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167A -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 Google Patents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167A
KR20060125167A KR1020050047052A KR20050047052A KR20060125167A KR 20060125167 A KR20060125167 A KR 20060125167A KR 1020050047052 A KR1020050047052 A KR 1020050047052A KR 20050047052 A KR20050047052 A KR 20050047052A KR 20060125167 A KR20060125167 A KR 20060125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eiling
insert
bol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8979B1 (ko
Inventor
조중일
Original Assignee
조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신복 filed Critical 조신복
Priority to KR1020050047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97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5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 E04B9/067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with inverted T-shap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 철골 구조로서 소형 크기(높이)이어서 낮은 천정에서도 설치 이용할 수 있으며, 엠바의 위치를 상하 및 좌우로 이동 변경시키기 용이할 수 있으며, 제작하기 쉽고, 설치 결합도 쉽고, 또한 결합 상태가 안정적인 천정틀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인서트부와 결착되며 천정면 설치를 위한 바(bar)를 붙잡는 행거를 포함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행거에는, 상기 인서트부의 보울트가 통과하는 제 1 원호형 보조막이 및 제 2 원호형 보조막이(44)가 행거 몸체부(40)에 더 형성되며; 상기 두 보조막이의 사이에 위치하며 행거 몸체부(40)을 횡으로 관통하는 공간(43)으로서, 상기 너트가 상기 보울트와 결합되면서 놓일 수 있는, 너트 공간(43)이 더 형성되도록 한다.
경량, 철골, 천정, 행거, 보울트, 구멍, 날개.

Description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Establishment structure of lightweight ceiling frame}
도 1은 종래의 경량 철골 조립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경량철골 천정틀의 설치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철골용 행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행거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행거 부재 견본품을 찍은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인서트용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인서트용 부재의 실시예에 대한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대한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예로서의 경량 철골용 행거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보울트 33 : 너트
36 : 행거의 체결용 홈 37 : 행거의 체결용 돌기
41 : 보울트 삽입구 43 : 너트가 놓이는 공간
46 : 행거의 지지용 날개 47 : 행거용 돌출부
51 : 인서트 부재의 몸체 54 : 레일식 수평 공간
56 : 천정 콘크리트 하단면
본 발명은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형 건축물에서의 경량 철골 구조로서 소형 크기이면서 제작하기 쉬움과 동시에, 상하 및 좌우로의 위치 선택이 용이할 수 있는 천정틀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다양한 경량 철골 구조가 개시되어 있는데, 대표적으로 2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경량 철골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한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9-0022630호의 대표도면이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긴 길이를 가지고 천정 슬래브(11)에 일정 간격의 평행을 이루도록 다수의 고정된 목재(12)와;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목재(12) 일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하단에 일정 간격 다수의 훅(15)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구멍(17)이 형성된 클립바(14)와; 클립바(14)와 직교하도록 위치되어 클립바(14)의 훅(15)에 결합되는 엠바(M bar;18)와; M바(18)에 고정지지되는 석고보드(19)로 이루어진, 경량 철골 조립구조이다.
이것은, 목재(12)에 미리 먹메김한 수평선에 맞추어 클립바(14)를 고정시킨 후, 이 클립바(14)에 M바(18)를 고정하여, 석고보드(19)의 수평상태가 맞추어지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천정의 수평상태를 충분히 조절할 수 없는 한계 가 있다. 콘크리트 타설 시에 높이의 불균등이 발생하는 정도가 크게는 5센치미터(cm) 이상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이 조절을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도 2는 종래의 경량철골 천정틀의 설치구조에 관한 도면으로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6-0041056호에 개시된 이 기술은, 천정을 이루는 콘트리트내에 매설되는 천정고정부재(1)와; 이 천정고정부재(1)에 삽입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다수개의 걸림단(2a')이 양쪽면으로 형성된 위치조절부재(2) 및; 이 위치조절부재(2)의 걸림단(2a')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장공(13a)을 형성한 채널(13) 등으로 구성되되; 상기 천정고정부재(1)는 대략 마름모껄 형상으로 됨과 더불어 그 중앙부위로 개구된 삽입홈(K)을 형성한 위치기준플랜지(1a)와, 상기 삽입홈(K)을 중심으로 원을 이루도록 내부로 돌출된 턱(1f,1f'; 1g,1g')들이 형성된 중공실린더(1b) 및, 이 중공실린더(1b)의 상부로 끼워짐과 더불어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돌출된 각도제한턱이 형성된 커버(1h)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위치조절부재(2)는 상기 채널(13)과 결합되도록 다수의 걸림단(2a')을 갖춘 계지부(2a)와, 이 계지부(2a)의 상부를 이루면서 상기 천정고정부재(1)의 삽입홈(K) 내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대략 T자 형상을 이루는 고정부(2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구조로는 상하의 위치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수평 방향으로의 채널(나아가 엠바)의 위치는 조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 위치 조절 후의 엠바와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이지 않은 단점이 있고, 그러면서 위치 조절 부재의 제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위치 조절 부재 혹은 채널(행거)이 엠바를 붙잡고 있는 구성요소는 니은(ㄴ)자 형태의 돌출부 뿐이다. 