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498A -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498A
KR20060122498A KR1020050045029A KR20050045029A KR20060122498A KR 20060122498 A KR20060122498 A KR 20060122498A KR 1020050045029 A KR1020050045029 A KR 1020050045029A KR 20050045029 A KR20050045029 A KR 20050045029A KR 20060122498 A KR20060122498 A KR 20060122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cam
doors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460B1 (ko
Inventor
김성재
심장호
김승엽
홍종호
이상열
오준환
우기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46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05C19/161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magnetic 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3Protection against w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가 열릴 때, 도어의 회전중심이 가이드기구가 제공하는 이동경로를 따라 상대 도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도어의 마주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개스킷 어셈블리가 먼저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도어 개폐 장치를 갖는 냉장고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냉장고의 도어 닫힘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평면도
도 3은 종래 냉장고의 도어 여닫힘 시의 개스킷 이격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평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냉장고의 도어 닫힘시 충격 발생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갖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 상세도
도 7은 도어 개폐 장치의 주요부 상세도
도 8은 도어 닫힘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도어 여닫힘 시의 개스킷 이격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평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5, 35R, 35L : 도어 37 : 개스킷
39 : 도어 브래킷 40 : 냉장고 본체
46 : 힌지브래킷 47 : 힌지 링크
47a : 브래킷 힌지축 47b : 도어 힌지축
49 : 탄성 부재 50 : 개스킷 어셈블리
51 : 개스킷 홀더 53 : 개스킷
55 : 자성체 80 : 가이드기구
82 : 캠보스 84 : 캠가이드
85 : 가이드홀 85a : 병진이동구간
85b : 회전이동구간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병진 운동 시 상기 도어의 병진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힌지기구가 설치된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도어 개폐 장치를 갖는 냉장고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장고는 상측에 냉장실(1)이 위치되고, 하측에 냉동 실(2)이 위치된다. 특히 상기 냉장실은 내부를 분리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프렌치 타입의 냉장고이다.
상기 냉장실(2)은 이를 개폐하는 도어(3)가 양문 개방형 구조로 구성되고, 각 도어(3)의 둘레 면에는 냉기가 밖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냉장고 본체(5)에 밀착되는 개스킷(10)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양문형 도어(3)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도 냉기가 새나가지 않도록 개스킷(11)이 설치되는 바, 일반적으로 프렌치 타입의 냉장고는 양쪽 도어의 개스킷이 밀착되도록 한쪽 도어에 필러(filler)가 구비된 구조를 갖거나, 필러가 구비되지 않고 양쪽 도어(3)의 개스킷(11)이 상호 밀착되는 필러리스(fillerless)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는 필러리스 타입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양쪽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양쪽 도어에 구비된 사이드 개스킷(11)이 상호 밀착되어 도어(3) 틈새를 밀봉하게 된다.
여기서 도 2는 상기 양쪽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개스킷(11)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상기 개스킷(11)은 그 내부에 상호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자성체(14)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양쪽 개스킷(11)의 밀착력은 한쪽 도어(3)가 개방될 때 다른 쪽 도어도 따라서 열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 때문에 도어(3)가 초기에 개방될 때와 도어(3)가 거의 닫힐 때에 상기 양쪽 개스킷(11)이 분리되도록 개방 도어를 상대 도어로부터 이격시키는 도어 이격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즉, 냉장고 본체(5)와 도어(3)를 연결하는 힌지 기구(15)는 도어 여닫힘 시에 도어의 수평 이동, 즉 병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링크(17)로 이루어지는 데, 이 힌지 링크(17)는 냉장고 본체(5)에 설치된 힌지 브래킷(16)과 도어(3)에 양단부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힌지 기구(15)에는 탄성 부재(18)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3)가 상대 도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에 상호 밀려 이동되는 방식에 의해 개방 도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냉장고 본체(5)에는 캠부재(21)가 설치되고, 도어(3)에는 상기 캠부재(21)와 접촉되는 캠접촉 레버(25)가 설치된다. 상기 캠접촉 레버(25)에는 상기 캠부재(21)에 구름 접촉되도록 롤러(26)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3)를 열면, 도어는 도어 힌지축(17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고, 이때 도어(3)가 열리는 변위에 따라 상기 캠접촉 레버(25)의 롤러(26)가 상기 캠부재(21)의 캠면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롤러(26)가 캠면의 정점(21a)에 도달하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본체 힌지축(17b)을 중심으로 도어(3)가 우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개스킷(11)들이 서로 이격된 후 회전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반대로 도어(3)를 닫을 때에도 상기 캠접촉 레버(25)의 롤러(26)가 상기 캠부재(21)의 곡면을 타고 이동하게 되므로, 양쪽 개스킷(11)이 분리된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 여닫힘 시에 개폐되는 도어(3)가 상대 도어로부터 분리되므로, 양쪽 개스킷(11)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한쪽 도어 개방 시에 다른 쪽 도어가 따라나오면서 순간적으로 열리는 현상이나, 개스킷의 잦은 접촉으로 빨리 마모되는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도어 개폐 장치를 갖는 냉장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가 닫힐 때 캠접촉 레버(25)의 롤러(26)가 캠부재(21)에 부딪히면서 