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247A - 우르솔릭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이를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르솔릭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이를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247A
KR20060126247A KR1020050047994A KR20050047994A KR20060126247A KR 20060126247 A KR20060126247 A KR 20060126247A KR 1020050047994 A KR1020050047994 A KR 1020050047994A KR 20050047994 A KR20050047994 A KR 20050047994A KR 20060126247 A KR20060126247 A KR 20060126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microemulsion
ursolic acid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웅길
박진규
Original Assignee
에이엔에이치 케어연구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엔에이치 케어연구소(주) filed Critical 에이엔에이치 케어연구소(주)
Priority to KR102005004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6247A/ko
Publication of KR20060126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르솔릭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과, 상기 마이크로 에멀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상기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르솔릭산의 용해성과 피부흡수성을 증가시키고 피부층의 지속작용을 도모하여 약물의 생체이용율을 증가시킨다.
마이크로에멀젼, 우르솔릭산

Description

우르솔릭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Microemulsion composition containing ursol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and Preparation Method of microemulsion}
도 1은 우르솔릭산의 화학구조
도 2는 마이크로에멀젼의 상 다이아그램
a) 벤질알콜/에탄올 : Brij35 : 물
b) 벤질알콜/에탄올 : 크레모포르 EL : 물
c) 벤질알콜/에탄올 : 크레모포르 RH40 : 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의 제조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를 대상으로 실시한 레오그램 결과
-◆-: 처방 A, -■-: 처방 B, -▲-: 처방 C, -△-: 처방 D, -●-: 처방 E, -+-: 처방 F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분증발율 측정결과
-◆-: 처방 A, -■-: 처방 B, -▲-: 처방 C, -△-: 처방 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를 대상으로 코르네오미터와 스키콘을 이 용해 실시한 단기 보습능 측정결과
a) 코르네오미터: -●-: 대조군, -◆-: 처방 A, -■-: 처방 B, -▲-: 처방 C, -△-: 처방 D
b) 스키콘: -●-: 대조군, -◆-: 처방 A, -■-: 처방 B, -▲-: 처방 C, -△-: 처방 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를 대상으로 무모 마우스의 절단된 피부를 통해 축적된 우르솔릭산의 투과특성도 측정결과 (평균±표준편차, n=3)
-◆-: 처방 A, -■-: 처방 B, -▲-: 처방 C, -△-: 처방 D, -●-: 처방 E, -+-: 처방 F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의 25℃ 및 40℃에서의 안정성 측정결과
a) 25℃: -◆-: 처방 A, -■-: 처방 B, -▲-: 처방 C
b) 40℃: -◆-: 처방 A, -■-: 처방 B, -▲-: 처방 C
본 발명은 우르솔릭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와, 상기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르솔릭산(도 1)은 그의 이성질체인 올레아노린산(oleanolic acid)과 함께 많은 야채, 허브 및 여러 가지 식물에서 발견되는 펜타사이클릭 트리터페노이드계 사포닌의 일종으로 항염효과, 항암효과 및 항균 특성이 있고 특히, 피부에 있어서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 효과 등이 알려져 있어 일부 외용제 및 복용제 그리고 화장품 등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우르솔릭산은 물이나 오일 등의 용매에는 잘 녹지 않는 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제화 하기 어려워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기존 약물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새로운 약물송달 시스템의 설계와 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약제학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나노입자 전달시스템으로서 미셀 및 마이크로에멀젼은 이러한 목적에 부합되는 약물송달시스템으로 지용성 항종양제의 가용화를 위해 마이크로에멀젼 시스템을 이용했을 뿐 아니라 국소적용 수송체로서도 이용되었다.
