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359A - 이상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이상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359A
KR20060126359A KR1020060042867A KR20060042867A KR20060126359A KR 20060126359 A KR20060126359 A KR 20060126359A KR 1020060042867 A KR1020060042867 A KR 1020060042867A KR 20060042867 A KR20060042867 A KR 20060042867A KR 20060126359 A KR20060126359 A KR 20060126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ttern
glass plate
film
transparen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기와라 미노루
Original Assignee
타이세이 라미네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세이 라미네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이세이 라미네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4Mechanical actuation by breaking of g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도둑이나 도적이 유리창의 유리판을 부수고 침입하려고 한 경우에 그것을 확실하게 검출하여 경보동작을 실행하고, 또한 경비회사에 연락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창유리(45)의 유리판(47)의 표면에 도전성 박막에 의하여 소정의 형상의 도전성 패턴(50)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도전성 패턴(50)의 절단부위에 검출기(51)를 접속하여 두고, 유리판(47)이 깨어져 도전성 패턴(50)이 단선된 경우에 검출기(51)가 검출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무선으로 중계기(74)에 이상점검신호를 송신하고, 이 중계기(74)로부터 다시 집중감시 유니트(84)에 이상검출신호를 송신한다.
도전성 패턴, 도전성 박막, 도전막

Description

이상검출장치{Damage Detecting Apparatus}
도 1은 투명금속박막을 형성한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이형성 용제를 도포한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투명 고분자 필름을 접합한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기판으로부터 투명 고분자 필름을 박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 5는 투명 고분자 필름을 부착한 유리창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투명 고분자 필름을 부착한 유리판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난방지장치를 구성하는 검출회로의 시스템 구성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변형예인 투명 도전성 패턴을 도시한 투명 고분자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다른 변형예인 투명 도전성 패턴을 도시한 투명 고분자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변형예인 투명 도전성 패턴을 도시한 투명 고분자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인 도난방지용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2는 다른 변형예인 도난방지용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3은 이상검출장치를 구비한 유리창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이형성 용제를 도포한 베이스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가열 롤에 의한 전사동작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전성 박막의 박리전사동작을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 18은 유리판에 대한 검출기의 장착을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 19는 검출기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유리판에 대한 검출기의 장착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1은 검출기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및 회로도이다.
도 22는 빌딩에 있어서의 이상검출장치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3은 중계기 및 집중감시 유니트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4는 보강 필름 측에 도전성 패턴을 형성한 이상검출장치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의 보강 필름을 부착한 유리판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유리판 상의 검출기와 도전성 패턴의 접속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 정면도이다.
도 27은 검출기를 부착하여 스프링 접점을 동박에 접속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28은 태양전지를 구동원으로 하는 검출기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29는 굴곡진 패턴 형상의 도전성 패턴을 가진 유리창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유리판의 에지 부분에 불투명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한 유리창의 정면도이다.
도 31은 상기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32는 결로 및 흐림방지기능을 겸용하는 이상검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판 11 투명금속박막
12 이형성 용제 13 투명 고분자 필름
14 투명 도전성 패턴 17 창유리
18 프레임 19 단자
20 커넥터 24 검출회로
25 경보회로 26 경보기
27 송신기 28 송신회로
29 안테나 40 벽면
41 개구 42 프레임
45 유리창 46 창틀
47 유리판 48 잠금장치
50 도전성 패턴 51 검출기
53 베이스 필름 54 도전성 박막
55 이형성 용제 56 가열 롤
60 장착시트 61 양면 접착 테이프
62 개구 63 스프링 접점
67 건전지 68 전원회로
69 검출회로 70 송신회로
71 안테나 72 트랜지스터
73 풀다운 저항 74 중계기
77 전원회로 78 안테나
79 수신회로 80 경보구동회로
81 경보기 84 집중감시 유니트
85 송신기 86 안테나
90 보강 필름 91 절결
92 동박 93 개구
96 태양전지 101 완충고무
105 카본그라파이트 시트 106 검출/구동 유니트
107 콘센트
본 발명은 이상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판의 파손을 수반하는 이 상을 검출하도록 한 이상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안의 악화에 따라 가옥이나 사무소, 기타 건조물의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생활의 장인 가옥의 문이나 창문으로부터 도둑이나 도적이 침입하면 평온한 생활을 침해당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재산을 박탈당하거나 신체나 생명의 안전을 위협당한다.
그래서 종래부터 특히 문이나 창문 부분에 도난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도둑 등이 침입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그것을 검출하여 경보를 울리거나, 또는 경비회사에 통보하거나 함으로써 도둑이나 도적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인 도난방지장치는 문 또는 유리창의 개폐시에 이동하는 가동부분에 마그넷을 장착함과 동시에 문틀 또는 창틀에 비접촉 근접 스위치를 설치하여 두고, 문 또는 창문을 억지로 연 경우에는 상기의 마그넷이 이간(離間)하여 근접 스위치가 검출동작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검출동작에 응답하여, 검출회로가 검출동작을 하여, 경보기를 작동시키거나, 경비회사에 대하여 이상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난방지장치의 결점은, 주요부가 유리판으로 구성된 유리창이나 유리문의 유리판을 손괴하거나 절단하거나 하여 소정의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개구부를 통하여 도적이 침입하여도 상기의 비접촉 검출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는 일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경보기가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경비회사에 대한 통보도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이와 같은 도난방지장치는 유리판을 깨고 침입하려고 하는 도난에 대하여 무방비이다.
