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944A - 가변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944A
KR20160029944A KR1020140118926A KR20140118926A KR20160029944A KR 20160029944 A KR20160029944 A KR 20160029944A KR 1020140118926 A KR1020140118926 A KR 1020140118926A KR 20140118926 A KR20140118926 A KR 20140118926A KR 20160029944 A KR20160029944 A KR 20160029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pring
bolt
system boar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995B1 (ko
Inventor
조석효
박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8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9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으로 조립 및 체결되는 시스템보드를 제 1 및 제 2 댐퍼부를 포함하는 스프링볼트를 통해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가변형 표시장치가 평판형 모드로부터 오목 곡면형 모드나 볼록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더라도,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에 조립 및 체결된 시스템보드가 스프링볼트에 의해 일부 유동성을 갖게 되어, 시스템보드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보드 상에 실장된 구동회로 등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변형 표시장치의 구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표시장치{Vari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형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형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평판형 표시장치는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대면적화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며,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평판형 표시장치가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 표시장치(curved display device)가 차세대 표시장치로 급부상 중인데, 곡면형 표시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화상 또한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까지 느끼게 하거나, 평판형 표시장치 보다 넓은 시청반경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평판형 표시장치의 장점과 함께 몰입도 향상 및 넓은 시청반경을 갖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장점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가변형 표시장치는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평판형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감을 향상시키거나 보다 넓은 시청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곡면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가변형 표시장치 자체만이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이 가능할뿐, 가변형 표시장치의 배면에 장착되어 구동회로 등의 부품들이 실장되는 회로기판은 가변형 표시장치의 모드에 따른 가변이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회로기판은 가변형 표시장치에 완전히 고정되어 위치함에 따라, 가변형 표시장치가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회로기판으로 응력이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회로기판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게 되며, 표시장치의 구동 불량이 야기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형 표시장치와 곡면형 표시장치를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서, 회로기판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가변형 표시장치의 구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나, 볼록 또는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볼록 곡면형 모드(convex curved mode) 또는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로 가변(variable)되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모듈화하며, 팸너트가 돌출된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의 배면으로 위치하며, 스크류관통홀이 구비된 시스템보드와; 상기 시스템보드를 사이에 두고, 제 1 댐퍼부를 포함하는 제 1 볼트부와, 상기 제 1 볼트부와 조립 체결되며 제 2 댐퍼부를 포함하는 제 2 볼트부를 포함하는 스프링볼트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볼트부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댐퍼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판 형상의 제 1 및 제 2 스프링블럭과,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블럭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 1 샤프트에 끼움 삽입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볼트부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일단으로 상기 팸너트로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댐퍼부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판 형상의 제 3 스프링블럭과, 상기 제 3 스프링블럭과 상기 나사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 2 샤프트에 끼움 삽입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샤프트의 타단은 끼움부가 구성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제 2 샤프트에 구성된 끼움홈으로 끼움 체결되며, 상기 끼움부의 지름은 상기 끼움홈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상기 끼움홈의 지름이 ±0.1 ~ 0.2mm 정도 크다.
또한, 상기 나사부의 지름은 상기 제 2 샤프트의 지름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연결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스프링은 상기 제 3 스프링블럭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나사부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연결부 사이에 제 4 스프링블럭이 더욱 위치하며, 상기 제 2 스프링은 상기 제 3 스프링블럭과 상기 제 4 스프링블럭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나사부에는 상기 팸너트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의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샤프트의 타단은 상기 제 3 스프링블럭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제 2 샤프트의 타단은 상기 시스템보드의 두께에 대응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으로 조립 및 체결되는 시스템보드를 제 1 및 제 2 댐퍼부를 포함하는 스프링볼트를 통해 조립 및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가변형 표시장치가 평판형 모드로부터 오목 곡면형 모드나 볼록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더라도,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에 조립 및 체결된 시스템보드가 스프링볼트에 의해 일부 유동성을 갖게 되어, 시스템보드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보드 상에 실장된 구동회로 등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변형 표시장치의 구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에 시스템보드가 조립 체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b는 모듈화된 도 3a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볼트의 구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와 오목 곡면형 모드 그리고 볼록 곡면형 모드의 가변에 따른 시스템보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에 시스템보드가 조립 체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과,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수용하는 외장케이스(120)와, 외장케이스(120)의 하단부나 배면부에 연결되어 책상이나 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받침대(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데,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의 대표주자인 O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OLE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은 제 1 기판과, 제 1 기판과 마주하는 제 2 기판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기판은 접착성을 갖는 보호층을 통해 서로 이격되어 합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기판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제 1 전극의 상부에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과, 유기발광층의 상부에는 제 2 전극이 구성된다.