그래서, 특히 엠바가 상향으로 힘을 받을 경우, 예를 들어 엠바에 합판(석고보드)을 설치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엠바와 행거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지 않아 매우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보통의 건축물에서는 엠바를 천정 콘크리트로부터 매달아두는 데에 2단 형식의 경량 철골 구조가 사용된다. 그런데, 아파트와 같이 천정 공간이 낮은 건축물에서는 일반적으로 높이가 큰 2단 형식을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길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엠바와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인 구조가 필요하다. 동시에,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간단할수록 좋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경량 철골 구조로서 소형 크기(높이)이어서 낮은 천정에서도 설치 이용할 수 있으며, 엠바 등의 위치를 상하 및 좌우로 이동 변경시키기 용이할 수 있으며, 제작하기 쉽고, 설치 결합도 쉽고, 또한 결합 상태가 안정적인 천정틀 설치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인서트부와 결착되며 천정면 설치를 위한 바(bar)를 붙잡는 행거를 포함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행거에는, 상기 인서트부의 보울트가 통과하는 제 1 원호형 보조막이(42) 및 제 2 원호형 보조막이(44)가 행거 몸체부(40)에 더 형성되며; 상 기 두 보조막이의 사이에 위치하며 행거 몸체부(40)을 횡으로 관통하는 공간(43)으로서, 상기 너트가 상기 보울트와 결합되면서 놓일 수 있는, 너트 공간(43)이 더 형성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천정면 설치를 위한 엠바(M bar)를 붙잡기 위한 좌우 돌출부(47, 49)가 몸체부(40)에 형성된 행거를, 포함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행거에는, 상기 좌우 돌출부(47, 49)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윗부분의 몸체부 일측에서, 상기 엠바의 상단에 닿을 수 있는 돌출 날개(46, 48)가 더 형성되는 데에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행거의 몸체부에서의 상기 돌출 날개(46, 48)는, 상기 엠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데, 좌우의 돌출 날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데에 특징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은, 천정을 이루는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인서트용 부재를, 포함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용 부재는; 연직 방향에 대해서 상광하협 형상의 단면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몸체(51)가 뻗으며; 콘크리트 하단(56) 외부로부터 몸체의 중심부까지 연통되는 인서트 공간(55)을 갖으며; 상기 중심부에는 상기 인서트 공간의 횡단면 너비보다 더 큰 너비로 레일(rail)식 수평 공간(54)이 형성되어, 인서트물(31)의 지지 겸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보울트(31)와 너트로 구성되는 인서트부와 결착되며 천정면 설치를 위한 바(bar)를 붙잡는 행거(hanger)를, 포함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4각면(341, 342, 343, 344, 345)을 형성하는 띠형인데, 윗면으로서의 제 1면(341)에는 상기 인서트부의 보울트(31)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 고; 제 2면(342)은 상기 제 1면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아래방향으로 뻗고, 제 3면(343)은 상기 제 2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아랫면을 이루고; 제 4면(344, 345)은 2 부분으로 나뉘어서, 제 1 부분(345)은 상기 제 1면의 타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아래방향으로 뻗고, 제 2 부분(344)은 상기 제 3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윗방향으로 뻗는데; 상기 제 2부분(344)의 바깥면에는 체결용 돌기(37)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분(345)에는 상기 체결용 돌기(37)에 대응하는 체결용 홈(36)이 형성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인서트부와 결착되며 천정면 설치를 위한 각목을 붙잡는 행거(hanger)를, 포함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각목을 받치는 받침면(92)과, 각목의 옆면에서 밀착하는 접촉면(91, 93)과, 상기 접촉면(91)으로부터 천정면에 수평하게 바깥으로 돌출한 돌출면(94)으로 이루어지는데; 행거의 상기 돌출면(94)에는 상기 인서트부의 보울트가 관통하는 구멍(951)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91, 9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목 고정용 구멍(974, 983)이 형성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철골용 행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는 보울트(31) 머리와, 보울트의 나사선 몸체(32)와, 너트(331, 332)로 이루어지는 인서트물이 도시되어 있고, 또 행거가 도시되어 있다. 천정의 콘크리트 내의 인서트용 부재에 상기 보울트의 머리(31)가 삽입된다. 도 3a에 천정면 설치를 위한 목재 바가 안착된 모습을 찍은 사진이 도3b이다.