특허문헌1: 일본국 특개2004-166763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유리창이나 유리문 등의 유리판이 깨지거나, 절단된 경우에 그것을 확실하게 검출하여 이상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한 이상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유리창이나 유리문 등의 유리판을 절단한 경우에 유리판에 설치되어 있는 도전성 패턴의 단선에 의하여 이상을 검출하도록 한 이상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유리판의 보강을 하기 위한 필름에 의하여 도난방지까지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이상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도난방지를 위한 대책을 실시하여도 투명성이 손상되지 않고, 이를 위하여 빛의 투과를 저해하지 않도록 한 이상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장착이 간단하고, 특별한 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한 이상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유리창에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 개폐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개폐동작에 의하여 오동작을 하지 않도록 한 이상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전지교환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한 이상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 및 다른 과제는, 다음에 서술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그 실시형태에 의하여 분명해질 것이다.
본원의 주요한 발명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필름을 유리창, 유리문 등의 유리판에 부착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을 검출회로와 접속하고, 유리판이 파손되어 상기 도전성 패턴이 단선되면 상기 검출회로가 검출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도난방지용 필름이 유리판의 보강을 겸해도 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패턴이 투명 도전막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패턴이 산화 인듐(In2O3, ITO Indium trioxide), 산화주석(SnO2), 또는 산화아연(ZnO)이면 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패턴이 프레임의 근방에 있어서 단자에 접속되면 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패턴이 유리판의 표면에 접하도록 상기 필름이 유리판에 부착되면 된다.
본원의 다른 주요한 발명은, 유리판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도전성 패턴과 접속되는 전극을 가지고, 상기 유리판의 파손에 수반되는 상기 도전성 패턴의 단선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가진 이상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패턴이 상기 유리판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다시 상기 도전성 패턴이 상기 유리판과 접합되는 필름의 표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유리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패턴이 투명 도전막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검출기가 유리판의 표면에 부착됨과 동시에 해당 검출기의 유리판의 두께방향의 치수가 이 유리판을 장착한 프레임의 유리판의 표면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출기가 무선송신수단을 가지고, 상기 도전성 패턴의 단선이 검출된 경우에 이상검출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하면 된다. 또는 상기 검출기로부터의 무선에 의한 이상검출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수단을 구비한 중계기 또는 경보기를 가지고, 상기 중계기 또는 경보기는 이상검출신호를 다른 콘트롤 유니트에 송신하거나 또는 경보동작을 하면 된다. 또한 상기 검출기의 구동원이 태양전지로 구성되고, 상기 유리판을 통하여 입사하는 빛으로 발전하도록 해도 된다.
본원의 다른 주요한 발명은, 유리판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소정의 형상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도전성 패턴과 접속되는 전극을 가지고, 상기 유리판의 파손에 수반되는 상기 도전성 패턴의 단선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가진 이상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패턴이 불투명하며, 상기 유리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의하여 눈에 띄지 않도록 상기 유리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패턴이 불투명하며, 금속막, 도전성 분말을 포함한 도전막, 금속 호일, 또는 카본 그래파이트 시트면 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패턴이 발열수단을 겸용 하고, 통전에 의한 줄열로 상기 유리판을 가온하도록 하면 된다.
발명의 효과
본원의 주요한 발명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필름을 유리창, 유리문 등의 유리판에 부착하고, 도전성 패턴을 검출회로와 접속하여, 유리판이 파손되어 도전성 패턴이 단선되면 검출회로가 검출동작을 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상검출장치에 의하면 도둑이나 도적이 유리창, 유리문 등의 유리판을 파단하거나 절단하여 개구부를 형성하여 안에 들어가려고 하여도, 유리판을 파단 또는 절단할 때에 이 유리판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상의 도전성 패턴이 단선되어, 그것을 검출회로가 검출하여 검출동작을 하기 때문에, 이로써 이상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도난방지를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의 다른 주요한 발명은, 유리판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도전성 패턴과, 도전성 패턴과 접속되는 전극을 가지고, 유리판의 파손을 수반하는 도전성 패턴의 단선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가진 이상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상검출장치에 의하면 어떤 원인에 의하여 유리판이 파손된 경우에는 그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도전성 패턴이 단선된다. 따라서 이 도전성 패턴의 단선을 검출기에 의하여 검출하여, 이상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전성 패턴이 유리판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도록 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판이 파손되거나 절단되거나 하여 도전성 패턴이 단선되면, 이 도전성 패턴의 단선을 검출기에 의하여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전성 패턴이 유리판과 접합되는 필름의 표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유리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판의 파손에 따라 이 유리판과 접합되는 필름 표면의 도전성 패턴이 단선되고, 검출기가 이상검출의 동작을 한다. 또한 유리판은 상기의 필름에 의하여 보강되고, 파손된 경우에 있어서도 그 파편의 비산이 방지된다.
[ 실시예 ]
실시예 1
이하에서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도전성 패턴을 가진 도난방지용 필름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도1~도4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 및 치수의 기판(10)을 준비한다. 기판(10)은 합성수지, 금속, 세라믹 등의 적당한 재료로 이루어진 판상체이고, 또한 그 표면은 평활해야한다. 이와 같은 기판(10)의 표면에는 도전성 박막(11)을 형성한다. 도전성 박막(11)으로서는 산화 인듐(In2O3, ITO), 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 등의 투명금속박막(11)을 형성한다. 금속박막(11)의 형성방법은 일반적으로는 증착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이 외에 플라즈마 CVD, 스퍼터 등의 이른바 박막형성의 종래의 공지방법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막(11)을 형성한 뒤에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이형성 용제(12)를 도전성 패턴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도포한다. 이형성 용제로서는 고분자 필름에 부착되지 않는 이형성 잉크, 실리콘액, 스크린 인쇄용 잉크 등이 이용된다. 그리고 여기서 도전성 패턴에 대응하는 부분을 남기고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하여 박막(11)의 표면에 상기 이형성 용제를 부착시킨다. 그리고 그 후에 이형성 용제(12)를 건조시킨다.