유기발광층은 적, 녹, 청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마다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전극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은 발광다이오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이러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은 제 1 전극을 양극(anode)으로 제 2 전극을 음극(cathode)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은 백커버(150)와 커버윈도우(미도시)를 통해 모듈화되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이루게 되는데, 백커버(150)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의 배면과 측면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전면이 개구되어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백커버(150)의 개구된 전면에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윈도우(미도시)가 조립 체결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평한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게 되고 화상 또한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전방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볼록 곡면형 모드(convex curved mode)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넓은 시청반경을 갖게 되어 많은 시청자들에게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에서 구현되는 화상에 의한 뉴스, 광고 등의 내용을 전달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선택적으로 평판형 모드와 볼록 곡면형 모드 또는 오목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할 수 있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의 표시장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의 배면으로는 각종 구조물들이 고정될 수 있는데, 구조물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혹은 음성신호를 받아 액정패널이나 스피커(미도시) 등으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나 음성출력을 제어하는 A/D(analog/digital)보드(미도시),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의 광원을 구동시켜 주는 인버터(미도시), 화면 조정에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는 OSD(on screen display)보드(미도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 액정표시장치 전체 전원을 공급하는 아답터(adapter)(미도시), 각종 케이블(미도시) 등의 부품들이 실장되는 시스템보드(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보드(140)에는 스크류관통홀(145)이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백커버(150)에는 스크류관통홀(145)에 대응하는 위치에 팸너트(PEM nut : 151)가 형성된다.
팸너트(151)는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는데, 이의 중앙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5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팸너트(151)의 상측으로 시스템보드(140)의 스크류관통홀(145)이 위치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볼트(200)가 스크류관통홀(145)을 관통하여 팸너트(151)로 나사 결합되어, 시스템보드(140)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백커버(150)에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여기서, 팸너트(151)는 시스템보드(140)를 백커버(150)의 배면에 직접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시스템보드(140)가 백커버(150)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시스템보드(140)에 흐르는 전기신호가 백커버(150)에 접촉되어 단락(short)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시스템보드(140)에 형성된 스크류관통홀(145)은 시스템보드(140)의 적어도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하여, 시스템보드(140)를 보다 안정적으로 백커버(150)의 배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판형 모드로부터 볼록 곡면형 모드 또는 오목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시스템보드(14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보드(140) 상에 실장된 구동회로 등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구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보드(140)가 백커버(150)의 배면으로부터 일부 유동성을 갖도록 조립 및 체결되기 때문이다.
즉, 시스템보드(140)는 댐퍼(damper)역할을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볼트(200)를 통해 백커버(150)의 배면에 조립 및 체결되기 때문에, 백커버(150)의 배면으로부터 일부 유동성을 갖도록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판형 모드로부터 볼록 곡면형 모드나 오목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더라도, 시스템보드(140)는 스프링볼트(200)에 의한 유동성에 의해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시스템보드(140)의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3a ~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스프링볼트의 구조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b는 모듈화된 도 3a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볼트의 구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볼트(200)는 제 1 볼트부(210)와 제 2 볼트부(220)로 이루어지는데, 제 1 볼트부(210)는 제 1 샤프트(211)와 제 1 샤프트(211)의 일단에 구비되어 십자홈 또는 일자홈이 형성된 헤드(213)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볼트부(210)의 제 1 샤프트(211)는 헤드(213)에 인접한 제 1 댐퍼부(215)와 제 1 샤프트(211)의 끝단에 위치하는 끼움부(217)로 나뉘어 정의될 수 있는데, 제 1 댐퍼부(215)는 제 1 샤프트(21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판 형상의 제 1 및 제 2 스프링블럭(215a, 215b)와 제 1 및 제 2 스프링블럭(215a, 215b)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샤프트(2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 1 샤프트(211)에 끼움 삽입되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제 1 스프링(215c)을 포함한다.
제 1 댐퍼부(215)는 제 1 및 제 2 스프링블럭(215a, 215b) 사이에서 제 1 스프링(215c)의 탄성에 의해 제 1 샤프트(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유동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제 2 볼트부(220)는 제 1 볼트부(210)의 끼움부(217)가 끼움 삽입되는 끼움홈(221a)이 형성된 제 2 샤프트(221)와 팸너트(도 2의 151)로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223)를 포함하는데, 제 2 샤프트(221)에는 제 2 샤프트(221)의 일단을 일부 노출하도록 제 2 샤프트(22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판 형상의 제 3 스프링블럭(225a)이 구비되며, 제 3 스프링블럭(225a)과 나사부(223) 사이로는 제 2 샤프트(2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원형 단면을 갖는 제 2 스프링(225b)이 제 2 샤프트(221)에 끼움 삽입된다.
