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3046A -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3046A
KR20060123046A KR1020060110343A KR20060110343A KR20060123046A KR 20060123046 A KR20060123046 A KR 20060123046A KR 1020060110343 A KR1020060110343 A KR 1020060110343A KR 20060110343 A KR20060110343 A KR 20060110343A KR 20060123046 A KR20060123046 A KR 20060123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upport
rooftop
apartmen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527B1 (ko
Inventor
한광호
하금현
김진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Priority to KR102006011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527B1/ko
Publication of KR2006012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95Guide tracks for safet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상복합 아파트등 비교적 높은 건물 옥상에 로프를 연결시켜 외벽청소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옥상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하강할 수 있도록 위치가 손쉽게 가변되고, 로프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로프의 하강위치를 바꾸기 위한 보조로프가 필요없고, 위치변동에 따른 주로프를 다시 풀어 고정할 필요가 없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로프가 옥상난간의 모서리에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확보물의 위치가 가까우므로 로프의 길이가 짧아져 로프의 관리가 수월한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가 제공된다.
로프, 로프 고정대, 로프 받침대, 이송대, 요홈, 돌설부.

Description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shifting system of rooftop ring of store apartment}
도 1은 기존 방식으로 로프 작업시 난간의 로프 부분 상태도
도 2는 로프의 일부분 정면도
도 3은 기존 방식으로 로프 작업시 난간의 로프 측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고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받침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의 주요부분 단면도 및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난간 210 : 이송대 240 : 로프 고정대 243 : 로프 고정고리
260 : 로프 받침대 300 : 로프
본 발명은 주상복합 아파트등 비교적 높은 건물 옥상에 로프를 연결시켜 외 벽청소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옥상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하강할 수 있도록 위치가 손쉽게 가변되고, 로프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건물, 특히 주상복합 아파트의 경우 외벽 청소작업, 각종 보수작업, 화공작업, 간판작업등이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는데, 크레인등의 장비사용이 여의치 않으면 작업자가 로프( Rope )를 사용하여 하강해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매달리는 주( 主 )로프( 20 )를 확보하기 위한 확보물이 작업자가 하강하고자 하는 위치와 일직선상에 있지 아니할 때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보조로프( 30 )로 주로프( 20 )의 일측을 묶어 매듭( 35 )을 짓고, 작업자가 하강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추기 위하여 보조로프의 타측을 주로프와 반대방향으로 당겨 또 다른 확보물에 고정하였다.
한편, 도2를 참조하면, 로프는 폴리프로필렌( PP ), 자연섬유등의 소재를 꼬아서 제작되어 결( 25 )이 생기는데, 작업자가 로프에 하강기구( 젠다이 )를 이용해 하강하게 되면 하강기구 상부 샤클( Shackle )에 작업자의 몸무게가 실려 하강시 로프의 결에 따라 잔여로프 즉, 작업자의 하강기구 상단의 샤클 하부위치에서 지면까지의 로프가 회전하게 되므로 주로프가 지면에 닿는 길이가 많은 경우 뒤틀려 꼬이게 되기 때문에 지면에서 어느 정도( 샤클에 로프가 연결된 채 하강하여 작업자가 착지한 상태에서 잔여로프가 조금 남아있는 정도 )이격( 離隔 )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로프 작업을 하다 보면 작업범위에 한계가 있으므로 로프의 위치를 여러번 이동시켜야 할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주로프( 20 )를 확보한 후, 보조로프( 30 )로 하강위치를 맞추다 보면, 로프의 끝단이 지면으로 부터 상당높이로 이격되거나, 많은 길이가 지면과 접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작업위치의 이동에 따라 로프를 풀어 다시 고정시켜야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로프의 끝단이 A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지면에 닿는 길이가 많아지게 되고, B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지면으로부터 점차 높게 이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3를 참조하면, 확보물에 고정된 주로프가 옥상의 난간 상단에 얹혀 작업자의 하강위치로 내려지기까지 몇차례 걸쳐 모서리( 11 )부위에 접하게 된다. 