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283A - 감열방식 인쇄기 - Google Patents

감열방식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283A
KR20060124283A KR1020050046120A KR20050046120A KR20060124283A KR 20060124283 A KR20060124283 A KR 20060124283A KR 1020050046120 A KR1020050046120 A KR 1020050046120A KR 20050046120 A KR20050046120 A KR 20050046120A KR 20060124283 A KR20060124283 A KR 2006012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housing
stack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철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4283A/ko
Publication of KR2006012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열방식 인쇄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지 카세트로부터 용지가 공급되는 측에 제1 배출구가 형성되며, 그 반대측에 제2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플래튼롤러와 인쇄 닙(nip)을 형성하며 그 사이로 이송되는 용지에 열을 가하는 써멀 프린팅헤드; 및 하우징에 형성된 제2 배출구의 외측에 접혀지고 펼쳐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를 위한 이송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스태커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감열방식 인쇄기{Thermal prin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열방식 인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열방식 인쇄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하우징 111..제1 배출구
112..제2 배출구 120..급지 카세트
130..스태커 141..써멀 프린팅헤드
142..플래튼롤러 145..픽업롤러
146..피드롤러 147..배출롤러
A1..제1 이송경로 A2..제2 이송경로
본 발명은 감열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 작업시 용지가 이송되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감열방식 인쇄기 에 관한 것이다.
감열방식 인쇄기는 열에 반응하여 소정의 색상을 보통용지에 전사하는 잉크리본을 사용하는 방식과 열에 반응하여 소정의 색상이 발현되는 감열용지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감열방식 인쇄기는 칼라화상정보를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색상의 정보로 분해하고, 각 색상의 화상을 용지에 3회에 걸쳐서 중첩시켜 인쇄함으로써 칼라화상이 표현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잉크리본은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잉크층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감열용지는 기재 상에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잉크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감열방식 인쇄기는 용지에 열을 가하기 위해 하나의 써멀 프린팅헤드(TPH; Thermal Printing Head)를 구비하는 것이 구성의 간소화를 위해 유리하다. 이와 같이 써멀 프린팅헤드가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용지가 써멀 프린팅헤드에 대해 적어도 3회 이상 왕복하여 이송된다. 즉, 용지는 써멀 프린팅헤드에 대해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용지가 공급되면 써멀 프린팅헤드로 전진하여 이를 거친 후 공급된 측으로 후진을 하게 되는데, 용지가 후진하는 경우에는 후진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용지의 공급되는 쪽에 위치해있으므로 충분히 확보되어진다. 즉, 용지가 후진하게 되면 용지의 공급되는 쪽에 인접해 있는 용지의 배출 공간을 이용하게 되므로 별다른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된다. 그러나, 용지가 써멀 프린팅헤드를 거쳐 전진하는 경우에는 용지의 처음 공급되는 반대측을 통해 외부로 나가게 되는데, 종래에 따르면 사용자가 주의하지 않는다면 용지가 간섭받지 않고 외 부로 나올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우려가 높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부주의로 용지가 이송되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게 되면 용지가 벽이나 주변 물체 등에 부딪혀 용지 잼이 발생되어 용지가 낭비되거나, 잉크리본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잉크리본이 구겨져 손상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인쇄 작업시 용지가 이송되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용지 잼에 의한 용지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감열방식 인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인쇄기는, 급지 카세트로부터 용지가 공급되는 측에 제1 배출구가 형성되며, 그 반대측에 제2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플래튼롤러와 인쇄 닙을 형성하며 그 사이로 이송되는 용지에 열을 가하는 써멀 프린팅헤드;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 배출구의 외측에 접혀지고 펼쳐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를 