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338A -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338A
KR20060125338A KR1020050047335A KR20050047335A KR20060125338A KR 20060125338 A KR20060125338 A KR 20060125338A KR 1020050047335 A KR1020050047335 A KR 1020050047335A KR 20050047335 A KR20050047335 A KR 20050047335A KR 20060125338 A KR20060125338 A KR 20060125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elastic
chai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7370B1 (ko
Inventor
배인묵
Original Assignee
배인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인묵 filed Critical 배인묵
Priority to KR102005004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37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자(10)의 시트(13)의 후부 측으로 인체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11)를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12)에 등을 지지하는 양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프레임(12) 공간의 상부 측에 시트(13) 외측으로 통공형태의 상부유동공(111a)과 시트 측으로 통공형태의 지지봉삽입구(111b)를 구비한 상부결합구(111)를 결합 형성하고, 프레임(12) 공간의 하부에 시트(13) 측으로 통공형태의 하부유동공(112a)과 시트 외측으로 통공형태의 지지봉삽입구(112b)를 구비한 하부결합구(112)를 형성하며, 외측으로 주름형태로 프레임(12)의 공간의 외부로 커버하는 주름관(117)을 형성한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에 상부결합구(111)의 시트(13) 측에 고정하여 하부유동공(112a)에 삽입 결합하여 하단에 형성된 압축고정수단(122)와 하부결합구(112) 사이에 압축스프링(123)을 형성한 봉형태의 압축탄성지지봉(121)을 하부결합구(112)의 지지봉삽입구(112b)에 삽입하여 압축고정수단(122)으로 고정 형성하고, 하부결합구(112)의 시트(13) 외측에 형성된 지지봉삽입구(112b)에 삽입시켜 작용고정수단(126)으로 고정하여 상부유동공(111a)에 삽입되어 상단에 형성된 작용스프링지지구(128)로 고정되도록 결합하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의 사이에 작용스프링(127)을 형성하여 봉형태의 작용탄성지지봉(125)에 지지되도록 형성하여 프레임(12)이 전후로 유동하면 압축스프링(123)과 작용스프링(127)이 상호작동하는 탄성력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원위치되도록 형성한 탄성부(1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각도조절장치, 압축스프링, 작용스프링, 중앙지지부

Description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Angle Control Device for Back of Chair}
도 1은 종래기술의 등받이를 가진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등받이를 가진 의자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의 등받이를 가진 의자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의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등받이에 압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중앙지지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중앙지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인 막대스프링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중앙지지부의 다른 실시예인 지지구를 힌지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중앙지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인 전방링크와 후방링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의자 11 : 등받이
12 : 프레임 13 : 시트
14 : 다리 100 : 각도조절장치
110 : 지지부 111 : 상부결합구
111a : 상부유동공 111b : 지지봉삽입구
112 : 하부결합구 112a : 하부유동공
112b : 지지봉삽입구 113 : 고정수단
114 : 중앙보강공 115 : 중앙보강홈
116 : 힌지결합구 117 : 주름관
120 : 탄성부 121 : 압축탄성지지봉
122 : 압축고정수단 123 : 압축스프링
124 : 압축스프링지지구 125 : 작용탄성지지봉
126 : 작용고정수단 127 : 작용스프링
128 : 작용스프링지지구 130 : 중앙지지부
131 : 지지봉 132 : 고정핀
133 : 지지구 134 : 힌지구
135 : 막대스프링 136 : 전방링크
137 : 후방링크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시트의 후부 측으로 인체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를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에 등을 지지하는 양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프레임의 상하를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를 형성한 상태로 상부결합구의 시트 측으로 압축탄성지지봉을 고정하여 하부결합구의 통공형태의 하부유동공을 통과하여 하부결합구의 하부에 프레임 내측으로 압축스프링을 압축고정구로 고정 형성하고, 일정거리 이격된 하부결합구의 후측으로 작용탄성지지봉을 고정하고 상부결합구에 형성된 상부유동공을 통과하여 작용스프링으로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 사이에 작용탄성지지봉으로 지지하면서 설치한 상태로 상부결합구의 상부측에 프레임의 내측으로 작용고정구로 고정하여 사용자가 등받이에 압력을 가하면 시트 측으로 형성된 압축스프링과 시트 외측으로 형성된 작용스프링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일정한 각도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를 제공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를 뜻하는 것으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부터 의자식 생활을 해올 만큼 우리 생활에 밀접한 생활 가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의자는 앉기 편한 것, 앉아서 편한 것, 쓰기 편한 것이어야 한다. 이 조건이 갖추어질 때 비로소 좋은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그 기능성을 객관적으로 표시하는 적당한 방법이 없어 흔히 시각과 촉각을 중심으로 하는 감각적인 느낌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는 폐단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외양의 화려함에 현혹되어 뒷면의 디자인과 기능성을 소홀히 해왔다.