이때, 건물의 마감소재에 따라 동, 알미늄 판넬등은 눌리켜 망손되거나, 타일, 대리석등의 경우에는 로프( 20 )가 모서리( 11 )에 쓸려 로프의 절단으로 이어지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로프에 보조로프를 묶어 주로프의 하강위치를 맞추는데 있어서, 보조로프를 주로프에 묶는 위치선정과 보조로프 확보물의 각도와 거리에 따라 보조로프에 하중이 걸리는 것을 계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확보물이 멀리 있는 경우, 길이가 긴 로프를 사용해야 하므로 로프를 사리거나 운반하는등 로프를 관리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은, 주로프의 하강위치를 바꾸기 위한 보조로프가 필요 없고, 위치변동에 따른 주로프를 다시 풀어 고정할 필요가 없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프가 옥상난간의 모서리에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확보물의 위치가 가까우므로 로프의 길이가 짧아져 로프의 관리가 수월한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200 )는,
C형강의 개구부 상단에 다수개의 요홈( 220 )이 형성되고, 후단부 및 하단부에 다수개의 지지편( 230, 230' )이 착설된 이송대( 210 )와,
전단부의 설치공( 242 )에 로프 고정고리( 243 )가 회동 가능토록 내설된 돌설부( 241' ) 및 상기 돌설부가 전면부에 긴밀하게 부착된 몸체( 241 )로 구성된 로프 고정대( 240 )와
상부 받침대( 260a )와 하부 받침대( 260b )가 흰지( 263 )에 의해 회동 가능토록 연결되고, 상기 상부받침대와 하부받침대 양 끝단에 로프 이탈 방지턱( 262 )이 형성되며, 하부 받침대 하단부에 결합구( 261 )가 형성되되, 상기 로프고정대( 240 ) 돌설부( 241' )에 상기 결합구( 261 )가 삽설되는 구조를 갖는 로프 받침대( 26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기존 방식으로 로프 작업시 난간의 로프 부분 상태도, 도 2는 로프의 일부분 정면도, 도 3은 기존 방식으로 로프 작업시 난간의 로프 측면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고정대 사시도로 돌설부( 241' )전단부에 설치공( 242 )이 형성되고, 설치공 내측으로 로프 고정고리( 243 )가 회동 가능토록 내설되어 있다.
상기 돌설부( 241' )는 몸체( 241 )에 긴밀하게 착설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고정대( 240 )의 돌설부( 241' )에 하부 받침대( 260b ) 하단부의 결합구( 261 )가 삽설되는 바, 상기 로프고정대( 240 )의 돌설부( 241' )에 로프받침대( 260 )의 결합구( 261 )가 삽설된 후, 상기 로프 고정고리( 243 )가 삽설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의 사시도로 건축물의 옥상 난간( 100 ) 내측 하단부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받침대 사시도로, 상·하부 받침대( 260a, 260b ) 양 측단 길이 방향으로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로프 이탈 방지턱( 262 )이 구비되고, 하부 받침대( 260b ) 하단부에 상기 로프 고정대( 240 )의 돌설부( 241' )에 삽설되기 위한 결합구( 261 )가 형성되며, 상부 받침대( 260a )와 하부 받침대( 260b ) 사이에 흰지( 263 )로 연결된 로프 받침대( 260 )가 로프 고정대( 240 )의 몸체( 241 ) 전단부의 돌설부( 241' )에 삽설되고, 돌설부 전면부의 설치공( 242 )에 내설된 로프 고정고리( 243 )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이송대( 210 )는 C형강 개구부 상단에 다수개의 요홈( 220 )이 형성되고, 옥상 바닥면과 난간 벽체에 확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지지편( 230, 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대( 210 ) 내측에 상기 로프 고정대( 240 ) 몸체( 241 )가 내설되되, 상기 이송대 좌우측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주지하였듯이, 로프받침대( 260 )는 상부 받침대( 260a )와 하부 받침대( 260b )가 흰지( 263 )로 연결된바, 미 사용시 옥상 내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의 일부분만 예시한바, 상기 이송대( 210 )는 작업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옥상의 난간 내측 둘레에 모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직선상의 한 개로 이뤄진 이송대에 상기 로프 받침대가 착설된 로프 고정대의 수량은 적어도 2개 이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송대의 일부분이나, 고정대의 수량을 도면에 예시했다고 해서 본 발명에서 예시한 바 대로 권리를 확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의 주요 부분 단면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도 7을 참조하여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작업위치를 파악하고, 작업위치에 맞춰 로프 받침대가 착설 된 로프 고정대를 함께 이동시킨다.
이때, 이송대( 210 )의 요홈( 220 ) 하단부에 로프 고정대( 240 )의 돌설부( 241' )가 맞춰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로프( 300 )를 난간 바깥쪽 즉, 건물 외벽쪽으로 내려지는 로프( 300 ) 끝단을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 시킨후 로프 받침대( 260 )의 로프 이탈 방지턱( 262 )사이로 로프를 걸어 로프 고정대( 240 )의 로프 고정고리( 243 )에 묶는다.