도 3a에서, 행거는 전체적으로 4각면(341, 342, 343, 344, 345)을 형성하는 띠형이다. 제 1면(341)은 윗면으로서, 인서트부의 보울트(31)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너트(331, 332)는 제 1면(341)의 상하에 각각 1개씩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행거의 제 2면(342)은 상기 제 1면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아래방향으로 뻗고, 제 3면(343)은 상기 제 2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아랫면을 이룬다. 천정면 설치를 위한 바(bar)는 제 3면(343)의 안쪽면에 얹혀질 것이다.
행거의 제 4면(344, 345)은 2 부분으로 나뉜다. 제 1 부분(345)은 상기 제 1면의 타단(제 2면의 반대쪽)에서 절곡 연장되어 아래방향으로 뻗는다. 제 2 부분(344)은 상기 제 3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윗방향으로 뻗는다. 도 3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 2부분(344)의 바깥면에는 체결용 돌기(37)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분(345)에는 상기 체결용 돌기(37)에 대응(높이와 모양이 대응)하는 체결용 홈(36)이 형성된다.
행거의 제 4면에 형성되는 돌기(37)와 홈(36)의 위치는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도 있으며, 모양도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행거의 제작이 간편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목이 있는 사각형 돌기(37)와, 작은 사각형 홈(38)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행거의 제 2면(342)에는 그 내부쪽으로 지지용 돌기(38)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3면(343)에 놓여지는 상기 천장면 설치를 위한 목재 바가 합판을 박을 때에 윗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제작상 간편하게,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행거의 제 2면(342)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경량 철골로서의 행거의 재질은 탄성과 연성이 있는 금속이므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제 4면(345)의 제 1부분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제 1부분에 형성된 사각형 홈(38)으로 제 2부분에 형성된 사각형 돌기(37)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용 돌기(38)와 체결용 돌기(37)의 돌출 각도도, 금속이므로 작업자가 힘을 가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행거의 제 4면을 2부분으로 나누어서, 천장면 설치를 위한 목재 바를 안착시킨 후에, 상기 돌기(37)와 홈(36)을 결착하는 이유는, 상기 목재 바가 매우 길기 때문에, 행거의 옆(제 2면 또는 제 4면이 있는 방향)에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행거는, 아파트 건축물과 같은 낮은 천정에 적합한, 1단형 천정틀 설치구의 일 예이다. 천정용 합판이 목재 바에 못으로 고정되는 것이므로, 천정 콘크리트 하단면으로부터 실제 천정(합판)까지의 거리는 행거의 제 2면(342)의 세로 길이에다가 보울트의 몸체(32) 길이의 일부를 합한 길이가 될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행거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를 보면, 행거에 제 1 원호형 보조막이(42) 및 제 2 원호형 보조막이(44)가 행거 몸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보조막이(42, 44)의 사이에 너트 공간(43)이 더 형성되어 있다. 또, 엠바(M bar)를 거치하기 위한 좌우 돌출부(47, 49) 이외에, 행거 날개(46, 48)가 더 형성되어 있다.
행거의 제 1 원호형 보조막이(42)의 행거의 윗쪽 구멍(41)으로 보울트의 몸체(도 3a의 32)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너트 공간(43)에 너트(33)를 위치시켜, 보울트와 너트를 결착시킨 후, 보울트의 몸체(32)는 계속해서 제 2 원호형 보조막이(44)를 통과하여 행거 하단부(45)까지 내려갈 수 있다.