닫히기 때문에 도어를 닫을 때 상당한 소음과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도어도 급격하게 측방향으로 밀리면서 닫히게 되어, 도어 개폐 시에 사용자의 감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롤러(26)와 캠부재(21)의 잦은 충돌에 의해 롤러(26) 등이 파손되어 개스킷을 이격시키는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캠부재(21)가 냉장고 본체(5)에서 도어(3)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어(3)를 열었을 때 미관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를 닫을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캠면을 완만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캠부재(21)와 캠접촉 레버(25)가 접촉되는 캠면(21b)의 경사면의 완만하게 형성되어야 하나, 캠면(21b)의 경사면을 완만하게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캠부재(21)의 길이가 더욱 길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장고 도어의 병진 이동 시 상기 도어의 병진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힌지기구를 설치하여 도어의 여닫힘 시 발생되는 개스킷 어셈블리간의 접촉을 최소화시키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는 냉장고 본체를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와;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힌지기구와;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복수의 도어가 이격되도록, 상기 도어 회전중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기구는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걸쳐져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병진 이동 경로 및 회전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캠가이드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캠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캠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캠가이드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캠가이드의 내측에는 상기 캠보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도어 회전중심이 병진 이동되게 하는 병진이동구간과, 도어가 회전되게 하는 회전이동구간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기구는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에 각각 연결되는 힌지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본체는 브래킷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도어는 도어 힌지축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브래킷 힌지축에 대한 힌지링크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에서 상기 도어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링크의 본체 측에 설치된 브래킷 힌지축에는 상기 힌지링크를 상대 도어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더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냉장실에 양문형 도어가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는 프렌치 타입의 냉장고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갖는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 상세도이며, 도 7은 도어 개폐 장치의 주요부 상세도이고, 도 8은 도어 닫힘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하측에 냉동실(31)이 위치되고, 상측에 양문형 도어(35L, 35R)가 구비된 냉장실(32)이 위치되고, 상기 양쪽 도어(35L, 35R)는 냉장고 본체(40)에 힌지기구(45) 및 가이드기구(80)로 연결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냉장실(32)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양쪽 도어(35L, 35R)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40)에 밀착되어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도어(35L, 35R)의 상하 좌우에 개스킷(37)들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양쪽 도어(35L, 35R)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격벽이나 냉장고 본체(40)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대 도어 쪽에 밀착되어 도어(35L, 35R)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50)(이하 '개스킷 어셈블리'라 함)가 설치된다.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5L, 35R)의 측면에 설치되는 개스킷 홀더(51)와, 상기 개스킷 홀더(51) 사이에 설치되어 상대 도어의 개스킷에 밀착되는 개스킷(53)과, 상기 개스킷(53)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대 도어(35L, 35R)의 개스킷(53)과 밀착되도록 자성을 발생시키는 자성체(5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양쪽 개스킷 어셈블리(50)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도어(35L, 35R)가 개방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냉장고에는 도어가 여닫힐 때 상기 도어(35) 전체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양쪽 개스킷 어셈블리(50)를 서로 이격시키는 힌지기구(45) 및 가이드기구(8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기구(45)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40)와 상기 도어(35L, 35R)에 각각 힌지연결되는 힌지링크(47)와, 상기 힌지링크(47)와 상기 본체(40)를 연결하는 브래킷 힌지축(47a)과, 상기 도어(35L, 35R)와 상기 힌지링크(47)를 연결하는 도어 힌지축(47b)과, 상기 브래킷 힌지축(47a)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35L, 35R)를 상대 도어(35R, 35L)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링크(47)는 상기 냉장고 본체(40) 및 상기 도어(35)에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링크(47)의 브래킷 힌지축(47a)은 힌지 브래킷(46)에 설치되고, 도어의 회전중심이 되는 도어 힌지축(47b)은 도어 브래킷(39)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49)는 상기 브래킷 힌지축(47a)에 설치되어 양쪽 도어(35)가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양단부가 힌지 브래킷(46)과 힌지 링크(47)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브래킷(46)에는 상기 힌지링크(47)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 1, 2 스토퍼(46a)(46b)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2 스토퍼(46a)(46b)는 상기 브래킷 힌지축(47a)의 좌/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2 스토퍼(46a)(46b)는 상기 브래킷 힌지축(47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도어 힌지축(47b)의 회전각을 제한한다.
