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378A -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378A
KR20060124378A KR1020050046275A KR20050046275A KR20060124378A KR 20060124378 A KR20060124378 A KR 20060124378A KR 1020050046275 A KR1020050046275 A KR 1020050046275A KR 20050046275 A KR20050046275 A KR 20050046275A KR 20060124378 A KR20060124378 A KR 20060124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value
image
moving
key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2615B1 (ko
Inventor
김재호
이종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615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20Linear transl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에 있어서, 현재 좌표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위치이동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이동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현재 좌표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를 입력받는 과정과, 현재 좌표값과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방향의 마지막 좌표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좌표값과 상기 마지막 좌표값의 가운데 좌표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좌표값을 상기 가운데 좌표값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좌표, 이동방법, 이미지, 좌표

Description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COORDINATES MOVING METHOD FOR DISPLAY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의 위치 이동 동작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표의 위치 이동 동작 흐름도.
도 3a -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좌표의 위치 이동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의 위치 이동 동작시 좌표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표의 위치 이동 동작시 좌표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다양화됨에 따라, 각종 단말기에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최근 일반적으로 보급화 되어진 휴대단말기가 영상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CCD나 CMOS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LC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는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을 전송 또는 저장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편집하는 기능들도 크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서 저장하고 있는 사진 영상의 크기를 조절(zoom in, zoom out) 및 디스플레이 위치를 이동하거나, 또는 복수의 사진 영상들을 합성하는 기술들이 구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진을 합성하거나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 사진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모드를 실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이동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받는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방향키에 따라 일정 좌표만큼씩 이미지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종래에는 상기 이동되는 좌표의 크기는 작기 때문에 사용자는 많은 이동거리로 이미지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방향키의 조작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수차례의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방향키의 조작을 통하여 이미지 등의 이동할 경우 편리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상기 이미지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에 있어서, 현재 좌표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위치이동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이동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현재 좌표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를 입력받는 과정과, 현재 좌표값과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방향의 마지막 좌표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좌표값과 상기 마지막 좌표값의 가운데 좌표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좌표값을 상기 가운데 좌표값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좌표는 표시부에 미리 설정되어있는 좌표값을 나타낸다. 또한, 제1이미지는 단말기의 표시부 크기로 출력되는 이미지를 나타내며, 제 2이미지는 상기 제1이미지의 하부에 겹쳐지도록 디스플레이되어 위치의 이동이 가능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의 위치 이동 동작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의 위치 이동 동작시 좌표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되어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키의 입력을 받는다. 이후 상기 이미지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위치이동모드를 실행하는 100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100단계의 위치이동모드 실행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은 도 4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XA,YA)으로 나타낸다.
제어부는 1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의 키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키가 어떤 방향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인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받은 방향키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키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임을 확인한 경우 11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XA,YA)과 상기 입력받은 위치 이동방향의 표시부의 마지막 좌표값을 확인한다. 상기 위치 이동 방향의 표시부의 마지막 좌표값은 (XB,YA)로 나타낸다. 도 4의 예시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키의 입력을 받은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확인한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XA,YA)과 표시부 우측의 마지막 좌표값(XB,YA)의 가운데 좌표값을 계산하는 110단계를 실행한다. 도 4의 화면 예시도에서는 상기 가운데 좌표값을(Xc,YA)로 나타낸다. 이후 제어부는 1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계산된 가운데 좌표값(XC,YA)으로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XA,YA)을 이동한다.