상기 두 보조막이는 꼭 원형(원통)일 필요는 없으며, 보울트의 몸체를 횡방향으로 지지할 정도의 원호이어도 된다. 또, 상기 너트 공간(43)은 행거 몸체부(40)을 횡으로 관통하게 형성한다면, 행거의 몸체(40)는 얇은 판 형상일 수도 있다. 다만, 보울트가 상하로 지나가는 부분(45)은 약간 홈이 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4a에서, 너트 공간(43)에서 보울트와 너트(33)가 결착할 때, 상기 너트를 제 1 보조막이(42)와 제 2 보조막이(44)가 함께 지지(위치 고정)하게 되며, 또한 보울트 몸체(32)가 계속해서 행거 하단부(45)까지 나아갈 수 있으므로, 행거의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행거 부재를 나타낸 것인데, 도 4a와 마찬가지로, 보울트의 몸체가 점선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행거 부재이다.
도 4b의 행거에서, 좌우 돌출부(47, 49)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윗부분의 몸체부 일측에서, 상기 엠바의 상단에 닿을 수 있는 돌출 날개(46, 48)가 더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양쪽에 돌출 날개가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는데(선명한 표현을 위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날개가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 날개(46, 48)의 돌출 방향은, 엠바가 위로 힘을 받을 때에 엠바를 위쪽에서 지지 고정하려는 것이므로, 상기 엠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의 실시예와 도 4b의 실시예는 다양한 돌출 양태 중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고, 중요한 것은 날개형 돌출부를 형성한다는 점이다.
도 4b가 도 4a와 약간 차이나는 점은, 보울트의 몸체(32)가 끼워지는 입구부에도 있다. 도 4a에서는 평판형 행거를 기초로 원통형의 보조막이가 형성되어 있다. 도 4b에서는 행거 몸체(40)의 상단부는 2번 굽어지는데, 한번은 조금 굽어지고, 또 한번은 거의 직각 방향으로 꺽여진다. 이때, 제 1 보조막이(42)는 평판일 수 있다.
도 4b에서, 행거의 꺽여진(횡방향으로) 상단부에는 보울트의 몸체(32)가 통과하는 구멍(41)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부 구멍(41)을 통과한 보울트 몸체는 너트 공간부(43)에 놓이는 너트와 결착될 수 있다.
도 5는, 도 4a나 도 4b와 약간 다른 모양이지만 기본적으로 동일한, 행거 부재에 대한 견본품에 대한 사진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형 인서트용 부재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그 실시예에 따른 견본품 사진이다.
천정을 이루는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인서트용 부재인데,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자연적으로는 빠지지 않도록 연직 방향에 대해서 상광하협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즉, 인서트용 부재의 상단부(52)의 폭은 하단부(53)의 폭보다 길면 되는데, 도 6에서는 단순한 기본형식으로 역사다리꼴 모양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인서트용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몸체(51)가 뻗으며, 콘크리트 하단(56) 외부로부터 몸체의 중심부까지 연통되는 인서트 공간(55)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에는 상기 인서트 공간의 횡단면 너비보다 더 큰 너비로 레일(rail)식 수평 공간(54)이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 공간(55)과 중심부 수평 공간(54)을 합하면, 단면에 티(T)자형이 된다. 그래서, 옆모양이 티형가 되는(즉, 머리 부분이 납작하게 큰) 보울트가 끼워진 후, 자연적으로는 빠지지 않으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티형 보울트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끼워질 수도 있고, 혹은 인서트용 부재의 긴 몸체(51) 중 일부분에서는 인서트 공간(55)의 너비를 수평 공간(54)의 너비만큼 크게,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형성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행거와, 인서트물(보울트 및 너트)과, 인서트용 부재, 그리고 엠바를 조합하여 결착할 수 있다.
도 8은 그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대한 사진이다.
물론, 다른 조합의 예로서, 상기 디귿 형상의 행거와 상기 레일형 인서트용 부재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돌출 날개가 생략되거나 보조막이가 일부 생략된 행거를 상기 레일형 인서트용 부재와 나사 조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예로서의 경량 철골용 행거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위쪽에 있는 입체형으로 표시된 행거는, 그 아래쪽에 치수가 일 예로 표시된 평면판을 접어서 제작할 수 있다.
도 9에 표현된 행거는 크게, 천정면 설치를 위한 각목을 받치는 받침면(92)과, 상기 각목의 옆면에서 밀착하는 접촉면(91, 93)과, 상기 접촉면(91)으로부터 천정면에 수평하게 바깥으로 돌출한 돌출면(9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행거의 상기 돌출면(94)에는 인서트부의 보울트(31)가 관통하는 구멍(951)이 형성하면, 보울트가 구멍(951)에 끼워질 때에, 돌출면(94)의 상하 각각에 너트를 위치시켜, 행거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고 고정할 수가 있게 된다.