일단, 로프의 무게에 의하여 로프 고정고리( 243 )는 상향하여 로프 받침대( 260 )의 하부 받침대( 260b )에 접하게 되고, 상부 받침대( 260a )는 난간( 100 )의 상부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여기서, 로프 받침대( 260 )의 상부 받침대( 260a )부위의 로프( 300 )가 꺽여서 접하는 부분은 로프( 300 )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곡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가 로프( 300 )를 의지하여 하강하게 되면 작업자의 무게에 의해 로프 고정대( 240 )의 돌설부( 241' )가 이송대( 210 )의 요홈( 220 )에 삽입되어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되고 보다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200 )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로프의 하강위치를 바꾸기 위한 보조로프가 필요 없고,
둘째, 위치변동에 따른 주로프를 다시 풀어 고정할 필요가 없으며,
셋째, 로프가 모서리에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넷째, 확보물이 가까워지므로 로프의 길이가 짧아져 로프의 관리가 수월한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

  1. 옥상에 설치하여 로프 작업을 할 수 있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200 )에 있어서,
    C형강의 개구부 상단에 다수개의 요홈( 220 )이 형성되고, 후단부 및 하단부에 다수개의 지지편( 230, 230' )이 착설된 이송대( 210 )와,
    전단부의 설치공( 242 )에 로프 고정고리( 243 )가 회동 가능토록 내설된 돌설부( 241' ) 및 상기 돌설부가 전면부에 긴밀하게 부착된 몸체( 241 )로 구성된 로프 고정대( 240 )와
    상부 받침대( 260a )와 하부 받침대( 260b )가 흰지( 263 )에 의해 회동 가능토록 연결되고, 상기 상부받침대와 하부받침대 양 끝단에 로프 이탈 방지턱( 262 )이 형성되며, 하부 받침대 하단부에 결합구( 261 )가 형성되되, 상기 로프고정대( 240 ) 돌설부( 241' )에 상기 결합구( 261 )가 삽설되는 구조를 갖는 로프 받침대( 260 )와,
    상기 이송대( 210 ) 내측에 로프고정대( 240 )의 몸체( 241 )가 이동가능토록 내설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200 ).
  2.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받침대( 260 )가 착설된 로프 고정대( 240 )는, 일직선상의 한 개 로 이뤄진 이송대( 210 )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200 ).
  3.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받침대는 상부 받침대의 로프가 꺽여서 접하는 부분이 곡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200 ).
KR1020060110343A 2006-11-07 2006-11-07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KR100706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343A KR100706527B1 (ko) 2006-11-07 2006-11-07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343A KR100706527B1 (ko) 2006-11-07 2006-11-07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046A true KR20060123046A (ko) 2006-12-01
KR100706527B1 KR100706527B1 (ko) 2007-04-13

Family

ID=3772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343A KR100706527B1 (ko) 2006-11-07 2006-11-07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5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744B1 (ko) 2021-03-24 2021-10-14 (주)행복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작업용 옥상고리 이동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627B1 (ko) 2012-06-22 2013-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터빈용 로프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2246B2 (ja) * 1995-07-27 2000-06-12 株式会社関東管財 壁面作業用落下防止装置
JPH11347139A (ja) 1998-06-09 1999-12-21 Hyuga Kensetsu:Kk 墜落防止安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744B1 (ko) 2021-03-24 2021-10-14 (주)행복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작업용 옥상고리 이동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527B1 (ko) 200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3432B2 (en) Construction apparatus
US20060243524A1 (en) Collapsible hanging scaffold bracket
US20020139614A1 (en) Hanging scaffold support
JP5292441B2 (ja) 足場/養生ユニットおよびその連結装置
CA2800886A1 (en) Base for supporting an upstanding mast
CN109487927B (zh) 索网支承式玻璃幕墙及施工方法
US9359779B2 (en) Space saving anchor point for a concrete structure
US10081926B2 (en) Trench wall support
KR100706527B1 (ko) 주상복합 아파트의 옥상고리 이동장치
KR101289563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비계용 안전발판
CN211058339U (zh) 一种高层建筑伸缩式卸料装置
KR100895829B1 (ko) 슬라브 개구부의 거푸집 설치구조
CN209145305U (zh) 一种建筑施工用卸料装置
JP2009150184A (ja) 作業用ゴンドラの振れ止め装置
CN102116084B (zh) 多层楼房浇灌混凝土楼板托吊模架代替支撑模架的装置
CN211647265U (zh) 一种脚手架踏板
CN209162894U (zh) 地沟用复合出线盖板
US8336674B2 (en) Device for a guide rail
KR101467108B1 (ko) 다기능 곤돌라
EP3443173B1 (en) Building element with pipes and insert coupling
US20040016599A1 (en) Lift-type scaffolding
JPH07259321A (ja) 吊り足場
JP6091200B2 (ja) 浮き架台用型枠材及び浮き架台構造の施工方法
KR200454872Y1 (ko)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JP4070675B2 (ja) 機器取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