그래서 상기 힌지기구(45)는 도어(35)가 여닫힐 때, 상기 브래킷 힌지축(47a)을 중심으로 도어(35)의 회전 중심인 도어 브래킷(47b)이 측방향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상기 가이드기구(80)는 상기 본체(40)에서 상기 도어(35L, 35R) 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35L, 35R)의 병진 이동 경로와 회전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캠가이드(84)와, 상기 도어(35L, 35R)에 고정되어 상기 캠 가이드(84)를 따라 이동되는 캠보스(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가이드(84)는 상기 본체(40)와 상기 도어(35L, 35R)에 걸쳐져 설치되되, 일단(84a)이 상기 본체(40)의 힌지 브래킷(46)에 고정되고, 타단(84b)이 상기 도어(35L, 35R)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도어(35L, 35R) 상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캠가이드(84)는 내측에 가이드홀(85)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85)에 상기 캠보스(82)가 삽입되며, 상기 캠보스(82)는 상기 도어 브래킷(39)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홀(85)을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홀(85)은 상기 캠보스(82)를 직선 이동시켜 상기 도어(35L, 35R)가 병진 이동되게 하는 병진이동구간(85a)과, 상기 도어 브래킷(47b)을 중심으로 도어(35L, 35R)의 회전될 때 상기 캠보스(82)의 회전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회전이동구간(85b)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 개폐 장치의 작용을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어 닫힘 상태도, 도 9는 도어 여닫힘 시의 개스킷 이격 상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여기서 편의상 오른쪽 도어(35R)가 열리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어가 열리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8에서와 같이 도어(35L, 35R)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양쪽 도어(35L, 35R)의 개스킷(53)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35R)를 열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도어(35R)를 여는 힘에 의해 힌지링크(47)는 상기 브래킷 힌 지축(47a)을 중심으로 도어 힌지축(47b)을 회전시키며, 상기 힌지링크(47)는 상기 제 1 스토퍼(46a)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상기 도어(35R)에 설치된 캠보스(82)는 상기 도어(35R)의 회전 중심인 도어 힌지축(47b)이 회전되는 거리만큼 상기 가이드홀(85)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바, 상기 캠보스(82)는 상기 캠가이드(84)의 병진이동구간(85a)을 따라 이동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도어(35R)의 병진 이동이 완료된 경우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35R)가 병진이동구간(85a)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도어(35R)의 개스킷 어셈블리(50)는 상대 도어(35L)의 개스킷 어셈블리(50)와 분리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도어(35R)를 더 열게되면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링크(47)는 상기 제 1 스토퍼(46a)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도어 힌지축(47b)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캠보스(82)는 상기 회전이동구간(85b)을 따라 원호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어가 닫히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35R)를 닫을 경우, 캠보스(82)는 상기 캠가이드(84)의 회전이동구간(85b)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도어(35R)의 회전경로를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링크(47)가 제 2 서포트(46b)로 회전되어 지지되는 이동과 상기 캠보스(82)가 상기 캠가이드(84)를 따라 회동되는 이동 중 어느 것이 먼저 발생되어도 무방할 뿐만 아니라, 상기 힌지링크(47)가 제 2 서포트(46b)로 회전되어 지지되는 이동과 상기 캠보스(82)가 상기 캠가이드(84)를 따라 회동되는 이동이 동시에 발생되어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상기 캠보스(82)가 상기 캠가이드(84)의 병진이동구간(85a)에 진입하기 전까지는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50)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기 힌지링크(47)가 상기 제 2 스토퍼(46b)까지 회전되어 지지되고, 상기 캠보스(82)가 상기 캠가이드(84)의 병진이동구간(85a)에 지지되지 않으면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50)는 서로 이격된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브래킷 힌지축(47a)에 설치된 탄성부재(49)는 상기 도어(35L, 35R)가 닫힐 때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50)가 서로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가 열릴 때, 도어의 회전중심이 가이드기구가 제공하는 이동경로를 따라 상대 도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도어의 마주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개스킷 어셈블리가 먼저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가 여닫힐 때 가이드기구에 의해 열리는 도어가 상대 도어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도어 사이에 설치된 개스킷 어셈블리간의 접촉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가이드기구는 도어의 회전중심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개스킷 어셈블리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도어를 이동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힌지기구의 캠가이드는 도어에 설치된 캠보스의 이동경로를 형성하여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때문에 개방되는 도어의 이동방향을 보다 정확히 안내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힌지기구의 캠가이드에는 도어의 회전중심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 형태의 병진이동구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개스킷 어셈블리의 분리가 신속히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냉장고 