그 후에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의 보강을 겸한 투명 고분자 필름(13)을 상기 기판(10)의 표면에 접합한다. 투명 고분자 필름(13)으로서는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염화 비닐 수지 등의 재료가 선택된다. 투명도가 낮아도 좋은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이용된다. 또한 그 두께는 50~300㎛의 범위 내이다. 또한 이와 같은 수지의 표면에는 폴리에틸렌계, 핫멜트계, 나일론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비교적 금속과 접착하기 쉬운 합성수지의 에멀젼을 도포하여 두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투명 금속박막(11)과의 접합성을 높인다.
상기 투명 고분자 필름(13)을 박막(11) 상에 접합한다면 이 상태에서 고분자 필름(13)에 대하여 50~300℃ 범위 내의 적당한 온도에서 가열하면서 가압한다. 그러면 이 고분자 필름(13)의 표면에 도포된 상기의 합성수지의 에멀젼에 의하여 이형성 용제(12)가 도포되지 않는 영역의 투명 금속박막(11)이 투명 고분자 필름(13)의 표면에 전사된다. 따라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의 표면으로부터 투명 고분자 필름(13)을 조용히 박리한다. 그러면 이 투명 고분자 필름(13)의 표면에는 상기 박리형성 용제(12)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투명 금속박막(11)이 전사되고, 이로써 표면에 투명 도전성 패턴(14)이 형성된 투명 고분자 필름(13)이 얻어진다. 즉, 가열전사법에 의하여 기판(10)의 표면에 미리 형성한 투명 금속박막(11)을 선택적으로 투명 고분자 필름(13) 상에 전사하여 투명 도전성 패턴(14)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투명 고분자 필름(13)을 이용한 도난방지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투명 도전성 패턴(14)을 형성한 투명 고분자 필름(13)을 유리판(17)의 표면에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한다. 창유리(17)는 미리 그 주연부를 프레임(18)에 의해 지탱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창유리(17)의 표면의 거의 전역을 덮듯이 투명 고분자 필름(13)을 접합한다. 이 때에 투명 도전성 패턴(14)이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필름(13)과 유리판(17)과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로써 도전성 패턴(14)의 절연이 달성된다. 또한 이 도전성 패턴(14)의 터미널 부분을 단자(19)에 접속한다. 단자(19)는 동박이나 얇은 동판으로 구성되고, 창틀(18)의 소정의 위치에 지탱된다. 그리고 이 단자(19)에는 프레임(18)에 장착된 커넥터(19)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의 투명 고분자 필름(13)은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유리판(17) 사이에 협착되도록 부착하여도 된다. 또는 페어 글래스를 구성하는 2장의 유리판(17) 내의 한쪽 유리판(17)의 내표면에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된다. 즉, 페어 글래스로 창유리를 구성할 경우에는 내부의 밀폐공간에 고분자 필름(13)이 위치하도록 한쪽 창유리(17)의 표면에 접합된다.
다음으로 검출회로에 대하여 도7에 의하여 설명한다. 유리판(17) 상의 상기의 투명 도전성 패턴(14)은 단자(19) 및 커넥터(20)를 통하여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회로(24)에 접속된다. 그리고 검출회로(24)가 다시 경보회로(25)에 접속된다. 경보회로(25)는 경보기(26)에 접속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창유리(17)가 파손되거나 유리칼과 같은 특수한 절삭공구에 의하여 절단되어서 개구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동시에 이 창유리(17)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도전성 고분자 필름(13)의 표면의 투명 도전성 패턴(14)의 적어도 일부가 절단된다. 따라서 도7에 도시한 도전성 패턴(14)이 폐회로를 형성한 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진화한다. 따라서 이것을 검출회로(24)에 의하여 검출할 수 있다. 검출회로(24)가 도전성 패턴(14)의 파단을 검출하면 이것에 응답하여 경보회로(25)가 경보기(26)를 구동한다. 따라서 경보기(26)는 경보동작을 한다. 따라서 창유리(17)가 깨진 것을 검출하고 경보기가 작동함으로써 도둑이나 도적의 침입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도난방지용 필름(13) 및 이 도난방지용 필름(13)을 이용한 도난방지장치는 창유리(17)의 프레임(18)에 마그넷을 장착하고, 이것을 비접촉형 검출 스위치에 의하여 검출하는 것이 아니고, 창유리(17)에 접합된 투명 고분자 필름(13)의 도전성 패턴(14)의 단선을 검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창유리(17) 그 자체가 닫혀져 있고, 이 창유리(17)의 유리판을 손괴시켜서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으로부터 도적이 침입하려고 한 경우에 그것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불가능하였던 창유리(17)의 파손 또는 손상에 따른 외부로부터의 도적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전성 패턴(14)이 형성된 투명 고분자 필름(13)은 보강 필름으로 겸용되고 있다. 즉, 이 창유리(17)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보강 필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파손된 경우에 유리파편이 산산조각 나서 비산하지 않도록 비산 방지기능까지도 다하고 있다. 따라서 이로써 유리 그 자체가 고분자 필름(13)에 의하여 보강되고, 또한 파손시의 비산방지가 도모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특별히 높은 원가의 상승이 없고, 더욱이 보강과 도난방지까지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패턴(14)의 조성에 불순물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패턴(14)이 저항치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저항치를 가진 도전성 패턴(14)에 통전을 하면 투명 고분자 필름(13)이 발열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발열에 의하여 창유리(17)의 온도가 상승하고,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패턴(14)을 조밀하게 형성하여 둠과 동시에 그 방향을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하면 수평편파의 전자파 또는 수직편파의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고, 도전성 패턴(14)을 가진 투명 고분자 필름(13)에 의하여 전파 실드가 실시된다.
