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420A -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420A
KR20060125420A KR1020050047452A KR20050047452A KR20060125420A KR 20060125420 A KR20060125420 A KR 20060125420A KR 1020050047452 A KR1020050047452 A KR 1020050047452A KR 20050047452 A KR20050047452 A KR 20050047452A KR 20060125420 A KR20060125420 A KR 20060125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assembly
case
button
inclined surface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5420A/ko
Publication of KR2006012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6Assembling of butt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11B33/025Portable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케이스(20)와 상부케이스(22)가 결합하여 전자기기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상부케이스(22)의 중간에는 디스플레이부(26)가 설치되는 평면(23)이 형성되고, 상기 평면(23)의 양단에는 평면(23)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3')이 구비된다. 상기 경사면(23')에는 각각 버튼조립체(30,30')가 설치되는데, 상기 버튼조립체(30,30')를 구성하는 제2기판(33,33')은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23')의 배면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에 의하면 버튼조립체를 케이스의 경사면에 설치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외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케이스의 경사면에 버튼조립체가 설치되어 있어도 그 경사에 대응되게 기판이 설치되어 있어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 버튼, 경사면, 설치, 기판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Button assembly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경사면에 버튼조립체가 설치되는 것을 가상으로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튼조립체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판이 상부케이스의 배면에 장착된 것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하부케이스 22: 상부케이스
23: 평면 23': 경사면
26: 디스플레이부 26': 제1기판
30,30': 버튼조립체 32,32': 버튼
33,33': 제2기판 34,34': 체결나사
36,36': 스위치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조립체를 케이스의 표면에 형성된 경사부에 설치하는 버튼조립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용 전자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예를 들면, 휴대폰, MP3플레이어, 보이스레코더, PDA등이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의 편의를 위해 경박단소화되고, 외관 디자인이 부드러운 곡면을 많이 가지도록 설계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MP3플레이어이다.
이에 따르면, 하부케이스(1)와 상부케이스(2)가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와 상부케이스(2)는 그 외관이 주로 곡면으로 형성되면서도 전체적으로 양단을 제외한 부분이 사각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의 중간부분은 대략 평면(3)이고, 그 양단부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3')으로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의 외부로 노출되게 다수개의 버튼(5)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5)은 주로 하부케이스(1)의 외면중 평평한 면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의 평면(3)에는 디스플레이부(7)와 다기능 버튼조립체(9)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이고, 다기능 버튼조립체(9)는 하나의 버튼이 눌러지는 방향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일명 조그키이 조립체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상부케이스(2)에는 디스플레이부(7)와 다기능 버튼조립체(9)가 모두 평면(3)에만 구비되고, 양단의 경사면(3')에는 설치될 수 없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의 배면에 디스플레이부(7) 및 버튼조립체(9)와 관련해서 설치되어야 하는 기판(10)이 상부케이스(2)의 배면 전체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의 배면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지 않도록 설치된 하나의 기판(10)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하부케이스(1)와 상부케이스(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사용 효율성이 떨어져 휴대용 전자기기를 경박단소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부케이스(2)의 경사면(3')과 같이 경사진 면에 다기능 버튼조립체(9)를 설치할 경우 기판(10)이 상기 경사면(3')과 평행하게 설치되지 않으면, 기판(10)에 구비되어 다기능 버튼조립체(9)를 구성하는 스위치(10')가 정확하게 눌러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경사면에도 다기능 버튼조립체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경사면에 설치된 다기능 버튼조립체의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의 일부를 구성하고 인접한 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경사면에 수직방향으로 동작되는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에 의해 눌러지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별도의 기판이 상기 경사면의 배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버튼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중간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평면의 양단에는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각각 버튼조립체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판과 상기 각각의 버튼조립체의 기판은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평면 및 경사면의 배면에 평행하게 고정된다.
상기 버튼조립체는 조그키이와 멀티버튼조립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에 의하면 버튼조립체를 케이스의 경사면에 설치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외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케이스의 경사면에 버튼조립체가 설치되어 있어도 그 경사에 대응되게 기판이 설치되어 있어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조립체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판이 상부케이스의 배면에 장착된 것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부케이스(20)와 상부케이스(22)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하부케이스(20)와 상부케이스(22)는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케이스(20)와 상부케이스(22)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기의 외관은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사각기둥 형상이고, 모서리들은 곡면으로 된다. 전자기기의 외관 양단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22)의 양단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케이스(22)의 중간부분은 평평한 평면(23)이고, 그 양단부는 소정의 경사진 경사면(23')이다. 상기 상부케이스(22)의 경사면(23')에 대응되는 하부케이스(20)의 부분도 약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2)의 평면(23)에는 디스플레이부(26)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6)는 전자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6)는 액정패널 등이 사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6)의 동작과 관련되는 부품이 실장된 제1기판(26')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6)가 설치된 상부케이스(22)의 평면(23) 배면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2)의 경사면(23')에는 다기능 버튼조립체(30,30')(이하 ' 버튼조립체'라 한다)가 설치된다. 상기 버튼조립체(30,30')는 예를 들면, 일명 조그키이(30)나 각각 별개의 기능을 하는 다수개의 버튼이 구비된 멀티버튼조립체(30')이다. 즉, 도 3에서 상부케이스(22)의 우측 경사면(23')이 설치된 것이 조그키이(30)이고, 좌측 경사면(23')에 설치된 것이 멀티버튼조립체(30')이다.
상기 버튼조립체(30,30')는 상기 상부케이스(22)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버튼(32,32')과, 상기 버튼(32,32')에 탄성력을 부여하고 상부케이스(22)에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버튼홀더(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상부케이스(22)의 경사면(23')에 평행하게 설치된 각각의 제2기판(33,33')에 실장되어 상기 버튼(32,32')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치(36,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32,32')은 상기 경사면(23')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상기 버튼홀더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2기판(33,33')은 상기 상부케이스(22)의 경사면(23')의 배면에 체결나사(34,34')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제2기판(33,33')이 상부케이스(22)의 경사면(23')의 배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면, 상기 제2기판(33,33')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32,32')에 의해 눌러지는 스위치(36,36')가 정확하게 동작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버튼(32,32')에 의해 스위치(36,36')에 가해지는 힘이 스위치(36,36')의 수직상방에서부터 가해지게 되어 스위치(36,36')가 정확하게 눌러지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20,22)중 다른 면에 대해 경사진 면에 버튼조립체(30,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부케 이스(22)의 경사면(23')을 통해 버튼조립체(30,30')의 버튼(32,32')이 노출되게 설치하는데, 상기 버튼(32,32')은 상기 경사면(23')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버튼홀더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32,32')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지는 다수개의 스위치(36,36')가 실장된 제2기판(33,33')이 상기 경사면(23')의 배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기판(33,33')에 실장된 스위치(36,36')는 그 수직 상방에서 접근하는 상기 버튼(32,32')에 의해 눌러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버튼(32,32')이 동작되면, 스위치(36,36')가 정확하게 눌러지면서 버튼조립체(30,30')의 동작신뢰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부케이스(22)의 경사면(23')에 설치된 버튼조립체(30)를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경사면(23')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버튼(32,32')을 눌러주면 버튼조립체(30,30')를 구성하는 스위치(36,36')가 버튼(32,32')에 의해 정확하게 눌러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버튼(32,32')에 의해 눌러지는 스위치(36,36')가 실장된 제2기판(33,33')을 각각의 버튼조립체(30,30')에서 별도로 하고, 또한 디스플레이부(26)를 구성하는 제1기판(26')과도 별개로 함에 의해, 제2기판(33,33')을 경사면(23')의 배면에 평행하게 설치하여, 이에 실장된 스위치(36,36')가 상기 버튼(32,32')의 경사면(23')에 대한 수직방향운동에 의해 정확하게 눌러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하부케이스(20)와 상부케이스(22)로 구성되고, 상부케이스(22)의 중간의 평평한 평면에 대해 양단에 경사진 경사면(23')에 버튼조립체(30,30')를 설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일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진 경사면에 버튼조립체를 설치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전자기기의 케이스에라도 적용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경사면에다 버튼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케이스의 외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의 케이스의 경사면에 설치된 버튼조립체에서 경사면에 대해 수직으로 동작되는 버튼에 의해 상기 경사면의 배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기판의 스위치가 눌러지므로 버튼조립체의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된다.