현대에 들어, 과학문명의 발달과 컴퓨터의 대중화에 따라 책상과 의자에 앉아서 일하는 경우가 증대됨으로써, 앉아서 몸을 움직이지 않고 일을 하는 경우가 빈번해 짐에 따라 근육과 뼈의 문제, 특히 통증과 불편을 호소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었다.
이렇게, 장시간 불편한 자세를 계속 취할 경우 모세혈관의 혈액순환방해, 근육피곤 등으로 척추부분에 손상을 가지고 온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척추의 손상을 최소화 하기 위한 영양분의 공급은 허리부분의 움직임에 의해 원활해 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자세를 바꾸면 피로를 줄일수 있다는 연구 자료도 발표되고 있다.
최근들어, 인간이 만드는 기계나 도구는 인간이 쓰기 편하도록 설계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사상에서 출발된 인체공학적 모토에 인체공학시스템을 디자인에 적용하면 기능과 디자인을 결부시켜 이상적인 결과에 이르게 되며 이것이 최근 실생활 속에 인체공학이 응용되게 된 이유이다.
이러한, 인체공학을 응용해서 의자의 기능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의자에 걸터앉은 기분을 지배하는 인자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신체의 골격구조에 맞추어 역학적인 인체 모델로 대치하여 의자 와의 관계를 생각하고, 인체를 계측하여 필요한 치수에 의해 신체의 감각 분포와 좌면(座面)의 체압분포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자세와 피로감의 관계를 근육의 활동면에서 조사해 피로가 적은 조건을 찾아내어, 동작분석의 자료에 따라 의자의 모양을 생각하는 동시에 쿠션성을 수량화하여 좌면의 구조를 합리적으로 계획하면서 좋은 품질로 이미 인정받은 의자의 구조나 모양을 관찰조사하여 합리적인 요점을 찾아내어 인체에 적합한 최적의 디자인을 찾아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먼저 책상과 의자가 있고 거기에 사람의 몸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우선 인간이 있고 거기에 맞는 의자를 설계하고 다음에 인간과 의자에 적합한 책상을 생각한다는 것이 설계의 순서가 되어야 하며 알맞은 치수도 또한 결정되어야 한다.
의자를 기능면에 중점을 두고 선택할 때는 우선 첫째는 치수가 알맞을 것, 너무 높거나 깊은 것은 좋지 않다. 둘째는 체압분포(體壓分布)가 신체의 감압분포에 적합할 것, 특히 좌면에서는 압력분포가 좌골결절 부분에 집중하므로 대퇴후면에는 그다지 큰 압력이 걸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로 자세의 지지조건이 합리적일 것, 이것은 등받이의 형상과 좌면의 경사정도에 관계된다. 의자에서 중요한 것은 좌면보다 오히려 등받이이다. 넷째는 탄성의 구조가 적당할 것, 지나치게 부드러운 의자는 자세의 지지가 불안정하여 피곤하기 쉽고 체압의 분포도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건을 무시한 의자는 외양이 아무리 호화로워도 잠시만 앉아 있으면 피로해지는 의자이기 쉽다. 신체에 꼭 맞는 커브면과 연한 쿠션을 가진 것이 좋다 고 하던 종래의 의견이 인체공학 입장에서 정정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인체공학적 입장에서 의자에 앉은 사람들의 자세를 다양하게 바꾸며 적절한 등받침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등받침대의 역할은 몸통을 안정시키고 척추만곡을 지지하며, 상체를 지탱하여 하중을 분산, 결과적으로 척추에 부담을 덜어주는 주는 것으로, 등을 기대고 앉는 것은 무게를 척추와 골반으로 최고 31% 가량 분산시킨다.