또한 미셀과 마이크로에멀젼은 외관상 투명하여 불순물의 혼입을 쉽게 판별할 수 있고 열역학적으로 안정하며, 난용성 물질을 가용화시킬 수 있어 제제설계에 있어서 효율적이고 상품적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약물을 표적부위에 선택적으로 수송시키고 그 부위에서 원하는 시간 동안 작용하도록 하여 최대의 치료효과를 발현하도록 하고 다른 부위나 조직으로는 약물의 송달을 최소화시켜 부작용을 적게 할 수 있는 약물수송체로도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르솔릭산을 전달약물로 하는 효과적인 약물 전달시스템은 개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의 용해성과 우르솔릭산의 피부흡수성을 증가시키고 피부층의 지속작용을 도모하여 약물의 생체이용율을 증가시킨 마이크로에멀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우르솔릭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한 마이크로에멀젼제제를 유효량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우르솔릭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활성성분인 우르솔릭산, 벤질알콜과 에탄올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유상과, 상기 유상에 첨가되는 계면활성제 및 수상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가 크레모포르 계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이 벤질알콜/에탄올: 계면활성제:물을 20∼30:35∼45:20∼35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에멀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피부외용제가 바람직하게는 크림형 또는 겔형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외용제가 수상에 산탄검 또는 폴록사머의 어느 하나 또는 두 성분을 모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보습제로 글리세린, 바셀린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지질로 PC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세라마이드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EDTA 2나트륨염과 아스콜빈산 팔미테이트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벤질알콜과 에탄올의 혼합액에 우르솔릭산을 용해한 액을 유상으로 하는 단계; 및 계면활성제를 상기 유상에 첨가하고, 수상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젼은 활성성분으로 항염, 항암효과 및 항균특성이 있고, 특히 피부에 있어서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우르솔릭산을 함유한 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에멀젼은 벤질알콜과 에탄올의 혼합액에 우르솔릭산을 용해한 액을 유상으로 하고, 여기에 계면활성제와 수상을 첨가하여 얻어진다.
벤질알콜과 에탄올은 특별한 한정을 요하지는 않지만, 중량비로 10:90∼90:10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40:60∼60:4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50의 비율로 혼합한 것이 좋다.
계면활성제를 상기 활성성분이 용해된 유상에 첨가하고 수상을 가하여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한다. 이때 첨가가능한 계면활성제로는 Brij 35 또는 크레모포르 계열로서 크레모포르 EL 또는 크레모포르 RH40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크레모포르 계열의 상기 계면활성제는 입자의 크기를 작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며, 특히 크레모포르 EL에서 가장 작게 할 수 있다.
마이크로에멀젼 전구농축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물을 일정량씩 증가시켜가면서 안정한 마이크로에멀젼이 형성되는 영역을 관찰하고, 희석시 침전이 일어나지 않는 영역을 선택하여 상평형도를 작성하여 바람직한 조성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에멀젼을 얻기 위한 조성비로서 벤질알콜/에탄올:계면활성제:물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20∼30:35∼45:20∼35중량%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계면활성제로 Brij35가 사용된 경우 20∼30:35∼45:30∼40이고, 크레모포르 EL이 사용되는 경우 20∼35:40∼60:20∼35이며, 크레모포르 RH40이 사용된 경우 20∼30:50∼60:20∼30 정도이다.
우르솔릭산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마이크로에멀젼의 중량 대 비 0.1∼0.5중량%, 바람직하게는 0.2∼0.4%, 보다 바람직하게는 0.3%가 되도록 조성되어진다. 우르솔릭산의 함량은 벤질알코올과 에탄올에 대한 용해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우르솔릭산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은 피부외용제 조성물로서 크림제 또는 겔제 형태에 첨가되어질 수 있다. 피부외용제로서 처방되는 경우 상기 우르솔릭산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은 특별한 한정을 요하는 것은 아니나, 전체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우르솔릭산이 바람직하게는 크림제의 경우 0.1∼0.2%, 바람직하게는 0.11∼0.13%,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 함유하도록 제제설계하였고, 겔제의 경우도 크림제와 동일하게 0.1∼0.2%, 바람직하게는 0.11∼0.13%,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로 조성되어질 수 있는 양으로서 첨가되어진다.