이후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키의 입력이 발생시 다시 상기 105단계로 돌아가서 상기 입력된 키가 상기 이미지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키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가운데 좌표값은 상기 입력받은 방향키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키임에 따라 X축의 좌표값 만을 계산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상기 105단계에서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키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가 아님을 판단한 경우 12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는 120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키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임을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키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임을 확인한 경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XA,YA)과 상기 입력받은 위치 이동방향의 표시부의 마지막 좌표값을 확인한다. 도 4의 화면 예시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상측(↑) 방향키를 입력받은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이동 방향의 표시부의 상측 마지막 좌표값은 (XA,YB)로 나타 낸다. 상기 확인한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XA,YA)과 마지막 좌표값(XA,YB)의 가운데 좌표값을 계산하는 125단계를 실행한다. 도 4의 화면 예시도에서는 상기 가운데 좌표값은(XA,YC)로 나타낸다.
이후 제어부는 1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계산된 가운데 좌표값(XA,YC)으로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XA,YA)을 이동한다. 이후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키의 입력이 발생시 상기 105단계로 돌아가서 상기 입력된 키가 상기 이미지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키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가운데 좌표값은 상기 입력받은 방향키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키임에 따라 Y축의 좌표값만을 계산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상기 120단계에서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키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가 아님을 판단한 경우 135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받지 않았음을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현재 위치로 설정하도록 하는 확인키의 입력을 받았는지에 대해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이미지를 현재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설정하도록 하는 확인키를 입력받았음을 판단한 경우 상기 이미지를 현재 위치에 설정하도록 저장하고 상기 위치 이동모드를 종료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의 위치 이동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의 키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현재 중심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된 방향의 마지막 좌표값을 확인하여 상기 현재 좌표값과 상기 마지막 좌표값의 가운테 좌표값으로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이 위치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표의 위치 이동 동작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표의 위치 이동 동작시 좌표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되어있는 제1이미지와 상기 제1이미지의 하부에 디스플레이되며 편집이 가능한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하는 키의 입력을 받는다. 이후 상기 이미지들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제2이미지를 편집 및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위치이동모드를 실행하는 200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위치이동모드 실행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은 도 5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X0,Y0)로 나타낸다.
이후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특정(숫자/문자)키를 입력받았는지를 판단하는 205단계에서 판단한다. 도 5의 화면 예시도에서 같이 표시부가 숫자/문자키와 대응되도록 좌표의 영역이 분할되어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와 가장 근접한 위치로 숫자/문자키를 입력받을 경우 해당하는 숫자/문자 영역의 중심 좌표로 이미지가 우선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20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숫자/문자키의 입력을 받았음을 판단한 경우 2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숫자/문자키에 대응되는 해당 영역의 일정 위치(XA,YA)로 이동한다. 도 5의 화면 예시도에서는 상기 입력받은 숫자/문자키가 '4'임을 판단하여 상기 해당 영역의 중심 좌표로 이미지의 중심좌표가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후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역으로 이동한 이미지를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된 키가 어떤 방향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인지를 판단하는 215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215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방향키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입력된 키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임을 확인한 경우 22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는 상기 이동한 영역의 중심 좌표값(XA,YA)과 상기 영역내에서 상기 입력받은 위치 이동 방향의 표시부의 마지막 좌표값을 확인한다. 도 4의 예시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역에서 이미지를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키를 입력받은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영역의 표시부의 마지막 좌표값은 (XB,YA)로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확인한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XB,YA)의 가운데 좌표값을 계산하는 220단계를 실행한다. 도 5의 화면 예시도에서는 상기 가운데 좌표값은(XC,YA)로 나타낸다.
이후 제어부는 2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계산된 상기 영역의 가운데 좌표값(XC,YA)으로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을 이동 한다. 이후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키의 입력이 발생시 상기 215단계로 돌아가서 상기 입력된 키가 상기 이미지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키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가 운데 좌표값은 상기 입력받은 방향키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키임에 따라 X축의 좌표값만을 계산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상기 215단계에서 판단 결과 상기 입력된 키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가 아님을 확인한 경우 23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는 230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키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키임을 판단한 경우 상기 이동한 영역의 중심 좌표값(XA,YA)과 상기 영역내에서 상기 입력받은 위치 이동 방향의 표시부의 마지막 좌표값을 확인한다. 도 5의 예시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역에서 이미지를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키를 입력받은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영역의 표시부의 마지막 좌표값은 (XA,YB)로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확인한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XA,YA)과 상기 영역의 표시부의 마지막 좌표값(XA,YB)의 가운데 좌표값을 계산하는 220단계를 실행한다. 도 5의 화면 예시도에서는 상기 가운데 좌표값은(XA,YC)로 나타낸다.