그러나, 등 받침대가 인체의 움직임과 자세 변경을 방해하면 오히려 체중이 일측으로 집중되어 척추와 골반에 편향된 하중이 가해져서 큰 무리가 발생하며 척추가 자연적으로 움직일 수 없으면 자세가 비틀어지면서 척추와 골반에 무리가 가고 체압이 증가하여 불편한 자세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편안하고 안락한 의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면서 바른 등 받침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의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등받이 각도를 스프링 탄성을 이용하여 조절하는 특허출원번호 1987년 제5665호에서 출원한 등받이를 가진 의자를 도 1 내지 도 3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세로버팀대(18)과, 제 1단부들이 시트(19)에 핀으로 연결되고 제2단부 들이 세로버팀대(18)에 핀으로 연결된 플레이트들(25, 27)의 형태를 가진 부재들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평행사변형 링크장치에 의해 세로버팀대(18)에 연결되어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하나의 시트(19) 및 세로버 팀대(18)에 핀으로 연결되고 시트(19)의 상승위치에 대응하는 경사 위치사이에서 피벗 운동할 수 있는 등받이(20)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 금속튜브(21)가 하나의 플레이트(27)에 단단히 연결되며 상기 평행사변형 링크장치(18, 19, 25, 27)로 등받이(20)를 직립위치로 힘을 가하는 구조로 배치된 탄성수단(42)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등받이를 가진 의자는 등받이의 하부를 금속튜브로 연결한 상태로 평행사변형 형태의 링크장치를 복수로 설치하여 직립된 등받이에 형성된 탄성수단에 탄성에 의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절되는 것으로 의자의 등받이를 받치는 금속튜브를 횡방향의 튜브에 종방향으로 직립하는 등받이를 양측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작용점이 종방향의 양측으로 작용함으로써 중앙에 탄성수단에연결된 금속튜브에 직각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작용하중에 보다 많은 하중이 탄성수단에 작용함에 따라 탄성수단의 탄성력이 필요이상으로 소진되어 수명이 짧아지고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등받이를 가진 의자는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에 세로버팀대를 형성하고 평행사변형 형태의 링크장치로 등받이가 형성된 금속튜브를 탄성수단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하나의 탄성수단이 등받이와 연결구조의 하중을 모두 지지하여야 함에 따라 높은 탄성력이 필요함에 따라, 복잡한 구조에 따라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증대하고 높은 탄성력에 따라 생산비가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등받이를 가진 의자는 등받이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하부 에서 횡방향으로 연결된 금속튜브에 탄성수단을 연결하여 등받이를 일정한 각도로 피벗운동을 하는 것으로, 등받이에 사용자가 힘을 작용시켜 피벗운동을 실시하는 작용점은 등받이를 받치는 종방향에 양측으로 형성된 금속튜브의 일부분이고 작용힘에 의해 탄성작동함에 따라 작용점과 탄성반응점의 거리가 멀고 종방향의 작용점이 연결된 횡방향의 금속튜브를 탄성수단에 연결함에 따라 다른위치에 두점에서 발생한 작용점을 중앙에 탄성반응점에서 탄성으로 지지함으로 피벗운동을 실시할때 마다 정확한 각도로 움직이기 어렵고, 피벗운동이 지속됨에 따라 좌우에 불균형이 발생하면 탄성반응점에서 정확한 탄성력을 발생하지 못함에 따라 안락한 의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면서 바른 등 받침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의자의 시트의 후부 측으로 인체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를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에 등을 지지하는 양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프레임의 상하를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를 형성한 상태로 상부결합구의 시트 측으로 압축탄성지지봉을 고정하여 하부결합구의 통공형태의 하부유동공을 통과하여 하부결합구의 하부에 프레임 내측으로 압축스프링을 압축고정구로 고정 형성하고, 일정거리 이격된 하부결합구의 후측으로 작용탄성지지봉을 고정하고 상부결합구에 형성된 상부유동공을 통과하여 작용스 프링으로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 사이에 작용탄성지지봉으로 지지하면서 설치한 상태로 상부결합구의 상부측에 프레임의 내측으로 작용고정구로 고정하여 사용자가 등받이에 압력을 가하면 시트 측으로 형성된 압축스프링과 시트 외측으로 형성된 작용스프링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일정한 각도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안락한 의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면서 바른 등 받침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등받이에 힘을 가하는 양측의 프레임에 각도조절장치를 형성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작용점과 가까운 위치에서 각도조절장치의 복수의 탄성체가 작용과 압축을 통하여 일정한 각도로 전후로 유동함으로써, 압축과 작용으로 동시에 두개의 스프링이 상호 작용하여 탄성력이 증대하고 작용점의 근거리에서 하중을 분산하여 작은 힘으로 유동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안락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를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에 등을 지지하는 양측으로 형성된 공간에 작용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을 