또한, 크림제 또는 겔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 종래 이러한 제형에 관용적으로 첨가되는 각종 첨가제, 보조제 등과 함께, 우르솔릭산의 피부투과량과 피부침적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떠한 성분도 함유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에 보습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바셀린 등이 첨가되어질 수 있다. 특히 수분증발율을 낮추기 위해서 프로필렌글리콜, 바셀린을 첨가할 수 있다. 피부침적량은 분산기제로 산탄검과 폴록사머 407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보습제로 글리세린과 프로필렌글리콜을, 지질로 바셀린과 포스파티딜콜린(PC)를 사용한 처방에서 특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EDTA-2Na, 아스콜빈산 팔미테이트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피부투과량과 피부침적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세라마이드를 첨가할 수 있다. 세라마이드는 스핑고신과의 혼합물의 형태로 제공되어져도 좋으며, 예를 들어 현재 시판중인 상품명 Cerix가 이에 해당한다. Cerix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성물 중 중량 대비 0.1∼1.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제조예가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수상으로 폴록사머 407, 산탄검, 프로필렌글리콜, EDTA-2Na, 글리세린, 메틸파라벤, 소디움 히알유로네이트, 글리세린을 60∼80℃ 정도에서 혼합하고, 1500∼2500rpm으로 2∼10분간 균질화하여 수상을 얻는다. 한편, 바셀린, 비즈왁스, 란테-O, 아라셀165, 아라셀60, 세릭스-5, 디메티콘, 사이클로메티콘, 아스코르빈산 팔미테이트 등을 60∼80℃ 정도에서 용해/용융시켜 혼합하여 얻은 유상을 상기 수상에 첨가한 후 3000∼5000rpm으로 약 5∼15분간 균질화시킨다. 상기 혼합물에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에멀젼을 첨가하여 다시 3000∼5000rpm으로 약 5∼15분간 균질화시키고,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하는 과정을 통해 피부외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시약 및 기기, 실험동물은 아래와 같으며, 이하의 구 체적인 본 실시예에서는 우르솔릭산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제제를 제조하고, 이로부터 크림 및 겔제의 피부외용제를 제조한 후 동물실험을 수행한 결과에 대해 언급되어질 것이다.
시약 및 기기
시약으로는 우르솔릭산(UA, LG생활건강(주), Korea), 크레모포르 EL(시그마, 미국), 아스코빌 팔미테이트(시그마, 미국), Cerix-5(세라마이드 : 스핀고신 50:50, 두산, 한국), 소디움 히아루로네이트(동국 제약, 한국), 포스파티딜 콜린(이하 PC), Lantte-o, Aracel 165, Aracel 60, 비즈왁스, EDTA-2Na, 글리세린, 산탄검, 바셀린, 디메티콘(Dimethicone) 및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은 LG 생활건강에서 폴록사머 407(BASF, 독일),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스테르 (Transcutol®, GATTEFOSSE, 프랑스) 및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토니트릴(HPLC 등급)을 사용하였으며 그 외 벤질 알코올 등은 일급 또는 특급을 사용하였다.
기기로는 레이저 입자분석기(ELS-8000, Otsuka electronics Co. Ltd., 일본), 콘 엔 플레이트 점도계(Bookfield Engineering Labs Inc., 미국, 모델 DV-Ⅲ), 프란츠형 확산 셀(Bull, 한국), 자기형 교반기 및 핫플레이트(KMC-130 SH, Vision Science, 한국), 미량원심분리기(VS-15000, Vision Science, 한국), Skicon-200(I.B.S., 일본), Corneometer CM820(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독일), HPLC(Waters 2690 alliance, Waters 996 포토다이오드 배열 검출기, Waters, 미국), 고전단 균질화기(IKA -Werke , Junke & Kunkel GmKG & CoKG, 독일), 초음파발생기(Branson Co., 미국) 및 쉬린지 필터(Puradisc 25 AS, 0.45㎛ pore size, Whatman, 독일), 수분 분석기 (모델 MA 50, Satorius, 독일) 등을 사용하였다.
실험동물
8-10 주령의 웅성 무모 마우스로 샘타코에서 구입하여 20∼23℃, 상대습도 55±5%, 명암 교대 시간 12시간을 유지하는 사육조건에서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우르솔릭산(UA)의 용해도
UA 일정과량(0.5g)을 취하여 벤질 알코올,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및 Transcutol CG 10 ml에 각각 가해 30분간 초음파 처리후, 4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평형에 도달하게 하여 15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취하여 막여과기로 여과하여 여액을 직접 HPLC로 측정하여 미리 작성한 검량선 식에 의하여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칼럼은 XTerraTM RP18 (5㎛, 4.6×250 mm),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 : 1.25% 인산염 완충액 = 86 : 14, 유속은 1.0 ml/min, 파장은 206 nm이었다.
여러 가지 용매에 대한 UA의 용해도를 측정한 수치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즉 벤질 알코올에서 3.27, 에탄올에서 0.35, 프로필렌 글리콜에서 0.25, 1,3-브틸렌 글리콜에서 0.28 및 Transcutol CG에서 0.427%로 벤질알코올에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마이크로에멀젼 제조시 용매로 벤질 알코올을 보조용해제로 에탄올을 선택하였다.