또, 행거의 상기 접촉면(91, 9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목 고정용 구멍(974, 98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으로 디귿형 받침인 행거에 기다란 각목이 안착될 수 있는데, 천정면 설치 시에 각목이 흔들리지 않도록 못 등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구멍을 형성한다.
도시된 일 예로, 행거의 제 1 접촉면(91)에서 돌출면(94)이 형성되는 공간(961)의 좌우에 각각 2개씩의 고정용 구멍(974)을 형성하고,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 2 접촉면(93)에는 간격을 두어 3개의 고정용 구멍(983)을 형성한다.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있는 구멍(974, 983)을 통해 각목 고정용 못을 박을 수 있을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행거 부재를 이용하면, 천정 콘크리트의 하단면에서부터 천정면까지의 거리를 매우 짧게 할 수 있다. 즉, 행거의 측면에서 인서트용 보울트의 위치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행거의 높이만큼의 거리를 생략할 수도 있어, 가능한 최소 간격은 상기 티형 보울트의 나사 몸체 길이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보울트의 길이와, 각목의 두께, 또는 상기 행거의 제 1 접촉면(91)의 높이에 영향을 받는다.
앞서 언급된 여러 실시 예의 행거와, 앞서 설명한 인서트용 부재 등을 다양하게 각각 조합할 때에, 수평 및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경량 철골용 천정틀 설치구들이 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들을 갖는 본 발명은, 1단형 천정틀 설치구로서 아파트형 건축물과 같은 낮은 천정에서도 설치할 수 있다. 또, 천정틀 설치구에서 중심 요소인 행거의 크기가 소형이면서, 몸체부가 판형이 가능하므로 비교적 제작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행거는 간단한 구조인 2개의 보조막이를 포함하여 보울 트와 너트의 결착을 안정적이게 하며, 또 2개의 돌출 날개를 포함하여 행거에 매달리는 엠바를 상하 방향에 대해 안정되게 지지한다. 그리하여, 천정용 합판을 설치하기가 쉬워지게 하는 파급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레일형 인서트용 부재에 의하여, 상하 위치 조절이 용이한 보울트를 사용하면서도, 수평(좌우) 방향으로의 위치 선택이 가능한 점과, 동시에 보울트 및 너트의 결착 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선택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천정틀(행거와 엠바)을 상하 좌우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천정틀 공사가 용이해지는 파급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인서트부와 결착되며 천정면 설치를 위한 바(bar)를 붙잡는 행거를 포함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행거에는, 상기 인서트부의 보울트가 통과하는 제 1 원호형 보조막이 및 제 2 원호형 보조막이(44)가 행거 몸체부(40)에 더 형성되며;
    상기 두 보조막이의 사이에 위치하며 행거 몸체부(40)을 횡으로 관통하는 공간(43)으로서, 상기 너트가 상기 보울트와 결합되면서 놓일 수 있는, 너트 공간(43)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2. 천정면 설치를 위한 엠바(M bar)를 붙잡기 위한 좌우 돌출부(47, 49)가 몸체부(40)에 형성된 행거를, 포함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행거에는, 상기 좌우 돌출부(47, 49)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윗부분의 몸체부 일측에서, 상기 엠바의 상단에 닿을 수 있는 돌출 날개(46, 48)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의 몸체부에서의 상기 돌출 날개(46, 48)는, 상기 엠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데, 좌우의 돌출 날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4. 천정을 이루는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인서트용 부재를, 포함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용 부재는;
    연직 방향에 대해서 상광하협 형상의 단면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몸체(51)가 뻗으며; 콘크리트 하단(56) 외부로부터 몸체의 중심부까지 연통되는 인서트 공간(55)을 갖으며; 상기 중심부에는 상기 인서트 공간의 횡단면 너비보다 더 큰 너비로 레일(rail)식 수평 공간(54)이 형성되어, 인서트물(31)의 지지 겸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5. 보울트(31)와 너트로 구성되는 인서트부와 결착되며 천정면 설치를 위한 바(bar)를 붙잡는 행거(hanger)를, 포함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4각면(341, 342, 343, 344, 345)을 형성하는 띠형인데, 윗면으로서의 제 1면(341)에는 상기 인서트부의 보울트(31)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제 2면(342)은 상기 제 1면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아래방향으로 뻗고, 제 3면(343)은 상기 제 2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아랫면을 이루고;
    제 4면(344, 345)은 2 부분으로 나뉘어서, 제 1 부분(345)은 상기 제 1면의 타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아래방향으로 뻗고, 제 2 부분(344)은 상기 제 3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윗방향으로 뻗는데;