형성하여 두 스프링의 작용과 압축에 의해 일정각도로 탄성작용을 하도록 형성하되,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의 중앙에 통공형태의 중앙보강공에 핀으로 고정된 지지봉을 삽입 형성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일정한 각도로 유동하는 등받이의 탄성부 측을 보강하여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스프링을 지지하는 압축탄성지지봉과 작용스프링을 지지하는 작용탄성지지봉을 막대스프링 형태로 형성하여 압축스프링과 작용스프링을 지지하면서 탄성력을 배가시켜 구조의 변경 없이 간편하게 탄성력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등받이를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에 등을 지지하는 양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프레임의 상하를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로 밀봉 결합하는 결합 측으로 나사결합하는 고정수단을 형성하여 상부결합부와 하부결합부를 분리 설치가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설치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의 중앙에 힌지결합구를 형성하고 중앙에 사각면체 형상의 지지구를 형성하여 힌지결합시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일정한 각도로 유동하는 등받이의 탄성부 측을 보강하여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의 중앙의 일정 깊이의 중앙보강홈을 형성하고 중앙보강홈에 막대스프링을 삽입결합하여 중앙을 보강하면서 탄성력을 배가하여 구조의 변경 없이 간편하게 탄성력과 지지력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의 시트 측으로 압축스프링을 형성하고, 시트 외측으로 작용스프링을 형성하여 전후로 유동하도록 형성하되, 중앙의 일측에 시트방향으로 일정 각도 굴절시켜 힌지로 결합된 링크형태의 전방링크를 형성하고, 중앙의 타측에 시트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굴절시켜 힌지로 결합된 링크형태의 후방링크를 형성하여 전후로 유동시에 일정 각도를 벗어나면 일정각도 굴절된 링크가 펴지면서 각도를 제한하여 무리한 전후 유동을 억제하여 압축스프링과 작용스프링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하여 수명을 증대하면서 안락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의자의 시트의 후부 측으로 인체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를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에 등을 지지하는 양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프레임 공간의 상부 측에 시트 외측으로 통공형태의 상부유동공과 시트 측으로 통공형태의 지지봉삽입구를 구비한 상부결합구를 결합 형성하고, 프레임 공간의 하부에 시트 측으로 통공형태의 하부유동공과 시트 외측으로 통공형태의 지지봉삽입구를 구비한 하부결합구를 형성하며, 외측으로 주름형태로 프레임의 공간의 외부로 커버하는 주름관을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상부결합구의 시트 측에 고정하여 하부유동공에 삽입 결합하여 하단에 형성된 압축고정수단과 하부결합구 사이에 압축스프링을 형성한 봉형태의 압축탄성지지봉을 하부결합구의 지지봉삽입구에 삽입하여 압축고정수단으로 고정 형성하고, 하부결합구의 시트 외측에 형성된 지지봉삽입구에 삽입시켜 작용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상부유동공에 삽입되어 상단에 형성된 작용스프링지지구로 고정되도록 결합하되,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의 사이에 작용스프링을 형성하여 봉형태의 작용탄성지지봉에 지지되도록 형성하여 프레임이 전후로 유동하면 압축스프링과 작용스프링이 상호작동하는 탄성력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원위치되도록 형성한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서 나사결합방식의 고정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의 압축스프링을 지지하도록 봉형태로 상부결합구에 압축고정수단으로 고정된 압축탄성지지봉과 작용스프링을 지지하도록 봉형태로 하부결합구에 작용고정수단으로 고정된 작용탄성지지봉을 탄성체인 막대스프링으로 형성하여 탄성력을 배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의 중앙에 통공형태의 중앙보강공을 형성하고, 중앙보강공에 막대봉 형상의 지지봉을 삽입하여 상하를 고정핀으로 고정시켜서 중앙을 보강하도록 중앙지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의 프레임의 내측으로 힌지로 결합되는 힌지결합구를 형성하고 사각면체 형상의 상하단에 힌지구가 형성된 중앙지지부의 지지구를 중앙에서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부를 일정각도로 회전하도록 힌지결합시켜 탄성부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중앙에서 지지보강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부의 중앙에 일정깊이의 중앙보강홈을 형성하고, 중앙보강홈 사이에 중앙지지부의 막대스프링을 형성하여 중앙을 지지하면서 탄성력을 배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의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부의 사이 중앙의 일측에 시트 방향으로 일정 각도 굴절시켜 힌지로 결합된 링크형태의 중앙지지부의 전방링크를 형성하고, 중앙의 타측에 시트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굴절시켜 힌지로 결합된 링크형태의 중앙지지부의 후방링크를 형성하여 전후로 유동시에 일정 각도를 벗어나면 일정각도 굴절된 전방링크 및 후방링크가 펴지면서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등받이에 압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중앙지지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중앙지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인 