<표 1>
용매 용해도(mg/㎖)
벤질알콜 32.67
에탄올 3.54
프로필렌글리콜 2.48
1,3-부틸렌글리콜 2.83
트랜스큐톨 CG 4.27
<실시예 2>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 및 평가
상 평형도 작성
유상으로 UA 함유 벤질 알코올과 에탄올 혼합액(1:1), 계면 활성제로 Brij 35, 크레모포르 EL 및 크레모포르 RH 40, 그리고 수상으로 3차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UA를 용해한 벤질 알코올과 에탄올의 혼합액(1:1)을 유상으로 하고, 계면활성제의 함량비를 변화시키면서 마이크로에멀젼의 전구 농축액을 제조하고 수상을 일정량씩 증가시키면서 안정한 마이크로에멀젼이 형성되는 영역을 관찰한 후, 3차 증류수로 10배 희석하였을 때 24시간 동안 침전이 일어나지 않는 영역을 선택하여 상평형도를 작성하였다.
O/W 마이크로에멀젼 제조
작성된 상평형도에 의하여 입자가 작고 균질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하는 영역을 바탕으로 표 2와 같은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벤질알코올과 에탄올(1:1) 혼액에 0.75%로 UA를 용해시키고 계면 활성제(Brij 35, 크레모포르 EL 및 크레모포르 RH 40)를 넣어 가온 교반하면서 용해하였다. 여기에 수상을 서서히 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시켰다. 이 때 Brij 35, 크레모포르 EL 및 크레모포르 RH 40를 사용한 것을 각각 마이크로에멀젼Ⅰ, Ⅱ 및 Ⅲ이라 명명하였다.
<표 2>
성분 마이크로에멀젼(g)
우르솔릭산 0.30 0.30 0.30
벤질알콜 20 20 20
에탄올 20 20 20
Brij35 18 - -
크레모포르 EL - 18 -
크레모포르 RH40 - - 18
q.s to 100
U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용해보조제, 용매 및 물로 이루어진 상평형도를 작성하여 도 2에 나타내었으며 넓은 영역에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하였으나 24시간 경과시 침전이 형성되지 않는 안정한 영역의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범위는 UA함유 벤질 알코올/에탄올 : Brij 35 : 물의 전체중량 비는 Brij 35의 경우 40∼45 : 15∼25 : 45∼50, 크레모포르 EL의 경우 40∼45 : 15∼25 : 45∼50, 크레모포르 RH40의 경우 40∼45 : 15∼25 : 45∼50이었다. 따라서 침전을 형성하지 않는 안정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하는 영역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평균입자크기 및 입도 분포의 측정
제조된 마이크로에멀젼의 물리적인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평균 입자크기 및 입도 분포를 동적 광산란법을 이용한 ELS-8000(Otsuka electronics, 일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광원으로 He-Ne 레이저, 측정 파장은 632.8 nm, 산란각도는 90°로 설정하고 25℃±1, 강도 8000∼14000 cps에서 3차 증류수로 5배 희석 하여 측정하였다.
3종의 계면 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이크로에멀젼의 평균입자크기와 입도분포를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즉 마이크로에멀젼 Ⅰ, Ⅱ 및 Ⅲ의 입도분포는 각각 7610.91±360.1, 26.8±6.6 및 37.2±7.0 nm로서 Brij를 사용한 마이크로에멀젼 I보다는 II와 III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분포를 나타내었고, 특히 크레모포르 EL을 계면활성제로 사용한 마이크로에멀젼 II는 상평형도에서도 넓은 영역에서 안정한 계를 형성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UA 외용제제를 제제 설계하기로 하였다.