상기의 투명 고분자 필름(13)의 표면에 형성하는 투명 도전성 패턴(14)의 형성방법에 대하여는 상기의 가열전사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즉, 직접 스크린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하여 고분자 필름(13) 상에 투명 도전성 패턴(14)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는 투명 고분자 필름(13)의 표면에 마스크 처리를 하여 직접 박막형성 수법을 이용하여 투명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스팩터링 등의 방법에 의하여 투명 고분자 필름(13) 상에 투명 도전성 패 턴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는 도전성 잉크의 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투명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창유리(17)에 접합되고, 또한 보강을 겸용한 투명 고분자 필름(13)에 형성되는 투명 도전성 패턴(14)의 패턴형상은 반드시 상기의 실시형태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8,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즉,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개구, 또는 손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개구를 형성한 경우에 반드시 일부의 도전성 패턴(14)이 절단되고, 이에 따라 단선상태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패턴으로 해 두면 된다.
또한 도난방지장치를 구성할 회로의 블록도 반드시 도7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회로(25)를 대신하여 송신기(27)를 검출회로(24)에 접속하고, 이 송신기(27)에 의하여 경비회사 등에 이상신호를 즉시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이상신호를 수신한 경비회사가 즉시 출동하여, 이상의 원인을 파악하여 그것에 대응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12는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검출회로(24)와 접속되는 송신회로(28)가 무선송신회로를 구성하고, 안테나(29)에 의하여 무선으로 경보신호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신호송신용 케이블을 도난방지장치에 접속할 필요가 없어지고, 이로써 이 설비의 장착이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12에 도시한 변형예는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에 적용하기에 적절하다. 즉 자동차의, 예를 들면 운전석 또는 조수석 옆의 창문 유리에 투명도전성 패 턴(14)을 형성한 투명 고분자 필름(13)을 접합함으로써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서 창문 유리가 깨진 경우에는 안테나(29)에 의하여 무선으로 경보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으므로 주차 중인 자동차의 경보송신장치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3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이상검출장치를 구비한 건조물의 창문 부분을 도시한 것이며, 건조물의 벽면(40)에는 그 소정의 위치에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개구(41)가 형성된다. 이 개구(41)의 주위에는 예를 들면 새시로 이루어진 프레임(42)이 장착된다.
상기의 프레임(42)을 장착한 개구(41)의 부분에는 유리창(45)이 장착된다. 여기서는 2장의 유리창(45)을 서로 미닫이식으로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각각의 창(45)은 창틀(46)을 구비하고, 이 창틀(46)이 프레임(42) 내에 있어서 레일로 접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창틀(46) 내에는 유리판(47)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미닫이식의 유리창(45)은 그들의 교차위치에 있어서 잠금장치(48)에 의하여 잠겨지고, 이것에 의하여 자물쇠가 잠겨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리창(45)의 특징은 유리창(45)을 구성하는 유리판(47)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패턴(50)이다. 도전성 패턴(50)은 상기 창틀(46)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상변의 거의 중앙부에서 분단되어 있다. 또한 분단된 양쪽의 도전성 패턴(50)을 걸치듯이 이상검출을 위한 검출기(51)가 장착되도록 되 어 있고, 이 검출기(51)에 의하여 도전성 패턴(50)의 단선에 따른 이상검출을 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의 유리창(45)의 유리판(47)에 도전성 패턴(50)을 형성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직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유리판(47)보다 한 단계 작은 베이스 필름(53)을 마련한다. 베이스 필름(53)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 필름(53)의 표면에는 도전성 박막(54)을 형성한다. 도전성 박막(54)으로서는 산화인듐(In2 O3, ITO), 산화주석(SnO2)도, 산화아연(ZnO3) 등의 투명 금속박막(54)을 형성한다. 금속박막(54)의 형성방법은 일반적으로는 증착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기타 플라즈마 CVD, 스팩터 등의 이른바 박막형성을 위한 종래의 공지방법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53)의 전체면에 도전성 박막(54)을 형성해도 되지만, 그 경우에는 도전성 박막형성재료의 소비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형성하려고 하는 도전성 패턴(50)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그 폭보다 약간 넓게 국부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 같은 도전성 박막(54)을 형성한 후에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이형성 용제(55)를 도전성 패턴(50)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도포한다. 이형성 용제로서는, 유리판(47)에 부착하지 않은 이형성 잉크, 실리콘액, 스크린 인쇄용 잉크 등이 이용된다. 그리고 여기서 도전성 패턴(50)에 대응하는 부분을 남기고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하여 도전성 박막(54)의 표면에 상기 이형성 용제(55)를 부 착시킨다. 그리고 이 후에 이형성 용제(55)를 건조,고화한다.