Claims (3)

  1. 외관의 일부를 구성하고 인접한 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경사면에 수직방향으로 동작되는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에 의해 눌러지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별도의 기판이 상기 경사면의 배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버튼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중간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평면의 양단에는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각각 버튼조립체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판과 상기 각각의 버튼조립체의 기판은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평면 및 경사면의 배면에 평행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조립체는 조그키이와 멀티버튼조립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KR1020050047452A 2005-06-02 2005-06-02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KR20060125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452A KR20060125420A (ko) 2005-06-02 2005-06-02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452A KR20060125420A (ko) 2005-06-02 2005-06-02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420A true KR20060125420A (ko) 2006-12-06

Family

ID=3772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452A KR20060125420A (ko) 2005-06-02 2005-06-02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54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065A (ko) * 2012-08-21 201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065A (ko) * 2012-08-21 201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6906B2 (en) Tactile electromechanical data input mechanism
JP2019133618A (ja) タッチモジュール及びタッチモジュールを有する電子計算機
US8988865B2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2014703A (ja) タッチ式透明キーボード
JP4751470B2 (ja) 電子機器
JP644376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ベース部材
TW201251589A (en) Touchpad assembly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606377B1 (en) Touchpad module and computing device using same
JP2011082219A (ja) 電子機器
US8963032B2 (en) Button assembly flush with electronic device casing
US11309144B1 (en) Pressing device
JP4299737B2 (ja) 表示装置及び前記表示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TW201322889A (zh) 手持電子裝置
KR20060125420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JP2004259537A (ja) 電子機器および押しボタンユニット
JP4309732B2 (ja) 情報機器
JP2002131726A (ja) 液晶表示装置
WO2014006756A1 (ja) スイッチユニット及び電子装置
KR2013008228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장치
US20130020187A1 (en) Key cap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US20120165081A1 (en) Mobile device
JP7175794B2 (ja) 片持ち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操作装置
JP5841113B2 (ja) タッチパッド構造及び電子機器
JP6241497B2 (ja) 電子装置
KR101263123B1 (ko)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