<표 3>
마이크로에멀젼 평균입자크기(nm)
7610.9±360.1
26.8±6.6
37.2±7.0
<실시예 3> UA 외용제의 제조
UA의 마이크로에멀젼을 O/W형 크림제에 분산시켜 외용제를 제조하였다. 즉 표 4의 처방에 따라 수상으로 1% 산탄 검과 20% 폴록사머 407, 보습제로 글리세린과 프로필렌 글리콜, 지질로 PC, Cerix-5(세라마이드 : 스핀고신 = 1:1) 및 바셀린을 사용하여 도 3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4>
성분 처방(w/w%)
A B C D E F G
마이크로에멀젼Ⅱ 40 40 40 40 40 40 40
글리세린 7 7 7 5 5 5 7
프로필렌글리콜 3 3 3 5 3 3 3
산탄검 0.1 - 0.05 0.1 0.1 0.05 0.1
폴록사머 407 - 2 1 - - 1 -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소디움 히아루로네이트 0.05 0.05 0.05 0.05 0.05 0.05 0.05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비즈왁스 1 1 1 1 1 1 1
바셀린 1 1 1 1 3 3 1
Lantte-O 3 3 3 3 3 3 3
Aracel 165 1 1 1 1 1 1 1
Aracel 60 1 1 1 1 1 1 1
Cerix-5 2 2 2 2 2 2 -
포스파티딜콜린 - - - - - - 2
사이클로메티콘 2 2 2 2 2 2 2
디메티콘 1 0.5 0.5 0.5 0.5 0.5 0.5
아스코빌 팔미테이트 0.5 0.5 0.5 0.5 0.5 0.5 0.5
q.s to 100
산탄 검과 폴록사머 407 단독 및 혼합하여 제제설계를 하여(처방 A, B 및 C) 친수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피부 투과율을, 글리세린과 프로필렌 글리콜을 7:3(처방 A)과 5:5(처방 D)의 비율로 바꾸어 농도에 따른 보습효능을 평가하였다. PC와 지질의 첨가여부에 의한 보습 및 피부송달 효능 실험을 위하여 기본 처방 A와 글리세린의 양을 줄이고 바셀린의 농도를 증가시킨 처방 E와 F, Cerix-5 대신 PC를 사용한 처방 G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유동학적 성질
기제의 레지올로지 특성인 조도, 퍼짐성, 점도 등이 피부 흡수에 크게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요변성의 정도는 연합의 난이도, 피부 도포성 등을 알 수 있으므로, 제제의 유동학적 성질을 측정하여 약물의 피부투과, 피부내 침적 및 제제의 안정성과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즉 점도는 콘 엔 플레이트 형 점도계인 Brookfield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측정 셀은 cp-51 타입, 시료의 양은 1g을 사용하였으며 측정온도는 25±0.5℃로 유지시키고, 측정 전에 0점 조절을 하였다. 시료를 측정 셀에 가하고 일정한 전단속도를 0∼173 sec-1로 변화를 주어 겉보기 점도를 측정하여 제제의 레오그램을 작성하여 흐름의 양상을 파악하였다.
약물의 피부투과, 피부내 침적량의 영향 및 제제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제제의 유동학적 성질, 즉 겉보기 점성도(ηapp)와 전단응력을 전단속도로 나눈 값의 평균값을 측정하여 표 5와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5> 전단속도 76.8 sec-1에서의 평균 점도(25℃, 평균±표준편차, n=3)
처방 점도(cps)
A 1312±112
B 1649±89
C 2080±161
D 1068±44
E 1611±104
F 1869±61
G 0352±61
UA 외용제의 유동성은 비뉴턴계 중에 원점을 통과하면서 거의 직선성이 없는 유사소성 흐름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처방의 레오그램은 상향곡선의 모양이 부푼듯한 곡선(bilged curve)을 형성하였고, 하향곡선이 상향곡선의 좌측으로 이동되어 이력고리를 형성하여 모두 요변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제제의 물리적 안정성이 좋을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분산 기제에 사용된 겔 제제에서 산탄 검과 폴록사머 407을 혼합하여 사용한 처방 C와 F에서 더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으며 보습제로 글리세린의 양을 줄이고 프 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하면 점도가 더 낮아진다(처방 D). 또한 지질로 Cerix-5를 사용하는 처방(A)보다 PC를 사용한 처방(G)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글리세린의 양을 줄이고 바셀린의 양을 늘린 처방(E와 F)에서 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2> 보습효능 평가
건조감량 평가
제제 중의 수분 보유능 측정은 수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지름 6 cm의 원형 알루미늄박에 시료 1 g을 정확히 취하여 놓은 후, 45℃에서 5분마다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고, 각 시료마다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피부 송달 외용제제 개발을 위한 제제 설계에서 보습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제들을 사용하여 수분의 건조감량을 측정하여 보습 효능 평가값을 도 5에 나타내었다. 120분 후에 폴리머에 따라 수분 증발율을 비교하였을 때 산탄검만을 사용한 처방 A는 61.06%, 폴록사머 407을 사용한 처방 B는 34.07%, 두가지를 혼합한 처방 C는 43.80%로서 폴록사머 407의 첨가에 의해 수분 증발율이 감소되었다. 또한 처방 D와 E의 수분 증발율은 54.19와 40.22%로서 프로필렌글리콜과 바셀린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보습 평가
건강한 성인 남녀 6명을 대상으로 25 ℃, 상대습도 50% 조건에서 전완부 (前腕部, ventral forearm)에 시료를 도포하고 corneometer와 skicon을 이용하여 단 기 피부 보습능을 평가하였다. 시료 도포 전과 시료 도포 1, 3 및 7시간 후 팔의 보습력을 측정하여 증가한 %값을 비교하였다.