본체를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와;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힌지기구와;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복수의 도어가 이격되도록, 상기 도어 회전중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구는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걸쳐져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병진 이동 경로 및 회전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캠가이드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캠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캠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가이드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캠보스는 상기 캠가이드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캠가이드의 내측에는 상기 캠보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도어 회전중심이 병진 이동되게 하는 병진이동구간과, 도어가 회전되게 하는 회전이동구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에 각각 연결되는 힌지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본체는 브래킷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힌지링크와 상기 도어는 도어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브래킷 힌지축에 대한 힌지링크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에서 상기 도어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링크의 본체 측에 설치된 브래킷 힌지축에는 상기 힌지링크를 상대 도어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20050045029A 2005-05-27 2005-05-27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07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029A KR100707460B1 (ko) 2005-05-27 2005-05-27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029A KR100707460B1 (ko) 2005-05-27 2005-05-27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498A true KR20060122498A (ko) 2006-11-30
KR100707460B1 KR100707460B1 (ko) 2007-04-13

Family

ID=3770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029A KR100707460B1 (ko) 2005-05-27 2005-05-27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4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7020A1 (ko) * 2013-10-17 2015-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44822A (ko) * 2013-10-1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2170995A1 (zh) * 2021-02-09 2022-08-18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箱体组件和制冷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004B1 (ko) 2015-02-13 2018-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258196B1 (en) 2015-02-13 2022-05-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6129961A2 (ko) * 2015-02-13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392B2 (ja) * 1980-10-24 1985-06-12 シャープ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を備えた貯蔵庫
KR0168270B1 (ko) * 1996-03-28 1999-01-15 김광호 냉장고의 도어 열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7020A1 (ko) * 2013-10-17 2015-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44822A (ko) * 2013-10-1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2170995A1 (zh) * 2021-02-09 2022-08-18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箱体组件和制冷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460B1 (ko) 200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45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07444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0746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5532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657496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및 이격기구
KR100722286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07462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07434B1 (ko) 냉장고의 사이드 개스킷 분리 장치
KR10074898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및 도어 힌지기구
KR20060094818A (ko)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
KR100748969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4897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48967B1 (ko)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
KR100748968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07465B1 (ko) 냉장고 도어의 개스킷 분리 장치
KR100707461B1 (ko)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
KR100707452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07436B1 (ko) 냉장고 도어의 사이드 개스킷 분리 장치
KR10073331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07443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07456B1 (ko) 냉장고의 도어 개스킷 장치
KR20070065457A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도어 이격기구 및 도어 디텐트기구
KR100755319B1 (ko)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
KR100707458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07454B1 (ko)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