이 후에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53)을 유리판(47)의 표면에 접합한다. 이 때에 상기 도전성 박막(54) 및 이형성 용제(55)를 도포한 표면이 유리판(47)에 접촉하도록 한다. 또한 이 때에 미리 베이스 필름(53)의 접합면측의
표면에 폴리에틸렌계, 핫멜트계, 나일론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비교적 금속과 접착하기 쉬운 합성수지의 에멀젼을 도포하여 두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도전성 박막(54)의 전사 시의 접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필름(53)을 유리판(47) 상에 접합하였으면 이 상태에서 베이스 필름(53)에 대하여 가열 롤(56)을 대고 50~300℃ 범위의 적당한 온도로 베이스 필름(53)을 가열하면서 유리판(47)에 대하여 가압한다. 그러면 이 베이스 필름(53)의 표면에 도포된 상기 합성수지 에멀젼에 의하여 이형성 용제(55)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상기 도전성 박막(54)이 유리판(47)의 표면에 전사된다. 따라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47)의 표면으로부터 상기의 베이스 필름(53)을 조용히 박리한다. 그러면 이 베이스 필름(53)의 표면으로부터는 상기 이형성 용제(55)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도전성 박막(54)이 유리판(47)에 박리전사되고, 이에 따라 표면에 소정의 형상의 도전성 패턴(50)이 형성된 유리판(47)이 얻어진다. 즉, 가열전사법에 의하여 베이스 필름(53)의 표면에 미리 형성한 도전성 박막(54)을 선택적으로 유리판(47) 상에 전사하여 투명 도전성 패턴(5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리판(47) 상으로의 도전성 패턴(50)의 형성방법은 반드시 상기의 박리전사법에 의하지 않고 다른 각종 박막형성법 중의 임의의 한 개를 이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도전성 패턴(50)이 형성된 유리판(47) 상에 검출기(51)를 장착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출기(51)는 도18~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케이싱 내에 수납되어 있으며, 그 뒷면 측이며 유리판(47)과의 접합면 측에는 약간 돌출된 장착시트(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시트(60) 부분에서 양면 접착 테이프(61)에 의하여 유리판(47) 표면에 접착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검출기(51)의 뒷면 측에는 한 쌍의 개구(62)가 형성되어, 각각의 개구(62)에는 U자 형상으로 굴곡진 스프링 접점(63)이 장착되어 있으며, 전극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스프링 접점(63)을 도전성 패턴(51)에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검출기(51)를 상기의 유리판(47)의 도전성 패턴(50)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이며 그 중앙의 분단된 부분을 걸치듯이 검출기(51)를 장착한다. 이 때 상기의 검출기(51)의 개구(62)에 면하듯이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접점(63)이 도전성 패턴(50)에 각각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검출회로는 한 쌍의 스프링 접점(63)을 통하여 도전성 패턴(50)의 분단된 단부와 접속하게 된다.
여기서 유리판(47)의 표면에 검출기(51)를 장착한 경우에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검출기(51)의 유리판(47)의 두께 방향의 돌출량(A)은 창틀(46)의 같은 방향의 돌출량(B)보다 작게 되어 있다. 즉, A<B의 관계로 되어 있다. 이 관계는 유리창(45)의 창틀(46)의 전 주위에 걸쳐서 유지된다. 따라서 검출기(51)를 장착하여 도 미닫이식 유리창(45)이 검출기(51)에 의하여 개폐동작을 방해받는 일 없이 개폐식 유리창(45)에 아무런 지장 없이 적용할 수 있다.
검출기(51)의 회로구성은 도21A에 도시된다. 즉, 검출기(51)는 건전지(67)를 구동원으로 하고, 이 건전지(67)에 의하여 전원회로(68)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검출기(51)는 검출회로(69)와 송신회로(7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검출회로(69)가 상기 도전성 패턴(50)의 단선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한 쌍의 입력단자가 도전성 패턴(50)의 분단된 단부에 각각 접속된다. 이것에 대하여 송신회로(70)는 검출회로(69)가 검출동작을 한 경우에 이에 따라 이상검출신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안테나(71)에 의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검출회로(69)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21B에 도시한다. 이 검출회로는 pnp 트랜지스터(72)와 풀다운 저항(73)에 의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전원단자와 트랜지스터(72)의 베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도전성 패턴(50)이 접속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72)의 베이스는 풀다운 저항(73)을 통하여 접지된다. 즉, 트랜지스터(72)의 베이스는 도전성 패턴(50)과 풀다운 저항(73)과의 직렬회로의 접속점에 접속하게 된다.
여기서 도전성 패턴(50)의 저항이 매우 작은 경우나 무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전성 패턴(50)이 단선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 트랜지스터(72)의 베이스에는 전원전압(V0)과 거의 동등한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72)의 에미터·컬렉터간은 차단상태가 되어 송신회로(70)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하여 도전성 패턴(50)이 단선되면, 풀 다운 저항(73)에 의하여 트랜지스터(72)의 베이스가 0전위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72)가 전기가 통전되어 송신회로(70)가 구동된다. 따라서 이로써 송신회로(70)가 이상검출신호를 안테나(71)를 통하여 송신한다.
도22는 이와 같은 유리창(45)의 유리판(47)에 검출기(51)를 장착한 이상검출장치에 의한 방범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빌딩의 각 층의 유리창(45)의 유리판(47)에 각각 검출기(51)를 부착함과 동시에 각 층의 천장 부분에 중계기(74)를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중계기(74)는 상기 각 유리창(45)의 유리판(47)에 부착되어 있는 검출기(51)로부터의 이상검출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이상검출신호를 예를 들면 1층의 관리실에 설치되어 있는 집중관리 유니트(84)에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중계기(74)로부터 집중감시 유니트(84)로의 이상검출신호의 송신은 와이어 케이블을 이용하고 있으나, 와이어 케이블을 대신하여 여기서도 무선을 이용하여도 된다.