도 6은 Corneometer와 Skicon을 사용하여 인체에 도포하여 보습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제제를 도포하고 1시간 후 보습효과는 처방 A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7시간 이후에도 다른 처방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다. 이 때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대조군 부위에 보습력의 차는 실험 시작부터 실험이 끝날 때까지 큰 변화를 보이고 있지 않아 본 실험의 환경적 영향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기기의 결과가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어 측정기기에 의한 영향도 크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3> 시험관내 피부내 약물 침적 실험
8주령의 웅성 무모 마우스의 피부를 적출하여 제조된 시료(처방 A, B, C, D, E, F 및 G)를 피부에 도포하여 프란츠(Franz)형 확산 셀을 사용하여 37±0.5℃에서 6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측정하였다. 이 때 외용제를 도포한 피부의 면적은 2.303 ㎠ 이고, 수용체 상(receptor phase)는 pH 7.4 등장 인산염 완충액 11.8 ml로 채웠다. UA 외용제 1 g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고 3, 6 및 9시간 후 피부 표면에 남은 약물을 메탄올로 완전히 씻은 다음 2.303㎠의 원을 그려 피부를 적출하였다. 적출된 피부는 해부용 가위를 사용하여 잘게 자른 뒤 메탄올 5 ml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하룻밤 방치하고, 30분간 초음파 처리한 다음 조직 연마기를 이용하여 10분간 피부를 분쇄하였다. 분쇄한 액을 15000 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 한 뒤에 상층액을 취하여 여과한 여액을 HPLC로 정량하여 피부내 침적된 약물량을 측정하였다.
피부내 약물의 침적량은 도 7에 나타내었다. 폴록사머 407과 산탄 검의 영향을 평가하였을 때 처방 A, B 및 C에서 3, 6 및 9시간후의 피부 침적량은 각각 122.9, 144.6 및 205.6, 227.7, 146.2 및 247.2 그리고 271.4, 221.7 및 349.2 ug/g이었으며 산탄 검은 초기에는 낮은 침적량을 보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시 더 많은 양이 침적되었다.
글리세린의 농도를 줄이고 프로필렌글리콜을 늘인 처방 D에서 피부 침적량은 3, 6 및 9시간에 162.6, 246.0 및 263.2 ug/g으로서 처방 A에 비해 9시간 이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지만 3과 6시간에는 더 높았다. 이는 유동학적 특성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와 친수성 기제인 프로필렌 글리콜의 영향인 것으로 사료된다.
지질의 종류에 따른 피부 침적을 비교하였을 때 3과 6시간에는 A, E, F 및 G 순서로 높은 침적량을 보이다가 9시간에는 처방 E와 F가 G보다 높은 침적율을 보이므로 지질을 PC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4> 단기 안정성 시험
Benjamin 등(E.J. Benjamin, M. Lee, J. Tom, L.Y. Lin, M.Henesian and D. Wu, Stabilization of sulconazole nitrate in a topical powder formulation, Int. J. Pharm. 14, 209-221 (1983))의 방법을 참고하여 처방 A, B 및 C를 바이알에 충진하여 실온과 40℃에서 0, 10, 20 및 30일에 0.1g을 취하여 메탄올에 용해시켜 HPLC로 분석하여 UA의 잔존량을 측정하였다.