위한 이송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스태커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급지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인출하는 픽업롤러, 및 상기 픽업롤러와 접촉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롤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어 제2 배출구로 이송되는 용지는 그 말미가 상기 써멀 프린팅헤드와 플래튼롤러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상기 플래튼롤러에 의해 방향을 바꾸어 상기 제1 배출구로 이송되며, 상기 제1 배출구로 이송되는 용지는 그 말미가 상기 배출롤러와 픽업롤러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상기 배출롤러에 의해 방향을 바꾸어 상기 제2 배출구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태커와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스태커가 하우징에 대해 접혀졌는지 펼쳐졌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열방식 인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열방식 인쇄기(100)에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삽입되어 설치된 급지 카세트(120), 및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태커(stacker, 13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 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멀 프린팅헤드(141)가 구비된다. 상기 써멀 프린팅헤드(141)는 미세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발열소자를 배열한 것으로, 각각의 발열소자는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써멀 프린팅헤드(141)에는 플래튼롤러(142)가 설치된다. 상기 플래튼롤러(142)는 인쇄가 수행되는 동안에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함께 인쇄 닙(nip)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플래튼롤러(142)는 인쇄가 수행되는 동안에 발열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이 용지(P)로 충분히 전달되도록 그 정점이 발열소자와 대면되도록 위치되며, 발열소자의 열이 누출되지 않도록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된다. 이를 위해, 상기 써멀 프린팅헤드(141)는 탄성 부재(143)에 의해 플래튼롤러(142) 측으로 탄성 편향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써멀 프린팅헤드(141)는 플래튼롤러(142)와의 사이로 용지(P)가 진입하거나 인쇄가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 용지(P)가 통과하는 경우에는 플래튼롤러(142)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플래튼롤러(142) 사이로 용지(P)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으며 용지(P)가 통과할 때 용지(P)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써멀 프린팅헤드(141)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플래튼롤러(142)로부터 써멀 프린팅헤드(141)를 이격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플래튼롤러(142) 사이로 용지(P)를 공급하기 위해 급지 카세트(120)에는 픽업롤러(145)가 설치된다. 상기 픽업롤러(145)는 인쇄될 용지(P)가 적재된 급지 카세트(120)로부터 용지를 한 장씩 인출한다. 이렇게 급지 카세트(120)로부터 인출되어 공급되는 용지(P)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리본(150)이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플래튼롤러(142) 사이에 개재된 경우에는 보통용지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잉크리본(150)이 생략된 경우에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잉크층이 기재 상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감열 용지가 이용될 수 있다. 잉크리본(150)은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잉크층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픽업롤러(145)와 플래튼롤러(142) 사이에는 용지(P)를 이송시키기 위한 피드롤러(146)가 구비된다. 상기 피드롤러(146)는 두 개의 롤러가 서로 접촉되어 그 사이로 용지(P)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145) 측에는 배출롤러(147)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롤러(147)는 인쇄된 용지(P)를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시키는 것으로, 픽업롤러(145)의 외면에 접촉되어 회전한다. 상기 배출롤러(147)는 인쇄가 수행되는 동안에 용지(P)를 왕복 이송시키는데도 이용되며, 상기 제1 배출구(111)는 용지(P)를 임시로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배출롤러(147), 피드롤러(146), 픽업롤러(145), 및 플래튼롤러(142)는 용지(P)를 왕복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정/역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들의 정/역회전을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이 구비된다.