이후 제어부는 2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계산된 상기 영역의 가운데 좌표값(XA,YC)으로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XA,YA)을 이동한다. 이후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키의 입력이 발생시 상기 215단계로 돌아가서 상기 입력된 키가 상기 이미지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키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가운데 좌표값은 상기 입력받은 방향키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키임에 따라 Y축의 좌표값만을 계산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상기 230단계에서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키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가 아님을 판단한 경우 245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받지 않았음을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현재 위치로 설정하도록 하는 확인키의 입력을 받았는지에 대해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이미지를 현재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설정하도록 하는 확인키를 입력받았음을 판단한 경우 상기 이미지를 현재 위치에 설정하도록 저장하고 상기 위치 이동모드를 종료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의 위치 이동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의 가장 근접한 위치로 숫자/문자키의 영역과 대응되도록 설정되어있는 숫자/문자키의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숫자/문자키의 영역으로 우선 이동한다. 이후 이미지를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의 키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내에서 이미지의 현재 중심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된 방향의 마지막 좌표값을 확인하여 상기 현재 좌표값과 상기 마지막 좌표값의 가운테 좌표값으로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이 위치하도록 한다.
도 3a -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표의 위치 이동 동작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상기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와 유사한 과정으로 위치이동모드를 300단계에서 실행하고 상기 위치이동모드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하도록 하는 과정인 34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제어부는 34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25단계 및 340단계에서 이동한 좌표의 값이 1좌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345단계는 상기 이미 지의 중심 좌표값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를 이동하고자하는 방향의 키에 따라 표시부의 마지막 좌표를 확인하여 상기 중심 좌표값과 상기 마지막 좌표값의 중간 좌표값이 상기 중심 좌표값과 1좌표 차이일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판단 경과 상기 이동한 좌표값이 1좌표임을 판단한 경우 350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를 이동하는 방법을 해제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및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이미지를 이동하는 방법을 이분법 방식이라 한다. 따라서 상기 이분법 방식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받았는지 판단하는 355단계와 365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키를 입력받았음을 판단한 경우 입력된 위치이동 방향키의 방향에 따라 1좌표씩 이미지의 중심 좌표값을 이동하도록 하는 360단계를 실행한다. 따라서 이분법 이동 방식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에 따라 1좌표씩만 이동하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는 36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의 입력을 받지 않았음을 판단한 경우 375단계로 진행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받지 않았음을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현재 위치로 설정하도록 하는 확인키의 입력을 받았는지에 대해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이미지를 현재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설정하도록 하는 확인키를 입력받았음을 판단한 경우 상기 이미지를 현재 위치에 설정하도록 저장하고 상기 위치 이동모드를 종료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표의 위치 이동 동작은 다 른 실시 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이미지를 이동하며 상기 이동한 좌표의 값을 확인하여 상기 이동한 좌표의 값이 1좌표일 경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를 이동하는 방식을 해제하고 사용자의 이미지를 이동하고자하는 방향키의 입력에 따라 1좌표씩만 이미지를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적용되는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한정하였으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외에도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편집할 수 있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방향키의 조작을 통하여 이미지 등의 이동할 경우 편리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상기 이미지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Claims (8)

  1.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에 있어서,
    현재 좌표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위치이동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이동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현재 좌표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를 입력받는 과정과,
    현재 좌표값과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방향의 마지막 좌표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좌표값과 상기 마지막 좌표값의 가운데 좌표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좌표값을 상기 가운데 좌표값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좌표값은 영상 이미지의 중심의 좌표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좌표가 가운데 좌표로 이동시 상기 이동한 좌표값이 1좌표임을 확인한 경우 이후 사용자로부터 좌표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의 입력 시 1좌표씩 좌표를 이동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정보에 대응되는 소정의 위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제 2이미지의 좌표값이 출력하며 제 2이미지의 좌표를 이동하여 제 1이미지와 소정의 위치에 합성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5.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에 있어서,