이때, 나사부(223)의 지름은 제 2 샤프트(221)의 지름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제 2 샤프트(221)와 나사부(223)의 연결부에는 걸림턱(223b)이 형성되는데, 제 2 스프링(225b)은 제 3 스프링블럭(225a)과 걸림턱(223b)에 의해 제 2 볼트부(220) 내에서 제 2 댐퍼부(225)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나사부(223)의 지름을 제 2 샤프트(221)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나사부(223)와 제 2 샤프트(221) 사이로 제 4 스프링블럭을 더욱 개재할 수도 있다.
또한 제 3 스프링블럭(225a)과 걸림턱(223b) 사이에서의 제 2 스프링(225b)의 탄성에 의해 제 2 샤프트(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유동성을 갖게 된다.
나사부(223)의 외면을 따라서는 팸너트(도 2의 151)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산(도 2의 151a)과 대응되는 숫나사산(2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부(223)의 끝단은 제 2 볼트부(220)가 팸너트(도 2의 151)에 보다 손쉽게 끼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볼트부(210, 220)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볼트부(210)의 끼움부(217)가 제 2 볼트부(220)의 제 2 샤프트(221)의 끼움홈(221a)으로 끼움 삽입됨으로써 일체화되는데, 이때, 제 1 볼트부(210)의 끼움부(217)는 제 2 샤프트(221)의 끼움홈(221a)으로 빠듯하게 끼움 삽입되게 된다.
이를 위해, 제 1 샤프트(211)의 끼움부(217)의 지름은 제 2 샤프트(221)의 끼움홈(221a)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제 2 샤프트(221)의 끼움홈(221a)의 지름이 ±0.1 ~ 0.2mm정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체화된 스프링볼트(200)는 매우 큰 압력을 가하지 않고서는 제 1 및 제 2 볼트부(210, 220)가 서로 분해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 1 볼트부(210)의 끼움부(217)가 제 2 볼트부(220)의 제 2 샤프트(221)의 끼움홈(221a)으로 끼움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 3 스프링블럭(225a)이 제 2 샤프트(221)의 일단을 노출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제 1 볼트부(210)의 제 2 스프링블럭(215b)과 제 2 볼트부(220)의 제 3 스프링블럭(225a) 사이에서 제 2 샤프트(221)의 일단이 노출되게 되는데, 노출된 제 2 샤프트(221)의 일단은 각종 부품들이 실장된 시스템보드(14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스템보드(140)가 제 1 볼트부(210)와 제 2 볼트부(22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즉, 제 1 볼트부(210)와 제 2 볼트부(220)는 시스템보드(140)를 사이에 두고 상, 하로 위치하는데, 이때, 제 1 볼트부(210)와 제 2 볼트부(220)는 시스템보드(140)에 구비된 스크류관통홀(도 2의 145)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볼트부(210)와 제 2 볼트부(220) 사이로 시스템보드(140)가 위치하면, 시스템보드(140)의 스크류관통홀(145)이 제 2 볼트부(220)의 노출된 제 2 샤프트(221)의 일단으로 끼움 삽입되고, 제 1 볼트부(210)가 스크류관통홀(145)에 끼움 삽입된 제 2 샤프트(221)의 끼움홈(221a)으로 끼움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보드(140)가 제 1 볼트부(210)와 제 2 볼트부(220) 사이로 개재되는데, 이러한 시스템보드(140)는 제 1 볼트부(210)의 제 1 댐퍼부(215)에 의해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일부 유동성을 갖게 되며, 또는 제 2 볼트부(220)의 제 2 댐퍼부(225)에 의해 도면상으로 정의한 ?축 방향으로 일부 유동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보드(140)는 스프링볼트(200)의 제 1 및 제 2 댐퍼부(215, 225)에 의해 스프링볼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 유동성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가변형 표시장치(도 1c의 100)가 평판형 모드로부터 오목 곡면형 모드 또는 볼록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시스템보드(140) 또한 제 1 및 제 2 댐퍼부(215, 225)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1c의 110)의 형태에 따라 오목 또는 볼록하게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형 표시장치(도 1c의 100)가 평판형 모드로부터 오목 곡면형 모드 또는 볼록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시스템보드(140)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스템보드(14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와 오목 곡면형 모드 그리고 볼록 곡면형 모드의 가변에 따른 시스템보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평한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외관화하는 외장케이스(120) 또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에 대응하여 평평하게 형성되며,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에 조립 및 체결된 시스템보드(140) 또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로 동작하게 되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외관화하는 외장케이스(120) 또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며,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에 장착된 시스템보드(140)는 스프링볼트(200)의 제 2 볼트부(도 3c의 220)의 제 2 댐퍼부(도 3c의 225) 측으로 유동성을 갖게 되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과 같이 전방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휨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시스템보드(140)는 스프링볼트(200)의 제 2 댐퍼부(도 3c의 225)의 유동성을 통해 휨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스템보드(140)로는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보드(140)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전방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볼록 곡면형 모드(convex curved mode)로 동작하게 되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외관화하는 외장케이스(120) 또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전방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며,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에 장착된 시스템보드(140)는 스프링볼트(200)의 제 1 볼트부(도 3c의 210)의 제 1 댐퍼부(도 3c의 215) 측으로 유동성을 갖게 되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과 같이 전방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시스템보드(140)는 스프링볼트(200)의 제 1 댐퍼부(도 3c의 215)의 유동성을 통해 휨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스템보드(140)로는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보드(140)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판형 모드로부터 오목 곡면형 모드나 볼록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더라도,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에 조립 및 체결된 시스템보드(140)가 스프링볼트(200)에 의해 일부 유동성을 갖게 되어, 시스템보드(14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보드(140) 상에 실장된 구동회로 등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구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200 : 스프링볼트