막대스프링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중앙지지부의 다른 실시예인 지지구를 힌지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중앙지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인 전방링크와 후방링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의자(10)의 등받이(11)를 지지하는 프레임(12)의 양측으로 일정 간격의 공간을 형성하고 공간의 상부와 하부를 밀봉 결합하면서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에 전후면으로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삽입결합되어 압축스프링(123)과 작용스프링(127)을 전후로 고정 설치하여 압축스프링(123)과 작용스프링(127)의 상호 작용으로 일정각도로 전후로 유동하면서 원위치하는 탄성부(1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의자(10)의 시트(13)의 후부 측으로 인체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11)를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12)에 등을 지지하는 양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프레임(12) 공간의 상부 측에 시트(13) 외측으로 통공형태의 상부유동공(111a)과 시트 측으로 통공형태의 지지봉삽입구(111b)를 구비한 상부결합구(111)를 결합 형성하고, 프레임(12) 공간의 하부에 시트(13) 측으로 통공형태의 하부유동공(112a)과 시트 외측으로 통공형태의 지지봉삽입구(112b)를 구비한 하부결합구(112)를 형성하며, 외측으로 주름형태로 프레임(12)의 공간의 외부로 커버하는 주름관(117)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를 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해서 나사결합방식의 고정수단(11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120)는 지지부(110)에 상부결합구의 시트(13) 측에 고정하여 하부유동공(112a)에 삽입 결합하여 하단에 형성된 압축고정수단(122)와 하부결합구(112) 사이에 압축스프링(123)을 형성한 봉형태의 압축탄성지지봉(121)을 하부결합 구(112)의 지지봉삽입구(112b)에 삽입하여 압축고정수단(122)으로 고정 형성하고, 하부결합구(112)의 시트(13) 외측에 형성된 지지봉삽입구(112b)에 삽입시켜 작용고정수단(126)으로 고정하여 상부유동공(111a)에 삽입되어 상단에 형성된 작용스프링지지구(128)로 고정되도록 결합하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의 사이에 작용스프링(127)을 형성하여 봉형태의 작용탄성지지봉(125)에 지지되도록 형성하여 프레임(12)이 전후로 유동하면 압축스프링(123)과 작용스프링(127)이 상호작동하는 탄성력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원위치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120)의 압축스프링(123)을 지지하도록 봉형태로 상부결합구(111)에 압축고정수단(122)으로 고정된 압축탄성지지봉(121)과 작용스프링(127)을 지지하도록 봉형태로 하부결합구(112)에 작용고정수단(126)으로 고정된 작용탄성지지봉(125)을 탄성체인 막대스프링으로 형성하여 탄성력을 배가시키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의 중앙에 통공형태의 중앙보강공(114)을 형성하여 지지봉(131)을 삽입하여 중앙보강공(114)의 상하를 고정핀(132)으로 고정시켜 중앙을 보강하는 중앙지지부(1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의 상하 프레임(12)의 내측으로 힌지로 결합되는 힌지결합구(116)를 형성하고 사각면체 형상의 상하단에 힌지구(134)가 형성된 중앙지지부(130)의 지지구(133)를 중앙에서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부(112)를 일정각도로 회전하도록 힌지결합시켜 탄성부(120) 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중앙에서 지지 보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부(112)의 중앙에 일정깊이의 중앙보강홈(115)을 형성하고, 중앙보강홈(115) 사이에 중앙지지부(130)의 막대스프링(135)을 형성하여 중앙을 지지하면서 탄성력을 배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부(112)의 사이 중앙의 일측에 시트 방향으로 일정 각도 굴절시켜 힌지로 결합된 링크형태의 중앙지지부(130)의 전방링크(136)를 형성하고, 중앙의 타측에 시트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굴절시켜 힌지로 결합된 링크형태의 중앙지지부(130)의 후방링크(137)를 형성하여 전후로 유동 시에 일정 각도를 벗어나면 일정각도 굴절된 전방링크(136) 및 후방링크(137)가 펴지면서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12) 형상의 일정 두께로 형성된 상부결합구(111)의 시트(13) 외측으로 통공형태인 상부유동공(111a)과 시트 측으로 통공형태인 지지봉삽입구(111b)를 형성하고, 같은 형상으로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결합구(112)에 시트 측으로 하부유동공(112a)과 지지봉삽입구(112b)를 형성한 상태에서 탄성부(120)의 압축탄성지지봉(121)의 일단을 상부결합구의 시트(13) 측에 형성된 지지봉삽입구(111b)에 삽입시켜 압축고정수단(122)으로 고정시키고,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유동되도록 형성된 하부결합구(112)의 하부유동공(112a)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부에 압축스프링 (123)을 압축탄성지지봉(121)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단에 형성된 압축스프링지지구(124)로 고정지지시켜, 상부결합구(111)에 압축탄성지지봉(121)이 압축고정수단(122)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유동공(112a)에 삽입되어 하부결합구(112)와 압축스프링지지구(124) 사이에 압축스프링(123)이 설치되도록 결합한다.
