 2010-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JP2006318857A (ja) * 2005-05-16 2006-11-24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JP5087894B2 (ja) * 2005-10-28 2012-12-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構造体
JP4611195B2 (ja) * 2005-12-28 2011-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JP4611194B2 (ja) * 2005-12-28 2011-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JP4611196B2 (ja) * 2005-12-28 2011-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7207502A (ja) * 2006-01-31 2007-08-16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
JP4963589B2 (ja) * 2006-10-19 2012-06-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JP5042588B2 (ja) * 2006-10-19 2012-10-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JP2009283146A (ja) * 2008-05-19 2009-12-03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
US8663863B2 (en) * 2008-08-01 2014-03-04 Topsoe Fuel Cell A/S Interconnect for a fuel cell,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terconnect for a fuel cell
JP5613391B2 (ja) * 2009-09-08 2014-10-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JP5613392B2 (ja) * 2009-09-08 2014-10-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DE102010035254A1 (de) * 2010-08-24 2012-03-01 Wilhelm Karmann Gmbh Bipolarplatte für eine Brennstoffzelle
CN106654334B (zh) * 2016-12-23 2019-04-30 宁波索福人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堆阵列及其发电系统
CN113809377B (zh) * 2021-08-11 2023-02-28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模块化串并联燃料电池堆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6581A (ja) * 1987-10-29 1989-05-0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6310164A (ja) 1993-04-26 1994-11-04 Fuji Electric Co Ltd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CN1097860C (zh) 1994-03-21 2003-01-01 兹特克公司 具有最佳压力分布的电化学转化器
JPH08279364A (ja) 1995-02-09 1996-10-22 Fuji Electric Co Ltd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H1116581A (ja) 1997-06-20 1999-01-22 Fuji Electric Corp Res & Dev Ltd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
JP2000003715A (ja) 1998-04-15 2000-01-07 Fuji Electric Corp Res & Dev Ltd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2001035514A (ja) 1999-07-19 2001-02-09 Tokyo Gas Co Ltd 通電用金属薄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体電解質燃料電池
US6361892B1 (en) * 1999-12-06 2002-03-26 Technology Management, Inc. Electrochemical apparatus with reactant micro-channels
JP3714093B2 (ja) * 2000-02-29 2005-11-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燃料電池
JP2002008683A (ja) 2000-06-27 2002-01-11 Mitsubishi Nuclear Fuel Co Ltd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2002075408A (ja) 2000-08-30 2002-03-15 Suncall Corp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ー
CN1272866C (zh) * 2000-12-28 2006-08-30 三菱综合材料株式会社 燃料电池组件以及燃料电池
JP3559246B2 (ja) 2001-03-09 2004-08-25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携帯型燃料電池
US6592445B2 (en) * 2001-03-21 2003-07-15 Royal Sovereig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coins
WO2003043110A1 (fr) 2001-10-26 2003-05-22 Sumitomo Precision Products Co., Ltd Pile a combustible
JP3665769B2 (ja) * 2002-03-22 2005-06-29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セル分割型燃料電池
JP2004146345A (ja) * 2002-08-28 2004-05-20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
JP2004362991A (ja) 2003-06-05 2004-12-24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
US7442463B2 (en) * 2003-12-26 2008-10-28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8008B1 (en) 2010-11-17
JP4351619B2 (ja) 2009-10-28
DE602004030152D1 (ko) 2010-12-30
EP1698008A2 (en) 2006-09-06
AU2004310027B2 (en) 2008-03-20
WO2005064718A2 (en) 2005-07-14
CN1898825A (zh) 2007-01-17
WO2005064718A3 (en) 2005-11-24
US7544432B2 (en) 2009-06-09
CA2550965A1 (en) 2005-07-14
JP2005209622A (ja) 2005-08-04
ATE488878T1 (de) 2010-12-15
KR100758060B1 (ko) 2007-09-11
CA2550965C (en) 2009-12-08
US20050142423A1 (en) 2005-06-30
AU2004310027A1 (en)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434B1 (ko)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 스택
KR100758060B1 (ko)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 스택
US7659027B2 (en)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US7670710B2 (en)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with pressure chambers
US7517602B2 (en)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US7601453B2 (en)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US7442463B2 (en) Fuel cell
US7651809B2 (en) Channel member for providing fuel gas to separators forming a plurality of fuel gas fields on one surface
JP4351617B2 (ja) 燃料電池
JP2005209620A (ja)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