210 : 제 1 볼트부(211 : 제 1 샤프트, 213 : 헤드, 215 : 제 1 댐퍼부(215a, 215b : 제 1 및 제 2 스프링블럭, 215c : 제 1 스프링), 217 : 끼움부)
220 : 제 2 볼트부(221 : 샤프트(221a : 끼움홈), 223 : 나사부(223a : 암나사산, 223b : 걸림턱), 225 : 제 2 댐퍼부(225a : 제 3 스프링블럭, 225b : 제 2 스프링))

Claims (9)

  1.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나, 볼록 또는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볼록 곡면형 모드(convex curved mode) 또는 오목 곡면형 모드(concave curved mode)로 가변(variable)되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모듈화하며, 팸너트가 돌출된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의 배면으로 위치하며, 스크류관통홀이 구비된 시스템보드와;
    상기 시스템보드를 사이에 두고, 제 1 댐퍼부를 포함하는 제 1 볼트부와, 상기 제 1 볼트부와 조립 체결되며 제 2 댐퍼부를 포함하는 제 2 볼트부를 포함하는 스프링볼트
    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트부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댐퍼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판 형상의 제 1 및 제 2 스프링블럭과,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블럭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 1 샤프트에 끼움 삽입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트부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일단으로 상기 팸너트로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댐퍼부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판 형상의 제 3 스프링블럭과, 상기 제 3 스프링블럭과 상기 나사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 2 샤프트에 끼움 삽입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프트의 타단은 끼움부가 구성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제 2 샤프트에 구성된 끼움홈으로 끼움 체결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지름은 상기 끼움홈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상기 끼움홈의 지름이 ±0.1 ~ 0.2mm 정도 큰 가변형 표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지름은 상기 제 2 샤프트의 지름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연결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스프링은 상기 제 3 스프링블럭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위치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연결부 사이에 제 4 스프링블럭이 더욱 위치하며, 상기 제 2 스프링은 상기 제 3 스프링블럭과 상기 제 4 스프링블럭 사이에 위치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에는 상기 팸너트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의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샤프트의 타단은 상기 제 3 스프링블럭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제 2 샤프트의 타단은 상기 시스템보드의 두께에 대응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KR1020140118926A 2014-09-05 2014-09-05 가변형 표시장치 KR102217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926A KR102217995B1 (ko) 2014-09-05 2014-09-05 가변형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926A KR102217995B1 (ko) 2014-09-05 2014-09-05 가변형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944A true KR20160029944A (ko) 2016-03-16
KR102217995B1 KR102217995B1 (ko) 2021-02-19

Family

ID=5564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926A KR102217995B1 (ko) 2014-09-05 2014-09-05 가변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5919A (zh) * 2019-11-21 2020-02-28 徐州瑞桥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防摔监控电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338A (ko) * 2005-06-02 2006-12-06 배인묵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140056444A (ko) * 2012-10-25 201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338A (ko) * 2005-06-02 2006-12-06 배인묵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140056444A (ko) * 2012-10-25 201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5919A (zh) * 2019-11-21 2020-02-28 徐州瑞桥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防摔监控电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995B1 (ko)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6551B2 (en) Image display device
US8767384B2 (e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computer having the same
US9366804B2 (en) Backplane an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150125140A (ko)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KR102374643B1 (ko)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139872A1 (en) Display device assembly
JP6263747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69966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63311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15535A (ko) 평판표시장치
KR102262773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20160029944A (ko) 가변형 표시장치
KR102246666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101115027B1 (ko) 하부 섀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20190154905A1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KR20110063268A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72825A (ko) 팸너트 설치구조
KR102199172B1 (ko) 가변형 표시장치
US1019133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725540B1 (ko) 액정표시장치
US7429184B2 (en) Lamp holder, lamp assembly having the sam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452312Y1 (ko) 하부 섀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788470B1 (ko) 발광 다이오드에 이용되는 필름 스피커
KR10178887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58407A (ko) 몰드 프레임을 변형한 평판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