    현재좌표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위치이동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이동모드에서 숫자/문자키와 대응되도록 설정되어진 좌표의 영역 중 사용자로부터 상기 현재 좌표를 이동하고자 하는 좌표에 근접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숫자/문자키의 입력을 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숫자/문자키에 대응되는 영역의 중심 좌표값으로 현재 좌표값을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영역내의 중심 좌표값으로 이동한 현재 좌표를 상기 영역내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키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영역내에서 현재 좌표값과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방향의 마지막 좌표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영역 내에서 현재 좌표값과 상기 마지막 좌표값의 가운데 좌표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영역 내에서 현재 좌표값을 상기 가운데 좌표값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한 좌표값이 1좌표일 경우 이후 사용자로부터 좌표를 이동하도록 하는 키의 입력을 받을 경우 1좌표씩 이동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값들은 이미지의 중심의 좌표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제1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정보에 대응되는 소정의 위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제2이미지의 좌표값이 출력하며 제2이미지의 좌표를 이동하여 제1이미지와 소정의 위치에 합성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KR1020050046275A 2005-05-31 2005-05-31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KR10084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75A KR100842615B1 (ko) 2005-05-31 2005-05-31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75A KR100842615B1 (ko) 2005-05-31 2005-05-31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378A true KR20060124378A (ko) 2006-12-05
KR100842615B1 KR100842615B1 (ko) 2008-06-30

Family

ID=3772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275A KR100842615B1 (ko) 2005-05-31 2005-05-31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710A (ko) 2012-11-05 2015-07-08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베시클 조성물 및 그것을 배합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842A (ko) * 2000-01-21 2001-08-03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 방법
KR20020056976A (ko) * 2000-12-30 2002-07-11 윤종용 휴대용 단말기에서 확대창 디스플레이방법
KR20020080588A (ko)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알파텔레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좌표변환을 통한 화면 표시 방법
KR100516629B1 (ko) * 2003-10-02 2005-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 좌표 측정용 광센서 장치 및 2차원의 연속적 이미지프로세스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KR100595254B1 (ko) * 2004-01-17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좌표 변환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710A (ko) 2012-11-05 2015-07-08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베시클 조성물 및 그것을 배합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615B1 (ko) 200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1553B2 (en) Image capturing device with touch screen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US8120641B2 (en) Panoramic photography method and apparatus
US10742888B2 (en) 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partial areas and positional relationship therebetween
KR101328950B1 (ko) 화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통신용단말기
KR101409653B1 (ko) 파노라마 사진 자동 촬영 방법
KR100657522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아웃 포커싱 촬영 장치 및 방법
CN108900767B (zh) 相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433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JP2005141151A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機能設定方法
JP2009105919A (ja) 画面表示部を有する機器の操作装置、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タッチパネル操作方法
CN103891265A (zh) 可远程控制的数字摄影机系统
US8692907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JP2016178440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06029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09617A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送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装置制御方法
WO2014034137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1034512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0842615B1 (ko) 표시장치에서 좌표의 위치 이동 방법
KR101204868B1 (ko) 프로젝션 및 가상 입력 겸용의 프로젝터 및 데이터 입력 방법
KR101324809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5333340A (ja) 撮像装置
KR100681196B1 (ko) 영상 촬영장치가 포함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영상 편집 방법
JP4507665B2 (ja) 電話機位置情報の登録方法
JP6351667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H09186923A (ja) 撮像方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