이렇게, 압축스프링(123)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결합구(112)와 상부결합구(111)의 사이에 상부유동공(111a)의 위치로 작용스프링(127)을 위치하고 하부결합구(112)에 도달하도록 상부유동공(111a)에 작용탄성지지봉(125)을 삽입한 상태에서 하부결합구(112)의 지지봉삽입구(112b)에 삽입하여 작용고정수단(126)으로 고정시키고, 상부유동공(111a)에 돌출된 작용탄성지지봉(125)의 상단을 작용스프링지지구(128)로 유동되도록 일정거리 이격시켜 고정하여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 사이에 시트 외측으로 작용스프링(127)이 작용탄성지지봉(125)에 지지되면서 설치되도록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110)에 탄성부(120)를 설치한 상태에서 의자(10)의 등받이(11)를 지지하는 프레임(12)의 양측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공간의 상부에 상부결합구(111)가 위치하고 하부에 하부결합구(112)가 위치하여 프레임(12)에 고정시키고 공간의 외측으로 회절되어도 변형되지 않는 주름관(117)을 설치하여 각도조절장치(100)를 의자(10)의 프레임(12)에 설치한다.
이때,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는 나사결합 형태인 고정수단(113)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120)의 압축스프링(123)을 지지하도록 봉형태로 상부결합구 (111)에 고정된 압축탄성지지봉(121)과 작용스프링(127)을 지지하도록 봉형태로 하부결합구(112)에 고정된 작용탄성지지봉(125)을 탄성체인 막대스프링으로 형성하여 탄성력을 배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각도조절장치(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받이(11)에 기대어 압력을 가하면 시트(13) 외측으로 작용힘이 작용하면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프레임(12)의 공간부분이 시트(13) 외측으로 발생된 외력에 의해 상부결합구(111)과 하부결합구(112)의 기울임 각도가 발생하면서 시트(13) 측의 압축스프링(123)과 시트(13) 외측의 작용스프링(127)이 동시에 압축되면서 외력을 분산하여 편안한 자세로 등받이(11)를 받치면서 탄성에 의한 복귀력을 계속적으로 작용하여 압력에 크기에 따라 등받이(11)를 등에 밀착시켜서 안락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11)에 일정하지 않은 압력을 가하다가 압력을 제거하면 시트(13) 측의 압축스프링(123)과 시트(13) 외측의 작용스프링(127)이 동시에 복원력을 발생시켜 원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의 중앙에 통공형태의 중앙보강공(114)을 형성하여 지지봉(131)을 삽입하여 중앙보강공(114)의 상하를 고정핀(132)으로 고정시켜 중앙을 보강하는 중앙지지부(130)를 형성하여 등받이(11)의 강한 외력이 발생하면 중앙에 삽입 고정된 지지봉(131)이 파손을 방지하도록 탄성부(12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의 프레임(12)의 내측으로 힌지로 결합되는 힌지결합구(116)를 형성하고 사각면체 형상의 상하단 에 힌지구(134)가 형성된 중앙지지부(130)의 지지구(133)를 중앙에서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부(112)를 일정각도로 회전하도록 힌지결합시켜 탄성부(120)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중앙에서 지지 보강하는 중앙지지부(1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부(112)의 중앙에 일정깊이의 중앙보강홈(115)을 형성하고, 중앙보강홈(115) 사이에 중앙지지부(130)의 막대스프링(135)을 형성하여 중앙을 지지하면서 탄성력을 배가시켜서 외력에 의한 하중을 압축스프링(123), 작용스프링(126) 및 막대스프링(135)으로 중앙과 양측으로 각각 분산시키도록 중앙에 중앙지지부(1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부(112)의 사이 중앙에 일측으로 시트(13) 측으로 일정 각도로 굴절되도록 힌지로 결합된 링크형태의 중앙지지부(130)의 전방링크(136)를 형성하고, 중앙의 타측으로 시트 외측으로 일정 각도로 굴절되도록 힌지로 결합된 링크형태의 중앙지지부(130)의 후방링크(137)를 형성하여 전후로 유동 시에 일정 각도를 벗어나면 일정각도 굴절된 전방링크(136) 및 후방링크(137)가 펴지면서 각도를 제한하여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여 일정 각도 이상 탄성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중앙지지부(1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의자의 시트의 후부 측으로 인체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를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에 등을 지 지하는 양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프레임의 상하를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를 형성한 상태로 상부결합구의 시트 측으로 압축탄성지지봉을 고정하여 하부결합구의 통공형태의 하부유동공을 통과하여 하부결합구의 하부에 프레임 내측으로 압축스프링을 압축고정구로 고정 형성하고, 일정거리 이격된 하부결합구의 후측으로 작용탄성지지봉을 고정하고 상부결합구에 형성된 상부유동공을 통과하여 작용스프링으로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 사이에 작용탄성지지봉으로 지지하면서 설치한 상태로 상부결합구의 상부측에 프레임의 내측으로 작용고정구로 고정하여 사용자가 등받이에 압력을 가하면 시트 측으로 형성된 압축스프링과 시트 외측으로 형성된 작용스프링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일정한 각도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안락한 의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면서 바른 등 받침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사용자가 등받이에 힘을 가하는 양측의 프레임에 각도조절장치를 형성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작용점과 가까운 위치에서 각도조절장치의 복수의 탄성체가 작용과 압축을 통하여 일정한 각도로 전후로 유동함으로써, 압축과 작용으로 동시에 두개의 스프링이 상호 작용하여 탄성력이 증대하고 작용점의 근거리에서 하중을 분산하여 작은 힘으로 유동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안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등받이를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에 등을 지지하는 양측으로 형성된 공간에 작용스프링과 압축스프링 을 형성하여 두 스프링의 작용과 압축에 의해 일정각도로 탄성작용을 하도록 