UA 외용제의 25와 40℃에서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즉 25와 40℃에서 처방 A, B, C 모두 30일에서 약물 잔존율은 모두 90%이상이었으므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EDTA-2Na와 항산화제로 아스콜빈산 팔미테이트를 첨가하여 시험한 결과 제조된 UA 외용제는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약물의 용해성과 우르솔릭산의 피부흡수성을 증가시키고 피부층의 지속작용을 도모하여 약물의 생체이용율을 증가시킨 피부외용제조성물 및 이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11)

  1. 활성성분인 우르솔릭산, 벤질알콜과 에탄올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유상과, 상기 유상에 첨가되는 계면활성제 및 수상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크레모포르 계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이 벤질알콜/에탄올: 계면활성제:물을 40~45:15~25:45~50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의 마이크로에멀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가 크림형 또는 겔형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가 수상에 산탄검 또는 폴록사머의 어느 하나 또는 두 성분을 모두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보습제로 글리세린, 바셀린 또 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지질로 PC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세라마이드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EDTA 2나트륨염과 아스콜빈산 팔미테이트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벤질알콜과 에탄올의 혼합액을 유상으로 하여 우르솔릭산을 용해하는 단계; 및 계면활성제를 상기 유상에 첨가하고, 수상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20050047994A 2005-06-03 2005-06-03 우르솔릭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이를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 KR20060126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994A KR20060126247A (ko) 2005-06-03 2005-06-03 우르솔릭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이를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994A KR20060126247A (ko) 2005-06-03 2005-06-03 우르솔릭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이를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247A true KR20060126247A (ko) 2006-12-07

Family

ID=3773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994A KR20060126247A (ko) 2005-06-03 2005-06-03 우르솔릭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이를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62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4707A (zh) * 2019-07-19 2019-11-19 湖南先伟实业有限公司 一种熊果酸稳定的水包油型皮克林乳液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4707A (zh) * 2019-07-19 2019-11-19 湖南先伟实业有限公司 一种熊果酸稳定的水包油型皮克林乳液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ndawgade et al. Development of SLNs from natural lipids: application to topical delivery of tretinoin
Nasr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cubosomes containing colchicine for transdermal delivery
JP5567329B2 (ja) イベルメクチンを含む、少なくとも1つの脂肪相と少なくとも1つの水相を含む組成物
Shah et al. Solid lipid nanoparticles (SLN) of tretinoin: potential in topical delivery
JP7250689B2 (ja) 活性化合物のための局所送達系
EP2644190A1 (fr) Formulation pour l&#39;hormonothérapie
de Araújo et al. Mucoadhesive in situ gelling liquid crystalline precursor system to improve the vaginal administration of drugs
Liu et al. Enhanced skin permeation of glabridin using eutectic mixture-based nanoemulsion
KR20090098981A (ko) 링커계 레시틴 마이크로에멀션 전달체
Setya et al. Appraisal of transdermal water-in-oil nanoemulgel of selegiline HCl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arkinson’s disease: pharmacodynamic, pharmacokinetic, and biochemical investigations
CN108159055A (zh) 治疗乳腺癌的长效递药系统、其制备方法及应用
Demisli et al. Encapsulation of cannabidiol in oil-in-water nanoemulsions and nanoemulsion-filled hydrogels: a structure and biological assessment study
Mishra et al. Liranaftate loaded Xanthan gum based hydrogel for topical delivery: Physical properties and ex-vivo permeability
JP2023139134A (ja) 皮膚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フェノルドパム局所製剤
Sujatha et 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finasteride ethosomes
Kumar et al. Design,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Topical Microemulsions of 5-Fluorouracil for the Treatment of Non Melanoma Skin Cancer and its Precursor Lesions.
Drais et al. Formulation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meloxicam nanoemulgel to be used topically
JP2022501314A (ja) 局所用組成物
DE602004012413T2 (de) Halbfeste formulierung für die orale verabreichung des taxols
KR20060126247A (ko) 우르솔릭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이를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마이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
Ananth et al. Topical delivery of fenugreek seed extract loaded solid lipid nanoparticles based hydrogels for alopecia
Bharade et al. Development of Micro-Emulsion Gel based Topical delivery of Salicylic acid and Neem oil for the management of psoriasis
JP2003342171A (ja) ディスラノール投与のための組成物
KR102436044B1 (ko) 투명한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042486A (zh) 亲脂性物质的水溶液,特别是药物物质溶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