검출기(51)가 이와 같이 무선으로 중계기(74)에 이상검출신호를 송신하여 이상을 알릴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판(47)에 장착되는 검출기(51)에 대하여 조금도 배선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유리판(47)의 표면으로서 특히 도전성 패턴(50)의 절단부위에 양면접착 테이프(61)에 의하여 검출기(51)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장착동작이 완료되고, 장착동작이 매우 간략화되어, 부대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23은 상기 중계기(74)와 집중관리 유니트(84)의 회로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중계기(74)는 전원회로(77)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회로(77)는 예를 들면 상용 전원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중계기(74)는 안테나(78)를 접속한 수신회로(79)를 구비하고, 이 수신회로(79)에 의하여 상기 검출기(51)로부터의 이상검출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회로(79)에는 경보구동회로(80)가 접속됨과 동시에 또한 경보구동회로(80)에 경보기(81)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수신회로(79)는 1층의 관리실에 설치되어 있는 집중감시 유니트(84)에 신호 케이블에 의하여 접속된다. 이 집중감시 유니트(84)는 또한 송신기(85)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송신기(85)가 안테나(86)에 의하여 외부에 이상검출신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충의 유리창(45)의 유리판(47)이 어떠한 이유에 의하여 파손되고, 이것에 의하여 도전성 패턴(50)이 단선된 경우에는 그것을 도21에 도시한 검출기(51)의 검출회로(69)가 검출동작을 한다. 그리고 이 검출동작에 연동하여 검출회로(69)는 송신회로(70)에 이상검출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송신회로(70)가 안테나(71)를 통하여 중계기(74)를 향하여 무선으로 이상검출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중계기(74)의 수신회로(79)는 안테나(78)를 통하여, 상기 이상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이것에 연동하여 경보구동회로(80)를 매개로 하여 경보기(81)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경보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상기 중계기(74)의 수신회로(79)는 경보구동회로(80)에 이상검출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1층 관리실의 집중감시 유니트(84)에 이상검출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이 집중감시 유니트(84)에 의하여 관리자가 이상검출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집중감시 유니트(84)는 송신기(85) 및 안테나(86)를 통하여 외부의 경비회사 등 에 이상검출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송신기(85)에 의하여 무선으로 이상검출신호를 외부기관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집중감시 유니트(84)로부터 외부의 기관으로의 신호전달은 전용신호 케이블이나 전화회선, 또는 인터넷 통신망 등을 통하여 하도록 해도 된다. 특히 휴대전화기, 또는 PHS의 메일 기능을 이용하여 송신기(85)에 의하여 이상검출신호의 송신을 하면 송신을 위한 시스템의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25 및 도26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는 유리창(45)의 유리판(47) 표면에 직접 도전성 패턴(50)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을 대신하여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필름(90)에 도전성 패턴(50)을 미리 형성하고, 이와 같은 보강필름(90)을 유리판(47)의 표면에 접합해도 된다. 보강 필름(90)으로서는 투명한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염화비닐수지 등의 재료가 임의로 선택된다. 또한 투명도가 낮아도 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보강 필름의 두께는 50~300㎛의 범위 내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보강 필름(90)의 표면에 상기 박리전사법, 증착, 플라즈마 CVD, 스팩터 등의 각종 박막형성방법 중의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보강 필름(90)을 유리판(47)에 접합할 때에 상기 보강 필름(90)의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50)이 유리판(47)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접합한다. 또한 이 보강 필름(90)의 상부 가장자리로서 특히 도전성 패턴(50)의 분단위치의 위쪽에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91)을 형성해 두고, 이 절결(91)에 상기 도전성 패턴(50)의 단부와 접속되도록 동박(92)을 보강 필름(90)과 유리판(47)과의 사이에 접합한다.