참조부호 A1은 픽업롤러(145)와 써멀 프린팅헤드(141) 사이에서 용지(P)가 이송되는 제1 이송경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A2는 배출롤러(147)와 써멀 프린팅헤드(141) 사이에서 용지(P)가 이송되는 제2 이송경로를 나타낸다. 상기 제1 이송경로(A1)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P)는 급지 카세트(120)로부터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그 말미가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플래튼롤러(142)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까지 이송되는데, 하우징(110)은 소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임시로 용지(P)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우징(110)에는 외부와 연통된 제2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배출구(112)를 통해 인쇄가 수행되는 동안에 용지(P)는 임시로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사용자의 부주의로 용지(P)가 배출될 수 있 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게 되면, 예컨대 제2 배출구(112)와 가깝게 벽이나 주변 물체 등이 위치함으로써 배출되는 용지(P)가 이들에 부딪히게 되면, 용지(P) 잼이 발생되어 용지(P)가 낭비되거나, 잉크리본(150)이 구겨져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제2 배출구(112)가 형성된 측에 스태커(130)가 마련된 것이다. 상기 스태커(130)는 하우징(110)에 대해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태커(130)와 하우징(110)에 대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태커(130)는 인쇄가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110)에 접혀져 위치됨으로써 콤팩트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다가, 인쇄가 수행되는 동안에는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110)에 대해 펼쳐져 위치됨으로써 제2 배출구(112)가 개방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제2 배출구(112)의 외측에 용지(P)가 임시로 배출되어 이송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제2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P)가 주변 물체 등에 부딪혀 용지(P) 잼이 발생됨으로써 용지(P)가 낭비되거나, 잉크리본(150)이 구겨져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스태커(130)의 펼쳐진 길이는 제2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용지(P)가 외부 장애요소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스태커(130)와 하우징(110) 사이에는 스태커(130)가 하우징(110)에 대해 접혀졌는지 펼쳐졌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60), 예컨대 마이크로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160)은 사용자가 스태커(130)를 하우징(110)에 대해 펼쳐놓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를 하고자 하면, 스태커(130)가 하우징(110) 에 대해 접혀져 있는 상황을 감지하여 알람이나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160)은 인쇄가 종료되어 사용자가 스태커(130)를 하우징(110)에 대해 접게 되면, 더 이상 인쇄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여 절전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감열방식 인쇄기의 작용효과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제1 이송경로를 따라 용지가 이송되면서 인쇄되는 과정을 나타내며, 도 4는 제2 이송경로를 따라 용지가 이송되면서 인쇄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용지가 공급되어 전진할 수 있게 롤러들이 회전하는 방향을 정회전이라 하고, 용지가 후진할 수 있게 롤러들이 회전하는 방향을 역회전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픽업롤러(145)가 정회전하면서 급지 카세트(120)로부터 한 장의 용지(P)가 인출된다. 인출된 용지(P)가 제1 이송경로(A1)를 따라 전진하여 피드롤러(146)에 도달하면 정회전하는 피드롤러(146)에 의해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플래튼롤러(142)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이렇게 용지(P)가 진입하게 되면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플래튼롤러(142) 사이는 인쇄 닙을 형성하게 되고, 다수의 발열소자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온 또는 오프 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면,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플래튼롤러(142) 사이에 개재된 잉크리본(150)의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잉크층 중에서 시안 색상의 잉크층으로 용지(P)가 인쇄된다. 이렇게 인쇄되면서, 용지(P)는 정회전하는 플래튼롤러(142)에 의해 제1 이송경로(A1)를 따라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되는 용지(P)는 일부분이 제2 배출구(112)를 통해 임시로 배출 된다. 이때, 제2 배출구(112)의 외측에는 펼쳐진 스태커(130)에 의해 제1 이송경로(A1)가 연장되어 있으므로, 용지(P)가 임시로 배출되어 이송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P)는 주변 물체 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제2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P)는 그 말미가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플래튼롤러(142)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까지 배출된 이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송경로(A2)를 따라 후진하여 이송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래튼롤러(142)가 역회전하면서 용지(P)가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플래튼롤러(142) 사이를 후진하게 되면,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플래튼롤러(142) 사이에 형성된 인쇄 닙에서는 다수의 발열소자가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온 또는 오프 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면,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플래튼롤러(142) 사이에 개재된 잉크리본(150)의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잉크층 중에서 마젠타 색상의 잉크층으로 용지(P)가 인쇄된다. 이렇게 인쇄되면서, 용지(P)는 정회전하는 피드롤러(146)와 배출롤러(147)에 의해 제2 이송경로(A2)를 따라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되는 용지(P)는 일부분이 제1 배출구(111)를 통해 임시로 배출된다. 