형성하되,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의 중앙에 통공형태의 중앙보강공에 핀으로 고정된 지지봉을 삽입 형성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일정한 각도로 유동하는 등받이의 탄성부 측을 보강하여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압축스프링을 지지하는 압축탄성지지봉과 작용스프링을 지지하는 작용탄성지지봉을 막대스프링 형태로 형성하여 압축스프링과 작용스프링을 지지하면서 탄성력을 배가시켜 구조의 변경 없이 간편하게 탄성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등받이를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에 등을 지지하는 양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프레임의 상하를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로 밀봉 결합하는 결합 측으로 나사결합하는 고정수단을 형성하여 상부결합부와 하부결합부를 분리 설치가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설치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의 중앙에 힌지결합구를 형성하고 중앙에 사각면체 형상의 지지구를 형성하여 힌지결합시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일정한 각도로 유동하는 등받이의 탄성부 측을 보강하여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의 중앙의 일정 깊이의 중앙보강홈을 형성하고 중앙보강홈에 막대스프링을 삽입결합하여 중앙을 보강하면서 탄성력을 배가하여 구조의 변경 없이 간편하게 탄성력과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는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의 시트 측으로 압축스프링을 형성하고, 시트 외측으로 작용스프링을 형성하여 전후로 유동하도록 형성하되, 중앙의 일측에 시트방향으로 일정 각도 굴절시켜 힌지로 결합된 링크형태의 전방링크를 형성하고, 중앙의 타측에 시트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굴절시켜 힌지로 결합된 링크형태의 후방링크를 형성하여 전후로 유동시에 일정 각도를 벗어나면 일정각도 굴절된 링크가 펴지면서 각도를 제한하여 무리한 전후 유동을 억제하여 압축스프링과 작용스프링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하여 수명을 증대하면서 안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의자(10)의 시트(13)의 후부 측으로 인체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11)를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12)에 등을 지지하는 양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프레임(12) 공간의 상부 측에 시트(13) 외측으로 통공형태의 상부유동공(111a)과 시트 측으로 통공형태의 지지봉삽입구(111b)를 구비한 상부결합구(111)를 결합 형성하고, 프레임(12) 공간의 하부에 시트(13) 측으로 통공형태의 하부유동공(112a)과 시트 외측으로 통공형태의 지지봉삽입구(112b)를 구비한 하부결합구(112)를 형성하며, 외측으로 주름형태로 프레임(12)의 공간의 외부로 커버하는 주름관(117)을 형성한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에 상부결합구(111)의 시트(13) 측에 고정하여 하부유동공(112a)에 삽입 결합하여 하단에 형성된 압축고정수단(122)와 하부결합구(112) 사이에 압축스프링(123)을 형성한 봉형태의 압축탄성지지봉(121)을 하부결합구(112)의 지지봉삽입구(112b)에 삽입하여 압축고정수단(122)으로 고정 형성하고, 하부결합구(112)의 시트(13) 외측에 형성된 지지봉삽입구(112b)에 삽입시켜 작용고정수단(126)으로 고정하여 상부유동공(111a)에 삽입되어 상단에 형성된 작용스프링지지구(128)로 고정되도록 결합하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의 사이에 작용스프링(127)을 형성하여 봉형태의 작용탄성지지봉(125)에 지지되도록 형성하여 프레임(12)이 전후로 유동하면 압축스프링(123)과 작용스프링(127)이 상호작동하는 탄성력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원위치되도록 형성한 탄성부(120)를 포함하 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를 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해서 나사결합방식의 고정수단(1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120)의 압축스프링(123)을 지지하도록 봉형태로 상부결합구(111)에 압축고정수단(122)으로 고정된 압축탄성지지봉(121)과 작용스프링(127)을 지지하도록 봉형태로 하부결합구(112)에 작용고정수단(126)으로 고정된 작용탄성지지봉(125)을 탄성체인 막대스프링으로 형성하여 탄성력을 배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의 중앙에 통공형태의 중앙보강공(114)을 형성하고, 중앙보강공(114)에 막대봉 형상의 지지봉(131)을 삽입하여 상하를 고정핀(132)으로 고정시켜서 중앙을 보강하도록 중앙지지부(1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구(112)의 프레임(12)의 내측으로 힌지로 결합되는 힌지결합구(116)를 형성하고 사각면체 형상의 상하단에 힌지구(134)가 형성된 중앙지지부(130)의 지지구(133)를 중앙에서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부(112)를 일정각도로 회전하도록 힌지결합시켜 탄성부(120)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중앙에서 지지보강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부(112)의 중앙에 일정깊이의 중앙보강홈(115)을 형성하고, 중앙보강홈(115) 사이에 중앙지지부(130)의 막대스프링(135)을 형성하여 중앙을 지지하면서 탄성력을 배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결합구(111)와 하부결합부(112)의 사이 중앙의 일측에 시트 방향으로 일정 각도 굴절시켜 힌지로 결합된 링크형태의 중앙지지부(130)의 전방링크(136)를 형성하고, 중앙의 타측에 시트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굴절시킨 힌지로 결합된 링크형태의 중앙지지부(130)의 후방링크(137)를 형성하여 전후로 유동시에 일정 각도를 벗어나면 일정각도 굴절된 전방링크(136) 및 후방링크(137)가 펴지면서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1020050047335A 2005-06-02 2005-06-02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100807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335A KR100807370B1 (ko) 2005-06-02 2005-06-02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335A KR100807370B1 (ko) 2005-06-02 2005-06-02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859U Division KR200393674Y1 (ko) 2005-06-02 2005-06-02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338A true KR20060125338A (ko) 2006-12-06