또한 보강 필름(90)의 상부 가장자리에 절결(91)을 형성하는 대신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기(51)의 장착위치에 가로로 긴 개구(93)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개구(93)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보강 필름(90)과 유리판(47)과의 사이에 동박(92)을 접합해도 된다. 여기서도 동박(92)은 상기 도전성 패턴(50)의 분단된 단부에 접속한다. 따라서 그 위에 검출기(51)를 장착하면, 이 검출기(51)의 스프링 접점(66)이 상기 개구(93)에 의하여 노출된 동박(92)에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리판(47) 그 자체가 보강 필름(90)에 의하여 보강된다. 또한 유리판(47)이 파손된 경우에는 이 유리판(47)이 비산하는 것을 보강 필름(90)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유리판(47)이 파손되면 보강 필름(90) 상의 도전성 패턴(50)이 이상한 힘을 받아서 파단되기 때문에 검출기(51)가 검출동작을 실행하여 이상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또 다른 변형예를 도28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기(51)의 전원회로(68)를, 예를 들면 건전지(67)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 변형예는 건전지(67)를 대신하여 태양전지(96)에 의하여 이 검출기(51)의 구동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장착시트(60)의 아래쪽에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태양전지(96)를 노출시켜 배치하고, 이 태양 전지(96)의 발전에 의하여 전원회로(68)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검출기(51)를 양면 접착 테이프(61)에 의하여 유리판(47)의 내표면에 장착하면 이 유리판(47)을 통하여 외광이 입사되고, 이 외광에 의하여 태양전지(96)가 구동된다. 따라서 건전지(67)를 이용한 경우와 같이 방전한 경우에 전지교환을 할 필요가 없고, 반영구적으로 그 상태 그대로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또 다른 변형예를 도29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29는 유리판(47) 상에 형성되는 도전성 패턴(50)의 형상을 도13과 같은 거의 직사각형의 형상을 대신하여 유리판(47)의 중앙부 부근에 뻗도록 하고, 또한 전체면을 따라 굴곡진 형상으로 하고, 이것에 의하여 유리판(47)의 어느 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여도 도전성 패턴(50)의 단선이 확실하게 발생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판(47)에 대하여 망치 등으로 타격을 가하여, 이것에 의하여 유리판(47)을 파손시키는 경우에는 적어도 한 군데의 균열이 유리판(47)의 주연부에 달하기 때문에, 도13에 도시한 형상에 의하여 이상검출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유리판(47)을 유리칼 등에 의하여 절단할 경우에는 주연부에 균열이 생기지 않고 유리판(47)의 거의 중앙부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개구가 도전성 패턴(50)에 걸리지 않으면 유리칼에 의하여 개구를 형성한 것을 검출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50)의 형상을 유리판(47)의 전체면을 따라 굴곡진 형상으로 함으로써 중앙부에 유리칼에 의하여 개구를 형성하여 침입하려고 하여도 그것이 도전성 패턴(50)의 단선에 의하여 검출되기 때문에 이상검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29에 도시한 패턴형상은 예시에 불과 하며 기타 각종 패턴 형상을 임의로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또 다른 변형예를 도30 및 도31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유리판(47)의 주연부이고, 에지 부분에 도전성 패턴(50)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이 도전성 패턴(50)은 도전성을 갖고 있으면 좋고, 반드시 투명 또는 불투명할 필요는 없다. 즉, 여기서는 불투명한 금속막, 도전성 분말을 포함하는 도전막, 알루미늄박, 동박 등의 도전성 패턴이면 된다. 또는 카본그라파이트를 시트 형상으로 하여 리본 형상으로 트리밍한 카본그라파이트 시트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유리판(47)의 에지 부분에 형성되는 불투명한 도전성 패턴은 프레임(46)과 유리판(47)과의 사이에 개장되는 완충고무에 의하여 절연된다(도31 참조). 따라서 이와 같은 도전성 패턴(50) 윗변의 절단 끝 부분을 검출기(51)에 접속함으로써 검출동작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투명 또는 반투명의 도전성 패턴을 유리판(47)의 표면에 형성하지 않고 주연부에 도전성이 불투명한 패턴(50)을 형성하여 두는 것만으로 이상검출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가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또 다른 변형예를 도32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프레임(46)에 의하여 유지되는 유리판(47)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형상의 카본그라파이트 시트(105)를 부착하도록 하고, 이 카본그라파이트 시트(105)의 윗변의 절단된 양끝을 검출/구동 유니트(106)와 접속한 것이다. 여기서 카본그라파이트 시트(105)는 이상검출을 위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유리판(47)을 가온하기 위한 발열수단까지도 겸용하고 있다.
통상의 이상검출동작은 카본그라파이트 시트(105)로 이루어진 패턴의 일부가 파단된 경우에 그것을 검출/구동 유니트(106)의 검출회로부분에서 검출한다. 또한 유리판(47)의 결로방지나 흐림방지를 할 때에는 카본그라파이트 시트(105)에 대하여 콘센트(107) 및 검출/구동 유니트(106)를 통하여 상용전원으로 통전하고, 이것에 의하여 유리판(47)을 줄열로 가온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온동작에 의하여 상기 결로방지나 흐림방지가 달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카본그라파이트 시트(105)의 발열 또는 가온효과를 이용하여 실내의 난방효과나 원적외선의 발생에 의한 내부에 있는 사람의 건강상태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카본그라파이트 시트(105)는 일반적으로 흑색이지만, 그 표면에 인쇄를 할 수 있으므로, 소정의 인쇄를 함으로써 창유리(47)에 대하여 의장성을 부여하고, 또는 패션성이 있는 창유리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 포함되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는 건조물의 창부분에 장착되는 유리창(45)의 유리판(47)의 파손에 따르는 이상검출을 하는 이상검출장치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리제품의 문, 투명한 유리제품의 쇼윈도, 자동차의 창유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리판(47)에 형성되는 도전성 패턴(50)의 형상에 대하여도 각종 형상으로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난방지장치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투명 또는 반투명의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필름을 유리창, 유리문 등의 유리판에 부착하고,
    상기 도전성 패턴을 검출회로와 접속하고,
    유리판이 파손되어 상기 도전성 패턴이 단선되면 상기 검출회로가 검출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리판의 보강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이 투명 도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이 산화인듐(In2O3, ITO), 산화주석(SnO2), 또는 산화아 연(Zn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이 프레임의 근방에 있어서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이 유리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필름이 유리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7. 유리판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도전성 패턴과 접속되는 전극을 가지고,
    상기 유리판의 파손에 수반되는 상기 도전성 패턴의 단선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가진 이상검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이 상기 유리판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이 상기 유리판과 접합되는 필름의 표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유리판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이 투명 도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의 검출기가 유리판의 표면에 부착됨과 동시에,
    해당 검출기의 유리판의 두께 방향의 치수가 이 유리판을 부착한 프레임의 유리판의 표면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의 검출기가 무선송신수단을 가지고,
    상기 도전성 패턴의 단선이 검출된 경우에 이상검출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검출기로부터의 무선에 의한 이상검출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수단을 구비한 중계기 또는 경보기를 가지고,
    상기 중계기 또는 경보기는 이상검출신호를 다른 콘트롤 유니트에 송신하거나 또는 경보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의 검출기의 구동원이 태양전지로 구성되고,
    상기의 유리판을 통하여 입사하는 빛으로 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15. 유리판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소정의 형상의 도전성 패턴과,
    상기 도전성 패턴과 접속되는 전극을 가지고,
    상기 유리판의 파손을 수반하는 상기 도전성 패턴의 단선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가진 이상검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이 불투명하고,
    상기 유리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의하여 눈에 띄지 않도록,
    상기의 유리판의 에지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이 불투명하고, 금속막, 도전성 분말을 포함하는 도전막, 금속박, 또는 카본그라파이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이 발열수단을 겸용하고, 통전에 의한 줄열로 전기의 유리판을 가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검출장치.