이때, 제1 배출구(111)의 외측에는 급지 카세트(120)에 의해 용지(P)가 임시로 배출되어 이송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으므로, 제1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P)는 주변 물체 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제1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P)는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그 말미가 써멀 프린팅헤드(141)와 플래튼롤러(142)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까지 배출된 이후에는, 옐로우 색상 의 잉크층으로 인쇄될 수 있게 제2 이송경로(A2)를 따라 다시 전진하여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되는 용지(P)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옐로우 색상의 잉크층으로 인쇄되는 과정에서 제2 배출구(112)를 통해 임시로 배출되었다가, 인쇄된 이후에는 제2 이송경로(A2)를 따라 다시 후진하여 이송된다. 다시 후진하는 과정에서 용지(P)는 잉크리본(150)에 코팅층에 구비된 경우에는 코팅층에 의해 코팅될 수도 있다. 이렇게 용지(P)에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이 순차적으로 인쇄되면 혼색되어 칼라화상이 구현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인쇄가 최종 완료된 용지(P)는 제1 배출구(111)를 통해 완전히 배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리본(150)이 구비됨에 따라 인쇄매체로서 보통용지가 사용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감열용지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안, 마젠타, 옐로우 순으로 인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용지가 임시로 배출될 때, 배출되어 이송되는 공간이 하우징으로부터 펼쳐진 스태커에 의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그 결과, 임시로 배출되는 용지가 주변 물체 등에 부딪혀 용지 잼이 발생됨으로써 용지가 낭비되거나, 잉크리본이 구겨져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태커는 인쇄가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하우징에 접혀져 위치될 수 있으므로, 콤팩트한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 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급지 카세트로부터 용지가 공급되는 측에 제1 배출구가 형성되며, 그 반대측에 제2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플래튼롤러와 인쇄 닙(nip)을 형성하며 그 사이로 이송되는 용지에 열을 가하는 써멀 프린팅헤드;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 배출구의 외측에 접혀지고 펼쳐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용지를 위한 이송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스태커를 구비하는 감열방식 인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급지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인출하는 픽업롤러, 및 상기 픽업롤러와 접촉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인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어 제2 배출구로 이송되는 용지는 그 말미가 상기 써멀 프린팅헤드와 플래튼롤러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상기 플래튼롤러에 의해 방향을 바꾸어 상기 제1 배출구로 이송되며, 상기 제1 배출구로 이송되는 용지는 그 말미가 상기 배출롤러와 픽업롤러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에 상기 배출롤러에 의해 방향을 바꾸어 상기 제2 배출구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인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롤러와 배출롤러 사이에는 용지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인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와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스태커가 하우징에 대해 접혀졌는지 펼쳐졌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인쇄기.
KR1020050046120A 2005-05-31 2005-05-31 감열방식 인쇄기 KR20060124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120A KR20060124283A (ko) 2005-05-31 2005-05-31 감열방식 인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120A KR20060124283A (ko) 2005-05-31 2005-05-31 감열방식 인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283A true KR20060124283A (ko) 2006-12-05

Family

ID=3772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120A KR20060124283A (ko) 2005-05-31 2005-05-31 감열방식 인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42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678B1 (ko) * 2018-11-20 2020-04-20 디에스글로벌(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678B1 (ko) * 2018-11-20 2020-04-20 디에스글로벌(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93430A (ja) 熱転写プリンター
JP2002356027A (ja) 印刷装置
JP5454442B2 (ja) 液体吐出装置
US6762780B2 (en) Printing apparatus
US7441884B2 (en) Recording apparatus
US2012006911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4623174B2 (ja) プリンタ
KR20060124283A (ko) 감열방식 인쇄기
JP5195851B2 (ja) プリンタ
KR100584588B1 (ko) 감열방식 인쇄기
JP472092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622506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80228A5 (ko)
JP347432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7014342B2 (ja) 熱転写印画装置
JP2012118497A (ja) 画像形成装置
JP3448845B2 (ja) 印刷装置
JP5195850B2 (ja) プリンタ
JP3657212B2 (ja) 画像形成方法
TW202128446A (zh) 熱轉印列印裝置
JP2002225240A (ja) 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3550553B2 (ja) 印刷装置
JP200233168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52751A (ja) カラー印刷方法およびカラー印刷装置
KR20060130452A (ko) 감열방식 인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