KR100807370B1 KR100807370B1 (ko) 2008-02-27

Family

ID=3772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335A KR100807370B1 (ko) 2005-06-02 2005-06-02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3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46B1 (ko) * 2010-12-17 2012-04-06 박영호 의자 경사조절장치
KR20160029944A (ko) * 2014-09-05 2016-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형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4101B2 (en) 2013-03-01 2016-04-19 La-Z-Boy Incorporated Restricted rocker spring assembly
US10092106B2 (en) 2015-07-14 2018-10-09 La-Z-Boy Incorporated Recliner and legrest mechanism for a furniture member
US9986835B2 (en) 2016-09-22 2018-06-05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having cam tilt mechanism
US10568428B2 (en) 2017-04-07 2020-02-25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having flexible seatback
US10537178B2 (en) 2017-04-07 2020-01-21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having flexible seatback
US10524575B2 (en) 2018-04-16 2020-01-07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with foldable pawl and ratchet assembly
US10524574B2 (en) 2018-05-18 2020-01-07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with powered wall-proximity mechanism
US10820708B2 (en) 2018-05-18 2020-11-03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with wall-proximity mechanism and locking trigger
WO2020227658A1 (en) 2019-05-09 2020-11-12 La-Z-Boy Incorporated Reclining chaise
US11197549B1 (en) 2020-09-28 2021-12-14 La-Z-Boy Incorporated Wall-proximity furniture member having sync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7203A (en) 1977-05-09 1979-06-05 Center For Design Research And Development N.V. Articulated double back for chairs
US5567009A (en) 1994-10-13 1996-10-22 La-Z-Boy Chair Company Rocking/reclining chair having limit means and noise suppression means
JPH08214976A (ja) * 1995-02-10 1996-08-27 Maruni:Kk リクライニング機構を内蔵した木製椅子
US6312049B1 (en) 1999-07-01 2001-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rogrammable seat back damper assembly for sea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46B1 (ko) * 2010-12-17 2012-04-06 박영호 의자 경사조절장치
KR20160029944A (ko) * 2014-09-05 2016-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형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370B1 (ko)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370B1 (ko)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US10226129B2 (en) Ergonomic seating assemblies and methods
US6910736B2 (en) Seats with twistable seat elements
WO2014196630A1 (ja) 椅子
WO20180545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rgonomic chairs
EP3955774A1 (en) Chair for active engagement of user
KR101198520B1 (ko)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CN213720978U (zh) 一种椅子结构
KR200411172Y1 (ko) 길이가 조절되는 의자요추받침대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102296210B1 (ko) 고정 지지구조가 개선된 등받이 틸팅 의자
KR102023461B1 (ko) 척추형태로 변형 절곡되는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2506194B1 (ko)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200393674Y1 (ko)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102355428B1 (ko)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2151679B1 (ko) 능동적 척추 지지를 위한 의자의 등판 굴곡 장치
CN110638241A (zh) 一种舒适型座椅
KR101149259B1 (ko) 균형 조절 운동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KR101198554B1 (ko) 좌석 시트의 안착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102574254B1 (ko)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CN210696761U (zh) 一种舒适型座椅
KR102506195B1 (ko) 3d 탄력구조의 일체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KR20110067613A (ko) 상체 운동기능을 가지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