KR1020060042867A 2005-06-03 2006-05-12 이상검출장치 KR200601263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64879 2005-06-03
JPJP-P-2005-00164879 2005-06-03
JPJP-P-2005-00322947 2005-11-07
JP2005322947A JP2007035009A (ja) 2005-06-03 2005-11-07 異常検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359A true KR20060126359A (ko) 2006-12-07

Family

ID=3749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867A KR20060126359A (ko) 2005-06-03 2006-05-12 이상검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73898A1 (ko)
JP (1) JP2007035009A (ko)
KR (1) KR20060126359A (ko)
TW (1) TW2007073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62B1 (ko) * 2013-02-06 2013-09-12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방범기능이 있는 공공주택의 베란다용 난간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6199B2 (ja) * 2007-05-25 2012-07-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ガラス破損検知装置
JP2010537434A (ja) * 2007-08-30 2010-12-02 ビーティー イメージング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光電池の製造
JP2010146106A (ja) * 2008-12-16 2010-07-01 Toyota Industries Corp 自動車用窓のガラス割れ検出装置
IT1395691B1 (it) * 2009-09-17 2012-10-19 Bersani E Valle S N C B V Di Impianto antieffrazione per vani chiusi
US20120081226A1 (en) * 2010-10-05 2012-04-05 Yun Xiang Technology Inc. Burglarproof security system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EP2515282B1 (en) 2011-04-21 2015-09-23 Securitas Direct AB Security system
JP5718205B2 (ja) * 2011-10-17 2015-05-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犯センサー用導電性フイルム、防犯センサー及び導電性フイルム
JP5718206B2 (ja) * 2011-10-17 2015-05-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犯センサー用導電性フイルム、防犯センサー及び導電性フイルム
WO2013142962A1 (en) * 2012-03-28 2013-10-03 Tyco Safety Products Canada Ltd. Anti-tamper systems and methods
CN102958203A (zh) * 2012-10-11 2013-03-06 浙江师范大学 一种太阳能发电的电热膜加热装置
WO2015152824A1 (en) * 2014-03-31 2015-10-08 Glass Security Pte Ltd A tamper detection devic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device
EP3350750B1 (en) * 2015-09-18 2020-11-04 X-Card Holdings, LLC Self-centered inlay and core layer for information carrying card, process and resulting products
JP6679995B2 (ja) * 2016-03-07 2020-04-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構造物の異常を検知する検知用の配線基板、構造物異常検知装置及び構造物異常検知システム
CN109543515B (zh) * 2018-10-15 2022-06-24 华为技术有限公司 光学元件及其监测系统和方法、主动发光模组、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7837A (en) * 1974-08-07 1976-03-30 Ppg Industries, Inc. Security glazing and alarm system
EP0003432B1 (en) * 1978-01-30 1982-04-07 CIN Industrial Investments Limited Synthetic resin/glass laminat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se laminates
US7187280B2 (en) * 2003-07-31 2007-03-06 Techko, Inc. Alarm system with thin profile
JP2005053734A (ja) * 2003-08-04 2005-03-03 Asahi Glass Co Ltd 導電膜付き板ガラスとその製造方法、導電膜付き合わせガラス及び防犯ガラス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62B1 (ko) * 2013-02-06 2013-09-12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방범기능이 있는 공공주택의 베란다용 난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35009A (ja) 2007-02-08
TW200707341A (en) 2007-02-16
US20060273898A1 (en)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6359A (ko) 이상검출장치
KR102179326B1 (ko)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를 갖는 판유리 어셈블리
US7722948B2 (en) Laminated Glazing
KR101972720B1 (ko) 경보 창유리 장치
US6794882B2 (en) Rupture detector for windshield assembly
US10557877B2 (en) Alarm pane assembly
JP2006188929A (ja) 盗難防止用フィルムおよび盗難防止装置
JP2012083808A (ja) 盗難防止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その導入方法
US5627509A (en) Glazing unit security system
US10490036B2 (en) Alarm pane assembly
KR101972721B1 (ko) 경보 창유리 장치
US20120081226A1 (en) Burglarproof security system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CN1880951A (zh) 异常检测装置
KR100332355B1 (ko) 방범유리창
JP2005004316A (ja) 硝子の破壊検出装置及び破壊検出が可能な硝子
JP2005170740A (ja) 防犯合わせガラス
JP3085505U (ja) 防犯ガラス構造
JP2006160598A (ja) 防犯ガラス
JP2003128443A (ja) 防犯ガラス構造
IE20140303A1 (en) Fenestration system for radio frequency attenuation
JP2000222651A (ja) アルミプレートを利用した窓鍵を守る防犯用品
JP2010231642A (ja) 車両用ウィンドウガラス破損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