    상기 제 2부분(344)의 바깥면에는 체결용 돌기(37)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분 (345)에는 상기 체결용 돌기(37)에 대응하는 체결용 홈(3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의 제 2면(342)에는 그 내부쪽으로 돌기(38)가 형성되어, 제 3면(343)에 놓여지는 상기 천장면 설치를 위한 바(bar)가 윗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7.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인서트부와 결착되며 천정면 설치를 위한 각목을 붙잡는 행거(hanger)를, 포함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각목을 받치는 받침면(92)과, 각목의 옆면에서 밀착하는 접촉면(91, 93)과, 상기 접촉면(91)으로부터 천정면에 수평하게 바깥으로 돌출한 돌출면(94)으로 이루어지는데;
    행거의 상기 돌출면(94)에는 상기 인서트부의 보울트가 관통하는 구멍(951)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91, 9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목 고정용 구멍(974, 98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8. 경량 철골식 천장틀 설치구에 있어서,
    청구항 4에서 한정한 인서트용 부재와;
    청구항 1에서 한정한 행거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용 부재의 수평 공간(54)에는 인서트물로서 보울트(31)의 머리 부분이 들어가고, 상기 행거의 너트 공간(43)에는 너트(33)가 위치하여 상기 보울트와 결착되어;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바의 위치 조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KR1020050047052A 2005-06-02 2005-06-02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KR100708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052A KR100708979B1 (ko) 2005-06-02 2005-06-02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052A KR100708979B1 (ko) 2005-06-02 2005-06-02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167A true KR20060125167A (ko) 2006-12-06
KR100708979B1 KR100708979B1 (ko) 2007-04-18

Family

ID=3772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052A KR100708979B1 (ko) 2005-06-02 2005-06-02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7797A (zh) * 2017-11-09 2018-02-16 无锡弗斯门控科技有限公司 一种c型轨道吊架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208Y1 (ko) * 2002-12-23 2003-04-26 공대석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
KR200345761Y1 (ko) * 2003-12-10 2004-03-22 (주)무진기업 마감패널 부착용 고정바의 체결구
KR200351249Y1 (ko) * 2004-02-10 2004-05-31 주식회사 위넥스 지지목과 천장판넬의 결합구조
KR200366580Y1 (ko) * 2004-08-17 2004-11-06 한국스틸산업 주식회사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채널바
KR200371856Y1 (ko) * 2004-10-20 2005-01-14 한국스틸산업 주식회사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7797A (zh) * 2017-11-09 2018-02-16 无锡弗斯门控科技有限公司 一种c型轨道吊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979B1 (ko)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774B1 (ko) 건축천장 이동식 행거구조
US9689162B2 (en) Insulating wall assembly with framing member supports partially embedded within rigid insulation panels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US7780122B1 (en) Telescopic pipe support system
US20160208496A1 (en) Mounting assembly for glass balustrade
US4189893A (en) Ceiling runner and panel assembly having sliding lockability
US20130167465A1 (en) Splice Plate
AU2013307299A1 (en) Apparatus for securing insulation panels to a supporting structure and ceiling support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20180202628A1 (en) Indirect light cove
US20170051505A1 (en) Channel for interior glass panel
US44844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furring to columns
KR100708979B1 (ko) 경량 철골식 천정틀 설치구
KR101433597B1 (ko) 조립식 건축물의 각도 조절 패널 및 그 시공방법
US20080202059A1 (en) Floor joist hanger
JP2004285561A (ja) 天井と壁の接合部の下地構造
US9151050B2 (en) Splice plate
US2016874A (en) Building construction
KR20070097682A (ko) 경량철골 마감재 설치용 구조
SK337292A3 (en) Method of fixing, in particular cover boards by their additional fastening and a fixing system
CN210658906U (zh) 一种吊件
JP5289924B2 (ja) 設備用下地材固定金物及びこれを備えたパネル
JPH06336830A (ja) フラットデッキの仮設構造
JP3005459U (ja) 立体トラス用吊りビ−ム
KR970000177Y1 (ko) 천정판 고정장치
JP2004332326A (ja) 天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